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30B1 - 이동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30B1
KR101404030B1 KR1020117025554A KR20117025554A KR101404030B1 KR 101404030 B1 KR101404030 B1 KR 101404030B1 KR 1020117025554 A KR1020117025554 A KR 1020117025554A KR 20117025554 A KR20117025554 A KR 20117025554A KR 101404030 B1 KR101404030 B1 KR 10140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node
layer function
base station
radio bearer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299A (ko
Inventor
유리 안다르마원티 햅사리
히데아키 타카하시
아닐 우메쉬
미키오 이와무라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1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38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secur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의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핸드오버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GPP에서 규정되고 있는 LTE 방식(Release. 8)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 UE의 무선기지국 eNB#1로부터 무선기지국 eNB#2로의 핸드오버 처리가 수행될 때에, 무선기지국 eNB#1과 무선기지국 eNB#2와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X2 베어러를 통해, 무선기지국 eNB#1과 무선기지국 eNB#2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 eNB#1 및 무선기지국 eNB#2는, X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X2 베어러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레이어1(NW L1) 기능과, 네트워크 레이어2(NW L2) 기능과, IP(Internet Protocol) 레이어 기능과,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1:3GPP TS36.423,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X2 application protocol(X2AP)
LTE 방식의 후계 통신방식인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 UE와 무선기지국 eNB와의 사이에, 무선기지국 eNB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을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릴레이 노드 RN이 접속된 경우, 어떻게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지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릴레이 노드가 접속된 경우라도, 이동국의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가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킵 얼라이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레이어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는, 상기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시큐리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레이어 기능과, 상기 제1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킵 얼라이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레이어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가 접속된 경우라도, 이동국의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현재상황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이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환국 MME와, 릴레이 노드 RN1 내지 RN4와, 릴레이 노드 RN1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기지국 DeNB(Donor eNB)1과, 릴레이 노드 RN2 및 RN3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기지국 DeNB2와, 무선기지국 eNB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기지국 DeNB1과 무선기지국 DeNB2가,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무선기지국 DeNB2와 무선기지국 eNB1이,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 무선기지국 DeNB1, 무선기지국 DeNB2 및 무선기지국 eNB1의 각각과, 교환국 MME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 UE는, 무선기지국 eNB(DeNB) 및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도 1의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3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의 X2-C 무선 베어러(무선 베어러)를 통해, 핸드오버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X2AP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X2-C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X2-C 무선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PHY) 레이어 기능과, 물리(PHY)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Radio Link Control)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PDC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X2-C 무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의 시큐리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제1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X2-C 무선 베어러에 대한 킵 얼라이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SCTP 레이어 기능(제2 레이어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혹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X2-C 무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X2-C 무선 베어러에 대한 킵 얼라이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SCT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도 3의 예에서는,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릴레이 노드 RN2와 무선기지국 DeNB2와의 사이의 시큐리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3 및 릴레이 노드 RN4는, X2-C 무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X2-C 무선 베어러에 대한 킵 얼라이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SCTP 레이어 기능, 및,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의 시큐리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I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3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 핸드오버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4가, 단계 S1000에 있어서, 이동국 UE의 'UE Context'를 관리하고 있으며, 단계 S1001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 UE의 릴레이 노드 RN4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으로의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HO Request(핸드오버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릴레이 노드 RN3은, 'HO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1002에 있어서, 이동국 UE의 'UE Context'를 기억하고, 단계 S1003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에 대해,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HO Request Ack(핸드오버 요구확인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1004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는, 이동국 UE에 대해, RRC 레이어 기능에 의해, 릴레이 노드 RN3으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는 'HO Command(핸드오버 지시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이동국 UE는, RRC 레이어 기능에 의해,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HO Complete(핸드오버 완료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1006A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기지국 DeNB2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패스전환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1006B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국 MME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패스전환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1007A에 있어서, 교환국 MME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기지국 DeNB2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 Ack(패스전환 요구확인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1007B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 Ack(패스전환 요구확인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이동국 UE 앞으로의 신호의 전송처를, 릴레이 노드 RN4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으로 전환한다.
단계 S1008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은,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릴레이 노드 RN4에 대해, 'UE Context Release'를 송신하고, 릴레이 노드 RN4는, 'UE Context Release'에 따라, 이동국 UE의 'UE Context'의 관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이 교체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던 각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큰 수정을 실시하지 않고, 릴레이 노드 RN이 관련하는 핸드오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 UE의 핸드오버 처리시에, 릴레이 노드 RN3과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X2-C 무선 베어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3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 핸드오버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4가, 단계 S2000에 있어서, 이동국 UE의 'UE Context'를 관리하고 있으며, 단계 S2001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 UE의 릴레이 노드 RN4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으로의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HO Request'를 송신한다.
릴레이 노드 RN3은, 'HO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2002에 있어서, 이동국 UE의 'UE Context'를 기억하고, 단계 S2003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에 대해,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HO Request Ack'를 송신한다.
단계 S2004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는, 이동국 UE에 대해, RRC 레이어 기능에 의해, 릴레이 노드 RN3으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는 'HO Command'를 송신한다.
단계 S2005에 있어서, 이동국 UE는, RRC 레이어 기능에 의해,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HO Complete'를 송신한다.
단계 S2006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기지국 DeNB2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20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 Ack'를 송신함과 함께, 이동국 UE 앞으로의 신호의 전송처를, 릴레이 노드 RN4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무선기지국 DeNB2는, 릴레이 노드 RN3 및 RN4가 자신의 배하에 있다고 판단하여, 교환국 MME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 Ack'를 송신하지 않는다.
단계 S2008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은,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릴레이 노드 RN4에 대해, 'UE Context Release'를 송신하고, 릴레이 노드 RN4는, 'UE Context Release'에 따라, 이동국 UE의 'UE Context'의 관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이 교체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 UE가, 릴레이 노드 RN4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과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과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릴레이 노드 RN3 및 무선기지국 DeNB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 핸드오버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4가, 단계 S3000에 있어서, 이동국 UE의 'UE Context'를 관리하고 있으며, 단계 S3001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 UE의 릴레이 노드 RN4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으로의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HO Request'를 송신한다.
릴레이 노드 RN3은, 'HO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3002에 있어서, 이동국 UE의 'UE Context'를 기억하고, 단계 S3003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에 대해,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HO Request Ack'를 송신한다.
단계 S3004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는, 이동국 UE에 대해, RRC 레이어 기능에 의해, 릴레이 노드 RN3으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는 'HO Command'를 송신한다.
단계 S3005에 있어서, 이동국 UE는, RRC 레이어 기능에 의해, 릴레이 노드 RN3에 대해, 'HO Complete'를 송신한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 RN3은, 릴레이 노드 RN4가 자신의 배하에 있다고 판단하여, 무선기지국 DeNB2에 대해, 'Path switch Request Ack'를 송신하지 않는다.
단계 S3006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3은, 이동국 UE 앞으로의 신호의 전송처를, 릴레이 노드 RN4로부터 릴레이 노드 RN3 배하의 셀로 전환하고, X2-C 무선 베어러를 통해, 릴레이 노드 RN4에 대해, 'UE Context Release'를 송신하고, 릴레이 노드 RN4는, 'UE Context Release'에 따라, 이동국 UE의 'UE Context'의 관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4와 릴레이 노드 RN3이 교체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eNB나 교환국 MME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eNB나 교환국 MM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UE)이나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eNB나 교환국 MM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가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국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에 대해, 핸드오버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핸드오버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에 대해, 핸드오버 요구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상기 핸드오버 요구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는 핸드오버 지시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2. 제1 릴레이 노드와 제2 릴레이 노드가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이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는, Un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기능으로서, 물리 레이어 기능과, 상기 물리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MAC 레이어 기능과, 상기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LC 레이어 기능과, 상기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PDCP 레이어 기능과, 상기 PDC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RRC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는, 상기 무선 베어러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IP 레이어 기능과, 상기 I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SCTP 레이어 기능과, 상기 SCT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으로서 마련되어 있는 X2AP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핸드오버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의 X2AP 레이어 기능과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의 X2AP 레이어 기능과의 사이에서, 종단(終端)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삭제
KR1020117025554A 2009-04-27 2010-04-27 이동통신시스템 KR101404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8557 2009-04-27
JPJP-P-2009-108557 2009-04-27
PCT/JP2010/057485 WO2010126053A1 (ja) 2009-04-27 2010-04-27 移動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99A KR20120018299A (ko) 2012-03-02
KR101404030B1 true KR101404030B1 (ko) 2014-06-09

Family

ID=4303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554A KR101404030B1 (ko) 2009-04-27 2010-04-27 이동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93066A1 (ko)
EP (1) EP2427031A1 (ko)
JP (1) JP5247881B2 (ko)
KR (1) KR101404030B1 (ko)
CN (1) CN102415208A (ko)
CA (1) CA2760047A1 (ko)
WO (1) WO2010126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8798A (zh) * 2009-07-03 201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系统中终端的移动性管理方法及系统
CN104798392A (zh) * 2012-09-12 2015-07-2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异构网络中的移动性控制的方法和设备
JP7452442B2 (ja) 2021-01-07 2024-03-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内燃機関の1軸バラン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489A (ja) * 1995-03-06 1996-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方式
JP2008118202A (ja) 2006-10-31 2008-05-2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とゲートウェイ装置間の制御信号伝送方法
WO2009050794A1 (ja) 2007-10-16 2009-04-23 Fujitsu Limited 中継局装置、端末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分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32431T2 (de) * 1992-09-08 2003-06-18 Sun Microsystem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indungsmöglichkeitserhaltung von Knoten in einem drahtlosen lokalen Netz
US20070086387A1 (en) * 2005-10-1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774182B2 (en) * 2005-11-12 2014-07-08 Apple Inc. Media access control data plan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1072424A (zh) * 2006-05-09 2007-1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中转系统中配置业务通路和移动站可靠切换的方法
US7620370B2 (en) * 2006-07-13 2009-11-17 Designart Networks Ltd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point network with wireless backhaul
TWI352550B (en) * 2006-10-04 2011-11-11 Ind Tech Res Ins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data
CN101779516A (zh) * 2007-08-10 2010-07-14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以及基站
US8780814B2 (en) * 2008-04-04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bearer establishment in E-utran/EPS
JP5038350B2 (ja) * 2009-04-27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JP4954238B2 (ja) * 2009-04-27 2012-06-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JP4937296B2 (ja) * 2009-04-27 2012-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JP5072900B2 (ja) * 2009-04-27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方法
JP5225191B2 (ja) * 2009-04-28 2013-07-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489A (ja) * 1995-03-06 1996-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方式
JP2008118202A (ja) 2006-10-31 2008-05-2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とゲートウェイ装置間の制御信号伝送方法
WO2009050794A1 (ja) 2007-10-16 2009-04-23 Fujitsu Limited 中継局装置、端末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分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99A (ko) 2012-03-02
EP2427031A1 (en) 2012-03-07
JPWO2010126053A1 (ja) 2012-11-01
WO2010126053A1 (ja) 2010-11-04
JP5247881B2 (ja) 2013-07-24
CN102415208A (zh) 2012-04-11
CA2760047A1 (en) 2010-11-04
US20120093066A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107B1 (ko) 이동통신시스템
KR101223997B1 (ko) 이동통신시스템
KR101266033B1 (ko) 이동통신시스템
AU201024264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85427B1 (ko) 이동통신시스템
KR101324298B1 (ko) 이동통신시스템
KR101404030B1 (ko) 이동통신시스템
JP556409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537304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505838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CA2759905C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1320078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