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083B1 -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083B1
KR101242083B1 KR1020100052434A KR20100052434A KR101242083B1 KR 101242083 B1 KR101242083 B1 KR 101242083B1 KR 1020100052434 A KR1020100052434 A KR 1020100052434A KR 20100052434 A KR20100052434 A KR 20100052434A KR 101242083 B1 KR101242083 B1 KR 10124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ggage
sensor
height
over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862A (ko
Inventor
최의식
김승호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05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0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083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가 상이한 이송 시스템 사이에서 이송되는 수하물의 정상 적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방법은, 속도가 상이한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하물의 외형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이 적재된 이송용기가 속도가 상이한 이송부로 진입하는 것을 제1 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의 전방 돌출, 상하 돌출, 좌측 돌출, 및 우측 돌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돌출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하물이 적재된 이송장치가 진출하는 것을 제2 센서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BAGGAGE APPEARANCE DETEC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공항에서 항공수하물을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 라인의 수하물이 고속 트레이 라인의 트레이로 옮겨질 때 안전하게 탑재되었는지 외형적으로 감지하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수단으로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적재 상태가 불량하여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육안으로 적재 상태를 확인한다. 만약 적재 상태가 불량할 경우 제품 창고에 입고시 제품 손실 및 제품의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10-344960호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의 화물 적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예컨대, 1일 540편의 항공기와 84,000여명의 여객이 이용하는 인천국제공항과 같은 대형 공항에서는 대량의 승객의 수하물을 2m/s 정도의 속력으로 운송하는 컨베이어 만으로는 요구되는 수하물 처리 속도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수하물 처리 시스템에는 저속 이송 구간에는 2m/s 정도의 속력으로 수하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고속 이송 구간에는 20m/s 정도의 속력으로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는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저속 이송 구간 -> 고속 이송 구간 -> 저속 이송 구간의 방식으로 수하물을 운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 중에 있다.
그런데,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대량의 수하물을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의 트레이에 자동으로 옮겨 실어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트레이에 비정상적으로 적재된 수하물 또는 원통이나 구 형태의 수하물은 이송 도중에 굴러 떨어져서 망실되거나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 설비와 부딪쳐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승객의 수하물을 항공기에 탑재하지 못하여 항공기가 지연되거나 항공기에 미탑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344960호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의 화물 적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속도가 상이한 이송 시스템 사이에서 이송되는 수하물의 정상 적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속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에서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의 트레이로 이동되는 수하물의 정상 적재 여부를 외형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외형 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는, 이송되는 수하물의 외형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속도로 상기 수하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 속도와 상이한 제2 속도로 상기 수하물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이동하는 상기 수하물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송부의 제2 속도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제1 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의 연결지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 이송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가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하물이 탑재되는 이송용기의 진입시 상기 이송용기의 전단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기의 진출시 상기 이송용기의 후단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는 오버 하이트 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좌측라인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감지하는 좌측 과적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우측라인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감지하는 우측 과적 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전단 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후단 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감지하는 전후방 과적 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제1 지연 시간 이내에 상기 전후방 과적 센서가 동작되면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의 전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1 지연 시간은 상기 이송용기가 상기 제1 센서의 위치로부터 상기 수하물의 과적 여부 판단의 시작을 위한 시작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가 감지된 경우 제2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전후방 과적 센서가 동작되면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의 후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2 지연 시간은 상기 이송용기가 상기 제2 센서의 위치로부터 상기 수하물의 과적 여부 판단의 종료를 위한 종료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방 과적 센서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수광센서가 배치된다.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수하물 외형 감지 방법은, 속도가 상이한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수하물의 외형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이 적재된 이송용기가 속도가 상이한 이송부로 진입하는 것을 제1 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수하물의 전방 돌출, 상하 돌출, 좌측 돌출, 및 우측 돌출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돌출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하물이 적재된 이송장치가 진출하는 것을 제2 센서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하물의 전방 돌출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제1 지연시간 경과 전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전단 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후방 과적 센서가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하물의 상하 돌출은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상기 수하물이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오버 하이트 센서가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하물의 우측 돌출은 고정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좌측라인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좌측 과적 센서가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가 감지되면 상기 수하물이 상기 이송용기 우측라인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우측 과적 센서가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센서가 감지된 경우 제2 지연시간 경과 후 전후방 과적 센서가 상기 수하물의 후방 돌출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이송부의 컨베이어에서 제2 이송부의 이송용기로 이동되는 수하물의 정상 적재 여부를 외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저속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에서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의 트레이로 이동되는 수하물의 정상 적재 여부를 외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공 물류 시스템에서 정해진 시간에 승객의 수하물을 대량으로 이송할 경우 비정형화된 수하물이나 비정상적으로 적재된 수하물의 파손 또는 망실을 방지함으로써 항공기의 이륙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객이 수하물을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실물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측정을 위한 스타트 포인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측정을 위한 스톱 포인트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전면부 과적 측정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후면부 과적 측정 예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과적 메시지 전송 지점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실물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측정을 위한 스타트 포인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측정을 위한 스톱 포인트 예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전면부 과적 측정 예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후면부 과적 측정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는 수하물의 과적상태를 X축, Y축, Z축 방향(도 2 참조)에서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및 센서가 고정된 고정대(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는 헤드 센서(B170, 170M), 테일 센서(B171, 171M), 전후방 과적 센서(Light Curtain Sensor, B152T, B152), 오버 하이트 센서(Overheight Sensor, B176, 176M), 좌측 과적 센서(Left Oversize Sensor, B177, 177M), 및 우측 과적 센서(Right Oversize sensor, B277, 277M(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센서는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는 기계식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트레이(120)가 고정대(10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리셋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고정대(100)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에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의 레일 바닥면에 설치되는 검출센서가 트레이(120)의 접근을 검출하여 접근 검출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출력하면, 중앙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검출 신호 데이터를 리셋시킴과 아울러, 복수의 센서들을 리셋시켜 동작 대기 상태에 이르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대(100)는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위치 지점은 상기 저속 컨베이어 시스템과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속 트레이 라인 시스템 방향으로 3 내지 10 미터 정도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 센서(B170, 170M)는 고정대(100)의 일측 기둥에 설치되는 발광/수광부(B170)와, 타측 기둥에 설치되는 반사경(170M)을 포함하며, 고정대(100)로부터 트레이(120)의 진입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트레이(120)의 헤드부(121) 높이에 설치된다.(도7 참조) 헤드 센서(B170, 170M)의 발광/수광부(B170) 내 발광유닛에서 출력된 발광신호가 반사경(170M)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발광/수광부(B170) 내 수광유닛은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헤드 센서(B170, 170M)가 반사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순간, 트레이(120)가 고정대(100)로 진입하고 있음을 알리는 트레이 진입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출력한다. 여기서, 트레이(120)의 헤드부(121) 높이라 함은 트레이(120)의 형상 중 진행방향 전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121)의 높이를 의미한다.
테일 센서(B171, 171M)는 고정대(100)의 일측 기둥에 설치되는 발광/수광부(B171)와, 타측 기둥에 설치되는 반사경(171M)을 포함하며, 헤드 센서(B170)로부터 고정대(100) 방향으로 고정대(100) 폭만큼(w, 도4, 도7 참조) 이격되어, 트레이(120)의 테일부(123) 높이에 설치된다. 테일 센서(B171, 171M)의 발광/수광부(B171) 내 발광유닛에서 출력된 발광신호가 반사경(171M)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발광/수광부(B171) 내 수광유닛은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테일 센서(B171, 171M)가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순간 트레이(120)가 고정대(120)로부터 진출 완료하고 있음을 알리는 트레이 진출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출력한다. 여기서, 트레이(120)의 테일부(123) 높이라 함은 트레이(120)의 형상 중 진행방향 후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123)의 높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과적 센서(B152T, B152)는 트레이(120)에 적재된 수하물이 트레이(120)의 헤드부(121)의 전방으로 또는 테일부(123)의 후방으로 초과하여 적재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고정대(100)의 일측 기둥에 Z축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발광부(B152T)와, 타측 기둥에 발광부(B152T)와 마주 보도록 Z축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수광부(B152)를 포함한다. 전후방 과적 센서(B152T, B152)는 발광부(B152T)로부터 출력되는 발광신호를 수광부(B152)가 수신하지 못하면 전후방 과적 예비 신호를 출력하는 바,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트레이 진입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제1 지연 시간(tD1) 이내에 전후방 과적 예비신호를 수신하면, 전방 과적으로 판단하고, 트레이 진출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제2 지연 시간(tD2) 이후에 전후방 과적 예비신호를 수신하면 후방 과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지연 시간(tD1)이라 함은 트레이(120)의 헤드부(121)가 헤드 센서(B170, 170M)의 위치로부터 과적 판단의 시작을 위한 스타트 포인트(start point)에 이르는 시간이고, 제2 지연 시간(tD2)이라 함은 트레이(120)의 테일부(123)가 테일 센서(B171, 171M)의 위치로부터 과적 판단의 종료를 위한 스톱 포인트(stop point)에 이르는 시간이다. 한편, 스타트 포인트(start point)와 스톱 포인트(stop point)는 물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 고정대(100)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를 일컫는 가상의 지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 하이트 센서(B176, 176M)는 트레이(120)에 적재된 수하물이 설정 높이를 초과하여 적재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고정대(100)의 일측 기둥에 설치되는 발광/수광부(B176)와, 타측 기둥에 발광/수광부와 마주 보도록 설치되는 반사경(176M)을 포함한다. 발광/수광부(B176)와, 반사경(176M)의 간격은 트레이(120) 내부의 수하물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오버 하이트 센서(B176, 176M)의 발광/수광부 내 발광유닛에서 출력된 발광신호가 반사경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발광/수광부 내 수광유닛은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오버 하이트 센서의 수광 유닛이 소정의 설정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 반사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설정 높이 초과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트레이 진입 신호의 수신으로부터 트레이 진출 신호의 수신 사이에 중앙제어부(미도시)가 오버 하이트 센서(B176, 176M)로부터 설정 높이 초과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수하물이 설정 높이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과적 센서(B177, 177M)는 트레이에 적재된 수하물이 트레이 좌측 라인보다 돌출되어 적재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고정대(100)의 수평보 중앙에서 좌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직하방으로 오버 하이트 센서(176M)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는 발광/수광부(B177)와, 발광/수광부와 마주 보도록 고정대(100) 수직 하부에 설치되는 반사경(177M)을 포함한다. 좌측 과적 센서(B177, 177M)의 발광/수광부 내 발광유닛에서 출력된 발광신호가 반사경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발광/수광부 내 수광유닛은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진입 신호와 트레이 진출 신호 사이에 좌측 과적 센서(B177, 177M)의 발광/수광부(B177) 내 수광유닛이 반사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좌측 과적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중앙제어부(미도시)가 좌측 과적 센서(B177, 177M)로부터 좌측 과적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수하물이 트레이 좌측으로 설정치 이상 돌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측 과적 센서(B277, 277M(미도시))는 트레이(120)에 적재된 수하물이 트레이 우측 라인보다 돌출되어 적재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고정대(100)의 수평보 중앙에서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직하방으로 오버 하이트 센서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는 발광/수광부(B277)와, 발광/수광부와 마주 보도록 고정대(100) 하부에 설치되는 반사경(277M)을 포함한다. 우측 과적 센서(B277, 277M)의 발광/수광부(B277) 내 발광유닛에서 출력된 발광신호가 반사경(277M)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발광/수광부 내 수광유닛은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진입 신호와 트레이 진출 신호 사이에 우측 과적 센서(B277, 277M)의 발광/수광부(B277) 내 수광유닛이 반사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우측 과적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중앙제어부(미도시)가 우측 과적 센서(B277, 277M)로부터 우측 과적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수하물이 트레이 우측으로 설정치 이상 돌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의 과적 메시지 전송 지점 예시도이다.
중앙제어부(미도시)는 전후방 과적 센서(B152T, B152)로부터 출력되는 전후방 과적 예비 신호와, 헤드 센서(B170)로부터 출력되는 트레이 진입 신호 그리고 테일 센서(B171)로부터 출력되는 트레이 진출 신호를 이용하여 전후방 과적을 판단하고, 오버 하이트 센서(B176, 176M)로부터 출력되는 설정 높이 초과 신호, 좌측 과적 센서(B177, 177M)로부터 출력되는 좌측 과적 신호, 및 우측 과적 센서(B277, 277M)로부터 출력되는 우측 과적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수신되면, 해당 수하물의 적재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트레이 진출 신호의 발생으로부터 제3 지연 시간(tD3)이 경과하여 트레이(120)의 테일부(123)가 텔레그램 전송 지점에 이르게 되면, 중앙제어부는 상위 서버(미도시)에 적재 상태 불량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3 지연 시간(tD3)은 제2 지연 시간(tD2) 보다 시간적으로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대형 여객 터미널의 물류 처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100: 고정대 B170, 170M: 헤드 센서
B171, 171M: 테일 센서 B152T, B152: 전후방 과적 센서
B176, 176M: 오버 하이트 센서 B177, 177M: 좌측 과적 센서
B277, 277M: 우측 과적 센서

Claims (15)

  1. 이송되는 트레이에 탑재된 수하물의 외형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제1 속도로 수하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라인;
    상기 컨베이어 라인에 연결되고, 트레이 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수하물이 탑재된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 라인 보다 빠른 제2 속도로 이송시키는 트레이 라인;
    상기 컨베이어 라인과 상기 트레이 라인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컨베이어 라인으로부터 상기 트레이 라인에 진입하는 상기 트레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에 이상 탑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트레이 라인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가 위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진입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수하물이 탑재된 트레이의 진입시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하는 헤드 센서 및 상기 헤드 센서로부터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폭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수하물이 탑재된 트레이의 진출시 상기 트레이의 후단을 감지하는 테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수하물이 설정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오버 하이트 센서, 상기 헤드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의 좌측 라인보다 돌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좌측 과적 센서, 상기 헤드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 우측 라인보다 돌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우측 과적 센서 및 상기 헤드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의 전단 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테일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후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의 후단 보다 설정치 이상 돌출하는지를 감지하는 전후방 과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센서는 상기 트레이의 형상 중 진행방향 전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의 높이인 상기 트레이의 헤드부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 센서는 상기 트레이의 형상 중 진행방향 후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의 높이인 상기 트레이의 테일부 높이에 되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하이트 센서는 상기 헤드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한 시점과 상기 테일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후단을 감지한 시점 사이에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수하물이 설정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센서가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감지한 이후 제1 지연 시간 이내에 상기 전후방 과적 센서가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의 전단 보다 설정치 이상의 돌출을 감지하면 전방 과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테일 센서가 상기 수하물이 탑재된 트레이의 진출시 상기 트레이의 후단을 감지한 이후 제2 지연 시간 이후에 전후방 과적 센서가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의 후단 보다 설정치 이상의 돌출을 감지하면 후방 과정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지연 시간은 상기 트레이의 헤드부가 상기 헤드 센서의 위치로부터 과적 판단의 시작을 위한 스타트 포인트에 이르는 시간이고, 상기 제2지연 시간은 상기 트레이의 테일부가 상기 테일 센서의 위치로부터 상기 과적 판단의 종료를 위한 스톱 포인트에 이르는 시간인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과적 센서는 상기 고정부의 수평보 중앙에서 좌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직하방으로 상기 오버 하이트 센서의 설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 좌측 라인보다 돌출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우측 과적 센서는 상기 고정대의 수평보 중앙에서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직하방으로 상기 오버 하이트 센서의 설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수하물이 상기 트레이 우측 라인보다 돌출되는지를 감지하는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52434A 2010-06-03 2010-06-03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24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34A KR101242083B1 (ko) 2010-06-03 2010-06-03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34A KR101242083B1 (ko) 2010-06-03 2010-06-03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62A KR20110132862A (ko) 2011-12-09
KR101242083B1 true KR101242083B1 (ko) 2013-03-11

Family

ID=4550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434A KR101242083B1 (ko) 2010-06-03 2010-06-03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268B1 (ko) * 2019-10-25 2020-06-04 (주)에스티아이 이송 대상물의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WO2021080336A1 (ko) * 2019-10-25 2021-04-29 (주)에스티아이 이송 대상물의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660B (zh) * 2017-01-16 2024-05-03 北京想象无限科技有限公司 用于吸收体的定向系统及定向方法
KR101968024B1 (ko) * 2017-09-27 2019-04-1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수하물 이중적재 판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123A (ja) * 1996-12-31 1998-08-07 Datalogic Spa 物体の体積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44960B1 (ko) * 1999-10-25 2002-07-19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콘베이어 상의 화물 적재 상태 감지 장치
JP2003063609A (ja) * 2001-08-30 2003-03-05 Nippon Yusoki Co Ltd 荷姿検知装置
KR20040095020A (ko) * 2003-05-06 2004-11-12 포철산기(주) 수하물 분리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이송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123A (ja) * 1996-12-31 1998-08-07 Datalogic Spa 物体の体積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44960B1 (ko) * 1999-10-25 2002-07-19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콘베이어 상의 화물 적재 상태 감지 장치
JP2003063609A (ja) * 2001-08-30 2003-03-05 Nippon Yusoki Co Ltd 荷姿検知装置
KR20040095020A (ko) * 2003-05-06 2004-11-12 포철산기(주) 수하물 분리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이송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268B1 (ko) * 2019-10-25 2020-06-04 (주)에스티아이 이송 대상물의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WO2021080336A1 (ko) * 2019-10-25 2021-04-29 (주)에스티아이 이송 대상물의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62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2447B2 (ja) 動的に構成可能な仕分け列構造体を用いてアイテムを自動及び手動で仕分ける方法
JP2020529303A (ja) 視覚ベースの物品の分類及び仕分けシステム
KR101242083B1 (ko) 수하물의 외형 감지 장치 및 방법
US11396428B2 (en) Flexible automated sorting and transport arrangement
CN101210841B (zh) 用于验证置于称重传送机上的特定物体的方法和装置
AU2017308144A1 (en) Object sensing and hand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2018158785A (ja) 車載装置、荷役機、制御回路、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97533B (zh) 一种传输系统及方法
US115601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avoidance by autonomous vehicles
US20180148271A1 (en)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JP2020070121A (ja) 搬送方法、搬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パレット
KR20170011630A (ko) 무인이송차량을 이용한 물품 이송시스템
US8909369B2 (en) Transport facility
CN212221594U (zh) 用于运输机器人的传送带对接系统和智能运输机器人系统
JP2020075793A (ja) 仕分け装置
KR102535709B1 (ko) 검사 시스템
EP3808460A1 (en) Parcel sorting system and method
CA31137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obile automation apparatus light emitters
US20220324494A1 (en) Rail-guided vehicle
CN112441379B (zh) 传输装置及传输装置的控制方法
CN112307874A (zh) 作业量计算系统
JP2023518325A (ja) 商品の積み込み及び積み下ろし又はエリア移送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7468303B2 (ja) 荷物積付装置
CN211033930U (zh) 一种笼车到位感应装置及笼车回库系统
CN111252519A (zh) 一种用于运输机器人的传送带对接系统及其作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