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24B1 - 방호펜스 - Google Patents

방호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24B1
KR101240424B1 KR1020110012255A KR20110012255A KR101240424B1 KR 101240424 B1 KR101240424 B1 KR 101240424B1 KR 1020110012255 A KR1020110012255 A KR 1020110012255A KR 20110012255 A KR20110012255 A KR 20110012255A KR 101240424 B1 KR101240424 B1 KR 10124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upport
protection
net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296A (ko
Inventor
최재순
Original Assignee
최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순 filed Critical 최재순
Priority to KR102011001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석이나 토석류 등에 대한 방호를 위한 방호펜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면(2)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400) 및 상기 지주(400)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다중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다중의 방호망(410)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의 방호망(410)은 각각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각각 방호망(410)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되, 상기 지주(400)는 양측면에 수용홈이 구비된 H빔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400)의 수용홈과 이웃하는 지주의 수용홈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다중의 방호망(410)이 결합되는 끼움홈(420A) 형성되어 상기 다중의 방호망(410)이 상기 끼움홈(420A)에 끼움결합되는 방호망 틀(4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펜스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방호펜스{GUARD RAIL}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석이나 토석류 등에 대한 방호를 위한 방호펜스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면에는 낙서이나 토석류 등으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 사면을 일반 도로 등과 경계짓기 위한 구조물로서 방호펜스가 설치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방호펜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호펜스(10)는 사면(2)과 일반 도로(4)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주(12)가 고정 설치되며, 지주(12)와 지주(12)에 걸쳐 방호망(14)이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방호망(14)의 눈의 크기가 작은 편이면, 작은 낙석이나 토석류까지도 모두 방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데 반해, 그만큼 하나의 방호망(14)에 가해지는 외력이 자주 발생하여 방호망(14)의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반면, 방호망(14)의 눈의 크기가 크면, 작은 낙석이나 토석류 등이 방호망(14)을 통과해버리기 때문에 방호 기능의 한계성이 지적된다.
또한, 하나의 방호망(14)이 모든 낙석이나 토석류 등의 낙석에너지를 감수해야되기 때문에 방호망(14)의 수명이 짧으며, 실질적으로 낙석에너지가 위력적인 큰 낙석이나 토석류 등으로 인해 큰 사고가 발생하기 쉬운데 하나의 방호망(14)으로 큰 낙석이나 토석류 등에 의해 충분히 저항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낙석이나 토석류 등의 크기에 따라 낙석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위력적으로 큰 낙석에너지에 대해 다중으로 저항할 수 있는 방호펜스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면(2)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00,200,300,400) 및 상기 지주(100,200,300,400)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다중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각각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호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펜스를 제시한다.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상호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기 사면(2) 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100,200,300,400)는 다중으로 연접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재(102)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일부는 상기 지주부재(102)와 지주부재(102) 사이에 설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지주(100,200,300,400)의 사면(2) 측 일면과 그 반대쪽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면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100,200,300,400)는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의 배치방향을 따라 그 한 쌍의 플랜지(202A,202B)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H빔(202) 및, 상기 H빔(202)의 한 쌍의 플랜지(202A,202B)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재(204)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일부는 상기 H빔(202)의 플랜지(202A,202B)에 결합되며, 나머지는 상기 중간부재(20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100,200,300,400)는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의 배치방향을 따라 그 한 쌍의 플랜지(302A,302B)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H빔(302)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일부는 상기 H빔(302)의 플랜지(302A,302B)에 결합되고 나머지는 상기 H빔(302)의 플랜지(302A,302B)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H빔(302)의 한 쌍의 플랜지(302A,302B) 사이에는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 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펜스는 다중의 방호망에 의해, 낙석이나 토석류 등의 크기에 따라 낙석에너지가 분산될 수 있으며, 위력적으로 큰 낙석에너지에 대해 다중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호펜스의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호펜스의 평단면도.
도 3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실시 예의 평단면도.
도 4는 제2실시 예의 평단면도.
도 5는 제2실시 예의 평단면도.
도 6은 다중의 방호망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3실시 예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펜스는 사면(2)에서 낙하하는 낙석이나 토석류 등으로부터 사면(2) 아래에 있는 도로(4) 등의 구조물, 보행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면(2)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00,200,300,400) 및 지주(100,200,300,400)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다중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을 포함하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각각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호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호 상이한 복수의 방호망(110,210,310,410)이 다중 구조로 겹겹이 설치됨에 따라서, 사면(2)으로부터 낙하하는 낙석이나 토석류 등을 다중으로 지탱하여 방호할 수 있다.
또한,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의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서, 각각의 방호망(110,210,310,410)이 눈(110A,110B,110C)의 크기에 따라 방호하는 낙석이나 토석류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낙석이나 토석류 등이 그 크기에 따라서 분산되어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에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구조에 의해 우수한 방호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에 가해지는 충격 분산에 의해 방호망(110,210,310,4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특히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상호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사면(2) 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 중 사면(2) 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의 눈(110A)의 크기가 가장 크고, 사면(2) 반대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의 눈(110C)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면(2) 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110,210,310,410)에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낙석이나 토석류 등이 직접 충돌되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낙석이나 토석류 등은 사면(2) 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110,210,310,410) 등을 통과하여 사면(2) 반대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110,210,310,410)에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서 낙석에너지가 큰 낙석이나 토석류 등이 사면(2) 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110,210,310,410)에 충돌할 때, 사면(2) 쪽 끝에 배치된 방호망(110,210,310,410)은 물론 그 뒤에 다중으로 배치된 다른 방호망(110,210,310,410)들도 다중 구조에 의해 함께 낙석이나 토석류 등을 1방호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낙석이나 토석류 등도 충분히 방호할 수 있다.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다단으로 낙석이나 토석류 등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의 설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는 다중으로 연접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재(102)를 포함하며, 다중의 방호망(110)은 일부는 지주부재(102)와 지주부재(102) 사이에 설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지주(100)의 사면(2) 측 일면과 그 반대쪽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면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주부재(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의 방호망(110)의 배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102A,102B) 및 한 쌍의 플랜지(flange)(102A,102B)를 연결하는 웨브(web)(102C)로 이루어진 H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지주(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0)는 다중의 방호망(210)의 배치방향을 따라 그 한 쌍의 플랜지(202A,202B)가 배치되며 한 쌍의 플랜지(202A,202B)가 웨브(202C)로 연결되는 H빔(202) 및, H빔(202)의 한 쌍의 플랜지(202A,202B)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중의 방호망(210)은 일부는 H빔(202)의 플랜지(202A,202B)에 결합되며, 나머지는 중간부재(204)에 결합될 수 있다.
셋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300)는 다중의 방호망(310)의 배치방향을 따라 그 한 쌍의 플랜지(302A,302B)가 배치되며 한 쌍의 플랜지(302A,302B)가 웨브(302C)에 의해 연결되는 H빔(302)을 포함하며; 다중의 방호망(310)은 일부는 H빔(302)의 플랜지(302A,302B)에 결합되고 나머지는 H빔(302)의 플랜지(302A,302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H빔(302)의 한 쌍의 플랜지(302A,302B) 사이에는 다중의 방호망(310) 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방호망(110,210,310,410)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지주(100,200,300,4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너트(N)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본 발명은 지주(400)와 지주(400)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다중의 방호망(410)이 결합되는 방호망 틀(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중의 방호망(410)과 방호망 틀(420)이 하나의 모듈(module)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의 방호망(410)과 방호망 틀(420)이 모듈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방호펜스의 시공 현장에 이송 및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호펜스의 시공현장에서는 지주(400)와 지주(400) 사이에 다중의 방호망(410)과 방호망 틀(420)의 모듈을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현장에서의 공사기간이 현격하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모듈단위로 다중의 방호망(410)의 부분 유지,보수 또는 교체가 가능하며, 이때도 다중의 방호망(410)과 방호망 틀(420)의 모듈의 분리, 설치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호망 틀(420)은 다중의 방호망(410)과의 모듈화를 위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특히 사각링 등의 링형 틀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중의 방호망(410)을 사방에서 견고하게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방호망 틀(420)은 다중의 방호망(410)과 다양한 방법(예컨대, 볼트 체결, 접합, 끼움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중의 방호망(410)의 결합 위치 결정을 위해 다중의 방호망(410) 각각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4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200,300,400; 지주 110,210,310,410; 방호망
110A,110B,110C; 눈 420; 방호망 틀

Claims (7)

  1. 사면(2)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400) 및 상기 지주(400)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다중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다중의 방호망(410)을 포함하고, 상기 다중의 방호망(410)은 각각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각각 방호망(410)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되,
    상기 지주(400)는 양측면에 수용홈이 구비된 H빔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400)의 수용홈과 이웃하는 지주의 수용홈 사이에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다중의 방호망(410)이 결합되는 끼움홈(420A) 형성되어 상기 다중의 방호망(410)이 상기 끼움홈(420A)에 끼움결합되는 방호망 틀(42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상호 눈(110A,110B,110C)의 크기가 상기 사면(2) 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펜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중의 방호망(110,210,310,410)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펜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12255A 2011-02-11 2011-02-11 방호펜스 KR10124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255A KR101240424B1 (ko) 2011-02-11 2011-02-11 방호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255A KR101240424B1 (ko) 2011-02-11 2011-02-11 방호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296A KR20120092296A (ko) 2012-08-21
KR101240424B1 true KR101240424B1 (ko) 2013-03-11

Family

ID=468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255A KR101240424B1 (ko) 2011-02-11 2011-02-11 방호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7516U (ko) * 1979-11-20 1981-06-24
JPH06173221A (ja) * 1991-08-28 1994-06-21 A Shii D:Kk 衝撃吸収柵
KR20100044059A (ko) * 2008-10-21 2010-04-29 동양건설(주) 낙석방지 울타리용 익스팬디드 메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7516U (ko) * 1979-11-20 1981-06-24
JPH06173221A (ja) * 1991-08-28 1994-06-21 A Shii D:Kk 衝撃吸収柵
KR20100044059A (ko) * 2008-10-21 2010-04-29 동양건설(주) 낙석방지 울타리용 익스팬디드 메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296A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078B1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US11162234B2 (en) Anti-ram passive vehicle barrier
US10662597B2 (en) Modular vehicle barrier
JP4680072B2 (ja) 透過型砂防堰堤
CN108360560B (zh) 一种适用于抢险救灾的装配式钢箱棚洞及施工方法
KR20190090188A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KR20140050324A (ko) 사방댐 구조물
KR101240424B1 (ko) 방호펜스
JP7027124B2 (ja) 防護施設、エネルギー吸収面材及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102136260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854818B1 (ko) 고장력방형망과 완충범퍼를 이용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2391981A (zh) 一种缓冲吸能装置和公路防护设备
KR10129472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2244853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36259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475733B1 (ko) 에너지 소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203953B1 (ko) 조립형 휀스
KR101620592B1 (ko) 가드레일과 동물유도울타리 겸용 파워방형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63422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ES2341548T3 (es) Sistema de seguridad de atenuacion de energia.
JP5705171B2 (ja) 車両用防護柵
KR200354771Y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구조
JP6991851B2 (ja) 車両用防護柵のビーム材
KR102494539B1 (ko) 로드킬 방지용 펜스 설치 부재
US20230349116A1 (en) Vehicle mit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