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501B1 - 이동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501B1
KR101242501B1 KR1020117025910A KR20117025910A KR101242501B1 KR 101242501 B1 KR101242501 B1 KR 101242501B1 KR 1020117025910 A KR1020117025910 A KR 1020117025910A KR 20117025910 A KR20117025910 A KR 20117025910A KR 101242501 B1 KR101242501 B1 KR 10124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node
bearer
layer function
base station
radio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496A (ko
Inventor
히데아키 타카하시
유리 안다르마원티 햅사리
아닐 우메쉬
미키오 이와무라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0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2와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GPP에서 규정되고 있는 LTE 방식(Release. 8)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 UE의 무선기지국 eNB#1로부터 무선기지국 eNB#2로의 핸드오버 처리가 수행될 때에, 무선기지국 eNB#1과 무선기지국 eNB#2와의 사이에서 X2 베어러가 설정되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X2 베어러를 통해 무선기지국 eNB#1로부터 무선기지국 eNB#2에 대해 U 플레인 PDU(Protocol Data Unit)가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 eNB#1 및 무선기지국 eNB#2는, 상술한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레이어1/2(NW L1/L2) 기능과, IP(Internet Protocol) 레이어 기능과, UDP(User Datagram Protocol) 레이어 기능과, GTP(GPRS Tunneling Protocol)-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LTE 방식의 후계 통신방식인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 UE와 무선기지국 eNB와의 사이에, 무선기지국 eNB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을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릴레이 노드 RN이 접속된 경우, 어떻게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지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릴레이 노드가 접속된 경우라도, 이동국의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와 제1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과 제2 무선기지국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1 릴레이 노드와 제1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제2 릴레이 노드와 제2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1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가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가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가 접속된 경우라도, 이동국의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이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환국 MME와, 릴레이 노드 RN1 내지 RN4와, 릴레이 노드 RN1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기지국 DeNB(Donor eNB)1과, 릴레이 노드 RN2 및 RN3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기지국 DeNB2와, 무선기지국 eNB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기지국 DeNB1과 무선기지국 DeNB2가,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무선기지국 DeNB2와 무선기지국 eNB1이,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무선기지국 DeNB2 및 무선기지국 eNB1의 각각과, 교환국 MME가, S1-MME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 UE는, 무선기지국 eNB(DeNB) 및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동국 UE는, 특정한 장치(무선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다른 장치(무선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이동국 UE가, 도 1의 (1) 내지 (6)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1) 및 (5)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1)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5)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제2 릴레이 노드)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3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1)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내에 다중되어 있는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패턴(5)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내에 다중되어 있는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Quality of Service)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QoS는, 예를 들면, 이동국 UE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마다 설정되는 것이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 혹은,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Radio Link Control)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 혹은,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혹은,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혹은,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1) 및 (5)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있어서도,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 혹은,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혹은,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혹은,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2)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1) 및 (5)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2에서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는, 이동국 UE마다, 그리고,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 혹은,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상에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혹은,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에 부여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상에서, 이동국마다의 우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3)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서는, 상술한 (1) 및 (5)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상술한 X2 베어러를 통해서가 아니라, S1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혹은,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상술한 X2 베어러가 설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2)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2)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제1 무선기지국)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무선기지국 DeNB1(제2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무선기지국 DeNB1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2)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내에 다중되어 있는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으며,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1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유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유선 베어러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과,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네트워크 레이어2(NW L2)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기지국 DeNB1은,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1의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1과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무선기지국 DeNB1과의 사이에서 유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유선 베어러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과,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네트워크 레이어2(NW L2)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 및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1)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2)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대해,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있어서도,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2)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대해,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2에서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는, 이동국 UE마다, 그리고,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의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무선기지국 DeNB1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2)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 상에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에 부여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상에서, 이동국마다의 우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3)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서는, 상술한 (2)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상술한 X2 베어러를 통해서가 아니라, S1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X2 베어러가 설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3)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3)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1(제1 릴레이 노드)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1 및 무선기지국 DeNB1(제1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릴레이 노드 RN2(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제2 무선기지국)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3)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1과 무선기지국 DeNB1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내에 다중되어 있는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1과 무선기지국 DeNB1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으며,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 RN1과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1 및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1 및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유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유선 베어러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과,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네트워크 레이어2(NW L2)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1 및 릴레이 노드 RN2의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릴레이 노드 RN1과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1)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3)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대해, 상술한 제3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있어서도,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1 및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2)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3)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대해, 상술한 제3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2에서는,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는, 이동국 UE마다, 그리고,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1 및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유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및 무선기지국 DeNB2의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무선기지국 DeNB1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3)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는,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와,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와,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를 통해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에 부여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1과 릴레이 노드 RN1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상에서, 이동국마다의 우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3)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서는, 상술한 (3)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상술한 X2 베어러를 통해서가 아니라, S1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릴레이 노드 RN1과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X2 베어러가 설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4)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4)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2(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2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릴레이 노드 RN3(제2 릴레이 노드)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3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4)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내에 다중되어 있는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으며,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 RN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2 및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2 및 릴레이 노드 RN3의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릴레이 노드 RN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1)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4)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대해, 상술한 제4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있어서도,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2)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4)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대해, 상술한 제4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2에서는,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는, 이동국 UE마다, 그리고,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 및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4)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는,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를 통해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에 부여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상에서, 이동국마다의 우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3)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서는, 상술한 (4)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상술한 X2 베어러를 통해서가 아니라, S1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상술한 X2 베어러가 설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6)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6)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제2 릴레이 노드)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무선기지국 DeNB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6)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내에 다중되어 있는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으며,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 RN4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상술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의 (UE) GTP-U 레이어 기능은, 릴레이 노드 RN4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1)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6)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대해, 상술한 제5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있어서도,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이동국 UE의 수만큼,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2)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6)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대해, 상술한 제5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2에서는,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는, 이동국 UE마다, 그리고, QoS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6)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는,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를 통해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에 부여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per UE)' 상에서, 이동국마다의 우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3)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서는, 상술한 (6)에 도시하는 패턴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신호(U 플레인 PDU)를, 상술한 X2 베어러를 통해서가 아니라, S1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상술한 X2 베어러가 설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1) 내지 (6)에 도시하는 패턴 이외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X2 베어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에서는,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4 및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4 및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릴레이 노드 RN2는,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과,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DP 레이어 기능과, UD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UE) GTP-U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용 X2 베어러 '(RN) X2 베어러'는, QoS마다 설정되어 있으며,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이동국 UE용 X2 베어러 '(UE) X2 베어러'도,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 및, 무선기지국 DeNB2와 릴레이 노드 RN2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DeNB, eNB나 교환국 MME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DeNB, eNB나 교환국 MM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UE)이나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DeNB, eNB나 교환국 MM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 및 상기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상기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에 멀티플랙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1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용 제1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 및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용 제1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에 멀티플랙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국용 제2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 및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용 제2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에 멀티플랙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이동국용 제1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 및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용 제1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에 멀티플랙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국용 제2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 및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용 제2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에 멀티플랙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이동국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 및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용 X2 인터페이스의 베어러에 멀티플랙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17025910A 2009-04-27 2010-04-27 이동통신시스템 KR101242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8566 2009-04-27
JP2009108566 2009-04-27
PCT/JP2010/057483 WO2010126052A1 (ja) 2009-04-27 2010-04-27 移動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96A KR20120004496A (ko) 2012-01-12
KR101242501B1 true KR101242501B1 (ko) 2013-03-12

Family

ID=4303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910A KR101242501B1 (ko) 2009-04-27 2010-04-27 이동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77266B2 (ko)
EP (1) EP2426992A4 (ko)
JP (1) JP4932966B2 (ko)
KR (1) KR101242501B1 (ko)
CN (1) CN102415142B (ko)
BR (1) BRPI1016096A2 (ko)
CA (1) CA2760432A1 (ko)
MY (1) MY165250A (ko)
RU (1) RU2505944C2 (ko)
WO (1) WO2010126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5838A1 (en) * 2012-09-12 2015-07-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control in heterogenous network
EP2713651A1 (en) * 2012-09-28 2014-04-02 Alcatel Lucent Method for handover management with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3974228B (zh) * 2013-01-30 2019-05-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x2代理的方法及系统
US11023460B2 (en) 2017-12-22 2021-06-01 Teradata Us, Inc. Transparent user-defined function (UDF) optimization
US11251988B2 (en) * 2019-01-30 2022-02-15 Cisco Technology, Inc. Aggregating bandwidth across a wireless link and a wireline link
US11489769B2 (en) 2019-03-20 2022-11-01 Cisco Technology, Inc. Virtualized radio access network architecture for applications requiring a time sensitive network
WO2024096635A1 (en) * 2022-11-02 2024-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me of mobilit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1501A1 (en) * 1985-02-15 1986-08-20 WING, George Seabrook An improved thread form and fastener system using the form
JP2008172757A (ja) * 2007-01-05 2008-07-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無線マルチユーザ・マルチホップリレ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クロダイバシティハンドオーバおよび高速アクセス局切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4013B2 (ja) * 2003-05-12 2010-10-2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システムで用いる方法及び装置
WO2006090269A1 (en) * 2005-02-28 2006-08-31 Nokia Siemens Networks Oy Handoff solution for converging cellular networks based on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KR100901137B1 (ko) 2006-01-03 2009-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관리 방법 및 장치
JP4484226B2 (ja) 2006-01-27 2010-06-16 Kddi株式会社 Ieee802.16を適用した中継局におけるサービス接続識別子の集約方法、プログラム及び中継局
US8140077B2 (en) 2006-04-19 2012-03-20 Nokia Corporation Handover or location update for optimization for relay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65776A1 (en) * 2007-01-08 2008-07-10 Zhifeng Tao Relay Tunneling in Wireless Multi-User Multi-Hop Relay Networks
CN101384068B (zh) * 2007-09-07 2012-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台切换参数协商方法和装置
WO2009112941A2 (en) * 2008-03-14 2009-09-17 Nortel Networks Limited Distributed arq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377767T3 (es) * 2008-05-15 2012-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envío de datos durante el traspaso en una celda con auto retorno
US8942165B2 (en) * 2008-08-01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2765B2 (en) * 2009-03-17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n relay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1501A1 (en) * 1985-02-15 1986-08-20 WING, George Seabrook An improved thread form and fastener system using the form
JP2008172757A (ja) * 2007-01-05 2008-07-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無線マルチユーザ・マルチホップリレ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クロダイバシティハンドオーバおよび高速アクセス局切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05944C2 (ru) 2014-01-27
JPWO2010126052A1 (ja) 2012-11-01
US20120115480A1 (en) 2012-05-10
CN102415142B (zh) 2013-07-10
CN102415142A (zh) 2012-04-11
CA2760432A1 (en) 2010-11-04
RU2011145532A (ru) 2013-06-10
WO2010126052A1 (ja) 2010-11-04
JP4932966B2 (ja) 2012-05-16
EP2426992A1 (en) 2012-03-07
MY165250A (en) 2018-03-14
US8977266B2 (en) 2015-03-10
BRPI1016096A2 (pt) 2019-09-24
EP2426992A4 (en) 2012-12-19
KR20120004496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501B1 (ko) 이동통신시스템
AU201024264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70448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リレーノード、無線基地局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101193107B1 (ko) 이동통신시스템
WO2014027604A1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KR101324298B1 (ko) 이동통신시스템
KR101298729B1 (ko) 이동통신시스템
KR101404030B1 (ko) 이동통신시스템
JP5058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537304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201113951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リレーノード、無線基地局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20150042715A (ko) 무선 링크의 품질 유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