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288B1 -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288B1
KR102190288B1 KR1020190055358A KR20190055358A KR102190288B1 KR 102190288 B1 KR102190288 B1 KR 102190288B1 KR 1020190055358 A KR1020190055358 A KR 1020190055358A KR 20190055358 A KR20190055358 A KR 20190055358A KR 102190288 B1 KR102190288 B1 KR 10219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glove
mold
rubber gloves
rubber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785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19005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28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195 priority patent/WO2020231135A2/ko
Publication of KR2020013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6Removing mould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척과정에서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갑의 표면과 내면에 복수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장갑의 뒤집어 착용하여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으며, 특히, 내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하여 손과 고무장갑이 밀착되지 않아 물이 유입되더라도 돌기에 의하여 생긴 공간을 통하여 쉽게 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고무장갑을 벗을 수 있고, 돌기의 크기 및 형태를 손이 밀착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식기를 잡을 때 거부감 없이 편안하고 안정하게 식기를 파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Method of manufacturing rubber gloves with dolly inside and outside and rubber gloves manufactured using them}
본 발명은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척과정에서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갑의 표면과 내면에 복수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장갑의 뒤집어 착용하여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으며, 특히, 내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하여 손과 고무장갑이 밀착되지 않아 물이 유입되더라도 돌기에 의하여 생긴 공간을 통하여 쉽게 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고무장갑을 벗을 수 있고, 돌기의 크기 및 형태를 손이 밀착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식기를 잡을 때 거부감 없이 편안하고 안정하게 식기를 파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식기 세척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장갑은 물에 대한 방수성 및 세척 등의 대상이 되는 물체에 대한 접착력을 강화시켜야 하므로, 최근에는 라텍스가 장갑의 구성물질로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장갑의 통상적인 제조 공정은 천연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용제를 수용한 디핑조에 금형을 담구어 금형에 용제가 일정한 두께로 응착되도록 하고, 이를 인출하여 건조 및 착색과정 등의 공정을 거친 후 금형과 성형물을 분리시켜 뒤집어 줌으로써 고무장갑을 완성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염화칼슘이 함유된 응고제를 고무 제조 공정에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장시간 고무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땀이 차거나 체온이 상승하여 세균 및 곰팡이 등이 고무장갑의 내피에서 발생, 증식하고 이는 상기 염화칼슘과 결합되어 주부 습진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 들어서는 고무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손과 고무장갑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통풍이 용이하여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이 침투하더라도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고무장갑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무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엠보싱을 형성한 고무장갑의 종래 알려진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21477호(등록일: 2006년 07월 06일) 내.외부가 엠보싱된 고무장갑은,
식기세척에 이용되는 고무장갑(11)에 있어서, 장갑(11) 내부로 유입된 물(14)과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13)과 유착을 방지하고 손(13)의 표면과 장갑 내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손에서 장갑(11)을 벗을 때 외부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여 장갑(11)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고 벗은 장갑(11)을 양손에 교대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고무장갑(11)의 표면과 내면에 그물망 형태의 연속된 돌기레일(16)과 불 연속 돌기(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515515호(등록일: 2015년 04월 21일)내면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은,
통상의 고무장갑 성형 금형을 라텍스 용액에 침지시켰다가 꺼내고 건조하여 고무장갑을 성형하는 제1단계와, 사람의 손목 형상의 금형과, 사람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전극봉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손목금형에 제1단계에서 성형된 고무장갑을 뒤집어서 제1단계에서의 내면이 겉에 위치되도록 결합시키고 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주입시켜 고무장갑을 팽만 시키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손목금형에 결합된 고무장갑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시키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고무장갑의 외면에 극세사를 침착시킴으로써 극세사 코팅을 수행하는 제4단계와, 고무장갑을 건조시키는 제5단계와, 고무장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 내지 제6단계에서 고무장갑은 내부에 주입되는 에어로 팽만되면서 상기 손목금형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돌기레일을 통하여 돌기가 획일적으로 연속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물의 배출 및 외부공기의 유입이 저하되어 땀에 의한 고무장갑과 손이 밀착되는 문제점이 계속하여 발생하였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무장갑 및 장갑의 제조방법은 고무장갑의 제조가 일반적인 디핑(dipping)방식을 통하여 기본적인 고무장갑의 형태가 성형됨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확보하기 어렵고, 이에 의하여 제조방법에서도 고무장갑의 물성을 맞추기 어려우며, 제조에 많은 공정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1151호(등록일: 2019년 03월 18일) "에어 그루브를 포함하는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무장갑" 등록특허공보 제10-1910396호(등록일: 2018년 10월 16일) "엠보싱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808481호(등록일: 2017년 12월 06일) "기능성 고무장갑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865592호(등록일: 2018년 06월 01일) "철수세미 고무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639052호(등록일: 2016년 07월 06일) "고무장갑 내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장갑" 등록특허공보 제10-1515515호(등록일: 2015년 04월 21일) "내면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424177호(등록일: 2014년 07월 22일) "항균 위생장갑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장갑"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위치를 무작위로 형성할 수 있어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이 쉽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돌기의 크기를 손의 위치별로 달리 구성하여 착용시 돌기에 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은 유지하면서도 착용자가 손가락의 움직임이 돌기의 방해 없이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식기를 파지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이 동일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고무장갑을 벗는 과정에서 장갑이 뒤집어져도 뒤바뀐 상태의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고무장갑을 제조함에 있어서, 사출금형 방식을 통하여 고무장갑의 외형을 성형함으로써 고무장갑의 두께를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디핑과정을 통하여 1차 성형된 고무장갑의 표면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어 고무장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1)에 의하여 연속 회전하는 내측금형(10)과 상기 내측금형(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외측금형(20) 사이공간에 고무액을 주입하는 고무액 주입단계(S1)와, 상기 주입된 고무액을 외측금형(20)에 내장된 히터코일(21)을 이용하여 고무액을 고형화시켜 고무장갑 형태로 성형하는 1차고무고형화단계(S2)와, 외측금형(20)을 탈형 및 분리하는 외측금형 분리단계(S3)와, 브러시(30)를 이용하여 노출된 고무장갑의 상부를 말아 마감하는 상부 마감단계(S4)와, 고무장갑을 건조로에서 2차로 경화사키는 2차고형화단계(S5)와, 고무장갑을 세척수에 침지시켜 표면을 세척 및 안정화하고 고무장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6) 및 건조된 고무장갑을 내측금형(10)으로부터 탈형 및 분리하여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완성하는 완성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에 형성되어 고무장갑(100)의 표면에 돌기(110, 120)를 형성하는 홈(11, 21)의 크기는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이 성형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홈(11a, 21a)의 크기가 1일 때 손가락 마디부분과 손목부분이 성형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홈(11b, 21b)의 크기는 1/2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제조한다.
상기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100)의 돌기 크기는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형성된 제1돌기(110)의 크기가 1일 때 손가락 마디부분과 손목부분의 제2돌기(120)의 크기는 1/2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은 고무장갑을 제조가 사출금형 방식을 통하여 고무장갑의 외형을 성형함으로써 고무장갑의 두께를 균일하게 성형하고 디핑과정을 통하여 1차 성형된 고무장갑의 표면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어 고무장갑의 두께조절이 용이하여 고무장갑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무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돌기의 크기를 손의 위치별로 달리 구성하여 착용시 돌기에 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돌기의 방해 없이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식기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돌기에 의한 거부감 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어 돌기가 형성된 고무장갑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위치를 무작위로 형성할 수 있어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이 쉽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이 동일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고무장갑을 벗는 과정에서 고무장갑이 뒤집히더라도 고무장갑의 내면에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뒤집힌 상태 그대로 장갑을 착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어 고무장갑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중 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에 형성된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에 형성된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중 금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에 형성된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에 형성된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 단계를 각각 살펴 본 다음 각 공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서 어떻게 본 발명의 공정을 통하여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불규칙적으로 성형될 수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체 공정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컨베이어(1)에 의하여 연속 회전하는 내측금형(10)과 상기 내측금형(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외측금형(20) 사이공간에 고무액을 주입하는 고무액 주입단계(S1)와, 상기 주입된 고무액을 외측금형(20)에 내장된 히터코일(21)을 이용하여 고무액을 고형화시켜 고무장갑 형태로 성형하는 1차고무고형화단계(S2)와, 외측금형(20)을 탈형 및 분리하는 외측금형 분리단계(S3)와, 브러시(30)를 이용하여 노출된 고무장갑의 상부를 말아 마감하는 상부 마감단계(S4)와, 고무장갑을 건조로에서 2차로 경화사키는 2차고형화단계(S5)와, 고무장갑을 세척수에 침지시켜 표면을 세척 및 안정화하고 고무장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6) 및 건조된 고무장갑을 내측금형(10)으로부터 탈형 및 분리하여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완성하는 완성단계(S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측금형에서 고무장갑 제품이 배출된 후에는 내측금형의 외면을 세척하고 컨베이어를 이동시켜 외측금형을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고무액의 주입이 준비된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고무액 주입단계(S1)부터 고무장갑 완성단계(S7)가 내측금형의 세척과 외측금형의 결합과정을 통하여 연속반복적으로 고무장갑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 공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므로 이하에서는 각각의 공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 금형에 고무액 주입 >
먼저, 고무장갑을 성형하는 금형은 컨베이어(1)에 의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고무장갑의 형태를 갖는 내측금형(10)과, 상기 내측금형(10)의 외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내측금형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한 쌍의 외측금형(2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의 표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홈(11, 21)이 형성되며 상기 홈(11, 21)은 고무장갑(100)의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제1홈(11a, 21a)과, 이외 손가락 마디 부분과 손의 측면 및 손목부분에 형성되는 제2홈(11b, 21b)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홈(11, 21)의 크기는 제1홈(11a, 21a)의 크기가 1일 때 손가락 마디부분과 손목부분이 성형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홈(11b, 21b)의 크기는 1/2로 제1홈(11a, 21a)의 크기대비 작게 형성하여 차 후 성형된 고무장갑을 사용 시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돌기의 방해 없이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식기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돌기에 의한 거부감 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홈(11, 21)은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에 손가락의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지름이 큰 제1홈(11a, 21a)과 그 외 부분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홈(11a, 21b)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무장갑 착용자의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금형(10)의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성형되는 위치에는 작은 지름의 제2홈(11b)을 형성하고, 외측금형의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성형되는 위치에는 큰 지름의 제1홈(21a)을 형성하거나 또는, 외측금형(20)에 돌기(21) 형성을 위한 홈은 제1홈(21a)과 제2홈(21b)으로 각기 다른 홈을 갖는 것으로 형성하고, 내측금형(10)에는 작은지름의 제2돌기(11b)만을 형성하거나, 이와 반대형태로 형성하는 등 상기 돌기(110, 120)의 성형을 위한 홈(11, 21)의 형태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의 사이공간에 고무장갑의 성형을 위한 고무액을 주입한다.
또한, 상기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은 고무액의 주입 중 자연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금형의 연결부분에 통상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컨베이어의 동작에 의하여 이동된다.
< 1차 고무고형화 >
또한, 상기 금형(10, 20) 내부에 주입된 고무액은 외측금형(20)의 내부에 형성된 히터코일(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열원에 의하여 내부에 주입된 고무액의 경화를 촉진시켜 신속한 고무고형화 및 가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히터코일은 내측금형(10)의 내부에도 형성할 수 있어 열원을 고무액의 내측과 외측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고무고형화를 유도할 수 있다.
< 외측금형 탈형 >
상기와 같이 금형(10, 20)의 내부에서 1차적으로 고형화된 고무장갑 성형물은 내측금형(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금형(20)이 탈형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금형(20)을 탈형하고 컨베이어(1)에 연결된 내측금형을 이용하여 차 후 고무장갑 성형공정이 계속되어 이동 중 고무장갑 성형물의 자연건조를 유도할 수 있으며 표면코팅과 같은 보조적인 공정을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고무장갑 성형물의 노출된 표면에는 외측금형(20)에 형성된 홈(21)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돌기(110, 120)가 표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110, 120)는 외측금형(20)의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형성된 제1홈(21a)에 의하여 제1돌기(110)가 성형되고, 손가락 마디부분과 손측면 및 손목 부분에 형성된 제2홈(21b)에 의하여 제2돌기(120)이 형성되며, 제1돌기(110)의 크기가 1일 때 제2돌기(120)의 크기는 제1돌기(110) 크기의 1/2의 크기로 형성된다.
< 고무장갑 상부마감 >
상기와 같이 고무장갑 성형물이 내측금형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무장갑 성형물의 상부측에 위치한 브러시(30)에 의하여 고무장갑 성형물의 상단부가 말려 두껍게 형성됨과 동시에 고무장갑 성형물의 높이가 일정하게 조절된다.
< 2차 고무고형화 >
상기와 같이 고무장갑 성형물의 상부가 브러시(30)에 의하여 정리된 상태에서 건조로(40)에 투입하여 고무장갑 성형물을 2차로 고무고형화시켜 고무성질을 안정화시키고 열풍을 통하여 표면 이물질을 제거한다.
< 세척 및 성형안정화 >
상기와 같이 내측금형에 형성된 상태에서 안정화된 고무장갑 성형물은 세척수(50)에 침지되며 표면이 세척됨과 동시에 성형된 상태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켜 이 후 고무장갑 성형물의 배출이 자동 또는 수동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탈형 및 제품배출 >
고무장갑 성형물의 성형이 완료되고 세척수(50)에 의하여 세척 및 표면온도가 저하된 상태에서 내측금형(10)으로부터 고무장갑 성형물을 탈형하여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고무장갑 성형물의 탈형은 내측금형과 고무장갑 성형물 사이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사이공간을 이격시켜 고압의 에어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탈형되도록 하는 방법이나 또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고무장갑 성형물을 뒤집어 벗기는 방법이 제조설비 현장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작업으로 고무장갑 성형물을 뒤집어 벗기더라도 고무장갑 성형물의 내표면과 외표면이 동일한 형태를 가짐으로서 다시 뒤집을 필요없이 탈형공정을 마무리 할 수 있어 수작업에 의한 탈형공정이라도 작업성이 우수하여 생산량의 저하가 없다.
< 내측금형 세척 >
상기와 같이 내측금형으로부터 고무장갑 성형물이 탈형된 후 내측금형의 표면을 세척하여 차 후 계속되는 고무장갑 성형물의 성형을 준비한다.
< 외측금형 결합 >
또한, 세척된 내측금형이 이동하여 외측금형이 준비된 위치에 도착하면 다시 내측금형의 외부에 외측금형을 조립하고 고무액을 주입하여 앞서 설명한 고무액 주입단계가 시작됨으로 본원발명의 고무장갑 성형방법은 연속 회전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무장갑(100)은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의 형태에 의하여 내면과 외면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돌기(110, 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110, 120)의 크기는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형성된 제1돌기(110)의 크기가 1일 때 손가락 마디부분과 손목부분의 제2돌기(120)의 크기는 1/2의 크기로 작게 형성되어 고무장갑을 사용 시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돌기의 방해 없이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식기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돌기에 의한 거부감 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돌기(110, 120)는 내측금형과 외측금형에 형성되는 제1홈(11a, 21a)과 제2홈(11b, 21b)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장갑(100)의 내면과 외면 손가락의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지름이 큰 제1돌기(110)를 형성하고 그 외 부분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돌기(120)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무장갑 착용자의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장갑(100)의 내면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작은 지름의 제2돌기(120)를 형성하고, 외면의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에 성형되는 위치에는 큰 지름의 제1돌기(110)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형태로 형성하는 등 상기 돌기(110, 120)는 고무장갑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감과 효율적인 물빠짐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은 고무장갑을 제조가 사출금형 방식을 통하여 고무장갑의 외형을 성형함으로써 고무장갑의 두께를 균일하게 성형하고 디핑과정을 통하여 1차 성형된 고무장갑의 표면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어 고무장갑의 두께조절이 용이하여 고무장갑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무장갑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돌기의 크기를 손의 위치별로 달리 구성하여 착용시 돌기에 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 돌기의 방해 없이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식기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돌기에 의한 거부감 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어 돌기가 형성된 고무장갑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위치를 무작위로 형성할 수 있어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이 쉽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무장갑의 내면과 외면이 동일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고무장갑을 벗는 과정에서 고무장갑이 뒤집히더라도 고무장갑의 내면에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뒤집힌 상태 그대로 장갑을 착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어 고무장갑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10 : 내측금형 11 : 홈
11a : 제1홈 11b : 제2홈
20 : 외측금형 21 : 홈
21a : 제1홈 21b : 제2홈
100 : 고무장갑 110 : 제1돌기
120 : 제2돌기 30 : 브러시
40 : 건조로 50 : 세척수

Claims (4)

  1. 컨베이어(1)에 의하여 연속 회전하며 표면에 고무장갑에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홈(11)이 형성된 내측금형(10)과 상기 내측금형(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표면에 고무장갑에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홈(21)이 형성된 한 쌍의 외측금형(20) 사이공간에 고무액을 주입하는 고무액 주입단계(S1);
    상기 주입된 고무액을 외측금형(20)에 내장된 히터코일(미도시)을 가동시켜 신속하게 고무액을 고형화시켜 고무장갑 형태로 성형하는 1차고무고형화단계(S2);
    외측금형(20)을 탈형 및 분리하는 외측금형 분리단계(S3);
    브러시(30)를 이용하여 노출된 고무장갑의 상부를 말아 두껍게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마감하는 상부 마감단계(S4);
    고무장갑을 건조로(40)에서 2차로 경화시키는 2차고형화단계(S5);
    고무장갑을 세척수(50)에 침지시켜 표면을 세척 및 안정화하고 고무장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6);
    건조된 고무장갑의 상부에서 내측금형(10)과 고무장갑 사이로 고압에어를 분사하여 탈형 및 분리하여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완성하는 완성단계(S7);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금형(10)과 외측금형(20)에 형성되어 고무장갑(100)의 표면에 돌기(110, 120)를 형성하는 홈(11, 21)의 크기는 손가락 끝부분과 손바닥 중앙부분이 성형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홈(11a, 21a)의 크기가 1일 때 손가락 마디부분과 손목부분이 성형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홈(11b, 21b)의 크기는 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4. 삭제
KR1020190055358A 2019-05-12 2019-05-12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KR10219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58A KR102190288B1 (ko) 2019-05-12 2019-05-12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PCT/KR2020/006195 WO2020231135A2 (ko) 2019-05-12 2020-05-11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58A KR102190288B1 (ko) 2019-05-12 2019-05-12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785A KR20200130785A (ko) 2020-11-20
KR102190288B1 true KR102190288B1 (ko) 2020-12-11

Family

ID=7328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358A KR102190288B1 (ko) 2019-05-12 2019-05-12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0288B1 (ko)
WO (1) WO20202311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4503A1 (fr) * 2022-04-15 2023-10-20 Philippe Paul André BORNAIS Florian Gant moul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62Y1 (ko) * 2004-09-01 2004-11-16 반채혁 고무장갑
KR200421477Y1 (ko) 2006-04-13 2006-07-13 이상훈 내.외부가 엠보싱된 고무장갑
KR101515515B1 (ko) * 2014-07-15 2015-04-28 (주)메타프로 내면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442U (ko) * 1997-01-15 1998-10-15 이한종 내부에 돌기를 성형 공기순환 습진예방과 쉽게 끼고벗길수 있는 고무장갑
KR101424177B1 (ko) 2013-07-19 2014-08-01 유상일 항균 위생장갑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장갑
KR101639052B1 (ko) 2015-10-01 2016-07-13 김지영 고무장갑 내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장갑
KR101865592B1 (ko) 2016-03-10 2018-06-08 곽혜민 철수세미 고무장갑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70029447A (ko) * 2017-02-24 2017-03-15 송창석 뒤집어 사용가능한 양면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KR101808481B1 (ko) 2017-03-17 2017-12-14 임세훈 기능성 고무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396B1 (ko) 2017-04-05 2018-10-23 주식회사 우성산업 엠보싱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KR101961151B1 (ko) 2017-05-29 2019-03-25 유미선 에어 그루브를 포함하는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무장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62Y1 (ko) * 2004-09-01 2004-11-16 반채혁 고무장갑
KR200421477Y1 (ko) 2006-04-13 2006-07-13 이상훈 내.외부가 엠보싱된 고무장갑
KR101515515B1 (ko) * 2014-07-15 2015-04-28 (주)메타프로 내면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1135A3 (ko) 2021-01-14
WO2020231135A2 (ko) 2020-11-19
KR20200130785A (ko)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382B2 (en) Utility glove
WO2016190926A1 (en) A glove for grooming an animal
EP1638423B1 (en)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urface coating for gloves
EP0592175B1 (en) Process for making a medical glove
KR102190288B1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JP2011080185A (ja) 多用途手袋
CN108927920A (zh) 一种节能金属手模及其制作方法
KR20170029447A (ko) 뒤집어 사용가능한 양면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무장갑
CA2929847C (en) Utility glove
JPH0621366B2 (ja) 作業用手袋の製造方法
CN106273228B (zh) 紧固带制造方法及表带
KR101697160B1 (ko) 물흐름 방지부가 형성되는 고무장갑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장갑 제조용 몰딩
US20060062815A1 (en) Therapeutic glove
TWM618515U (zh) 手皮
KR102561013B1 (ko) 사출식 코팅장갑 제조장치 및 방법
US7579028B1 (en) Aloe vera glov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3080932A1 (ja) 作業用手袋
KR101518285B1 (ko)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갖는 고무장갑 제조방법
KR101144365B1 (ko) 쉽게 벗을 수 있는 가정용 고무장갑
KR100338835B1 (ko) 신체 보조기구의 제조 방법
TWI769826B (zh) 手皮及其製造方法
TWI621404B (zh) 肌內效關節護具與肌內效關節護具之製法
JPH08325814A (ja) 樹脂手袋とその製造方法
JP2007070743A (ja) 人工皮膚の製造方法及び人工皮膚型の製造方法
KR19980082640A (ko) 다른 색상의 무늬를 갖는 고무장갑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