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06B1 -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06B1
KR101243406B1 KR1020107015209A KR20107015209A KR101243406B1 KR 101243406 B1 KR101243406 B1 KR 101243406B1 KR 1020107015209 A KR1020107015209 A KR 1020107015209A KR 20107015209 A KR20107015209 A KR 20107015209A KR 101243406 B1 KR101243406 B1 KR 10124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group
composition
cancer chemotherapy
during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273A (ko
Inventor
스스무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뉴트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트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뉴트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61K31/5939,10-Secocholestane derivatives, e.g. cholecalciferol, i.e. vitamin D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Description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COMPOSITION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OR SIDE EFFECTS OCCURRING DURING CANCER CHEMOTHERAPY OR IMPROVING NUTRITIONAL STATUS DURING CANCER CHEMOTHERAPY}
본 발명은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 화학 요법 시행시에는, 기초 질환에 추가하여 약제의 유해 작용의 영향으로부터, 골수, 신경 조직, 소화관 점막 세포 등에 장해를 초래하여, 골수 억제, 신장 장해, 오심·구토 (식욕 부진), 탈모, 구내염 등의 부작용이 일어난다 (비특허문헌 1).
암 화학 요법 시행시에는, 화학 요법에 의한 생체 손상에서 기인한 활성 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그 활성 산소를 포착하는 항산화 물질의 소모가 항진된다.
또한, 손상 조직 수복 (修復) 을 위한 DNA 합성이나 단백 합성의 항진에 의해 아연의 요구량이 상승하는 한편, 염증에 의해 아연의 소변 중 배설량은 증가한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항산화 비타민이나 아연 등의 미량 영양소의 보급이 중요해진다.
그러나, 암 화학 요법의 주된 부작용이 식욕 부진이나 구내염, 구토이기 때문에 충분한 섭취량을 확보할 수 없어, 식사만으로는 미량 영양소가 마음대로 보급되지 않는다. 또한, 아연 등의 미량 영양소의 결핍은 미각·후각 장해, 창상 치유 지연을 증오하여, 악순환에 빠질 위험성을 갖는다. Quality of life (QOL) 의 관점에서도 그들 부작용의 예방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토 아키히코 Japan J. Cancer Chemother 29(4) 2002
본 발명은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에게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시켜 그 유용성을 확인한 결과,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에 유효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2) 항산화제가 항산화 비타민인 (1) 에 기재된 조성물.
(3) 항산화 비타민이 비타민 C, 비타민 E 및 β-카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2) 에 기재된 조성물.
(4) 추가로, 비타민 D3 및/또는 철을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5)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틴,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A, 아연, 셀렌, 코엔자임 Q10, 비타민 D3 및 철을 함유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1 투여 단위당, 비타민 C 500 ± 100 ㎎, 비타민 E 20 ± 4 ㎎, β-카로틴 6.6 ± 1.32 ㎎, 비타민 B1 3 ± 0.6 ㎎, 비타민 B2 3 ± 0.6 ㎎, 비타민 B6 5 ± 1 ㎎, 니아신 15 ± 3 ㎎, 판토텐산 10 ± 2 ㎎, 엽산 800 ± 160 ㎍, 비타민 B12 10 ± 2 ㎍, 비타민 A (레티놀 당량) 550 ± 110 ㎍, 아연 10 ± 2 ㎎, 셀렌 50 ± 10 ㎍, 코엔자임 Q10 15 ± 3 ㎎, 비타민 D3 3.7 ± 0.74 ㎍ 및 철 5 ± 1 ㎎ 을 함유하고, 에너지가 80 ± 16 ㎉ 인 (5) 에 기재된 조성물.
(7) 추가로, 비오틴, 갈락토올리고당,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인을 함유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8) 1 투여 단위당, 비오틴 50 ± 10 ㎍, 갈락토올리고당 2 ± 0.4 g, 칼륨 90 ± 18 ㎎, 칼슘 70 ± 14 ㎎, 마그네슘 3 ± 0.6 ㎎ 및 인 30 ± 6 ㎎ 을 함유하는 (7) 에 기재된 조성물.
(9) 복용 가능한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0) 상기 액체가 과즙인 (9) 에 기재된 조성물.
(11) 1 투여 단위당의 용량이 125 ± 25 ㎖ 인 (9) 또는 (10) 에 기재된 조성물.
(12)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에 유효한 양으로 하기 (a) ∼ (f) 의 성분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 방법.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13)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하기 (a) ∼ (f) 의 성분의 사용.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14)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08­001801호의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기재되는 내용을 포함한다.
도 1a 는 총 단백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 **,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 p < 0.001). 비투여군에서는 영양 지표인 총 단백은 2 회째 이후, 1 회째에 대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1b 는 총 단백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의 총 단백 농도 (g/㎗),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실측값에서는 양 군 사이에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도 2a 는 알부민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 p < 0.001). 비투여군에서는 2 회째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2b 는 알부민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의 알부민 농도 (g/㎗),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실측값에서는 모두 정상값 내에서의 변동으로서, 양 군 사이에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도 3a 는 프리알부민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투여군에서는 증가 경향, 비투여군에서는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도 3b 는 프리알부민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의 프리알부민 농도 (㎎/㎗), 가로축은 측정회를 나타낸다. 실측값에서는 유의차는 없었으나, 투여군에서 증가 경향, 비투여군에서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도 4a 는 라디칼 생성능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라디칼 생성능은 비투여군에서 증가 경향을 나타냈으나,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4b 는 라디칼 생성능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 라디칼 생성능 (Unit), 가로축은 측정회를 나타낸다. 비투여군은 증가 경향, 투여군에서 감소 경향이 보였다.
도 5a 는 과산화지질 (차이)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으로부터의 차이를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nmol/㎖,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투여군에서 2 회째, 3 회째에서 감소 경향이 보였다.
도 5b 는 과산화지질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Unit, 가로축은 측정회를 나타낸다. 비투여군에서는 거의 변화는 없으며, 투여군에서는 2 회째, 3 회째에서 감소 경향이 보였으나, 5 회째에서는 1 회째와 거의 같은 값이었다.
도 6a 는 비타민 A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 p < 0.01).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6b 는 비타민 A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 비타민 A 농도 (IU/㎗),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비투여군에서는 감소 경향, 투여군에서는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도 7a 는 비타민 C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1). 비투여군에서는 거의 변화는 없었으나,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7b 는 비타민 C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 비타민 C 농도 (㎍/㎖),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투여군에서 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2 회째, 4 회째에서는 비투여군에 대해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는 2 군 사이에서 유의차 (p < 0.05) 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8a 는 비타민 E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5).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8b 는 비타민 E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 비타민 E 농도 (㎎/㎗),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비투여군은 1 회째에 비해 감소 경향을 나타냈으나, 투여군에서는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도 9a 는 Zn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이고, 각각 1 회째의 측정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변화율을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 는 각 군에 있어서, 1 회째의 값에 대해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 p < 0.01). 비투여군은 감소하였으나,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9b 는 Zn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혈중 아연 농도 (㎍/㎗),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비투여군은, 서서히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투여군에서는 5 회째에서 감소하였으나, 4 회째까지는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도 10a 는 림프구 수 (변화율)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각 1 회째의 측정값과의 차이를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 는 1 회째와의 비교에서 유의차 (p < 0.001) 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투여군, 비투여군 모두 2 회째에서 상승하였고, 그 후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도 10b 는 림프구 수 (실측값)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마름모 ◆ 표시가 투여군, 사각 ■ 표시가 비투여군인, 각 군에서 평균한 값을 그래프화하였다. 세로축은 총 림프구 수 (x 100 mm3), 가로축은 각 측정회를 나타낸다. 2 회째에서 비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증가 (* p < 0.05) 를 나타냈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투여군은 약간의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도 11 은 식욕 부진의 결과를 나타낸다. 흑색 칼럼이 투여군, 사선 칼럼이 비투여군이다. 세로축은 식욕 부진의 그레이드와 횟수의 곱의 평균, 가로축은 측정 동안의 기간을 나타낸다. 1 ∼ 2 회째, 3 ∼ 4 회째에서는 투여군에서의 식욕 부진이 많았고, 2 ∼ 3 회째에서는 비투여군에서의 식욕 부진이 많았다. *, **, *** 는 2 군 사이에서의 유의차 (* p < 0.05, ** P < 0.01, *** P < 0.001) 를 나타낸다.
도 12 는 구기·구토의 결과를 나타낸다. 흑색 칼럼이 투여군, 사선 칼럼이 비투여군이다. 세로축은 구기·구토의 그레이드와 횟수의 곱의 평균, 가로축은 측정 동안의 기간을 나타낸다. 1 ∼ 2 회째에서는 투여군, 2 ∼ 3 회째에서는 비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구기·구토가 많았다. **, *** 는 2 군 사이에서의 유의차 (** P < 0.01, *** P < 0.001) 를 나타낸다.
도 13 은 피로감의 결과를 나타낸다. 흑색 칼럼이 투여군, 사선 칼럼이 비투여군이다. 세로축은 피로감의 그레이드와 횟수의 곱의 평균, 가로축은 측정 동안의 기간을 나타낸다. 1 ∼ 2 회째에서는 투여군에서 피로감이 보였으나, 3 ∼ 4 회째에서는 비투여군에서도 피로감이 보였다. *** 는 2 군 사이에서의 유의차 (*** P < 0.001) 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이와 같이 비타민류 및 아연, 셀렌 등의 미량 원소, 추가로 코엔자임 Q10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해, 생체 내의 기능, 예를 들어 대사 촉진, 항염증 작용 등을 유도하고, 또한 항산화 작용 등을 보강함으로써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을 경감시켜,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크게 나누어 활성 산소 제거에 관여하는 성분군과, 대사 보조 인자와, 세포 성장 촉진 인자가 함유된다.
항산화제, 아연, 셀렌 및 코엔자임 Q10 은, 활성 산소 제거에 관여하는 성분군이다. 암 화학 요법 시행시에는, 화학 요법에 의한 생체 손상에서 기인한 활성 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그 활성 산소를 포착하는 항산화 물질의 소모가 항진된다. 활성 산소 제거에 관여하는 상기 성분은, 항산화 물질의 소모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완수한다.
항산화제는, 화학 요법에 의한 생체 손상에서 기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강력한 환원 작용을 갖는다. 이와 같은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틴 등의 항산화 비타민을 들 수 있다. 비타민 E 나 비타민 C 등의 항산화 비타민은 환원형과 산화형의 형태를 갖고, 활성 산소가 갖는 프리래디컬을 받아들임으로써, 스스로가 산화되어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이들 항산화 비타민은 작용하는 스테이지가 상이하기 때문에, 어느 것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군의 섭취량은 식사 내용에 따라 좌우되고, 특히 식사 제한이 필요한 환자에 있어서는 부족한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수의 항산화 비타민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산화 비타민의 하나인 비타민 C 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cAMP 항진, 지질 가용화 작용에 직접 관여하고, 또한 콜라겐 형성, 생체 이물질 해독, 인터페론 생성 유도, 항히스타민 작용, 면역 기능 증강, 항바이러스, 항세균 등의 다양한 작용을 갖기 때문에, 항산화 비타민으로서 적어도 비타민 C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산화제로서, 상기 항산화 비타민제를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나타냈으나, 항산화제는 항산화 비타민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항산화 비타민제 대신에 또는 보충하여, 폴리페놀, 카테킨 등의 식품 등에 함유되는 항산화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셀렌은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티온퍼옥시다아제의 구성 물질이고, 아연은 항산화 효소인 수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의 구성 물질이다.
코엔자임 Q10 은 강한 항산화 작용을 갖기 때문에, 산화 스트레스에서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ATP 생성에 관여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보충함으로써 영양소의 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항산화제로서 항산화 비타민을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한 첨가량으로는, 1 투여 단위당의 함유량으로서, 비타민 C 는 100 ㎎ ∼ 2000 ㎎ 이 적당하고, 300 ㎎ ∼ 1000 ㎎ 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E 는 3 ㎎ ∼ 600 ㎎ 이 적당하고, 5 ㎎ ∼ 300 ㎎ 이 바람직하고, β-카로틴은 2.0 ㎎ ∼ 10.0 ㎎ 이 적당하고, 5.0 ㎎ ∼ 7.0 ㎎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첨가량은, 1 투여 단위당의 함유량으로서, 예를 들어 아연은 1.2 ∼ 30 ㎎ 이 적당하고, 9 ∼ 12 ㎎ 이 바람직하고, 셀렌은 10 ∼ 250 ㎍ 이 적당하고, 30 ∼ 60 ㎍ 이 바람직하다.
코엔자임 Q10 의 함유량은, 1 투여 단위당 1.0 ∼ 1,000 ㎎ 이 적당하고, 2 ∼ 100 ㎎ 이 바람직하다.
본 조성물에 함유되는 대사 보조 인자로서, 비타민 B1, B2, B6, B12, 니아신, 판토텐산 혹은 엽산의 어느 것 또는 전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들 대사를 보조하는 비타민군은, 당질, 지질, 아미노산의 대사에 관한 조효소로서의 역할을 갖고, 생명 활동에 중요한 성분이다. 예를 들어 비타민 B1 은 TPP (티아민피로인산) 로서, 비타민 B2 는 FMN (플라빈모노뉴클레오티드), FAD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로서 해당 (解糖) 계, TCA 회로, β 산화의 조절에 관여한다. 비타민 B6 은 피리독살인산 등으로서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한다. 니아신은, NAD, NADP 로서 해당계, 지질 대사에 관여한다. 또한 판토텐산은 CoA 로서 TCA 회로, 아미노산 대사, 지질 대사에 관여한다. 엽산은 FH4 로서 아미노산 대사, 핵산 대사에 관계한다. 비타민 B12 는 C0B12 로서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한다.
따라서, 이들 비타민군은 각각 상이한 조효소를 구성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상기 대사 보조 인자로서, 상기 서술한 비타민군 전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비타민군의 섭취량은, 에너지, 단백질 섭취의 양에 따라 의존적으로 좌우되고, 암 화학 요법시의 환자 등의 음식 섭취량이 적은 환자나 흡수율, 이용률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부족한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환자에 있어서 창상 치유 등에 필요한 세포 내의 에너지 공급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든 비타민군을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군의 조성물에 대한 첨가량은, 1 투여 단위당의 함유량으로서, 비타민 B1 은 0.5 ∼ 10 ㎎ 이 적당하고, 1.0 ∼ 5.0 ㎎ 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B2 는 0.5 ∼ 20 ㎎ 이 적당하고, 1 ∼ 10 ㎎ 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B6 은 1.6 ㎎ ∼ 60.0 ㎎ 이 적당하고, 3.0 ∼ 8.0 ㎎ 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B12 는 1.1 ∼ 50.0 ㎍ 이 적당하고, 5.0 ∼ 15.0 ㎍ 이 바람직하고, 니아신은 1 ∼ 100 ㎎ 이 적당하고, 5 ∼ 50 ㎎ 이 바람직하고, 엽산은 200 ㎍ ∼ 1.1 ㎎ 이 적당하고, 600 ∼ 1,000 ㎍ 이 바람직하고, 판토텐산은 1 ∼ 100 ㎎ 이 적당하고, 5 ∼ 50 ㎎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조성물에 함유되는 세포 성장 촉진 인자는, 세포의 분화,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인자이고, 이 세포 성장 촉진 인자로서, 예를 들어 엽산, 비타민 B12 혹은 비타민 A 등의 어느 것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엽산, 비타민 B12 는, 생체 내의 대사 보조 인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화·증식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비타민 A 는, 항산화 비타민으로서의 기능 외에 세포 분화·증식을 촉진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세포 증식·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T 세포 등의 면역 세포의 증식도 촉진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면역력을 향상시켜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각 성분의 조성물에 대한 첨가량은, 1 투여 단위당의 함유량으로서, 엽산, 비타민 B1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비타민 A (레티놀 당량) 는 10 ㎍ ∼ 3,000 ㎍ 이 적당하고, 100 ㎍ ∼ 550 ㎍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다른 첨가 물질을 보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암 화학 요법 시행시 등의 음식 섭취가 적은 환자에게서는 철 결핍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성물에 철을 첨가할 수도 있다. 철은 헤모글로빈의 구성 성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부족하면 빈혈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철을 배합함으로써, 빈혈 증상의 예방, 방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칼슘이나, 칼슘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한 비타민 D (예를 들어 비타민 D3)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정장 물질, 예를 들어 라피노스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1 투여 단위당, 철의 함유량은 0.5 ∼ 50 ㎎ 이 적당하고, 1.0 ∼ 30 ㎎ 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D3 의 함유량은 1.0 ㎍ ∼ 10.0 ㎍ 이 적당하고, 2.0 ㎍ ∼ 8.0 ㎍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는,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틴,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A, 아연, 셀렌, 코엔자임 Q10, 비타민 D3 및 철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는, 1 투여 단위당, 비타민 C 500 ± 100 ㎎, 비타민 E 20 ± 4 ㎎, β-카로틴 6.6 ± 1.32 ㎎, 비타민 B1 3 ± 0.6 ㎎, 비타민 B2 3 ± 0.6 ㎎, 비타민 B6 5 ± 1 ㎎, 니아신 15 ± 3 ㎎, 판토텐산 10 ± 2 ㎎, 엽산 800 ± 160 ㎍, 비타민 B12 10 ± 2 ㎍, 비타민 A (레티놀 당량) 550 ± 110 ㎍, 아연 10 ± 2 ㎎, 셀렌 50 ± 10 ㎍, 코엔자임 Q10 15 ± 3 ㎎, 비타민 D3 3.7 ± 0.74 ㎍ 및 철 5 ± 1 ㎎ 을 함유하고, 에너지가 80 ± 16 ㎉ 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α-리포산 및/또는 크롬을 함유해도 된다.
α-리포산은, 당 대사의 촉진에 관여하고 있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글루코오스 트랜스포터 (GLUT-4) 의 세포막에 대한 동원을 자극하여, 근이나 근세포에 있어서의 인슐린에 의한 당의 흡수를 대폭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α-리포산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 투여 단위당 20 ∼ 1,000 ㎎ 이 적당하고, 25 ∼ 100 ㎎ 이 바람직하다.
크롬은, 인슐린 리셉터 결합능을 높이고, 인슐린 리셉터 수, 인슐린 리셉터 키나아제 활성을 높임으로써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크롬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 투여 단위당 5 ∼ 50 ㎍ 이 적당하고, 10 ∼ 40 ㎍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오틴, 갈락토올리고당,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등에 대해서도 함유시켜도 된다. 이들을 함유시킴으로써, 환자식 등 제한을 실시하는 식사에서의 결핍 성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예를 들어 1 투여 단위당 비오틴의 함유량은 1 ∼ 200 ㎍ 이 적당하고, 10 ∼ 100 ㎍ 이 바람직하고, 갈락토올리고당의 함유량은 0.1 ∼ 20 g 이 적당하고, 1 ∼ 10 g 이 바람직하고, 칼륨의 함유량은 10 ∼ 1,000 ㎎ 이 적당하고, 15 ∼ 500 ㎎ 이 바람직하고, 칼슘의 함유량은 1 ∼ 2,300 ㎎ 이 적당하고, 10 ∼ 600 ㎎ 이 바람직하고, 마그네슘의 함유량은 0.1 ∼ 10 ㎎ 이 적당하고, 1 ∼ 5 ㎎ 이 바람직하고, 인의 함유량은 1 ∼ 3500 ㎎ 이 적당하고, 5 ∼ 1050 ㎎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는, 1 투여 단위당 비오틴 50 ± 10 ㎍, 갈락토올리고당 2 ± 0.4 g, 칼륨 90 ± 18 ㎎, 칼슘 70 ± 14 ㎎, 마그네슘 3 ± 0.6 ㎎ 및 인 30 ± 6 ㎎ 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에너지량은, 1 투여 단위당 5 ∼ 200 ㎉ 가 적당하고, 20 ∼ 150 ㎉ 가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 성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1 투여 단위당 단백질의 함유량은 0.4 ± 0.08 g 정도 또는 0.7 ± 0.14 g 정도, 탄수화물의 함유량은 11.1 ± 2.22 g 정도 또는 21.2 ± 4.24 g 정도, 나트륨의 함유량은 30 ± 6 ㎎ 정도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주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액제 등의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액제는, 경구 섭취가 곤란한 환자에 대해 경관 투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제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액제로서 조제하는 경우, 조성물을 분산 또는 용해시키는 액체는, 통상 복용되는 액체로서 각 성분의 생체에 대한 작용을 감퇴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물, 생리 식염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있어서의 미각 향상의 목적으로, 과즙을 사용해도 된다. 과즙으로는, 블루베리 과즙, 포도 과즙, 그레이프후르츠 과즙, 레몬 과즙, 귤 과즙, 당근즙, 사과 과즙, 파인애플 과즙을 들 수 있고, 비타민 C, 비타민 B 군의 신맛,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당근즙, 블루베리 과즙이나 포도 과즙이 바람직하다. 액제의 경우, 1 투여 단위당의 용량은 10 ∼ 250 ㎖ 가 적당하고, 50 ∼ 200 ㎖ 가 바람직하고, 125 ± 2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액제인 경우의 수분 함량은, 예를 들어 1 투여 단위당 116 ± 23.2 g 정도 또는 110 ± 22 g 정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표 (125 ± 25 ㎖ 중) 의 예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44376896-pct00001
상기와 같이 조제한 조성물에 의한,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 효과는, 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에게 그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과 후에 생화학적 검사 (예를 들어 적혈구 수, 백혈구 수, 백혈구 분획, 림프구 수, 혈소판 수, 총 단백, 알부민, 혈당값,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CRP, Hb, 프리알부민, 라디칼 생성능, 과산화지질, 항산화 비타민 (VA, VC, VE), Zn 등), 앙케이트에 의한 QOL 평가 (예를 들어 구내염의 유무, 식욕 부진의 유무, 구기·구토의 유무, 권태감의 유무, 설사의 유무, 부작용의 발현 빈도) 등을 실시하여, 투여 전후의 측정값의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혹은, 그 조성물을 투여한 군의 측정값과 플라세보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음료) 를 투여한 군 (대조군) 의 측정값을 비교해도 된다.
혈액 중의 기준값은 각각, 적혈구 수 440 만 ∼ 540 만 개/mm3 (남성), 380 만 ∼ 460 만 개/mm3 (여성), 백혈구 수 4000 ∼ 8000 개/㎕, 백혈구 분획 (호중구 간상핵 3 ∼ 6 %, 호중구 분엽핵 45 ∼ 55 %, 호산구 1 ∼ 5 %, 호염기구 0 ∼ 1 %, 림프구 25 ∼ 45 %, 단구 4 ∼ 7 %), 총 림프구 수 1500 ∼ 3000 /mm3, 혈소판 수 13 만 ∼ 40 만/㎕, 총 단백 6.5 ∼ 8.2 g/㎗, 알부민 3.5 ∼ 5.0 g/㎗, 공복시 혈당값 70 ∼ 110 ㎎/㎗, 총 콜레스테롤 120 ∼ 220 ㎎/㎗, 트리글리세리드 40 ∼ 150 ㎎/㎗, CRP 0 ∼ 0.2 ㎎/㎗, Hb 14 ∼ 18 g/㎗, 프리알부민 10 ∼ 40 ㎎/㎗, 라디칼 생성능 0.0 ∼ 1.3 nmol/㎖, 과산화지질, 항산화 비타민 (VA 60 ∼ 320 IU/㎗, VC 0.5 ∼ 1.4 ㎎/㎗, VE 0.6 ∼ 2.4 ㎎/㎗), Zn 70 ∼ 140 ㎍/㎗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환자의 생화학적 검사의 결과, 측정값이 이들 기준값의 범위 내에 있으면,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가 경감되었거나,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가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일에 1 투여 단위당의 투여량으로 암 화학 요법 시행 환자에게 투여하면 된다. 투여는 경구 또는 경관으로 실시하면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조제예 1] 조성물의 조제
조성물로서, 당근 추출액을 함유하는 과즙액에 각종 성분이 함유되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그 조성물 1 개 (125 ㎖) 에는, 비타민 A (레티놀 당량) 300 ㎍, β-카로틴 6.6 ㎎, 비타민 B1 3 ㎎, 비타민 B2 3 ㎎, 비타민 B6 5 ㎎, 비타민 B12 10 ㎍, 비타민 C 500 ㎎, 니아신 15 ㎎, 엽산 800 ㎍, 비타민 D3 3.7 ㎍, 비타민 E 20 ㎎, 비오틴 50 ㎍, 판토텐산 10 ㎎, 철 5 ㎎, 아연 10 ㎎, 구리 0.01 ㎎, 셀렌 50 ㎍, 칼륨 90 ㎎, 칼슘 70 ㎎, 마그네슘 3 ㎎, 인 30 ㎎, 나트륨 30 ㎎, 코엔자임 Q10 15 ㎎, 갈락토올리고당 2.0 g 이 함유된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유용성
목적 : 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는 혈액 종양 환자에 대해, 비타민, 미량 원소 보급 음료인 조성물 (조제예 1 에서 조제) 을 투여하고,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 부작용의 경감, 영양 상태의 개선이나 환자의 QOL 에 대한 영향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방법
대상 : 암 화학 요법에 동의하여 시행할 예정인 혈액 종양 환자
대상 제품 : 조제예 1 에서 조제한 조성물 (125 ㎖/개)
투여 방법 : 암 화학 요법이 예정되었고, 동의를 얻은 Fresh 한 혈액 종양 환자를 등록하고, 봉투법에 의해, 조제예 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의 섭취군 (투여군), 비섭취군 (비투여군) 으로 할당한다. 투여군에 대해서는 암 화학 요법 개시일 (제 1 쿠어 개시일) 부터 제 2 쿠어 종료일까지 통상적인 식사에 더하여 조제예 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1 개 (125 ㎖/일) 을 투여한다. 비투여군은 통상적인 식사만으로 한다.
혈액 검사에 대해서는, 암 화학 요법 개시일 (조제예 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의 투여 개시 전날) 을 1 일로 설정하고, 1 일째, 10 일째, 22 일째 (제 1 쿠어 종료일), 32 일째 (제 2 쿠어 10 일째), 43 일째 (제 2 쿠어 종료일) 의 5 포인트로 한다.
또한, 급식 이외에 섭취한 식사에 대해서는 「음식 일기」에 기재하여, 비타민·미량 원소 등의 서플리먼트의 섭취는 피하는 것으로 한다.
증례 수 : 투여군 6 증례, 비투여군 6 증례 (합계 12 증례)
투여 전후의 평가 항목 :
1) 혈액 검사
적혈구 수, 백혈구량, 백혈구 분획, 림프구 수, 혈소판 수, 총 단백, 알부민, 혈당값,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총 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AST, ALT, Al-p, BUN, 크레아티닌, Na, K, Cl, CRP, Hb
2) 특별 검사
프리알부민, 라디칼 생성능, 과산화지질, 항산화 비타민 (VA, VC, VE), Zn
3) 소변 일반 검사
단백 (정성 (定性)), 당 (정성), 우로빌리노겐 (정성)
4) 앙케이트에 의한 QOL 평가
구내염의 유무, 식욕 부진의 유무, 구기·구토의 유무, 권태감의 유무, 설사의 유무, 부작용의 발현 빈도
결과 : 결과를 도 1 ∼ 13 에 나타낸다.
영양 상태의 지표인 알부민에 대해서는, 화학 요법 개시 시점에 비해,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p < 0.01) 증가하였고, 비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p < 0.001) 감소하였다. 단, 실측값에서는 모두 정상값 내에서의 변동이었다. 프리알부민은, 비투여군에서는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p < 0.05) 증가하였다. 총 단백은 양 군에서 감소 경향이 보였고, 비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p < 0.001) 감소하였다. 또한, 활성 산소량의 지표인 라디칼 생성능은, 비투여군에서는 약간 상승 경향이 보인 한편,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p < 0.01)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은, 투여군에서 2 회째, 3 회째에서 감소하였으나, 4 회째 이후에는 증가하였고, 5 회째에서는 1 회째의 값과 거의 같은 값이었다. 항산화 작용이 있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아연에 대해서는, 비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고,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P < 0.01) 증가하였다. 면역능의 지표인 림프구 수는, 투여군은 약간의 증가는 보였으나 거의 변화는 없었고, 또한 비투여군에서는, 2 회째 측정시에 약 2000 ㎣ 의 증가는 보였으나, 3 회째 측정 이후에 감소하였다.
한편,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부작용에 대해서는, 부작용 증상이 특히 심해지는 2 ∼ 3 회째의 시기에 있어서, 식욕 부진, 구기·구토, 피로감 모두 투여군에서 비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P < 0.01) 감소하여, 부작용의 경감 효과가 보였다.
고찰 :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개선 및 항산화력 증가에 특히 유효하고, 영양 상태의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을 그대로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도입하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에 대한 미량 원소 보급 음식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Claims (14)

  1.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부작용, 또는 산화 스트레스 및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2. 제 1 항에 있어서,
    항산화제가 항산화 비타민인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항산화 비타민이 비타민 C, 비타민 E 및 β-카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비타민 D3, 철, 또는 비타민 D3 및 철을 함유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틴,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A, 아연, 셀렌, 코엔자임 Q10, 비타민 D3 및 철을 함유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 비타민 C 500 ± 100 ㎎, 비타민 E 20 ± 4 ㎎, β-카로틴 6.6 ± 1.32 ㎎, 비타민 B1 3 ± 0.6 ㎎, 비타민 B2 3 ± 0.6 ㎎, 비타민 B6 5 ± 1 ㎎, 니아신 15 ± 3 ㎎, 판토텐산 10 ± 2 ㎎, 엽산 800 ± 160 ㎍, 비타민 B12 10 ± 2 ㎍, 비타민 A (레티놀 당량) 550 ± 110 ㎍, 아연 10 ± 2 ㎎, 셀렌 50 ± 10 ㎍, 코엔자임 Q10 15 ± 3 ㎎, 비타민 D3 3.7 ± 0.74 ㎍ 및 철 5 ± 1 ㎎ 을 함유하고, 에너지가 80 ± 16 ㎉ 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비오틴, 갈락토올리고당,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인을 함유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 비오틴 50 ± 10 ㎍, 갈락토올리고당 2 ± 0.4 g, 칼륨 90 ± 18 ㎎, 칼슘 70 ± 14 ㎎, 마그네슘 3 ± 0.6 ㎎ 및 인 30 ± 6 ㎎ 을 함유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용 가능한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과즙인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의 용량이 125 ± 25 ㎖ 인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부작용, 또는 산화 스트레스 및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기 (a) ∼ (f) 의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
    (a) 항산화제
    (b) 비타민 B1, B2, B6, 니아신 및 판토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c) 엽산, 비타민 B12 및 비타민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d) 아연
    (e) 셀렌
    (f) 코엔자임 Q10
KR1020107015209A 2008-01-09 2009-01-06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101243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1801 2008-01-09
JPJP-P-2008-001801 2008-01-09
PCT/JP2009/050020 WO2009087988A1 (ja) 2008-01-09 2009-01-06 がん化学療法時に起こる酸化ストレス及び/又は副作用の軽減あるいはがん化学療法時の栄養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273A KR20100099273A (ko) 2010-09-10
KR101243406B1 true KR101243406B1 (ko) 2013-03-13

Family

ID=4085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209A KR101243406B1 (ko) 2008-01-09 2009-01-06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11141B2 (ko)
EP (1) EP2236146B1 (ko)
JP (1) JP5931324B2 (ko)
KR (1) KR101243406B1 (ko)
CN (1) CN101909639B (ko)
CA (1) CA2711611C (ko)
WO (1) WO2009087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0156A (ja) * 2012-02-22 2013-09-02 Terumo Corp 固形組成物
CN103099211A (zh) * 2012-12-21 2013-05-15 洪万雄 一种融合辅酶q10的广谱性一氧化氮保健品
US20160030463A1 (en) * 2013-03-13 2016-02-04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sulin resistance or abnormal levels of circulating lipids in a mammal
SE542106C2 (en) * 2016-08-26 2020-02-25 Atif M Dabdoub Dietary macro/micronutritional supplement for patients undergoing kidney dialysis
US11761949B2 (en) 2016-10-10 2023-09-19 Lankenau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ssessing and treating emetogenic drug-related nause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6480A2 (en) * 1980-12-24 1982-07-28 Hitachi, Ltd. Use of nickel base alloy having high resistanc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US6361800B1 (en) * 2000-04-13 2002-03-26 Cooper Concepts, Inc. Multi-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374593A (en) * 1992-04-10 1994-04-14 Clintec Nutrition Company Improved high protein liquid nutrition for patients with elevated wound healing requirements
US6077828A (en) 1996-04-25 2000-06-20 Abbott Laboratories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chexia and anorexia
US20020068102A1 (en) * 2000-12-01 2002-06-06 Su Chen Xing Reducing cellular damage in the human body
WO2002047493A2 (en) 2000-12-16 2002-06-20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Health promoting compositions
JP2002335913A (ja) 2001-05-21 2002-11-26 Asahi Kasei Corp ミネラル強化栄養補給用食品
US7670612B2 (en) * 2002-04-10 2010-03-02 Innercap Technologies, Inc. Multi-phase, multi-compartment capsular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DK1721612T3 (da) * 2003-10-24 2009-06-02 Nutricia Nv Immunmodulerende oligosaccharider
AU2003300167B2 (en) * 2003-12-31 2010-09-16 K-Pax Vitamins, Inc. Nutri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effectiveness of the immune system
US20060182729A1 (en) * 2005-02-17 2006-08-17 Prasad Kedar N Combat/training antioxidant micronutrient formulation and method of administration
BRPI0608610A2 (pt) * 2005-04-06 2010-01-19 Novartis Ag formulaÇço nutricional, regime dietÉtico, mÉtodos para melhorar nutricionalmente o controle da glicose e a aÇço da insulina, bem como usos
CN101171038B (zh) * 2005-05-04 2010-10-13 科蒂·普雷斯蒂奇·兰嘉斯汀集团有限公司 自由基清除剂在制备保护和治疗化疗引起的皮肤和毛发损伤的局部药用组合物中的应用
JPWO2007013556A1 (ja) 2005-07-28 2009-02-12 株式会社カネカ 癌予防用組成物
US20070116802A1 (en) * 2005-11-23 2007-05-24 Carl Germano High quality caloric composition
JP2008001801A (ja) 2006-06-22 2008-01-10 Canon Inc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6480A2 (en) * 1980-12-24 1982-07-28 Hitachi, Ltd. Use of nickel base alloy having high resistanc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US6361800B1 (en) * 2000-04-13 2002-03-26 Cooper Concepts, Inc. Multi-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09639A (zh) 2010-12-08
JPWO2009087988A1 (ja) 2011-05-26
KR20100099273A (ko) 2010-09-10
CA2711611C (en) 2014-07-08
WO2009087988A1 (ja) 2009-07-16
EP2236146A4 (en) 2013-05-29
EP2236146A1 (en) 2010-10-06
EP2236146B1 (en) 2014-07-16
CA2711611A1 (en) 2009-07-16
CN101909639B (zh) 2013-09-11
JP5931324B2 (ja) 2016-06-08
US9511141B2 (en) 2016-12-06
US20100291057A1 (en)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kram et al. Vitamins and Minerals: Types, sources and their functions
US6299896B1 (en) Multi-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Strube et al. Iron deficiency and marginal vitamin A deficiency affect growth, hematological indices and the regulation of iron metabolism genes in rats
US20080102137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tiolog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and/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chronic glucose metabolism destabilization
KR101243406B1 (ko) 암 화학 요법시에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및/또는 부작용의 경감 혹은 암 화학 요법시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101388395B1 (ko) 고령자의 영양 상태 개선, 발열 횟수의 저하 및/또는 면역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
US20210353578A1 (en) Dietary macro/micronutritional supplement for patients undergoing kidney dialysis
KR20080008155A (ko) 한국인에게 특별히 필요한 비타민, 무기질, 또는 발효시킨천연물을 함유하는 영양제 조성물
WO2018039297A1 (en) Dietary macro/micronutritional supplement for patients undergoing kidney dialysis
CN101601681A (zh) 用于降低血糖和血脂的药物组合物
Blanco-Rojo Invited commentary in response to: Vitamin D3 supplementation for 8 weeks leads to improved haematological status following the consumption of an iron-fortified breakfast cereal: a double-bli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 iron-deficient women
CN101474339B (zh) 用于降低血糖的药物组合物
WO2015190573A1 (ja) 鉄欠乏性貧血の予防および/または改善剤組成物、鉄欠乏性貧血に伴う不定愁訴の予防および/または改善剤組成物
Chatterjee et al. Cellular effects of fruit extracts and their active components applied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s
CN101584725A (zh) 用于降低血脂的药物组合物
CN101579442A (zh) 用于降低血糖和血脂的药物组合物
CN101574403A (zh) 用于降低血脂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