KR101243581B1 -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581B1
KR101243581B1 KR1020110099195A KR20110099195A KR101243581B1 KR 101243581 B1 KR101243581 B1 KR 101243581B1 KR 1020110099195 A KR1020110099195 A KR 1020110099195A KR 20110099195 A KR20110099195 A KR 20110099195A KR 101243581 B1 KR101243581 B1 KR 10124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old
rubber gloves
glov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근
Original Assignee
김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근 filed Critical 김병근
Priority to KR102011009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moulding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장갑의 제조 공정시 금형과 밀착되는 면이 아닌 외부로 노출되는 면(실질적인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무 장갑의 제조를 위한 액상의 고무 용제가 수용된 제1수용조 내로 손 모양의 금형을 담근 후 빼내어 상기 금형의 표면에 상기 고무 용제를 응착시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을 성형하는 1차 딥핑 단계; 상기 1차 딥핑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이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금형을 요철 생성용 물질이 수용된 제2수용조 내로 담근 후 빼내어 상기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 표면에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을 추가적으로 응착시키는 2차 딥핑 단계;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이 추가적으로 응착된 고무 장갑이 완전히 응고된 상태를 이루도록 건조하는 건조 단계; 그리고,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응고된 고무 장갑을 뒤집어서 벗겨내는 장갑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으로써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rubber gloves}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장갑은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 장갑으로써 손을 보호하거나 혹은, 작업물에 오염물이 묻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무 장갑은 산업 현장에서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고무 장갑과,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고무 장갑 그리고, 가정이나 요리 업소 등에서 주방용 혹은,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고무 장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무 장갑은 다양한 방법으로의 제조가 이루어지지만 통상적으로는 고무 용제가 담긴 수용조 내에 손 모양의 금형을 담근 후 빼 냄으로써 상기 금형의 표면에 상기 수용조 내의 고무 용제가 일정 두께로 응착되고, 이후 건조 과정을 통해 건조한 후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고무를 뒤집어서 벗겨내는 작업을 통해 해당 고무 장갑을 제조하고 있다.
특히, 상기한 고무 장갑 중에는 그의 외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예컨대, 식기 세척시 등) 작업 대상물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고무 장갑의 요철 형상은 상기 고무 장갑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금형의 외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해당 금형에 고무 용제의 응착시 상기 고무 용제의 내표면인 금형과의 맞닿는 면에 상기 금형의 요철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그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요철은 실질적으로 금형으로부터 고무를 뒤집어서 벗겨냈을 경우 해당 고무 장갑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만 형성될 뿐 상기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는 상기 요철이 형성되지 못하고, 매끄러운 상태를 이룰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고무 장갑을 착용하게 되면 상기 고무 장갑의 내표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무 장갑의 내부로는 외부 공기의 통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습기가 차게 됨으로써 사용자 손의 피부 질환을 야기시켰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도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지만. 현실적인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으로는 그 제조 작업시 금형과 밀착되는 면(실질적인 고무 장갑의 외표면)이 아닌 금형과 밀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실질적인 상기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란 불가능하며, 상기한 고무 장갑의 내표면 및 외표면 모두 혹은, 상기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만 수행될 수밖에 없고, 이는 제조 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사실 그의 방법이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장갑의 제조 공정시 금형과 밀착되는 면이 아닌 외부로 노출되는 면(실질적인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은 고무 장갑의 제조를 위한 액상의 고무 용제가 수용된 제1수용조 내로 손 모양의 금형을 담근 후 빼내어 상기 금형의 표면에 상기 고무 용제를 응착시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을 성형하는 1차 딥핑 단계; 상기 1차 딥핑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이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금형을 제2수용조 내로 담근 후 빼내어 상기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 표면에 요철 생성용 물질이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하는 2차 딥핑 단계;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이 추가적으로 응착된 고무 장갑이 완전히 응고된 상태를 이루도록 건조하는 건조 단계; 그리고,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응고된 고무 장갑을 뒤집어서 벗겨내는 장갑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으로써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2차 딥핑 단계에서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은 볼(ball) 형상의 고형물(固形物)임과 더불어 상기 볼 형상의 고형물은 액상의 고무 용제에 섞인 상태로 상기 제2수용조 내에 수용되고, 상기 2차 딥핑 단계에서는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상기 제2수용조 내에 수용된 볼 형상의 고형물 및 고무 용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함으로써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딥핑 단계에서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은 공기로 만들어진 버블(bubble)이고, 상기 버블은 액상의 고무 용제에 섞인 상태로 상기 제2수용조 내에 수용되거나 혹은, 상기 제2수용조 내에는 액상의 고무 용제만 존재하는 상태로 상기 2차 딥핑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의 외표면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응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딥핑 단계의 요철 생성용 물질은 공기(air)로 제공되며, 상기 1차 딥핑 단계에 의해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의 외표면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요철이 생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은 고무 장갑의 내피에 요철 생성용 물질로 인한 요철(요입홈)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로 인해 생성된 요철이 피부와 상기 내피 간의 틈새를 발생하여 통기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한 통기성 향상에 의한 효과로 인해 피부 질환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고무 장갑을 벗을 때에도 피부와 고무 장갑 간의 밀착 면적이 작으므로 인해 쉽게 벗겨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은 사출 성형이 아닌 딥핑에 의한 성형으로도 고무 장갑의 외표면 뿐만 아니라 내표면에도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공정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공정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의 순서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은 크게 1차 딥핑 단계(S100)와, 2차 딥핑 단계(S200)와, 건조 단계(S300) 및 장갑 분리단계(S400)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2차 딥핑 단계(S200)를 통해 1차 딥핑이 완료되어 금형(10)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의 외표면에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이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금형(10)으로부터 완전히 응고된 상태의 고무 장갑(40)을 뒤집은 채로 벗겨낼 경우 상기 고무 장갑(40)의 내피에는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52)로 인해 요철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과정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1차 딥핑 단계(S100)는 금형(10)의 표면에 고무 용제(21)를 응착시켜 1차적인 손 모양의 고무 장갑(40)이 반 응고 상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고무 용제(21)는 고무 장갑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액상 고무로써, 제1수용조(20) 내에 수용된다.
이와 함께, 상기 금형(10)은 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제1수용조(20) 내에 선택적인 담금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딥핑 단계(S200)는 상기 1차 딥핑 단계(S100)를 통해 만들어진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 외표면에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이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2차 딥핑 단계(S200)를 위해 사용되는 제2수용조(30)는 상기 1차 딥핑 단계(S100)를 위해 사용되는 제1수용조(20)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는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이 수용된다.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은 고무 용제(31)와 함께 제공된다. 이때,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은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서 고무 용제(31)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고무 용제(31)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고무 용제(31)가 없이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52) 단독으로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은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에서는 상기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생성되지만, 고무 장갑의 제조가 완료되어 금형(10)으로부터 상기 고무 장갑을 뒤집은 채로 벗겨낼 경우에는 상기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 위치되면서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고무 장갑의 내피 사이에 서로 틈새가 생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한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은 단순히 고무 장갑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만 수행하고, 해당 고무 장갑을 금형(10)으로부터 벗겨 내기 전에 상기 고무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52)이 강제 제거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 역시 추후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 단계(S300)는 상기 2차 딥핑 단계(S200,S200)까지 완료된 상태의 고무 장갑(40)이 완전히 응고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한 건조 단계(S300)는 히터를 이용한 인위적인 건조 열기의 제공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자연 상태로의 방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갑 분리단계(S400)는 상기 금형(10)으로부터 상기 건조가 완료된 고무 장갑(40)을 벗겨내는 과정이다.
상기한 장갑 분리단계(S400)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자동화 기기에 의해 진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 제조 방법을 근거로 한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무 용제(21)가 수용된 제1수용조(20)와, 요철 생성용 물질(51)이 수용된 제2수용조(30) 및 표면 세척이 완료된 손 모양의 금형(10)을 각각 준비한다.
상기 제1수용조(20)와 상기 제2수용조(30)는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금형(10)은 상기 제1수용조(20)와 제2수용조(30)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 수용된 요철 생성용 물질(51)은 볼(ball) 형상의 고형물(固形物)임을 실시예로 하며, 특히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은 고무 용제(31)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 제공됨을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준비 과정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금형(10)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금형(10)이 상기 제1수용조(20) 내로 담근 다음 다시금 빼내는 1차 딥핑 과정을 수행(S100)한다.
이로 인해, 상기 금형(10)의 표면에는 상기 제1수용조(20) 내에 존재하던 고무 용제(21)가 응착되고, 상기한 고무 용제(21)는 외기로 노출되는 순간부터 그의 응고가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금형(10)의 표면에는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이 생성된다.
물론, 상기한 금형(10)을 제1수용조(20) 내로 담근 다음 다시금 빼내는 1차 딥핑 과정(S100)은 단지 1회만 수행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2회 혹은, 그 이상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10) 표면의 고무 장갑(40)이 완전히 응고되기 전에 상기 금형(10)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금형(10)을 제2수용조(20) 내로 담근 후 빼내는 2차 딥핑 과정(S200)을 수행한다.
이의 경우, 상기 고무 장갑(40)의 표면에는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요철 생성용 물질(51)과 고무 용제(31) 간의 혼합물이 응착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응착되는 혼합물 중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은 볼 형상의 고형물임을 고려할 때 상기 고무 장갑(40)의 응고가 진행되면 상기 고무 장갑(40)의 외표면 중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이 응착된 부위에는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홈(41)(도 3 참조) 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은 상기 요입홈(41)에 요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한 2차 딥핑 과정(S200) 전에 1차 딥핑 과정(S100)을 수행하는 이유는 상기 1차 딥핑 과정(S100) 없이 곧장 2차 딥핑 과정(S200)이 수행될 경우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로 인해 생성되는 요입홈(41)은 단순한 홈의 구조가 아닌 고무 장갑(40)의 내외를 관통하는 구멍을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구멍을 이루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해당 부위의 두께가 극히 얇아서 추후 고무 장갑(40)의 사용 시 쉽게 구멍이 날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1차 딥핑 과정(S100)을 통해 고무 장갑(40)의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도록 한 다음 2차 딥핑 과정(S200)을 통해 상기 요입홈(4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입홈(41)이 관통 구멍을 이루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요입홈(41)의 형성 부위에 대한 충분한 두께의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2차 딥핑 과정(S200)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10) 표면의 고무 장갑(40)이 완전히 응고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건조 과정을 수행(S300)한다.
상기한 건조 과정(S300)은 전술된 예에서와 같이 고온의 열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자연 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 전술된 고무 장갑(40)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금형(10)으로부터 상기 응고된 고무 장갑(40)을 뒤집어서 벗겨내는 장갑 분리 과정(S400)을 수행하여 상기 고무 장갑(40)을 회수함으로써 그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금형(10)으로부터 상기 고무 장갑(40)을 뒤집어서 벗겨낼 경우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로 인해 생성된 요입홈(41)은 실질적으로 상기 고무 장갑(40)의 내피에 위치되고, 상기 고무 장갑(40)의 외피는 상기 금형(10)의 표면이 이루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과정 중 상기 고무 장갑(40)의 내피에 응착된 요철 생성용 물질(51)은 상기 고무 장갑(40)의 내피에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건조 과정(S300)이 완료된 후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을 상기 고무 장갑(40)의 표면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이 위치되어 있었던 요입홈(41)이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 대신 사용자의 피부와 고무 장갑(40)의 내표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수용조(30) 내에 수용되는 요철 생성용 물질(51)은 고무 용제(31)와의 혼합물이 아닌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즉 1차 딥핑 과정(S100)이 완료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 표면에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만 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51)의 떼어냄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이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수용조(30) 내에 수용되는 요철 생성용 물질을 버블(52)로 제공한 것을 그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요철 생성용 물질을 공기로 만들어진 버블(bubble)(52)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버블(52)은 액상의 고무 용제(31)에 섞인 상태로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전술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무 장갑(40)의 건조 완료 후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을 별도로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치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버블(52)은 2차 딥핑 단계(S200)를 통해 상기 1차 딥핑 과정(S100)이 완료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 표면에 버블 상태로 응착되고, 이후 상기 고무 장갑(40)이 응고되면 해당 버블(52)을 터트림으로써 상기한 버블로 인한 요입홈(4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버블(52)은 애초부터 상기 제2수용조(30) 내에서 고무 용제(31)와 섞인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2차 딥핑 단계(S200)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금형(10)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의 외표면에 직접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블(52)이 상기 고무 장갑(40)의 외표면에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61은 공기관로이고, 62는 공기통공이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과정이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수용조(30) 내에 수용되는 요철 생성용 물질이 분사 공기(53)로 제공한 것을 그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제2수용조(20) 내에는 분사 공기의 제공을 위한 복수의 공기관로(71) 및 분사 노즐(72)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1차 딥핑 과정(S100)이 완료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40)을 상기 제2수용조(20) 내로 수용시킨 다음 상기 고무 장갑(40)의 표면으로 공기를 각각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고무 장갑(40)의 표면에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요철이 성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분사노즐(72)은 상기 제2수용조(20)의 둘레를 따라 각각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은 고무 장갑(40)의 내피에 요철 생성용 물질(51,52,53)로 인한 요철(요입홈)이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요철은 피부와 상기 내피 간의 틈새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틈새로 인해 통기성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피부 질환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고무 장갑을 벗을 때에도 피부와 고무 장갑 간의 밀착 면적이 작으므로 인해 쉽게 벗겨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10. 금형 20. 제1수용조
30. 제2수용조 21,31. 고무 용제
40. 고무 장갑 41. 요입홈
51,52. 요철 생성용 물질 61,71. 공기관로
62. 공기통공 72. 분사노즐

Claims (4)

  1. 고무 장갑의 제조를 위한 액상의 고무 용제가 수용된 제1수용조 내로 손 모양의 금형을 담근 후 빼내어 상기 금형의 표면에 상기 고무 용제를 응착시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을 성형하는 1차 딥핑 단계;
    상기 1차 딥핑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이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금형을 제2수용조 내로 담근 후 빼내어 상기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 표면에 요철 생성용 물질이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하는 2차 딥핑 단계;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이 추가적으로 응착된 고무 장갑이 완전히 응고된 상태를 이루도록 건조하는 건조 단계; 그리고,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응고된 고무 장갑을 뒤집어서 벗겨내는 장갑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으로써 고무 장갑의 내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딥핑 단계에서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은 볼(ball) 형상의 고형물(固形物)임과 더불어 상기 볼 형상의 고형물은 액상의 고무 용제에 섞인 상태로 상기 제2수용조 내에 수용되고,
    상기 2차 딥핑 단계에서는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상기 제2수용조 내에 수용된 볼 형상의 고형물 및 고무 용제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추가적으로 응착되도록 함으로써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딥핑 단계에서 상기 요철 생성용 물질은 공기로 만들어진 버블(bubble)이고,
    상기 버블은 액상의 고무 용제에 섞인 상태로 상기 제2수용조 내에 수용되거나 혹은, 상기 제2수용조 내에는 액상의 고무 용제만 존재하는 상태로 상기 2차 딥핑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의 외표면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응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딥핑 단계의 요철 생성용 물질은 공기(air)로 제공되며,
    상기 1차 딥핑 단계에 의해 상기 금형 표면에 응착된 반 응고 상태의 고무 장갑의 외표면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고무 장갑의 외표면에 요철이 생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KR1020110099195A 2011-09-28 2011-09-28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KR10124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195A KR101243581B1 (ko) 2011-09-28 2011-09-28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195A KR101243581B1 (ko) 2011-09-28 2011-09-28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581B1 true KR101243581B1 (ko) 2013-03-20

Family

ID=4818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195A KR101243581B1 (ko) 2011-09-28 2011-09-28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662A (zh) * 2018-03-29 2019-10-11 山东星宇手套有限公司 一种丁腈防滑手套的制备方法
KR102263123B1 (ko) 2020-08-25 2021-06-09 이기수 공기유동 및 통기성이 우수한 내부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641B1 (ko) * 1979-07-14 1980-12-31 권희철 고무제품의 표면에 요철을 성형하는 방법
KR20030039083A (ko) * 2001-11-10 2003-05-17 (주)한성크린소재 습식 물속가공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5120549A (ja) 2003-10-20 2005-05-12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手袋の製造方法
KR20100132230A (ko) * 2009-06-09 2010-12-17 강영춘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업용 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641B1 (ko) * 1979-07-14 1980-12-31 권희철 고무제품의 표면에 요철을 성형하는 방법
KR20030039083A (ko) * 2001-11-10 2003-05-17 (주)한성크린소재 습식 물속가공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5120549A (ja) 2003-10-20 2005-05-12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手袋の製造方法
KR20100132230A (ko) * 2009-06-09 2010-12-17 강영춘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업용 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662A (zh) * 2018-03-29 2019-10-11 山东星宇手套有限公司 一种丁腈防滑手套的制备方法
KR102263123B1 (ko) 2020-08-25 2021-06-09 이기수 공기유동 및 통기성이 우수한 내부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5591B2 (ja) 使用者の唇に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及び関連する塗布方法
CN107405801A (zh) 聚合物微小楔形物及其制造方法
ATE489220T1 (de) Glättverfahren für geschichtete ablagerungsmodellierung
JP2005296650A (ja) 人工爪の製造方法
KR101243581B1 (ko) 내표면 엠보싱형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JP2011104987A (ja) 物品の表面構造
KR20170029447A (ko) 뒤집어 사용가능한 양면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US10647034B2 (en) Method for applying an insert of polymer material onto a support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JP6353870B2 (ja) 着脱用つまみ部分付きゴム手袋、及び、着脱用つまみ部分付きゴム手袋製造方法。
JP2012017607A5 (ko)
KR102190288B1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JP2006281654A (ja) 成形型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シーム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US2432174A (en) Apparatus for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ootwear
JP4496147B2 (ja) 人工皮膚の製造方法及び人工皮膚型の製造方法
KR100678868B1 (ko) 수저의 제조방법
TWI301101B (ko)
US7459418B1 (en) Replenishable soap bar
KR100770049B1 (ko) 미끄럼 방지용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KR102561013B1 (ko) 사출식 코팅장갑 제조장치 및 방법
BR112020013580A2 (pt) Corpo moldado para a produção de uma luva
TW200922507A (en) Rubber (plastic) gloves for cleaning use
JPH0317975Y2 (ko)
KR20120113907A (ko) 내피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CN203236646U (zh) 塑胶面壳框体表面的装饰包覆构成
TWM416351U (en) Low contamination latex gl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