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768B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768B1
KR101242768B1 KR1020120136083A KR20120136083A KR101242768B1 KR 101242768 B1 KR101242768 B1 KR 101242768B1 KR 1020120136083 A KR1020120136083 A KR 1020120136083A KR 20120136083 A KR20120136083 A KR 20120136083A KR 101242768 B1 KR101242768 B1 KR 10124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blade
air suppl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호
Original Assignee
(주) 대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운테크 filed Critical (주) 대운테크
Priority to KR102012013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4Multi-stage fans, e.g. f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공기유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싱, 이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이 케이싱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 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일측에 공기공급홀을 통공하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테두리에 공기토출홀을 형성한 블레이드, 이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케이싱의 내부를 구획하여 블레이드의 회전시 공기공급홀 각각으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공급안내깃, 및 이 회전축의 둘레면을 지지하도록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공기토출홀로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공급홀로 흐름 허용하기 위해 가장자리 일부가 케이싱과 유격되는 공기토출안내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송풍기의 케이싱 내부에 블레이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소각로 내부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소각로 내부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뭉쳐져 있는 폐기물을 비산시키며 흩어지게 하여 소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기{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의 케이싱 내부에 블레이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소각로 내부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소각로 내부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뭉쳐져 있는 폐기물을 비산시키며 흩어지게 하여 소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처리 방법 중의 하나인 소각처리방법은 매립방법보다 폐기물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지만 대기오염 물질이 발생하므로 철저한 오염방지 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폐기물 소각장치는 소각로와 함께 폐기물을 균일하게 소각로로 공급하는 전처리설비, 배출가스의 열을 회수하고 배출가스를 냉각시키는 폐열 보일러, 배출가스에 포함된 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x) 등과 같은 산성물질, 분진, 중금속 질소산화물(NOx), 다이옥신류 등의 오염물질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제거하는 배출가스처리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폐기물 소각장치는 각종 폐기물의 종류나 처리용량에 따라 여러 가지 소각장치가 개발되어 있고, 개발된 소각장치는 대체로 소각로의 외벽을 철판이나 내화벽돌 및 콘크리트 등으로 둘러싸고 내부를 건조부, 연소부 및 후연소부 등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폐기물소각장치는 공급되는 각종 폐기물을 소각로 내부에서 교반하면서 분해하고 파쇄함과 동시에 고온의 공기로 공급하여 폐기물을 건조시키면서 소각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2011-0098585호(명칭; 폐수 슬러지의 소각장치)도 있으나 소각로 내부 상측에서 슬러지를 교반하여 분쇄하면서 건조시키되, 건조된 슬러지를 저장통으로 이송하고 이를 다시 소각로의 하부에서 상부로 비산시켜 소각한다.
기존 소각장치는 음식쓰레기 등 수분이 많이 함유된 폐기물의 경우에는 완전한 건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분 함유량이 높은 폐기물의 경우에는 건조 정도에 따라 완전 소각이 불가능하여 불안전 연소에 따른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기존 소각장치는 소각로 내부에서 폐기물이 적층되어 뭉쳐져 있기 때문에 폐기물 내부까지 완전히 소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각로 내부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뭉쳐져 있는 폐기물을 비산시키며 흩어지게 하여 소각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송풍기의 케이싱 내부에 블레이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소각로 내부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하고자 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싱 내부를 안내깃으로 구획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토출시까지 송풍 압력을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토출량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는: 일측에 공기유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에 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일측에 공기공급홀을 통공하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테두리에 공기토출홀을 형성한 블레이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시 상기 공기공급홀 각각으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공급안내깃,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토출홀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홀로 흐름 허용하기 위해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케이싱과 유격되는 공기토출안내깃을 포함한다.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 내면와 상기 공기공급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킨 채 상기 공기공급홀로 유입 허용하기 위해 호 궤적의 제 1플레이트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 내면와 상기 공기공급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공급안내깃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서포트바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면와 상기 공기토출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홀에서 토출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킨 채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호 궤적의 제 2플레이트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면와 상기 공기토출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안내깃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서포트바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공급안내깃에 접하도록 상기 공기공급홀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턱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토출홀 내측에 가이드베인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은 소각로 내부의 공기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부재의 검출값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소각로 내부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뭉쳐져 있는 폐기물을 비산시키며 흩어지게 하여 소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송풍기의 케이싱 내부에 블레이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소각로 내부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싱 내부를 안내깃으로 구획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토출시까지 송풍 압력을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토출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블레이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블레이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블레이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블레이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소각로(5) 내부에 고속으로 송풍하여 소각로(5) 내부의 폐기물을 비산시켜 소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비로서, 케이싱(10), 회전축(20), 블레이드(32,34,36), 공기공급안내깃(42,44,46), 및 공기토출안내깃(52,54,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10)은 송풍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공기유입구(15)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에 공기토출구(13)를 형성하여 고속으로 공기를 소각로(5) 내부로 송풍한다. 이때, 케이싱(10)은 공기유입구(15)와 공기토출구(13)를 다른 둘레면에 형성한다. 더욱이, 케이싱(10)은 공기유입구(15)와 공기토출구(13)를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케이싱(10)은 블레이드(32~36), 공기공급안내깃(42~46), 및 공기토출안내깃(52~56)을 구비하거나 조립하기 위해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케이싱(10)은 어퍼케이싱(12)과 로어케이싱(14)으로 제작되어 조립된다. 그리고, 공기토출구(13)는 어퍼케이싱(12)의 타측 상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5)는 로어케이싱(14)의 일측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다.
어퍼케이싱(12)과 로어케이싱(14)은 다양한 방식으로 테두리끼리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물론, 케이싱(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회전축(20)은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회전축(20)은 어퍼케이싱(12)과 로어케이싱(14)의 연결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회전축(20)은 로어케이싱(14)의 양측 테두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어퍼케이싱(12)의 동일한 양측 테두리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게 된다.
특히, 회전축(20)은 축 방향이 케이싱(1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이 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축(20)은 모터력의 제공시 회전된다.
또한, 블레이드(32~36)는 회전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유격되도록 회전축(20)의 둘레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블레이드(32~36)는 회전축(20)과 함께 회전된다.
블레이드(32~36)가 회전됨으로써 케이싱(10) 내부의 공기가 공기토출구(13)를 통해 소각로(5) 내부로 고속으로 송풍된다. 이로 인해,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블레이드(32~36)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회전축(20)의 둘레면에 고정 장착된다. 편의상, 블레이드(32~36)는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아울러, 블레이드(32~36)는 공기를 일측 내부로 유입하고, 테두리로 토출시킨다. 즉, 블레이드(32~36) 각각은 케이싱(10)의 공기유입구(15)를 향하는 일측 중앙에 공기공급홀(37)을 통공하여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 그리고, 블레이드(32~36) 각각은 테두리에 공기토출홀(39)을 형성하여 내부의 공기를 방사상으로 토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32~36) 각각은 공기공급홀(37)과 공기토출홀(39)이 연결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아울러, 케이싱(10)의 공기유입구(15)에서 공기토출구(13)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 1블레이드(32), 제 2블레이드(34) 및 제 3블레이드(36)가 회전축(20)에 구비된다.
특히, 공기가 3번에 걸쳐 블레이드(32~36)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블레이드(32~36)의 테두리로 토출됨으로써, 공기의 송풍력(송풍 속도)은 커지게 된다.
한편, 공기가 케이싱(10) 내부에서 제 1블레이드(32)의 일측 중앙 부위로 유입된 후 테두리로 토출되고 나서, 제 2블레이드(34)의 일측 중앙 부위로 유입된 후 테두리로 토출된 이후, 제 3블레이드(36)의 일측 중앙 부위로 유입된 후 테두리로 토출되기 때문에, 케이싱(10)은 공기를 제 1블레이드(32)의 일측 중앙 부위로 안내하고 제 1블레이드(32)의 테두리로 토출된 공기를 제 2블레이드(34)의 일측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케이싱(10)은 공기를 제 2블레이드(34)의 일측 중앙 부위로 안내하고 제 2블레이드(34)의 테두리로 토출된 공기를 제 3블레이드(36)의 일측 중앙으로 안내하며, 제 3블레이드(36)의 테두리로 토출된 공기를 케이싱(10)의 공기토출구(13)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서, 케이싱(10)은 공기공급안내깃(42~46)과 공기토출안내깃(52~56)을 구비한다.
공기공급안내깃(42~46)은 회전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케이싱(10)의 내부를 구획하고, 블레이드(32~36)의 공기공급홀(37)에 대응되는 공기유도홀(47)을 중앙 부위에 통공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32~36)가 회전시, 공기는 공기공급안내깃(42~46)의 공기유도홀(47)을 통해 공기공급홀(37)로 집중흐름 안내된다.
이때, 공기공급안내깃(42~46)의 테두리는 케이싱(10)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하여 고정된다. 공기공급안내깃(42~46)은 블레이드(32~36) 각각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공기공급안내깃(42~4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 1블레이드(32)의 일측에는 제 1공기공급안내깃(42)이 구비되고, 제 2블레이드(34)의 일측에는 제 2공기공급안내깃(44)이 구비되며, 제 3블레이드(36)의 일측에는 제 3공기공급안내깃(46)이 구비된다.
또한, 공기토출안내깃(52~56)은 블레이드(32~36) 각각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공기토출안내깃(52~56)은 블레이드(32~36) 각각의 테두리로 토출되는 공기가 케이싱(10)의 내측면을 따라 스파이럴(spiral) 궤적으로 원활히 흐름 안내되도록 회전축(20)의 둘레면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접한다. 그래서, 공기는 공기토출안내깃(52~56)의 중앙 부위로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케이싱(10)의 내측면을 따라 스파이럴 궤적으로 흐르는 공기가 이웃한 공기공급홀(37)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토출안내깃(52~56)의 테두리 일부는 케이싱(10)의 내측면과 유격되게 형성된다. 즉, 공기토출안내깃(52~56) 각각과 케이싱(1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기이동통로(57)가 통공된다.
특히, 제 1블레이드(32)의 타측에는 제 1공기토출안내깃(52)이 구비되고, 제 2블레이드(34)의 타측에는 제 2공기토출안내깃(54)이 구비되며, 제 3블레이드(36)의 타측에는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 1공기토출안내깃(52)의 공기이동통로(57)를 통과한 공기는 제 2공기공급안내깃(44)에 의해 제 2블레이드(34)의 공기공급홀(37)로 유입 안내되고, 제 2공기토출안내깃(54)의 공기이동통로(57)를 통과한 공기는 제 3공기공급안내깃(46)에 의해 제 3블레이드(36)의 공기공급홀(37)로 유입 안내된다.
한편, 공기가 케이싱(10)의 공기유입구(15)로 공급된 후 대체로 직진 흐름으로 제 1블레이드(32)의 공기공급홀(37)로 유입되고 나서 제 1블레이드(32)의 공기토출구(13)를 통해 방사상으로 토출시, 공기의 흐름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송풍력 감쇄 요인이 된다.
그래서, 공기가 제 1블레이드(32)의 공기공급홀(37)로 유입되기 전(前)에 와류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류는 스파이럴 궤적을 의미한다.
즉, 마주하는 케이싱(10)의 일측 내면와 제 1공기공급안내깃(42) 사이에는 호 궤적의 제 1플레이트(62)가 구비된다. 제 1플레이트(62)는 공기유입구(15)로 강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케이싱(10)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안내함에 따라 와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플레이트(62)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지 않고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틈새를 발생한다. 그래서, 공기는 공기유입구(15)로 유입 후 제 1플레이트(62)와 케이싱(10)의 내측면 사이로 유동하며 와류를 형성한 상태로 틈새를 통해 제 1플레이트(6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나서, 와류를 형성한 공기가 제 1블레이드(32)의 공기공급홀(37)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제 1플레이트(62)에 의한 공기의 와류 방향이 제 1블레이드(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제 1블레이드(32)와 제 2블레이드(34) 및 제 3블레이드(36)가 회전시, 외부의 공기가 고속으로 공기유입구(15)로 유입됨으로써, 제 1공기공급안내깃(42)은 직진 방향으로 세게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마주하는 케이싱(10)의 일측 내면와 제 1공기공급안내깃(42) 사이에는 제 1공기공급안내깃(42)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서포트바(64)가 구비된다. 제 1서포트바(64)의 일측은 케이싱(10)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 1공기공급안내깃(42)의 일측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 1공기공급안내깃(42)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 1서포트바(64)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 3블레이드(36)의 공기토출홀(39)을 통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는 최대한 압축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며 이동하는 상태로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의 공기이동통로(57)를 통과하며 직진되게 공기토출구(13)로 토출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송풍력 감쇄요인이 된다.
그래서, 마주하는 케이싱(10)의 타측 내면와 제 3공기토출안내깃(56) 사이에는 공기토출홀(39)에서 토출된 공기에 와류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킨 채 공기토출구(13)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호 궤적의 제 2플레이트(72)가 구비된다.
제 2플레이트(72)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지 않고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틈새를 발생한다. 그래서, 공기는 제 3블레이드(36)의 공기토출홀(39)로 토출 후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의 공기이동통로(57)를 따라 제 2플레이트(72)와 케이싱(10)의 내측면 사이로 유동하며 와류를 유지한 상태로 틈새를 통해 제 2플레이트(7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나서, 와류를 형성한 공기가 공기토출구(13)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충분한 풍량을 송풍할 수 있고, 송풍력이 극대화된다.
특히, 제 2플레이트(72)에 의한 공기의 와류 방향이 제 3블레이드(3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 3블레이드(36)의 공기토출홀(39)을 통해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에 부딪힐 경우,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이 변형되거나,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마주하는 케이싱(10)의 타측 내면와 제 3공기토출안내깃(56) 사이에는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서포트바(74)가 구비된다.
제 2서포트바(74)의 일측은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의 타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케이싱(10)의 타측 내면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 3공기토출안내깃(56)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 2서포트바(74)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마주하는 제 1공기토출안내깃(52)과 제 2공기공급안내깃(44), 마주하는 제 2공기토출안내깃(54)과 제 3공기공급안내깃(46)은 곡면리브(82)에 의해 서로 지지된다. 곡면리브(82)는 와류를 형성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곡면 처리된다.
한편, 제 1블레이드(32), 제 2블레이드(34) 및 제 3블레이드(36)는 일측의 공기공급홀(37)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턱부재(84)를 형성한다. 지지턱부재(84)는 링 형상으로서, 대응되는 제 1공기공급안내깃(42)의 공기유도홀(47), 제 2공기공급안내깃(44)의 공기유도홀(47) 및 제 3공기공급안내깃(46)의 공기유도홀(47) 내측면에 접한 채 회전된다. 그리고, 제 1블레이드(32), 제 2블레이드(34) 및 제 3블레이드(36)의 타측은 회전축(2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 1블레이드(32), 제 2블레이드(34) 및 제 3블레이드(36)는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제 1블레이드(32), 제 2블레이드(34) 및 제 3블레이드(36)는 각각의 공기토출홀(39) 내측에 가이드베인(86)을 구비한다. 가이드베인(86)은 토출되는 공기가 방사상으로 퍼지지 않고 와류 방향을 흐름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기의 토출 송풍량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때, 가이드베인(86)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회전축(20)은 소각로(5) 내부의 공기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부재(92)의 검출값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부재(92)가 소각로(5) 내부의 공기압력이 설정치 이상임을 검출시, 센서부재(92)는 회전축(20)의 회전속도를 줄이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회전축(20)은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송풍량이 조절된다.
특히, 센서부재(92)는 소각로(5) 내측의 공기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케이싱(10)은 공기유입구(15)를 형성한 일측과 공기토출구(13)를 형성한 타측을 바이패스배관(94)으로 연결하고, 바이패스배관(94)은 개폐밸브(96)를 구비한다.
그래서, 센서부재(92)가 소각로(5) 내부의 공기압력이 설정치 이상임을 검출시, 개폐밸브(96)가 개방됨에 따라, 케이싱(10) 타측 내부의 공기는 바이패스배관(94)을 따라 케이싱(10) 일측 내부로 순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토출구(13)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12: 어퍼케이싱
13: 공기토출구 14: 로어케이싱
15: 공기유입구 20: 회전축
32,34,36: 제 1,2,3블레이드 47: 공기유도홀
52,54,56: 제 1,2,3공기토출안내깃
57: 공기이동통로 62,72: 제 1,2플레이트
64,74: 제 1,2서포트바 82:곡면리브
84: 지지턱부재 86: 가이드베인
92: 센서부재 94: 바이패스배관
96: 개폐밸브

Claims (8)

  1. 일측에 공기유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에 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일측에 공기공급홀을 통공하며,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테두리에 공기토출홀을 형성한 블레이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시 상기 공기공급홀 각각으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공급안내깃;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토출홀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홀로 흐름 허용하기 위해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케이싱과 유격되는 공기토출안내깃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공급안내깃에 접하도록 상기 공기공급홀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 내면와 상기 공기공급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킨 채 상기 공기공급홀로 유입 허용하기 위해 호 궤적의 제 1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 내면와 상기 공기공급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공급안내깃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서포트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4. 제 1항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면와 상기 공기토출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홀에서 토출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킨 채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호 궤적의 제 2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면와 상기 공기토출안내깃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안내깃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서포트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토출홀 내측에 가이드베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소각로 내부의 공기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부재의 검출값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KR1020120136083A 2012-11-28 2012-11-28 송풍기 KR10124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083A KR101242768B1 (ko) 2012-11-28 2012-11-28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083A KR101242768B1 (ko) 2012-11-28 2012-11-28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768B1 true KR101242768B1 (ko) 2013-03-12

Family

ID=481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083A KR101242768B1 (ko) 2012-11-28 2012-11-28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196A (ja) * 1998-07-01 2000-01-18 Kawamoto Pump Mfg Co Ltd ポンプの中間ケーシング構造
JP2002098091A (ja) * 2000-09-21 2002-04-05 Amano Corp 電動送風機用羽根車
JP2003184778A (ja) * 2001-12-14 2003-07-03 Kawamoto Pump Mfg Co Ltd 縦型多段遠心ポンプ
KR100868267B1 (ko) * 2008-06-09 2008-11-11 주식회사 에어젠 터보 블로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196A (ja) * 1998-07-01 2000-01-18 Kawamoto Pump Mfg Co Ltd ポンプの中間ケーシング構造
JP2002098091A (ja) * 2000-09-21 2002-04-05 Amano Corp 電動送風機用羽根車
JP2003184778A (ja) * 2001-12-14 2003-07-03 Kawamoto Pump Mfg Co Ltd 縦型多段遠心ポンプ
KR100868267B1 (ko) * 2008-06-09 2008-11-11 주식회사 에어젠 터보 블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0564B2 (ja) 遺棄性廃棄物乾燥装置
JP2008238053A (ja) サイクロン装置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KR101162920B1 (ko)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생활폐기물을 고형연료화 시키기 위한 건조장치
JP2012097202A (ja) 炭化炉
JP2012229902A (ja) 乾燥装置
JP2013224810A5 (ko)
TW201641445A (zh) 底部乾燥式污泥乾化裝置和方法
US4424755A (en) Incineration system having cyclonic oxidation chamber
KR100749344B1 (ko) 쓰레기 소각로의 비산재 오니화 처리용 믹서
KR101389475B1 (ko) 반응효율을 최적화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KR101242768B1 (ko) 송풍기
US6860735B1 (en) Rotary kiln
KR20210078902A (ko) 해양투기폐기물 육상건조장치
JP2010214319A (ja) 含水有機汚泥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JP2013532251A5 (ko)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CN210740415U (zh) 一种垃圾焚烧设备
CN108758650B (zh) 一种危险废弃物处理设备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CN200987992Y (zh) 烘干破碎机
JP5704562B2 (ja) 脱水ケーキの搬送方法
KR200360330Y1 (ko) 폐기물 연속 자동 건조장치
KR101165560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0122464Y1 (ko) 원심 분사식 연소가스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