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811B1 -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2811B1 KR101242811B1 KR1020110076486A KR20110076486A KR101242811B1 KR 101242811 B1 KR101242811 B1 KR 101242811B1 KR 1020110076486 A KR1020110076486 A KR 1020110076486A KR 20110076486 A KR20110076486 A KR 20110076486A KR 101242811 B1 KR101242811 B1 KR 101242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g
- stopper
- slag stopper
- mounting link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는, 슬래그스토퍼의 스토퍼행거가 거치되는 거치링크가 높이조절되게 구성됨에 따라, 티엘시의 개구부 테두리와 거치링크 사이에 지금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링크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기계적인 연결부 및 스크류잭을 통해 전달받아 구동됨으로써, 고열의 온도에서도 동력전달시 무리가 없으며 제어부를 통해 작업자가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게 거치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선 슬래그 혼입을 차단하기 위해 티엘시 개구부에 슬래그스토퍼를 거치하는 데 있어 많은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슬래그스토퍼 거치시 지금부착에 따른 미거치 문제점을 해결하여, 티엘시 정기수리 작업 전까지 지속적으로 슬래그스토퍼를 거치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여, 용선 슬래그가 용선장입 래들에 출선 중 슬래그가 다량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링크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기계적인 연결부 및 스크류잭을 통해 전달받아 구동됨으로써, 고열의 온도에서도 동력전달시 무리가 없으며 제어부를 통해 작업자가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게 거치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선 슬래그 혼입을 차단하기 위해 티엘시 개구부에 슬래그스토퍼를 거치하는 데 있어 많은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슬래그스토퍼 거치시 지금부착에 따른 미거치 문제점을 해결하여, 티엘시 정기수리 작업 전까지 지속적으로 슬래그스토퍼를 거치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여, 용선 슬래그가 용선장입 래들에 출선 중 슬래그가 다량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로서, 슬래그스토퍼의 스토퍼행거가 거치되는 거치링크가 높이조절되게 구성됨에 따라, 티엘시의 개구부 테두리와 거치링크 사이에 지금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에 대한 거치링크가 티엘시에 설치고정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지금에 의해 도 1의 거치링크에 슬래그스토퍼가 거치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티엘시(Torpedo Ladle Car, TLC)(1)에 위치고정되게 장착된 거치링크(3)에 슬래그스토퍼(2)의 스토퍼행거(2a)가 거치됨에 따라, 상방 개구부(1a)를 통해 슬래그스토퍼(2)가 티엘시(1) 내에 인입되면서 거치된다.
그러나, 티엘시(1)에 슬래그스토퍼(2) 거치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a) 둘레에 즉 개구부(1a)와 거치링크(3) 사이에 지금(4)이 부착되면서 쌓이게 되면, 슬래그스토퍼(2)의 상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행거(2a)가 거치링크(3)에 거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지금(4)의 부착에 의해 슬래그스토퍼(2)가 미거치되는 경우, 용선 출선시 다량의 슬래그가 혼입되어 용선 품질에 저해 요인, 및 슬래그 배재 작업시간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공정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슬래그스토퍼의 스토퍼행거가 거치되는 거치링크가 높이조절되게 구성됨에 따라, 티엘시의 개구부 테두리와 거치링크 사이에 지금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는, 슬래그스토퍼가 티엘시(Torpedo Ladle Car, TLC) 내에 배치되기 위해, 상기 슬래그스토퍼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행거가 거치되도록, 높이조절되게 구성되는 거치링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행거의 양단부에 형성된 거치대가 끼워지는 상기 거치링크; 상단부에 상기 거치링크가 장착되어, 상기 티엘시의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거치링크를 상하이동시키도록,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되는 스크류잭; 및 상기 스크류잭에 기계적인 연결부를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티엘시에 위치고정된 가이드지지부재에 형성된 상하방향 잭홀에, 상기 스크류잭이 끼워져서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티엘시의 개구부 측으로 연장된 구동축; 및 일단부가 기어박스 내에서 상기 구동축과 직각으로 만나서 연동회전되도록 체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지지부재 내에서 상기 스크류잭과 직각으로 만나서 연동회전되도록 체결된 연결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형성된 제1 베어링홀에 상기 구동축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상기 티엘시 상부에 장착된 제1 베어링블럭; 및 내부에 상방경사져서 형성된 제2 베어링홀에 상기 스크류잭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상기 티엘시 상부에 장착된 제2 베어링블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는, 슬래그스토퍼의 스토퍼행거가 거치되는 거치링크가 높이조절되게 구성됨에 따라, 티엘시의 개구부 테두리와 거치링크 사이에 지금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링크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기계적인 연결부 및 스크류잭을 통해 전달받아 구동됨으로써, 고열의 온도에서도 동력전달시 무리가 없으며 제어부를 통해 작업자가 슬래그스토퍼를 용이하게 거치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선 슬래그 혼입을 차단하기 위해 티엘시 개구부에 슬래그스토퍼를 거치하는 데 있어 많은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슬래그스토퍼 거치시 지금부착에 따른 미거치 문제점을 해결하여, 티엘시 정기수리 작업 전까지 지속적으로 슬래그스토퍼를 거치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여, 용선 슬래그가 용선장입 래들에 출선 중 슬래그가 다량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에 대한 거치링크가 티엘시에 설치고정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지금에 의해 도 1의 거치링크에 슬래그스토퍼가 거치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가 티엘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지금에 의해 도 1의 거치링크에 슬래그스토퍼가 거치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가 티엘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가 티엘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슬래그스토퍼(2)가 티엘시(Torpedo Ladle Car, TLC)(1) 내에 배치되기 위해, 슬래그스토퍼(2)를 티엘시(1)의 상방 개구부(1a)의 상측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슬래그스토퍼(2)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행거(2a)가 거치되도록, 거치링크(20)가 높이조절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토퍼행거(2a)의 양단부에 형성된 거치대가 끼워지는 거치링크(20), 상기 거치링크(20)를 상하이동시키는 스크류잭(40), 및 상기 스크류잭(40)에 상하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8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잭(40)은 상단부에 상기 거치링크(20)가 장착되어 상하이동함에 따라, 티엘시(1) 개구부(1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거치링크(20)를 상하이동시킨다.
이때, 스크류잭(40)은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서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잭(40)은, 티엘시(1)에 위치고정된 가이드지지부재(65)에 형성된 잭홀에 끼워져서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잭(40)의 상단부에 장착된 거치링크(20)는, 높이조절을 하면서 적정한 높이에 위치되어 슬래그스토퍼(2)를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80)는 스크류잭(40)에 기계적인 연결부(60)를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90)를 통해 제어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60)는 구동축(62)과 연결축(64)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62)은 구동모터(80)의 모터축(80a)과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티엘시(1)의 개구부(1a)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64)은 일단부가 기어박스(63) 내에서 구동축(62)과 직각으로 만나서 연동회전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연결축(64)의 일단부와 구동축(62)의 접하는 부위에서의 기어형상은, 베벨기어와 같이 두 축이 직교하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기어가 선택되어 활용된다.
아울러, 연결축(64)은 타단부가 가이드지지부재(65) 내에서 스크류잭(40)과 직각으로 만나서 연동회전되도록 체결된다.
여기에서, 연결축(64)의 타단부와 스크류잭(40)의 동력전달은, 나사기어와 같이 스크류잭(40)의 나사형상과 연결축(64)의 타단부에 나사형상이 서로 맞물려, 직교되는 축에 있어서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60)는 구동축(62)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블럭(66)과 스크류잭(40)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블럭(6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블럭(66)은 내부에 형성된 제1 베어링홀에 구동축(62)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티엘시(1) 상부에 장착된다.
아울러, 제2 베어링블럭(68)은 내부에 상방경사져서 형성된 제2 베어링홀에 스크류잭(40)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티엘시(1) 상부에 위치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슬래그스토퍼(2)를 거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티엘시(1)가 진입하면 작업자는 개구부(1a) 주변에 지금(4)의 부착상태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9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80)를 가동하여 기계적인 연결부(60)인, 구동축(62)과 연결축(64)을 통해 스크류잭(40)을 회전시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티엘시(1)에서 개구부(1a) 근처, 즉 개구부(1a)와 거치링크(20) 사이에 지금(4)이 부착되어 쌓이더라도, 높이가 조절되는 거치링크(20)에 슬래그스토퍼(2)를 거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슬래그스토퍼(2)가 티엘시(1) 내에 배치됨으로써, 용선이 출선시 슬래그스토퍼(2)에 의해 슬래그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슬래그스토퍼(2)의 스토퍼행거(2a)가 거치되는 거치링크(20)가 높이조절되게 구성됨에 따라, 티엘시(1)의 개구부(1a) 테두리와 거치링크(20) 사이에 지금(4)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슬래그스토퍼(2)를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링크(20)가 구동모터(80)의 구동력을 기계적인 연결부(60) 및 스크류잭(40)을 통해 전달받아 구동됨으로써, 고열의 온도에서도 동력전달시 무리가 없으며 제어부(90)를 통해 작업자가 슬래그스토퍼(2)를 용이하게 거치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선 슬래그 혼입을 차단하기 위해 티엘시(1) 개구부(1a)에 슬래그스토퍼(2)를 거치하는 데 있어 많은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슬래그스토퍼(2) 거치시 지금(4) 부착에 따른 미거치 문제점을 해결하여, 티엘시(1) 정기수리 작업 전까지 지속적으로 슬래그스토퍼(2)를 거치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여, 용선 슬래그가 용선장입 래들에 출선 중 슬래그가 다량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티엘시 1a : 개구부
2 : 슬래그스토퍼 2a : 스토퍼행거
4 : 지금 20 : 거치링크
40 : 스크류잭 60 : 연결부
62 : 구동축 63 : 기어박스
64 : 연결축 65 : 가이드지지부재
66 : 제1 베어링블럭 68 : 제2 베어링블럭
80 : 구동모터 80a : 모터축
90 : 제어부
2 : 슬래그스토퍼 2a : 스토퍼행거
4 : 지금 20 : 거치링크
40 : 스크류잭 60 : 연결부
62 : 구동축 63 : 기어박스
64 : 연결축 65 : 가이드지지부재
66 : 제1 베어링블럭 68 : 제2 베어링블럭
80 : 구동모터 80a : 모터축
90 : 제어부
Claims (4)
- 슬래그스토퍼가 티엘시(Torpedo Ladle Car, TLC) 내에 배치되기 위해, 상기 슬래그스토퍼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행거가 거치되도록, 높이조절되게 구성되는 거치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행거의 양단부에 형성된 거치대가 끼워지는 상기 거치링크; 상단부에 상기 거치링크가 장착되어, 상기 티엘시의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거치링크를 상하이동시키도록,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되는 스크류잭; 및 상기 스크류잭에 기계적인 연결부를 통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엘시에 위치고정된 가이드지지부재에 형성된 상하방향 잭홀에, 상기 스크류잭이 끼워져서 회전하면서 상하이동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티엘시의 개구부 측으로 연장된 구동축; 및
일단부가 기어박스 내에서 상기 구동축과 직각으로 만나서 연동회전되도록 체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지지부재 내에서 상기 스크류잭과 직각으로 만나서 연동회전되도록 체결된 연결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형성된 제1 베어링홀에 상기 구동축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상기 티엘시 상부에 장착된 제1 베어링블럭; 및
내부에 상방경사져서 형성된 제2 베어링홀에 상기 스크류잭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상기 티엘시 상부에 장착된 제2 베어링블럭;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486A KR101242811B1 (ko) | 2011-08-01 | 2011-08-01 |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486A KR101242811B1 (ko) | 2011-08-01 | 2011-08-01 |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4806A KR20130014806A (ko) | 2013-02-12 |
KR101242811B1 true KR101242811B1 (ko) | 2013-03-12 |
Family
ID=4789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6486A KR101242811B1 (ko) | 2011-08-01 | 2011-08-01 |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281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8920B1 (ko) * | 2018-09-06 | 2019-03-15 | 포스마텍 주식회사 | 커버장치가 구비된 토페도 레이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001U (ko) * | 1996-11-07 | 1998-08-05 | 김종진 | 토페도 레들카용 취입랜스의 승.하강 감지장치 |
KR20030095002A (ko) * | 2002-06-11 | 2003-12-18 | 주식회사 포스코 | 탈황능이 향상된 무연탄을 이용한 용선용 탈황제 |
KR20110019976A (ko) * | 2009-08-21 | 2011-03-02 | 김용호 | 토페도 레이들 카의 커버 개폐구조 |
-
2011
- 2011-08-01 KR KR1020110076486A patent/KR1012428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001U (ko) * | 1996-11-07 | 1998-08-05 | 김종진 | 토페도 레들카용 취입랜스의 승.하강 감지장치 |
KR20030095002A (ko) * | 2002-06-11 | 2003-12-18 | 주식회사 포스코 | 탈황능이 향상된 무연탄을 이용한 용선용 탈황제 |
KR20110019976A (ko) * | 2009-08-21 | 2011-03-02 | 김용호 | 토페도 레이들 카의 커버 개폐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4806A (ko) | 2013-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9681468U (zh) | 一种可摆动式环缝焊接工作站 | |
US11370137B2 (en) | Carriage for pipe machining | |
KR20070105889A (ko) | 지면에 드릴링 기둥을 세우기 위한 드릴링 기구 및 이에의한 방법 | |
KR101242811B1 (ko) | 슬래그스토퍼의 거치링크 높이조절장치 | |
KR101880883B1 (ko) | 용접부재용 가변 지지장치 | |
CN101671113B (zh) | 玻璃的自动直线输送中转台 | |
CA3030004A1 (en) | Battery box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 |
KR101379441B1 (ko) | 회전형 용접장치 | |
CN104066552A (zh) | 电动夹紧设备 | |
JP5995006B2 (ja) | 機械攪拌式脱硫設備のインペラー交換装置 | |
CN106031326B (zh) | 元件交接装置及元件安装机 | |
KR101673386B1 (ko) | 자동 연마장치 | |
CN210675542U (zh) | 一种微生物培养用离心机 | |
KR102080121B1 (ko) | 회전구조를 갖는 곡면대상물용 웰드작업장치 | |
CN208527930U (zh) | 立、卧旋转多用弯曲设备 | |
CN102513365A (zh) | 一种万向接轴对中装置 | |
CN110561078A (zh) | 一种自动换驱动轴机 | |
CN207984845U (zh) | 一种新能源汽车电子真空泵用快速装卸支架 | |
CN108408674B (zh) | 基于在实验中自动倾倒液体的装置 | |
KR101716332B1 (ko) | 바텀 샤시의 경사형 측면 탭핑장치 | |
KR101646767B1 (ko) | 정합특성이 향상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탈착장치 | |
CN220679369U (zh) | 一种铸造用浇铸小车 | |
JP2005177881A (ja) | ワーク回転装置 | |
JP6234828B2 (ja) | ドライブロッドラック | |
KR101173922B1 (ko) | 파이프 궤도 용접 캐리지의 토치 각도 조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