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685B1 -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685B1
KR101240685B1 KR1020110097582A KR20110097582A KR101240685B1 KR 101240685 B1 KR101240685 B1 KR 101240685B1 KR 1020110097582 A KR1020110097582 A KR 1020110097582A KR 20110097582 A KR20110097582 A KR 20110097582A KR 101240685 B1 KR101240685 B1 KR 10124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signal
switching signal
voltage
comparis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685B1/ko
Priority to US13/333,415 priority patent/US20130076326A1/en
Priority to JP2011282105A priority patent/JP201307361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including two stages of regulation at least one of which is output level responsive, e.g. coarse and fine regu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5/00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detecting deviations in the electric input to the system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obtain a regulated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입력단을 통한 입력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상에 포함되고, 상기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간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상기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DUAL MODE SWITCHING REGULATOR}
본 발명은, 저전압을 위한 바이패스 모드와 정상동작을 위한 레귤레이트 모드중 입력전압의 레벨에 따라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상용 IC에 있어서 입력전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실제 IC 내부회로가 최적화된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입력전원 전압을 특정 레벨의 전원전압으로 바꾸어 내부회로에 공급해 주어야 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레귤레이터이다.
통상, 레귤레이터는 특정범위내에서 변화하는 외부전압을 내부 회로에서 필요한 특정한 전원전압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외부전압을 특정내부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기존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외부전압이 낮은 경우에 레귤레이터의 전압강하를 최소화 하고자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LDO 타입 레귤레이터에 대해 설명하면, 출력전압을 입력전압에 최대한 근접한 값으로 얻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되며, 입력전압을 사전에 미리 설정된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높을 경우에는 원하는 출력전압을 제공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에 의해서 전압 강하가 더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LDO 타입의 레귤레이터는 일반적인 구조의 레귤레이터에 비해 0.5V이상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LDO 타입의 레귤레이터에서도 어느정도정도의 전압강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압강하의 양은 레귤레이터의 로드(load) 전류와 패스 트랜지스터(Pass TR)의 출력저항의 곱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0.2V 정도의 전압강하가 있는 LDO라고 할때, 5V의 입력전압이 들어온다면 4.8V 수준의 내부전압 생성이 가능하나, DC 전압에 대한 마진이 없어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이 동일하거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가 스위칭 소자(예, 트랜지스터)의 전압강하보다 낮은 수준인 경우에는, 레귤레이터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저전압을 위한 바이패스 모드와 정상동작을 위한 레귤레이트 모드중 입력전압의 레벨에 따라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단을 통한 입력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상에 포함되고, 상기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간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상기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전압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지 않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신호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반전된 레벨을 갖는 제2 스위칭 신호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 및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반전하여 반전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이 상기 반전기에 의해 반전된 레벨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레귤레이터와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 소자는,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단을 통한 입력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상에 포함되고, 상기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간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상기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레귤레이터와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전압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지 않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신호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반전된 레벨을 갖는 제2 스위칭 신호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 및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반전하여 반전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이 상기 반전기에 의해 반전된 레벨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 소자는,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전압을 위한 바이패스 모드와 정상동작을 위한 레귤레이트 모드중 입력전압의 레벨에 따라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특히 저전압인 경우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하므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바이패스 모드에서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신호 생성부의 구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의 구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경로 선택시의 신호 전달 경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시의 신호 전달 경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압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입력단(IN)을 통한 입력전압(Vin)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Scom)를 출력하는 비교부(100)와, 상기 비교 결과 신호(Scom)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PH2)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SS10)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PH1)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SS20)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200)와,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PH2)상에 포함되고, 상기 입력전압(Vin)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300)와,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SS10)에 따라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간의 레귤레이터(300)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PH2)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400)와, 상기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SS20)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30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PH1)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비교부(100)는, 상기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전압(Vin)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전압(Vin)과 기준전압(Vref)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Scom)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교부(100)는, 상기 입력전압(Vin)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Vref)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입력전압(Vin)과 상기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신호(Scom)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Scom)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지 않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Scom)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200)는, 상기 비교부(100)로부터의 비교 결과 신호(Scom)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PH2)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SS10)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PH1)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SS2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PH2)는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상기 레귤레이터(300)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지 않을 경우, 상기 입력전압을 레귤레이트하기 위한 경로이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경로(PH1)는,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에 상기 레귤레이터(30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을 경우, 상기 입력단(IN)에서 출력단(OUT)까지 직행하는 경로이다.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PH2)상에 포함되며, 상기 입력전압(Vin)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전압이 +5V 이라고 하면,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입력전압(Vin)이 +5V 보다 높아도 +5V로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400)는,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SS10)에 따라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간의 레귤레이터(300)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PH2)를 온/오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을 경우,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400)는 레귤레이터 경로(PH2)를 오프시킬 것이고, 이와 달리,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지 않을 경우,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400)는 레귤레이터 경로(PH2)를 온시킬 것이다. 이때,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공급되는 동작전원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500)는,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SS20)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30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PH1)를 온/오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500)는 바이패스 경로(PH1)를 온시키고, 이와 달리,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지 않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500)는 바이패스 경로(PH1)를 오프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신호 생성부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200)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Scom)의 레벨을 반전하여 반전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200)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Scom)의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신호(SS1)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1)의 레벨이 반전된 레벨을 갖는 제2 스위칭 신호(SS2)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SS10) 및 바이패스 선택 신호(SS20)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1)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Scom)의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SS2)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Scom)의 레벨이 상기 반전기(210)에 의해 반전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400)는, 상기 입력단(IN)과 상기 레귤레이터(3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SS10)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1 스위치 소자(SW41)와, 상기 레귤레이터(300)와 출력단(OUT)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SS10)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2 스위치 소자(SW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500)는, 상기 입력단(IN)과 출력단(OUT)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PH1)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SS20)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SW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SW41), 제2 스위치 소자(SW42) 및 제3 스위치 소자(SW5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다이오드 등의 스위칭 동작 가능한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전압 강하가 작은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구현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의 구현 예시도이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SW41)는,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IN)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300)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1)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N-MOS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입력단(IN)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300)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SS2)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P-MOS 트랜지스터(PM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 소자(SW42)는,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레귤레이트(300)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OUT)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1)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M2)와, 상기 레귤레이트(300)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OUT)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SS2)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P-MOS 트랜지스터(PM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 소자(SW51)는,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IN)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OUT)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SS2)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N-MOS 트랜지스터(NM3)와, 상기 입력단(IN)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OUT)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1)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P-MOS 트랜지스터(PM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가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동기되어 동시에 온되거나 오프되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제1 및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동작과는 반대로 온되거나 오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경로 선택시의 신호 전달 경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시의 신호 전달 경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압 그래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및 스위칭 신호(SS1,SS2) 각각은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을 가지게 되어,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제1 N-MOS 트랜지스터(NM1)와 제1 P-MOS 트랜지스터(PM1)가 턴오프되고, 또한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제2 N-MOS 트랜지스터(NM2)와 제2 P-MOS 트랜지스터(PM2)가 턴오프되며, 그리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제3 N-MOS 트랜지스터(NM3)와 제3 P-MOS 트랜지스터(PM3)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경로(PH1)는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은 직접 출력단(OUT)으로 전달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경로(PH1)를 통해 입력전압(Vin)이 바로 출력전압으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전압(Vin)이 상기 기준전압(Vref)보다 낮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및 스위칭 신호(SS1,SS2) 각각은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을 가지게 되어,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제1 N-MOS 트랜지스터(NM1)와 제1 P-MOS 트랜지스터(PM1)가 턴온되고, 또한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제2 N-MOS 트랜지스터(NM2)와 제2 P-MOS 트랜지스터(PM2)가 턴온되며, 그리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의 제3 N-MOS 트랜지스터(NM3)와 제3 P-MOS 트랜지스터(PM3)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PH2)는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IN)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은 레귤레이트 경로(PH2)상의 레귤레이터(300)를 통해서 레귤레이트되고,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레귤레이트된 전압이 출력단(OUT)으로 출력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PH2)를 통해 입력전압(Vin)이 일정한 전압(예, 5V)으로 레귤레이트되어 출력전압으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저전압을 위한 바이패스 모드와 정상동작을 위한 레귤레이트 모드중 입력전압의 레벨에 따라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특히 저전압인 경우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하므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바이패스 모드에서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0; 비교부
200: 스위칭 신호 생성부
300: 레귤레이터
400: 경로 선택부
500: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

Claims (19)

  1. 입력단을 통한 입력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상에 포함되고, 상기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간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상기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전압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지 않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신호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반전된 레벨을 갖는 제2 스위칭 신호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 및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반전하여 반전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이 상기 반전기에 의해 반전된 레벨을 갖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레귤레이터와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2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 소자는,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1. 입력단을 통한 입력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미리 연결된 레귤레이트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 및 미리 연결된 바이패스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상에 포함되고, 상기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간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 및
    상기 바이패스 선택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트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상기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레귤레이터와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트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오프되고 그렇지 않으면 온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입력전압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기준전압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는,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지 않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신호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의 레벨이 반전된 레벨을 갖는 제2 스위칭 신호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 선택 신호 및 바이패스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반전하여 반전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을 갖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의 레벨이 상기 반전기에 의해 반전된 레벨을 갖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1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레귤레이트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2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선택부는,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바이패스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오프되는 제3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 소자는,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트랜스 미션 게이트는,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제3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KR1020110097582A 2011-09-27 2011-09-27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KR10124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82A KR101240685B1 (ko) 2011-09-27 2011-09-27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US13/333,415 US20130076326A1 (en) 2011-09-27 2011-12-21 Dual-mode switching regulator
JP2011282105A JP2013073617A (ja) 2011-09-27 2011-12-22 デュアルモード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82A KR101240685B1 (ko) 2011-09-27 2011-09-27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685B1 true KR101240685B1 (ko) 2013-03-11

Family

ID=4791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82A KR101240685B1 (ko) 2011-09-27 2011-09-27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76326A1 (ko)
JP (1) JP2013073617A (ko)
KR (1) KR101240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644B1 (en) * 2013-01-16 2016-12-06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Energy efficient systems having linear regulator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2849020B1 (en) * 2013-09-13 2019-01-23 Dialog Semiconductor GmbH A dual mode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KR102252643B1 (ko) 2014-10-20 202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의 전원 경로 제어기
DE102015217234A1 (de) * 2015-09-09 2017-03-09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Versorgen einer elektrischen Komponen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359A (ja) 2000-07-20 2004-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モード切替え電源制御
KR20060049753A (ko) * 2004-07-02 2006-05-19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전원 장치
JP2008059313A (ja) 2006-08-31 2008-03-13 Ricoh Co Ltd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11181012A (ja) 2010-03-03 2011-09-15 Sony Corp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および給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457A (ja) * 2000-09-28 2002-04-12 Citizen Watch Co Ltd 電源供給装置
WO2006081613A1 (en) * 2005-02-02 2006-08-10 Cap-Xx Limited A power supply
JP2008059141A (ja) * 2006-08-30 2008-03-13 Seiko Epson Corp 複合型システム電源回路
JP2009131066A (ja) * 2007-11-26 2009-06-11 Fujitsu Ltd 電源回路、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359A (ja) 2000-07-20 2004-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モード切替え電源制御
KR20060049753A (ko) * 2004-07-02 2006-05-19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전원 장치
JP2008059313A (ja) 2006-08-31 2008-03-13 Ricoh Co Ltd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11181012A (ja) 2010-03-03 2011-09-15 Sony Corp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および給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73617A (ja) 2013-04-22
US20130076326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179B2 (en) Low drop out regulator compatible with type C USB standard
US8866341B2 (en) Voltage regulator
US7626371B2 (en) Power supply unit and portable device
KR101194940B1 (ko) 통합된 응용을 위한 ldo 레귤레이터
US10459470B2 (en)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utput voltage with reduced voltage ripple
US20130169246A1 (en) Linear voltage regulating circuit adaptable to a logic system
US8125204B2 (en) Two-stage power supply with feedback adjusted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US20110193538A1 (en) Domino voltage regulator (dvr)
JP4889398B2 (ja) 定電圧電源回路
JPH10133754A (ja) レギュレータ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50039577A (ko) 안정한 변환 전압을 공급 가능한 전원 장치
US20130049721A1 (en) Linear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KR20060127070A (ko) 과전류 검출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한 레귤레이터
US10025334B1 (en) Reduction of output undershoot in low-current voltage regulators
CN102915063A (zh) 具有电荷泵的电压调节器
KR20100074421A (ko) 저 드롭 아웃(ldo) 전압 레귤레이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651958B2 (en) Circuit for regulating startup and operation voltage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50188421A1 (en) Voltage regulator
JP2009199501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7405545B2 (en) Voltage-regulator and power supply having current sharing circuit
KR101240685B1 (ko) 듀얼모드 스위칭 레귤레이터
EP3933543A1 (en) Low-dropout regulator for low voltage applications
JP2018160224A (ja) デュアル入力電力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7126259A (ja) 電源装置
JP2013206381A (ja)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電力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