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29B1 -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29B1
KR101240429B1 KR1020100026243A KR20100026243A KR101240429B1 KR 101240429 B1 KR101240429 B1 KR 101240429B1 KR 1020100026243 A KR1020100026243 A KR 1020100026243A KR 20100026243 A KR20100026243 A KR 20100026243A KR 101240429 B1 KR101240429 B1 KR 10124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extracellular
enterobacter
polysacchar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076A (ko
Inventor
이동훈
남지현
신지혜
윤서연
구창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2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외다당류를 분비하는 신균주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균주를 이용하면 새로운 조성의 세포외다당류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세포외다당류는 신기능성의 바이오폴리머로 산업적 이용 및 개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Enterobacter sp. SD255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세포외다당류를 분비하는 신균주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 상기 균주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에 의하여 세포 외로 분비되는 다당류는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생물체로부터 미생물을 보호 및 방어하고, 주변에 산재된 독성물질 중화, 삼투압 스트레스 및 세포내 수분의 증발을 막는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Sutherland, 1983). 세포외다당류는 물에 녹거나 분산되는 긴 사슬의 고분자 중합체로서 식가공품에서 농후제나 겔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건에 따라 겔 형성능, 유화안정능, 표면장력 조절능, 물 흡수능, 점착능, 윤활능 및 필름 형성능 등의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품의 대용물 및 각종 산업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Fu and Tseng, 1990; Irene et al ., 1990; Low et al., 1998; Marra et al., 1990).
또한 세포외다당류는 실제적 측면에서 미생물이 가장 다량으로 생성하는 다당류이고, 생산 배양조건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기간에 발효조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된 세포의 다당류의 분리 및 회수가 용이하므로 상업적인 잠재력이 가장 높은 다당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생물 또는 미세조류의 세포외다당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물질구조와 물리적 특성이 다양하여 수용액내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식품, 의약, 화학 등 응용범위가 아주 넓다.
쥬글리아 라미제라(Zoogloea ramigera)가 생산하는 쥬글란(zooglan)은 생물환경산업의 중금속 제거에 응용되고 있으며, 슈도모나스 엘로데아(Pseudomonas elodea)에 의해 생산되는 젤란 검(gellan gum)은 기존의 다당류에서 생산되지 않는 특이적 물성을 가지고 있어, 특히 식품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폴루란(pollulan), 덱스트란(dextran), 커들란(curdlan)등 미생물로부터 유래한 세포외다당류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사용량과 사용 범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한 고부가가치의 생물산업 소재로서 개발의 여지가 많다.
미생물의 종다양성은 매우 광범위하므로 다양한 미생물에서 유래된 세포외다당류에 대한 연구 조사가 아직 부족하며, 신규 미생물의 탐색과 생물소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생물성 세포외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와는 다른 새로운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표고버섯 지면재배를 위한 톱밥 발효 및 저온살균을 거친 표고 균사 생장 단계에서 형성된 생물막에서 세포외다당류를 다량으로 생성하는 새로운 미생물을 발견하였고, 이를 형태학적 특성, 기질이용능 및 16S rRNA 유전자 서열에 기초한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거쳐 엔테로박터 속 SD255에 속하는 새로운 균주로 최종 동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외다당류를 분비하는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된 세포외다당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포외다당류(extracellular polysaccharide)를 분비하는 새로운 균주 엔테로박터 속 (Enterobacter sp.) SD255 균주(KCTC 11631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표고버섯 지면재배를 위한 톱밥 발효 및 저온살균을 거친 표고 균사 생장 단계에서 형성된 생물막에서 세포외다당류를 대량으로 분비하는 미생물로부터 신규 동정된 균주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형태학적 특성, 기질이용능 및 16S rRNA 유전자 서열에 기초한 계통분류학적 분석에 의해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에 속하는 것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는 2010년 2월 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고 수탁번호 KCTC 11631B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균주는 세포외다당류를 분비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배양한 후 이 배양액으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외다당류는 자일로오스(xyl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락토오스(lactose)를 포함하는 이종다당류(heteropolysaccharide)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세포외다당류에서 자일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락토오스는 중량비율로 14-16 : 3-5 : 0.5-2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의 배양은 PDB (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행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PDB 배지는 감자 녹말(potato starch)과 덱스트로스(dextros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DB 배지에서 상기 감자 녹말은 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덱스트로스는 0.5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조성의 PDB 배지에 본 발명의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다. 상기 배지의 pH를 4 내지 7의 범위내로 조정한 후, 본 발명의 균주를 접종한다. 균주의 접종량은 배지 전체 중량에 대해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로 한다.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 - 40 ℃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35 ℃의 온도 하에서 배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세포외다당류를 분비하는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배양한 배양액으로부터 얻어지고, (b) 자일로오스, 글루코오스, 락토오스가 중량 비율로 자일로오스 : 글루코오스 : 락토오스 = 14-16 : 3-5 : 0.5-2으로 존재하는 이종다당류(heteropolysaccha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외다당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세포외다당류는 본 발명의 균주를 감자녹말이 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덱스트로스가 0.5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 PDB (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은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배양하여 수득되는 세포외다당류를 “Y-3261”이라 명명하였다.
본 발명은 세포외다당류를 분비하는 신균주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다당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균주를 이용하면 새로운 조성의 세포외다당류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세포외다당류는 신기능성의 바이오폴리머로 산업적 이용 및 개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그람 염색하여 1500 배로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PDA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의 콜로니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의 16S rRNA 염기서열분석에 기초한 분자생물학적 계통분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의 배지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성장곡선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로부터 수득한 세포외다당류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단당의 조성을 보여준다(1 : 자일로오스, 2 : 갈락토오스, 3 : 가수분해 된 SD255균주의 세포외다당류, 4 : 락토오스, 5 : 글루코오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균주의 순수분리
표고버섯 지면 재배를 위한 톱밥 발효 및 저온살균을 거친 표고 균사 생장단계에 형성된 생물막을 육안으로 관찰한 후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스(potato dextrose) 고형배지 (PDA: potato starch 4 g/L, dextrose 20 g/L, agar 15 g/L)에 1차 도말하고, 30 ℃에서 24 시간 배양하여 점성을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생산균주의 동정
2-1. 형태학적 특성
본 발명의 엔테로박터 속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이 균주는 호기성 그람 음성 간균이며, 운동성이 활발한 균주로 콜로니(colony)의 색은 배양시간에 따라 연한 노란색에서 진한 노란색으로 변화하였다. 초기 콜로니의 외형적 모양은 원형에서 점액성을 갖는 원형으로 형태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potato dextrose 고형배지에서 점도가 매우 높았다.
2-2. 기질이용능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의 기질 및 물질대사능은 API 20E 및 API 50CHE kit를 이용하여 60 가지의 기질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선발균주는 potato dextrose 액체배지(PDB: potato starch 4 g/L, dextrose 20 g/L)를 이용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API 20E 및 API 50CHE의 웰(well)에 세균현탁액을 접종하고, 37 ℃에서 24 시간 배양하였으며, 판독표를 이용하여 60 가지 기질에 대한 이용능을 판단하였다. SD255의 기질 이용능력을 살펴보면, 당류의 경우 람노오스(rhamnose), 두르시톨(dulcitol), 메틸-α, D-글루코시드(methyl-α, D-glucoside),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오스(gluc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말토오스(maltose), 락토오스(lactose) 등을 기질로 이용하였다. 이외에, D-아라비톨(D-arabitol), 멜리비오스(melibiose), L-푸코오스(L-fucose), 이노시톨(inositol) 등은 기질로 이용하지 않았다.
Figure 112010018603687-pat00001
Figure 112010018603687-pat00002

2-3. 16S rRNA 유전자 분석
엔테로박터 속 SD255균주의 16S rRNA 유전자를 증폭시켜 염기서열을 결정한 후 분자 계통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ABI 3730XL DNA analyser (Applide biosystem,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확인된 염기서열의 길이는 약 1100 bp로 16S rRNA 유전자의 일부분을 포함한다(서열목록 제1서열 참조). 유전자은행(Genebank) 데이터베이스의 블라스트 검색(BLAST search)을 이용하여 균주의 대략적인 분류학적인 위치를 추정하였다. 확인된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과 Ribosomal database project (RDP; http://rdp.cme.msu.edu), Genbank (http://ncbi.nlm.nih.gov)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SD255 균주와 계통분류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그룹의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ClustalX (version 1.8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렬하였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PHYLIP package (version 3.6a3)를 이용하여 Jukes and Canter distance model과 neighbor-joining method로 염기서열간의 진화적 거리와 계통도를 추론하였다. 또한, bootstrap 값은 1,000회의 resampled data로부터 계산하였다. 계통분석결과 SD255는 엔테로박터 속에 속하는 다른 균주들과 상대적으로 낮은 유사도를 보여 본 속에 속하는 신종의 균주로 추정되었다.
실시예 3: 세포외다당류의 생산 및 특성
3-1.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배지의 조성
엔테로박터 속 SD255가 세포외다당류를 생성하는 최적 생산배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전배양
Nutrient 고형배지(NB: beef extract 3 g/L, peptone 5 g/L, agar 15 g/L)에 도말하여 30℃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성장된 군락에서 1 콜로니를 취하여 5 mL의 nutrient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24 시간 진탕배양 하였다.
② 세균 성장측정
분광광도계(OPTIZEN 3220UV, Korea)를 이용하여 흡광도(OD600)를 측정하였다.
세포외다당류 측정
배양액을 원심분리(13000 rpm, 15 분)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균체가 제거된 배양액에 2 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15시간 이상 다당류를 침전시킨 후, 다시 원심분리(13000 rpm, 15분)하여 침전된 다당류를 회수하였다. 이렇게 회수된 다당류를 건조시킨 뒤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3-2. 환경 요인 조사
세포외다당류 생산에 요구되는 환경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배지의 종류 및 농도, 배양 시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배지의 종류 및 농도
세균의 성장 및 세포외다당류의 형성에 미치는 배지의 종류 및 농도는 표 2에 제시하였다. 200 mL의 배지에 SD255균주를 1 중량% 접종한 후 30℃ 배양기에서 25 시간 동안 진탕배양 하는 동안의 세균 성장과 세포외다당류의 생산을 조사한 결과를 도 4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배지의 농도에 따른 세균의 성장은 두 배지 모두 1.0X 농도에 접종하여 배양하였을 경우에 높은 균체 성장을 보였다. 또한 PDB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였을 때 3.02 g/L로 가장 많은 양의 세포외다당류가 형성되었으며 세균의 성장 역시 2.08(OD600)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배지종류 NB PDB
0.2 X (배지농도) Beef extract 0.6 g/L, Peptone 1 g/L Potato starch 0.8 g/L, Dextrose 4 g/L
1.0 X (배지농도) Beef extract 3 g/L, Peptone 5 g/L Potato starch 4 g/L, Dextrose 20 g/L
배지 종류 및
배지 농도
NB PDB
0.2X 1.0X 0.2X 1.0X
세포외다당류 건중량(g/L) 0.16 0.15 0.14 3.02
② 배양시간
세균의 성장이 가장 양호한 1X PDB 배지 200 mL을 500 mL 용량 삼각플라스크에 담고 SD255 균주를 1 중량% 접종한 후 30℃ 배양기에서 8, 18,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외다당류 형성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외다당류의 생산은 18시간 배양하였을 경우가 2.42 g/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h) 8 18 24
세포외다당류(건중량 g/L) 0.78 2.42 2.08
③ 엔테로박터 속 SD255 세포외다당류 생산 최적 조건
엔테로박터 속 SD255의 세포외다당류를 생성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1X PDB 배지에 1 중량%의 세균을 접종한 뒤 pH 5.1, 30℃의 온도에서 18 시간 배양하는 것이 세포외다당류를 형성하는 최적의 조건이었다.
3-3. 세포외다당류 ‘Y-3261'의 단당류 조성
엔테로박터 속 SD255 세포외다당류의 구성 당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한 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로 분석한 결과는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자일로오스, 글루코오스와 소량의 락토오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량비율로 14-16 : 3-5 : 0.5-2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주 엔테로박터 속 SD255 (KCTC 11631BP)는 점질성 다당류를 분비하는 토양 미생물로 이들이 분비하는 세포외다당류인 Y-3261을 신기능성의 바이오폴리머로 이용할 수 있으며, PDB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높은 세포외다당류의 생산량을 보여 상기 엔터로박터 속 균주를 이용한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은 산업적 이용가치가 매우 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Fu, J. F., and Y. H. Teeng. 1990. Construction of the Jactose utilizing Xanthomonas campestris and production of xanthan gum from whey. Appl. Environ. 56: 919-923.
2. Irene, B. M., P. E. Jansson, and B. Lindberg. 1990. Structural studied of the capsular polysaccharide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type 7A. Carbohydr Res, 198: 67-77.
3. Low, D., J. A. Ahlgren, D. Horne, D. J. McMahon, C. J. Oberg, and J. R. Boradbert. 1998. Role of Streptococcus thermophillus MR-1C capsular expolysaccharide in cheese moisture retention. Appl. Environ. 64: 2147-2151.
4. Marra, M. 1990.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the exocellular polysaccharide from Cyanospira capsular. Carbohydr Res, 197: 338-344.
5. Sutherland, I. W. 1983.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In : Biotechnology. Vol. 3. Verlag Chemie. Weinheim.. P 533-57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631 20100204
<11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Enterobacter sp. SD255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Same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080 <212> DNA <213> Enterobacter sp. <400> 1 aactactgga aacggtagct aataccgcat aacgtcgcaa gaccaaagag ggggaccttc 60 gggcctcttg ccatcagatg tgcccagatg ggattagcta gtaggcgggg taacggccca 120 cctaggcgac gatccctagc tggtctgaga ggatgaccag ccacactgga actgagacac 180 ggtccagact cctacgggag gcagcagtgg ggaatattgc acaatgggcg caagcctgat 240 gcagccatgc cgcgtgtgtg aagaaggcct tcgggttgta aagcactttc agcggggagg 300 aaggcggtac ggttaataac cgtgctgatt gacgttaccc gcagaagaag cacccggcta 360 actccgtgcc agcagccgcg gtaatacgga gggtgcaagc gttaatcgga attactgggc 420 gtaaagcgca cgcaggcggt ctgtcaagtc ggatgtgaaa tccccgggct caacctggga 480 actgcattcg aaactggcag gctggagtct cgtagaggga ggtagaattc caggtgtagc 540 ggtgaaatgc gtagagatct ggaggaatac cggtggcgaa ggcggcctcc tggacgaaga 600 ctgacgctca ggtgcgaaag cgtggggagc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660 ccgtaaacga tgtcgatttg gagttgtgcc cttgaggcgt ggcttccgga gctaacgcgt 720 taaatcgacc gcctggggag tacggccgca aggttaaaac tcaaatgaat tgacgggggc 780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tgcaac gcgaagaacc ttacctggtc 840 ttgacatcca cagaacctgg cagagatgcc ggggtgcctt cgggaactgt gagacaggtg 900 ctgcatggct gtcgtcagct cgtgttgtga aatgtggggt ttagtcccgc aaagagcgca 960 acctttttgt gcagcgtcgg cggtcaaacg agactgcagt gataaactga agagtgacgt 1020 caggtcatca tggccgacta ccctaagccc agcactgcga ccagcgtaca ataaggccga 1080 1080

Claims (5)

  1. 자일로오스(xyl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락토오스(lactose)로 구성되는 세포외다당류(extracellular polysaccharide)를 분비하는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
  2. 상기 제 1 항의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를 배양한 후 이 배양액으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류는 자일로오스(xylose), 글루코오스(glucose)및 락토오스(lactose)가 중량비율로 14-16 : 3-5 : 0.5-2 의 비율로 존재하는 이종다당류(heteropolysaccha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박터 속 SD255 균주(KCTC 11631BP)의 배양은 감자녹말(potato starch)과 덱스트로스(dextrose)를 포함하는 PDB (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KR1020100026243A 2010-03-24 2010-03-24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KR10124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43A KR101240429B1 (ko) 2010-03-24 2010-03-24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43A KR101240429B1 (ko) 2010-03-24 2010-03-24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76A KR20110107076A (ko) 2011-09-30
KR101240429B1 true KR101240429B1 (ko) 2013-03-08

Family

ID=4495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43A KR101240429B1 (ko) 2010-03-24 2010-03-24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861B1 (ko) * 2017-11-16 2020-01-3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외 다당류가 증가된 균주 및 이의 배양 방법
KR102121363B1 (ko) 2019-02-11 2020-06-10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
CN114437985B (zh) * 2022-02-18 2023-04-11 南京工业大学 一株产气肠杆菌及其在合成微生物多糖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Environ. Microbiol., 1994 Apr;60(4):1367-9. *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1 Jun;65(6):1399-401. *
Carbohydr. Res., 1986 Apr 1;148(1):63-9. *
J. Food Prot., 2005 Nov;68(11):2287-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76A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ghunandan et al. Production of gellan gum, an exopolysaccharide, from biodiesel-derived waste glycerol by Sphingomonas spp.
Jung et al.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in an agitated culture without living non-cellulose producing cells
Kim et al. Microbacterium oxydans, a novel alginate-and laminarin-degrading bacterium for the reutilization of brown-seaweed waste
Derekova et al. Phylogenetic diversity of thermophilic carbohydrate degrading bacilli from Bulgarian hot springs
CN113684157B (zh) 一株产果聚糖蔗糖酶的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CN106635920B (zh) 一种高产岩藻多糖酶的海洋交替假单胞菌及其应用
WO2021012959A1 (zh) 一种褐藻胶裂解酶及其应用
CN103911315B (zh) 一株产褐藻胶裂解酶的菌株及其应用
KR101240429B1 (ko) 엔테로박터 속 sd 255 균주 및 이로부터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방법
RU2639557C1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И Xanthomonas campestris - ПРОДУЦЕНТ КСАНТАНА
El-Sayed et al. Optimization,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urdlan produced by Paenibacillus sp. strain NBR-10
CN105802892A (zh) 一种产角蛋白酶的嗜麦芽寡养单胞菌及其应用
CN106811426A (zh) 用于乳化原油的热堆肥芽孢杆菌菌株、培养方法及应用
KR101316085B1 (ko) 라미나린 및 알긴산 분해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옥시단스
CN102373166B (zh) 高产聚-β-羟基丁酸的苏云金芽孢杆菌(Bacillus thuringiensis)PX-95菌株及其用途
CN105670975B (zh) 一种高产胞外多糖的假单胞菌株及其应用
CN104651284A (zh) 鞘氨醇单胞菌T-3及其共发酵生产生物多糖和聚β羟基丁酸的方法
CN103642736A (zh) 一种菌株及其筛选方法和应用
CN110643530B (zh) 一株对纤维素具有良好降解效果的泛菌
CN110643552B (zh) 一种利用可溶性淀粉制备海藻糖浆的菌株及其应用
MA et al. Primary study 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different environm ents
JP2001321164A (ja) 新規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産生微生物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石油の増進回収方法
CN114437985B (zh) 一株产气肠杆菌及其在合成微生物多糖中的应用
CN112662577A (zh) 一组降解玉米秸秆产多糖的菌群及其微生物配比
CN110643528B (zh) 一株对纤维素具有良好降解效果的中间克吕沃尔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