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10B1 - 자동차용 연료캡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10B1
KR101240810B1 KR1020110098918A KR20110098918A KR101240810B1 KR 101240810 B1 KR101240810 B1 KR 101240810B1 KR 1020110098918 A KR1020110098918 A KR 1020110098918A KR 20110098918 A KR20110098918 A KR 20110098918A KR 101240810 B1 KR101240810 B1 KR 10124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ap
fuel
wall
teth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캡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연료캡을 열거나 연료의 주입이 끝나 연료캡을 닫을 때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테더의 간섭으로 인하여 신속하게 연료캡을 열고 닫을 수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료주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20)가 형성되며 테두리벽(130)내면에는 링삽입부(131)가 형성된 연료캡몸체(100); 한쪽 끝단의 저면에는 상단(211)이 링삽입부(131)에 끼워지는 가이드링(210)이 연결축(220)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에는 연료캡 매달음용 결착구(230)가 구비된 테더(200); 연료캡몸체(100)에 결합되며 몸체에는 내벽(310a)과 외벽(310b)을 형성하여 내벽(310a)과 외벽(310b)사이에 가이드링(210)의 하단(212)이 끼워지는 링끼움홈(311)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110)를 잡고 연료캡몸체(100)를 회전시키면 테더(200)는 회전되지 않고, 연료캡몸체(100)와 테더고정커버(300)만이 회전되어 테더(200)의 간섭이 전혀 없어 신속하게 연료캡을 열고 닫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캡{Fuelcap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연료캡을 열고 닫을 시 연료캡의 분실이나 연료주입이 끝난 후 연료캡을 닫지 않고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테더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료캡을 신속하게 여닫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연료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를 사용하는 모든 자동차에는 차체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된 연료도어를 설치하여 연료 주입시에는 연료도어를 열고 연료주입구를 닫고 있는 연료캡을 잡아 뺀 후 주유건을 개방된 연료주입구를 통하여 연료주입파이프 내로 삽입하여 연료를 보충한다.
그런데 연료 주입구로부터 빼낸 연료캡의 처리가 마땅하지 아니하여 통상 연료주입이 끝날 때 까지 연료캡을 트렁크패널이나 주유기 옆에 올려 놓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나 주유원이 연료캡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연료 주입이 끝난 후 연료캡을 닫지 아니하고 연료도어를 닫은 채 차량이 주유소를 떠나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연료주입구를 통해 자동차가 주행중에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누출된 연료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것이며, 또한 연료증발가스의 방출로 인해 대기를 오염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연료주입이 끝난 후 연료캡을 잊지 않고 닫을 수 있도록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캡(10)의 손잡이부(11)에 일단의 결착구(21)가 차체패널(도면중 미도시)에 고정된 테더(20)를 연결하여 연료캡(10)을 열더라도 연료캡(10)이 테더(20)에 의해 차체패널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주유원이 연료주유가 끝난 후 연료캡(10)을 잊지 않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료캡(10)은 연료를 보충하기 위하여 연료캡(10)을 열거나 또는 연료보충이 끝난 후 연료캡(10)을 닫기 위하여 손잡이부(11)를 잡고 회전시킬 경우 약 45°정도 회전시키면 손이 테더(20)에 접촉되어 손잡이부(11)에서 손을 떼었다가 다시 손잡이부(11)를 잡아 연료캡(10)을 회전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즉, 테더(20)의 간섭으로 인해 신속하게 연료캡(10)을 열고 닫을 수 없는 것은 물론 그만큼 연료캡(10)의 열고 닫을 때 돌리는 횟수도 많아져 이 역시 연료캡(10)을 신속하게 열고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연료캡을 열거나 연료주입이 끝나 연료캡을 닫을 시 신속하게 연료캡을 열고 닫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연료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료주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테두리벽 내면에는 링삽입부가 형성된 연료캡몸체; 한쪽 끝단의 저면에는 상단이 링삽입부에 끼워지는 가이드링이 연결축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에는 연료캡 매달음용 결착구가 구비된 테더; 연료캡몸체에 결합되며 몸체에는 내벽과 외벽을 형성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가이드링의 하단이 끼워지는 링끼움홈이 형성된 테더고정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연료캡을 열거나 연료주입이 끝나 연료캡을 닫을 때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테더의 간섭을 받지 않아 신속하게 연료캡을 열고 닫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연료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캡을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3 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캡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캡을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캡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료주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20)가 형성되며 테두리벽(130)내면에는 링삽입부(131)가 형성된 연료캡몸체(100); 한쪽 끝단의 저면에는 상단(211)이 링삽입부(131)에 끼워지는 가이드링(210)이 연결축(220)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에는 연료캡 매달음용 결착구(230)가 구비된 테더(200); 연료캡몸체(100)에 결합되며 몸체에는 내벽(310a)과 외벽(310b)을 형성하여 내벽(310a)과 외벽(310b)사이에 가이드링(210)의 하단(212)이 끼워지는 링끼움홈(311)이 형성된 테더고정커버(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료캡에 일단의 결착구(230)가 차체패널(도면중 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는 결착구(230)가 구비된 테더(200)를 설치하여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연료캡을 열었을 경우 연료캡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치 않고 차체패널에 매달려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나 주유원이 연료주입이 끝난후 연료캡 닫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하여 이로 인해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테더(200)가 연료캡에 설치된 상태에서 연료캡을 열었을 경우 또는 닫을 경우 테더(200)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연료캡을 열고 닫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부(120)가 형성된 연료캡몸체(100)의 테두리벽(130)내측면에 링삽입부(131)를 형성하고 테더(200)의 연결축(220)일단에는 가이드링(210)을 구비하였다.
즉, 테더(200)의 가이드링(210)속으로 연료캡몸체(100)의 삽입부(120)가 끼워지게 한 후 가이드링(210)의 상단(210)이 링삽입부(131)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가이드링(210)의 하부에서 테더고정커버(300)를 연료캡몸체(100)에 고정시키면 테더(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테더고정커버(300)는 내벽(310a)과 외벽(310b)사이에 링끼움홈(3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테더고정커버(300)를 테더(200)의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올려 가이드링(210)의 하단(212)이 링끼움홈(311)속으로 삽입되게 하여 테더고정커버(300)로 하여금 가이드링(210)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가이드링(210)의 상단(211)은 링삽입부(131)에 끼워지게 하고, 하단(212)은 링끼움홈(311)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테더고정커버(300)를 연료캡몸체(100)에 고정되게 하면 테더(200)의 연결축(220)은 테두리벽(130)과 외벽(310b)사이에 위치되어 연료캡몸체(100)를 회전시 테더(200)의 간섭을 전혀 받지않고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연료캡몸체(100)와 테더고정커버(300)의 결합수단으로, 연료캡몸체(100)에는 다수의 걸림공(141)이 구비되는 보조벽(140)을 테두리벽(130)과 일정간격 유지되게 하고, 테더고정커버(300)의 내벽(310a)에는 걸림공(141)과 대응된 위치에 신축성 있는 걸림돌기(312)를 형성하여 테더고정커버(300)를 연료캡몸체(10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연료캡을 열고 닫기 위하여 손잡이부(110)를 잡고 연료캡몸체(100)를 회전시키면 테더(200)는 회전되지 않고, 연료캡몸체(100)와 테더고정커버(300)만이 회전되는 것이다.
100 : 연료캡몸체 110 : 손잡이부
120 : 삽입부 130 : 테두리벽
131 : 링삽입부 140 : 보조벽
141 : 걸림공 200 : 테더
210 : 가이드링 211 : 상단
212 : 하단 220 : 연결축
230 : 결착구 300 : 테더고정커버
310a,310b : 내,외벽 311 : 링끼움홈
312 : 걸림돌기

Claims (2)

  1. 연료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용 연료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료주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20)가 형성되며 테두리벽(130)내면에는 링삽입부(131)가 형성된 연료캡몸체(100);
    한쪽 끝단의 저면에는 상단(211)이 링삽입부(131)에 끼워지는 가이드링(210)이 연결축(220)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에는 연료캡 매달음용 결착구(230)가 구비된 테더(200);
    연료캡몸체(100)에 결합되며 몸체에는 내벽(310a)과 외벽(310b)을 형성하여 내벽(310a)과 외벽(310b)사이에 가이드링(210)의 하단(212)이 끼워지는 링끼움홈(311)이 형성된 테더고정커버(3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캡몸체(100)와 테더고정커버(300)의 결합수단으로,
    연료캡몸체(100)에는 다수의 걸림공(141)이 구비된 보조벽(140)을 테두리벽(139)과 일정 간격 유지되게 형성하고,
    테더고정커버(300)의 내벽(310a)에는 걸림공(1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신축성 있는 걸림돌기(3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캡.
KR1020110098918A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연료캡 KR10124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18A KR101240810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연료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18A KR101240810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연료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810B1 true KR101240810B1 (ko) 2013-03-07

Family

ID=4818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918A KR101240810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연료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15B1 (ko) * 2013-09-30 2015-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캡
KR101629814B1 (ko) * 2014-12-19 2016-06-1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 방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789Y1 (ko) 1999-09-27 2000-03-15 삼립산업주식회사 자동차 연료탱크의 캡분실 방지장치
JP2005178488A (ja) 2003-12-17 2005-07-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給油口装置
JP4035422B2 (ja) 2002-10-18 2008-01-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JP4360016B2 (ja) 2000-07-03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789Y1 (ko) 1999-09-27 2000-03-15 삼립산업주식회사 자동차 연료탱크의 캡분실 방지장치
JP4360016B2 (ja) 2000-07-03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JP4035422B2 (ja) 2002-10-18 2008-01-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JP2005178488A (ja) 2003-12-17 2005-07-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給油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15B1 (ko) * 2013-09-30 2015-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캡
KR101629814B1 (ko) * 2014-12-19 2016-06-1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230B2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06961041A (zh) 车辆充电端口闭合件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JP2009061974A (ja) フューエルリッド部構造
KR101240810B1 (ko) 자동차용 연료캡
KR20090114949A (ko)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US20150001216A1 (en) Structure for filling section of fuel filler pipe
JP2015174566A (ja) 給油口蓋の開閉構造
KR101198429B1 (ko) 자동차용 연료캡
JP6334971B2 (ja) 給油口蓋の開閉ロック及び解除構造
KR19990003290U (ko) 플랩 밸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구
JP2015174567A (ja) 給油口蓋の開閉補助構造
KR101629814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 방지구조
JP2013087634A (ja) 発電機用の防音箱
CN205805233U (zh) 一种油箱盖锁
KR101498815B1 (ko) 자동차용 연료캡
JP3197925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給油パッド構造
CN220947603U (zh) 一种充电口结构及车辆
KR20070102135A (ko) 차량용 연료 필러 캡 분실방지구조
KR100502148B1 (ko) 차량용 연료 주입구 캡 걸이구조
KR20030073201A (ko) 부착식 자동차연료캡
KR10095708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폐구조
KR20070055146A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100716351B1 (ko) 차량의 연료캡구조
KR100663264B1 (ko) 자동차의 연료필러도어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