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705B1 -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705B1
KR101242705B1 KR1020100136717A KR20100136717A KR101242705B1 KR 101242705 B1 KR101242705 B1 KR 101242705B1 KR 1020100136717 A KR1020100136717 A KR 1020100136717A KR 20100136717 A KR20100136717 A KR 20100136717A KR 101242705 B1 KR101242705 B1 KR 101242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gnesium
condensation
cooling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777A (ko
Inventor
최호
박대규
박일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7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20Obtaining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22Ob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는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는 열환원로, 열환원로에서 열을 공급받아 마그네슘 증기를 생성하는 반응관, 및 반응관에서 생성된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을 포함하는 응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A DEVICE FOR CONDENSING MAGNESIUM AND FOR MANUFACTURING MAGNESIUM CONPO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그네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 증기에서 불순물을 직접제거하고 정련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원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마그네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Mg)은 상용되는 구조용 합금원소 중 밀도가 낮은 금속에 포함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을 함유한 합금재료는 우수한 기계 가공성과 높은 진동 감쇠능, 진동 및 충격에 대한 탁월한 흡수성, 경량성, 우수한 전자파 차폐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컴퓨터, 카메라, 휴대전화 등의 부품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은 원통형의 긴 내열강재를 주조하여 열환원로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반응관으로 사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마그네슘의 제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관을 열환원로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마그네슘을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그네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마그네슘 원재료가 포함된 단광을 반응관에 장입 시킨 후에 열환원로에 결합된 열 공급 장치(예: 버너 등)에서 반응관에 약 1200°С정도의 열을 공급하여 마그네슘 증기를 발생 시키고, 반응관에 연결된 응축기에서 마그네슘 증기를 응축시켜 형성된 응축 크라운을 회수하여 마그네슘을 제조된다. 또한, 마그네슘 응축 크라운에는 단광의 가열 중 발생할 수 있는 분진 등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슘 응축 크라운을 용해로 등에 녹여 정련로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마그네슘 용탕을 주조기에 부어 원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을 만드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따라서, 마그네슘 응축 크라운의 용해와 불순물 제거 후에 원하는 모양을 주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마그네슘 제조의 생산원가가 증가하고 작업이 연속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그네슘 제조의 자동화가 어려워 마그네슘 생산을 위해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 응축 크라운을 용해하고 정련하는 과정 없이 마그네슘 증기를 원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으로 생산할 수 있는 마그네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는 마그네슘 증기가 순차적으로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을 포함하며, 상기 주형은,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도입단 및 유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말단을 포함하고, 마그네슘 증기는 말단에서 응축이 시작되어 도입단에서 응축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주형은 말단에 위치하는 제1 주형부, 도입단에 위치하는 제3 주형부를 포함하며, 제1 주형부 및 상기 제3 주형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주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형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장치는 제1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1 냉각부, 제2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2 냉각부와 제3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3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부에 냉각매체가 유입되어 제1 주형부에서 마그네슘 증기의 응축이 종료되면, 제2 냉각부에 냉각매체가 유입되어 제2 주형부에서 응축이 시작되고, 제2 주형부에서 응축이 종료되면 제3 냉각부에 냉각매체가 유입되어 제3 주형부에서 응축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주형들을 통과하여 마그네슘의 용융점 보다 더 용융점이 낮은 물질이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집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는, 마그네슘 원재료가 공급되는 반응관, 반응관을 가열하여 마그네슘 증기를 생성시키는 열환원로 및
반응관에서 생성된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을 포함하는 응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형은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도입단에 위치하는 제3 주형부, 유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말단에 위치하는 제1 주형부 및 제1 주형부 및 제3 주형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주형부를 포함하고, 마그네슘 증기는 제1 주형부에서 응축이 시작되어 제3 주형부에서 응축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주형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며, 냉각장치는 제1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1 냉각부, 제2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2 냉각부와 제3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3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형들 사이를 통과하여 마그네슘의 용융점 보다 더 용융점이 낮은 물질이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응축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응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분진 흡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응관과 응축장치를 연결하는 포집관을 더 포함하고, 포집관과 결합되어 마그네슘 증기의 응축장치로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축장치에 연결되어 제어밸브가 개방된 후 응축장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슘 응축 크라운에서 불순물을 없애기 위한 정련 및 원하는 모양을 만들기 위한 주조 과정이 없이, 마그네슘 증기에서 고순도의 원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그네슘 응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주형에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그네슘 응축장치의 정면에서 본 절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는 마그네슘 증기가 순차적으로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1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형(10)은 마그네슘 증기가 공급되는 포집관(500)의 외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에서는 육면체 모양의 마그네슘을 제조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주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주형(10)의 모양은 제조하고자 하는 마그네슘의 모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육면체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린더 모양 또는 얇은 판 모양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10)은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도입단(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 볼 때 오른쪽의 도입단(12)의 반대쪽에 위치한 말단(13)에서부터 응축이 시작될 수 있다. 이렇게 시작된 마그네슘 증기의 응축은 마그네슘 증기의 유입이 시작되는 도입단(12)에서 응축이 멈출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10)은 마그네슘 응축이 시작되는 말단(13)에 위치하는 제1 주형부(111), 마그네슘 증기의 유입이 시작되는 도입단(12)에 위치하는 제3 주형부(113) 및 제1 주형부(111)와 제3 주형부(1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주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10)의 도입단(12)으로 유입된 마그네슘 증기는 제1 주형부(111)에서 제2 주형부(112) 및 제3 주형부(113) 순으로 응축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주형(10)은 3개의 주형부들(111, 112, 1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응축되는 마그네슘의 크기 등에 따라 1 내지 2개 또는 4개 이상의 주형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100)는 주형(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장치(20)는 제1 냉각부(21), 제2 냉각부(22) 및 제3 냉각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부(21)는 제1 주형부(111)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냉각부(22)는 제2 주형부(1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냉각부(23)는 제3 주형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부(21), 제2 냉각부(22) 및 제3 냉각부(23) 중 하나 이상의 냉각부는 냉각매체(예: 공기 또는 물 등)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100)에서의 마그네슘 응축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형(10)의 도입단(12)를 통하여 유입된 마그네슘 증기가 제1 주형부(111)에 채워지기 시작하면, 제1 냉각부(21)의 냉각통로에 냉각매체가 공급되기 시작되어 제1 주형부(111)에서 마그네슘 응축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1 주형부(111)에 응축된 마그네슘이 채워지게 되면, 제2 냉각부(22)의 냉각통로에 냉각매체가 공급되기 시작되고 제2 주형부(112)에서 마그네슘 응축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2 주형부(112)에 응축된 마그네슘이 채워지게 되면, 제3 냉각부(23)의 냉각통로에 냉각매체가 공급되기 시작되어 제3 주형부(113)에서 마그네슘 응축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3 주형부(113)에 응축된 마그네슘이 채워지게 되어 주형(10)에는 만들고자 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이 완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의 포집관(500)의 윗쪽에 위치하는 주형(10)은 포집관(500)과 멀리 떨어진 부분에 제1 주형부(111)가 형성되고, 제3 주형부(113)는 포집관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며, 제2 주형부(112)는 제1 주형부(111)와 제 3 주형부(113)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장치(20)의 제1 냉각부(21)는 제1 주형부(111)에 결합되고, 제2 냉각부(22)는 제2 주형부(112)에 결합되며, 제3 냉각부(23)는 제3 주형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장치(20)에 공급되는 냉각매체는 마그네슘 증기가 공급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응축장치는 포집관(500)의 외표면에 결합된 6개의 주형(10)과 하나 이상의 집전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집관(500)에 결합되는 주형(10)의 수는 응축하고자 하는 마그네슘의 증기의 양에 따라 1개 또는 7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집전장치(30)는 도 1에서 볼 때, 주형들(10)의 오른쪽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형들 사이를 통과한 마그네슘의 용융점 보다 용융점이 낮은 물질들(예: 나트륨(sodium), 칼륨(potassium) 등)은 집전장치(30)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10)에 유입되는 마그네슘 증기에는 나트륨(sodium) 및 칼륨(potassium)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나트륨(sodium)의 용융점은 370°С 정도이고, 칼륨(potassium)의 용융점은 63°С 정도 라고 알려져 있으며, 마그네슘의 용융점은 650°С 정도로 알려져 있다. . 따라서, 주형(10)의 제1 주형부(111) 내지 제3 주형부(113)에는 제3 냉각부(23)에서 공급된 냉각매체에 의하여 용융점이 나트륨(sodium) 및 칼륨(potassium)이 포함되지 않은 마그네슘이 응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주형들(10) 사이를 통과한 나트륨(sodium)은 도 1에서 볼 때, 오른쪽에 위치한 집전장치(30)에 부착되어 응축되게 된다. 또한, 주형들(10) 사이를 통과한 칼륨(potassium)의 일부는 집전장치(30)에 부착되고, 나머지 칼륨(potassium)은 액체 상태로 포집관(500)의 말단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주형에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의 응축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그네슘이 응축되는 과정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3개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시간1(Time1)에서는 제1 주형부(111)에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어 응축이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오른쪽에는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기 시작할 때의 마그네슘 증기의 온도는 약 650°С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 350°С 정도 까지 내려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2(Time2)에서는 제1 주형부(111)에서 마그네슘 응축이 완료된 후, 제2 주형부(112)에서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2 주형부(112)에서의 온도 변화도 제1 주형부(111)에서와 마찬가지로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기 시작할 때의 마그네슘 증기의 온도는 약 650°С이상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 350°С 정도까지 내려 가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시간3(Time3)에서는 제2 주형부(112)에서 마그네슘 응축이 완료된 수, 제3 주형부(113)에서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주형부(113)에서 응축되는 마그네슘 증기의 온도는 약 350°С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 증기는 제1 주형부(111), 제2 주형부(112) 및 제3 주형부(113)에서 순차적으로 마그네슘으로 응축되어 주형(10)의 모양에 따라 원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으로 응축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생산된 마그네슘을 다시 용해하고 정련과정을 거쳐 주조를 하는 과정이 없이도, 고순도의 마그네슘을 얻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마그네슘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그네슘을 포함한 모든 금속의 열환원 제련 공정을 위한 제조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1000)는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는 열환원로(200), 열환원로에서 열을 공급받아 마그네슘 증기를 생성하는 반응관(300) 및 상기 반응관에서 생성된 증기가 순차적으로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1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10)을 포함하는 응축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1000)의 응축장치(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응축장치(1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 지므로 응축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반응관(300)은 열환원로(200)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버너(201)에 의해 가열된 열환원로(20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반응관(300)에는 소성 돌로마이트와 환원제인 페로실리콘의 혼합체로 만들어진 단광이 유입되는 유입구(301)와 가열된 반응관(300) 내부에서 환원 반응이 완료된 폐단광이 배출되는 배출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응관(300)은 열환원로(20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평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1000)는 반응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분진 흡입장치(400) 및 반응관(300)과 응축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는 포집관(500)과 포집관(500)과 응축장치(100)사이에 위치하고 포집관(500)에 결합되는 제어밸브(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광을 반응관(300)에 장입 시킨 후, 반응관(300)에 가열되는 가열초기에는 반응관(300)의 온도가 약 400°C 정도 까지 상승할 때까지는 다량의 수분 및 분진 등이 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장치(100)에 수분이나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열초기에는 분진 흡입장치(400)를 가동하여 반응관(300) 내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반응관(300)의 내부 온도는 약 1160~1220°C를 유지하게 되면 단광에 함유된 약 72~75% 페로실리콘 합금 중 실리콘 성분이 환원제로 작용하여 규소 열환원 반응(silicothermic reduction)에 의해 환원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분진 흡입장치(400)는 반응관(300)의 내부 온도가 약 1160~1220°C에 도달 하여 마그네슘 증기가 생성되기 시작할 때까지 가동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밸브(600)는 분진 흡입장치(400)가 가동 중에는 반응관 내부의 오염 물질 등이 응축장치(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반응관(300) 내부의 온도가 약 1160~1220°C에 도달 할 때 까지는 분진 흡입장치(400)가 가동되고, 제어밸브(600)가 응축장치(100)로의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응관(300) 내부의 온도가 약 1160~1220°C에 도달하게 되면, 분진 흡입장치(400)의 가동이 중단되고, 제어밸브(600)가 열리게 되어, 응축장치(100)로 마그네슘 증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반응관(300)에서 환원된 마그네슘 증기는 반응관(300)에 포집관(500)으로 연결된 응축장치(100)의 주형(10)의 제1 주형부 내지 제3 주형부(111 내지 113)에서 순차적으로 응축되어 마그네슘으로 회수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장치(100)는 반응관(300)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응관(300)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응축장치(100)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장치(70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밸브(600)가 개방된 후 응축장치(100) 내부는 공기 흡입장치(700)의 가동에 의하여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장치(1000)에 따르면, 단광이 가열되는 가열초기에 발생되는 수분 및 분진 등의 오염물질은 분진 흡수장치(400)에 흡수되고, 반응관(300)에서 생성된 순수한 마그네슘 증기만이 응축장치(100)에 유입되어 응축된 순후한 마그네슘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마그네슘 크라운을 다시 용해하고 불순물을 없애기 위하여 정련하며 원하는 모양의 마그네슘을 만들기 위해 주조하는 과정 없이, 마그네슘을 주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연속적인 마그네슘 생산 작업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마그네슘 생산 공정이 자동화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주형 11: 주형부
12: 도입단 111: 제1 주형부
112: 제2 주형부 113: 제3 주형부
20: 냉각장치 21: 제1 냉각부
22: 제2 냉각부 23: 제3 냉각부
30: 집전장치 100: 응축장치
200: 열환원로 300: 반응관
400: 분진 흡입장치 500: 포집관
600: 제어밸브

Claims (13)

  1. 마그네슘 증기가 순차적으로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을 포함하며,
    상기 주형은,
    상기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도입단 및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슘 증기는 말단에서 응축이 시작되어 상기 도입단에서 응축이 멈추고,
    상기 주형은,
    상기 말단에 위치하는 제1 주형부, 상기 도입단에 위치하는 제3 주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형부 및 상기 제3 주형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주형부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응축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응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제1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1 냉각부, 상기 제2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2 냉각부와 상기 제3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3 냉각부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응축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에 냉각매체가 유입되어 상기 제1 주형부에서 마그네슘 증기의 응축이 종료되면, 상기 제2 냉각부에 냉각매체가 유입되어 상기 제2 주형부에서 응축이 시작되고, 상기 제2 주형부에서 응축이 종료되면 상기 제3 냉각부에 냉각매체가 유입되어 상기 제3 주형부에서 응축이 시작되는 마그네슘 응축장치.
  6. 제1 항,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들 사이를 통과하여 마그네슘의 용융점 보다 더 용융점이 낮은 물질이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집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응축장치.
  7. 마그네슘 원재료가 공급되는 반응관;
    상기 반응관을 가열하여 마그네슘 증기를 생성시키는 열환원로; 및
    상기 반응관에서 생성된 마그네슘 증기가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주형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형을 포함하는 응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형은,
    상기 마그네슘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도입단에 위치하는 제3 주형부,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말단에 위치하는 제1 주형부 및 상기 제1 주형부 및 상기 제3 주형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주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슘 증기는 상기 제1 주형부에서 응축이 시작되어 상기 제3 주형부에서 응축이 멈추는 마그네슘 제조장치.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제1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1 냉각부, 상기 제2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2 냉각부와 상기 제3 주형부에 결합되는 제3 냉각부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장치.
  10. 제7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마그네슘 증기의 용융점 보다 더 용융점이 낮은 물질이 응축되는 하나 이상의 집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분진 흡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관과 상기 응축장치를 연결하는 포집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관과 결합되어 상기 마그네슘 증기의 상기 응축장치로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밸브가 개방된 후 상기 응축장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장치.
KR1020100136717A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KR10124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717A KR101242705B1 (ko)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717A KR101242705B1 (ko)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777A KR20120074777A (ko) 2012-07-06
KR101242705B1 true KR101242705B1 (ko) 2013-03-12

Family

ID=4670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717A KR101242705B1 (ko)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7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239A (ja) 1985-11-21 1987-06-05 Toyota Motor Corp 金属マグネシウムの製造方法
KR19980702359A (ko) * 1997-08-20 1998-07-15 터그럴 야사르 초고순도 마그네슘 및 진공 증류 정제 방법 및 장치
KR20000037338A (ko) * 1996-08-30 2000-07-05 자드밀라 제트, 흐르벡 마그네슘의 제조방법
KR20040022842A (ko) * 2002-09-10 2004-03-18 유병돈 마그네슘 스크랩의 진공증류 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239A (ja) 1985-11-21 1987-06-05 Toyota Motor Corp 金属マグネシウムの製造方法
KR20000037338A (ko) * 1996-08-30 2000-07-05 자드밀라 제트, 흐르벡 마그네슘의 제조방법
KR19980702359A (ko) * 1997-08-20 1998-07-15 터그럴 야사르 초고순도 마그네슘 및 진공 증류 정제 방법 및 장치
KR20040022842A (ko) * 2002-09-10 2004-03-18 유병돈 마그네슘 스크랩의 진공증류 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777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51178B (zh) 大尺寸、超纯净、高性能镍基合金690的电渣重熔方法
CN101126602A (zh) 一种镁合金熔池式坩埚电阻炉
CN106756094A (zh) 锌蒸馏炉
CN103602817A (zh) 再生铝高低双炉低温预除杂工艺
CN209399786U (zh) 一种熔炼炉的余热回收装置
KR101242705B1 (ko) 마그네슘 응축장치 및 마그네슘 응축장치가 포함된 마그네슘 제조장치
CN209470511U (zh) 一种带有余热回收利用装置的铝熔炉
KR101242704B1 (ko) 마그네슘 제조장치
WO2011032326A1 (zh) 陶壳与蜡模脱离的方法及装置
CN211921658U (zh) 一种提高还原粗镁纯度的装置
CN114408929A (zh) 一种氟硅酸和二氧化硅混合料浆的分离提纯方法及系统
CN211284260U (zh) 一种捕蜡装置
CN208187138U (zh) 一种利用铁水浇筑余热的热能回收供暖装置
CN103574567A (zh) 热渣热能回收装置
CN207840061U (zh) 一种垂直分型射压铸造生产线
CN210908006U (zh) 一种热芯盒射芯机尾气处理装置
CN206392820U (zh) 一种合金液净化用虹吸转移管
CN207635853U (zh) 一种中频炉
KR101159599B1 (ko) 전기로용 혼합 챔버
CN106825485B (zh) 一种合金液净化用虹吸转移管
CN206143289U (zh) 一种铝熔体净化装置
CN205228122U (zh) 一种冲天炉水冷风嘴
CN204214283U (zh) 熔炼炉烟气冷却塔
CN109332634A (zh) 一种半固态立式压铸机
CN220328303U (zh) 一种尾气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