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936B1 -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936B1
KR101242936B1 KR1020100075061A KR20100075061A KR101242936B1 KR 101242936 B1 KR101242936 B1 KR 101242936B1 KR 1020100075061 A KR1020100075061 A KR 1020100075061A KR 20100075061 A KR20100075061 A KR 20100075061A KR 101242936 B1 KR101242936 B1 KR 101242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hole
generated
line camera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735A (ko
Inventor
류창우
신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7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9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93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스파크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이 개시된다. 발광분광분석기는 성분을 분석할 시료를 지지하며 두께방향으로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된 테이블과,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제1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1 라인 카메라와,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인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2 라인 카메라 및 제1 및 제2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료의 성분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향상된 성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Optical Emission Spectroscope Having Function Of Measuring Location Of Spark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Spark In Optical Emission Spectroscope}
본 발명은 발광분광분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스파크를 사용하는 발광분광분석기에 적용할 수 있는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분광분석법(optical emission spectroscopy)은 각각의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이 고유하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는 기술로, 스파크(또는 아크),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증발시키고, 이에 따라 시료에서 여기된 원자가 안정된 전자 궤도로 천이할 때 방출되는 빛 에너지를 분광 분석을 통하여 시료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발광분광분석에 사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테이블의 구조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종래의 발광분광분석기를 이용한 발광분광분석 방법을 설명하면, 종래의 발광분광분석 방법은 먼저 발광분석기의 테이블(10)에 전도성 시료(30)를 올려놓고, 테이블(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테이블 홀(11)의 아래에 위치한 전극(13)에 소정 크기의 고전압을 가하여 스파크(또는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때 방출되는 광이 도광부(15)를 통해 분광기(17)에 전해지면 분광기는 전달된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료(30)의 성분을 분석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발광분광분석 과정에서는 발광 분석시 단일 스파크가 시료 표면의 임의의 지점에 가해진 후 방출된 광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시료의 성분을 분석할 뿐, 상기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료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 방법은 정확한 시료의 위치에 따른 성분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 등록특허 제7391508호(발명의 명칭: Arc/spark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correlated with spark location)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고감도 마이크를 이용하여 스파크 위치로부터 마이크까지의 소리 도착 시간 또는 소리 도착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스파크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발광분광분석기에서 시료와 전극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수 밀리미터(mm) 이내이기 때문에 상기 미국 등록특허 제7391508호에 개시된 소리의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판별하는 방법은 위치 판별의 정확도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는, 성분을 분석할 시료를 지지하며 두께방향으로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된 테이블과,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제1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1 라인 카메라와,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인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2 라인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제1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X 좌표값으로 추출하고, 상기 제2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Y 좌표값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스파크를 촬영하기 전 상기 홀을 촬영하여 상기 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촬영하기 위한 두 개의 윈도우 터널이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윈도의 터널은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윈도우 터널에는 상기 제1 라인 카메라 및 상기 라인 제2 카메라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은, 발광분광분석기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검출부에서, 테이블에 형성된 홀의 경계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제1 라인 카메라에서,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제1 방향에서 촬영하며, 제2 라인 카메라에서,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인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단계;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에 형성된 홀의 경계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외부 광원을 상기 홀에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홀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홀의 경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X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Y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에 따르면, 제1 라인 카메라 및 제2 라인 카메라를 테이블 또는 테이블의 외부에 설치하여 스파크를 촬영한 후, 촬영된 X축 영상 및 Y축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스파크가 발생한 위치의 좌표값을 추출한다.
따라서,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시료의 성분 분석시 측정된 스파크 발생 위치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향상된 성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발광분광분석에 사용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테이블을 이용한 종래의 발광분광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위치 분석부의 위치 분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부분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 도중에 한정적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위치 분석부의 위치 분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분광분석기는 테이블(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테이블 홀(111)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두 개의 라인 카메라(120 및 130)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라인 카메라(120 및 130)는 스파크의 X축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스파크의 Y축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라인 카메라(13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는 각각의 촬영 방향이 테이블 홀(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크기가 작은 경우(예를 들면, 시료의 크기가 테이블의 상면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는 테이블(110)의 외부에서 스파크를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시료의 크기가 큰 경우(예를 들면, 시료의 크기가 테이블의 상면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테이블 홀(111)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촬영할 수 있도록 테이블(110)의 두께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테이블의 외주면에서 테이블 홀의 내주연까지 두 개의 윈도우 터널(113 및 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윈도우 터널(113 및 115)은 석영 또는 강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윈도우 터널(113 및 115)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각 윈도우 터널(113 및 115)의 종단에는 빛의 세기를 감쇄시킬 수 있는 광학 필터를 장착한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파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두 개의 라인 카메라(120 및 130)가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인 카메라 대신 일반 카메라나 또는 포토 다이오드 등과 같은 수광센서가 스파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는 각각 촬영된 스파크 영상을 위치 검출부(140)에게 제공하고, 위치 검출부(140)는 상기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상기 제2 라인 카메라(13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처리하여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검출부(1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라인 카메라(120)로부터 제공된 X축 촬영 영상에서 가장 휘도가 높은 픽셀의 위치를 검출하여 스파크가 발생한 위치의 X축 좌표값으로 판정하고, 제2 라인 카메라(130)로부터 제공된 Y축 촬영 영상에서 가장 휘도가 높은 픽셀의 위치를 검출하여 스파크가 발생한 위치의 Y축 좌표값으로 판정한다.
상기와 같은 스파크 발생 위치의 X 및 Y 좌표값 추출을 위해 위치 검출부(140)는 장치의 설정 과정에서 외부의 광원(미도시)을 이용하여 테이블 홀(111)의 경계에 해당하는 픽셀 위치를 미리 확인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홀의 경계는 테이블 홀(111)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원의 둘레에 해당되고, 테이블 홀의 경계 사이의 거리인 테이블 홀의 크기는 원의 지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분광분석기(100)는 테이블(110), 제1 라인 카메라(120), 제2 라인 카메라(130), 위치 검출부(140), 발광부(150) 및 분광부(160)를 포함한다.
테이블(110)은 성분 분석을 수행한 시료를 지지하고,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가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110)의 중앙부에는 특정 크기를 가지는 테이블 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시료의 크기가 테이블의 상면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테이블 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스파크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두께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테이블의 외주면에서 테이블 홀의 내주연까지 두 개의 윈도우 터널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윈도우 터널은 석영 또는 강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윈도우 터널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각 윈도우 터널의 종단에는 빛의 세기를 감쇄시킬 수 있는 광학 필터를 장착한 제1 라인 카메라 및 제2 라인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는 시료의 크기에 따라서 테이블(110)의 외부 또는 테이블(110)에 설치될 수 있고, 각 라인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위치 검출부(140)에 제공한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분광분석기(100)는 스파크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라인 카메라(120 및 1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인 카메라(120 및 130) 대신 일반 카메라나 좌표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광센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위치 검출부(140)는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라인 카메라로부터 각각 제공된 촬영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스파크의 발생 위치(X, Y좌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검출부(140)는 제1 라인 카메라(120)로부터 X축 촬영 영상을 제공받고, 미리 설정된 테이블 홀 크기의 범위내에 포함된 픽셀들의 휘도값 중에서 가장 휘도값이 높은 픽셀을 검출하여 검출된 픽셀의 좌표를 스파크가 발생한 위치의 X 좌표값으로 판단한다.
또한, 위치 검출부(140)는 제2 라인 카메라(130)로부터 Y축 촬영 영상을 제공받고, 미리 설정된 테이블 홀 크기의 범위내에 포함된 픽셀들의 휘도값 중에서 가장 휘도값이 높은 픽셀을 검출하여 검출된 픽셀의 좌표를 스파크가 발생한 위치의 Y 좌표값으로 판단한다.
발광부(150)는 테이블 홀(1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전극(미도시)과 상기 고전압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있고, 상기 전극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스파크(또는 아크)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극은 테이블의 상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분광부(160)는 테이블 홀(111)의 영역에서 방출된 광을 분광부(160)에 전달하는 도광부(161)를 포함할 수 있고, 방출된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료의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구성 성분을 분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먼저, 발광분광분석기(100)는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테이블 홀(111)의 경계 좌표를 설정한다(단계 210). 구체적으로, 발광분광분석기(100)는 장치의 설정 과정에서 외부 광원을 테이블 홀(111)에 조사한 후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로 테이블 홀(111)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테이블 홀(111)의 경계 좌표를 설정한다.
이후, 발광부(150)는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단일 스파크를 발생시키고(단계 220), 이와 동시에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는 각각 X축 영상 및 Y축 영상을 촬영한다(단계 230).
이후, 위치 검출부(140)는 제1 라인 카메라(120) 및 제2 라인 카메라(130)로부터 각각 제공된 X축 촬영 영상 및 Y축 촬영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들 중 단계 210의 수행을 통해 설정된 테이블 홀의 경계 사이에 포함된 픽셀들의 휘도값을 조사하여 가장 휘도값이 높은 픽셀의 좌표를 스파크가 발생한 위치의 X 좌표값 및 Y 좌표값으로 판단한다.
도 6에서는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과정을 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도 6의 단계 220에서 단일 스파크가 발생되면 방출된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시료 구성 성분을 분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테이블 120 : 제1 라인 카메라
130 : 제2 라인 카메라 140 : 위치 검출부
150 : 발광부 160 : 분광부

Claims (8)

  1. 성분을 분석할 시료를 지지하며, 두께방향으로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된 테이블;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제1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1 라인 카메라;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인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2 라인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파크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발광분광분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제1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X 좌표값으로 추출하고, 상기 제2 라인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Y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스파크를 촬영하기 전 상기 홀을 촬영하여 상기 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좌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촬영하기 위한 두 개의 윈도우 터널이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윈도의 터널은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윈도우 터널에는 상기 제1 라인 카메라 및 상기 라인 제2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기.
  6. 발광분광분석기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검출부에서, 테이블에 형성된 홀의 경계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제1 라인 카메라에서,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제1 방향에서 촬영하며, 제2 라인 카메라에서, 상기 홀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인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단계;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형성된 홀의 경계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외부 광원을 상기 홀에 조사하는 단계;
    상기 홀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홀의 경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X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 중 휘도가 가장 높은 픽셀의 좌표를 상기 스파크가 발생된 위치의 Y 좌표값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KR1020100075061A 2010-08-03 2010-08-03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KR101242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61A KR101242936B1 (ko) 2010-08-03 2010-08-03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61A KR101242936B1 (ko) 2010-08-03 2010-08-03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35A KR20120012735A (ko) 2012-02-10
KR101242936B1 true KR101242936B1 (ko) 2013-03-12

Family

ID=4583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061A KR101242936B1 (ko) 2010-08-03 2010-08-03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29B1 (ko) * 2020-05-22 2020-09-07 (주)유로사이언스 레이저를 이용한 강봉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705A (ja) 2002-02-05 2003-08-15 Canon Inc 飛翔液滴位置測定装置及び飛翔液滴位置測定方法
JP2005241624A (ja) 2004-01-27 2005-09-08 Jfe Steel Kk 発光検出装置
JP2009503448A (ja) 2005-07-20 2009-01-29 サーモ ニトン アナライザー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スパークの位置と相関させたアーク/スパークの発光分析
KR20090020027A (ko) * 2007-08-22 2009-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의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705A (ja) 2002-02-05 2003-08-15 Canon Inc 飛翔液滴位置測定装置及び飛翔液滴位置測定方法
JP2005241624A (ja) 2004-01-27 2005-09-08 Jfe Steel Kk 発光検出装置
JP2009503448A (ja) 2005-07-20 2009-01-29 サーモ ニトン アナライザー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スパークの位置と相関させたアーク/スパークの発光分析
KR20090020027A (ko) * 2007-08-22 2009-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체의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35A (ko) 201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6064B2 (ja) Icp発光分光分析装置
CN113646877B (zh) 检查装置及检查方法
US9188553B2 (en) X-ray fluorescence analyzer
JP5732637B2 (ja) ウェハ周縁端の異物検査方法、及び異物検査装置
US9791392B2 (en) X-ray fluorescence analyzer and measurement position adjusting method therefore
US10147174B2 (en) Substrate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235447B2 (ja) X線分析装置及びx線分析方法
KR101242936B1 (ko) 스파크 위치 측정 기능을 구비한 발광분광분석기 및 발광분광분석기의 스파크 위치 측정 방법
KR101439758B1 (ko) 레이저 용접 결함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4045551A1 (zh) 一种锁相微光显微成像方法及装置
KR101660452B1 (ko) 스폿 용접건의 용접팁 검사장치
JP3134776U (ja) 発光分析装置
US10746664B2 (en) Imaging apparatus for obtaining image of polarizing film,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KR20230022725A (ko) 머신비전용 조명모듈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신비전용 조명모듈 검사방법
JP3991959B2 (ja) 固体試料表面分析装置
WO2015093465A1 (ja) 集光鏡、光・荷電粒子検出装置、及び試料分析装置
JP3134775U (ja) 発光分析装置
KR20190119372A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의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4981872B2 (ja) 微量成分計測装置
KR100668218B1 (ko)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시편 분석 방법
US20130330830A1 (en) Method for fluorescence detection
JP2017067459A (ja) 検査装置
KR20070074339A (ko) 패턴 선폭 측정 방법 및 장비
JP2019056625A (ja) 欠陥サイズ分布の測定方法
CN110749577A (zh) 一种空心阴极光谱仪光路自动对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