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951B1 -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 Google Patents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951B1
KR101238951B1 KR1020120074520A KR20120074520A KR101238951B1 KR 101238951 B1 KR101238951 B1 KR 101238951B1 KR 1020120074520 A KR1020120074520 A KR 1020120074520A KR 20120074520 A KR20120074520 A KR 20120074520A KR 101238951 B1 KR101238951 B1 KR 10123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ize
sticker
user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지연
Original Assignee
문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연 filed Critical 문지연
Priority to KR102012007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9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951B1/en
Priority to PCT/KR2013/005592 priority patent/WO201401084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PURPOSE: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 method thereof, and a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randomly expose a free gift sticker on selected content, thereby eliminating necessity to watch the content to the end. CONSTITUTION: A user management unit(151) manages member information about a user. A business management unit(161) manages business information. A content management unit(171) manages open content information. A free gift management unit(181) manages free gift attributes included in a free gift sticker which is randomly exposed on open content. A free gift processing unit(191) manages the winning of the free gift according to a click on the free gift sticker or the existence of a click signal. [Reference numerals] (101) Us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network; (13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40) Control unit; (151) User management unit; (156) User DB; (161) Business management unit; (166) Business DB; (171) Content management unit; (176) Content DB; (181) Free gift management unit; (186) Free gift DB; (191) Free gift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컨텐츠 상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에 대한 클릭 또는 컨텐츠에 접근하고자 하는 욕구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ze sticker that is randomly exposed on the online contents, thereby allowing a user to click or click on the content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desire to access content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implementing the method are recorded.

최근 무선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등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상에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도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contents providing services such as advertisements for smart phone users have exploded.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that can watch content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애플리케이션 마켓에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시청용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하고 제공되는 컨텐츠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운영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자주 시청하도록 사용자를 유인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As there are various applications for viewing content provided in the application market and various types of contents provided, the application administrator or content provider can continuously use the application and downloa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There is a growing need to lure users to watch frequently.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노출 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경품을 제공하거나 소정의 금액의 당첨금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xposure frequency of the user's content, applications that provide a prize to a user who views the content or provide a predetermined amount of prize money have emerged.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은 경품 또는 당첨금을 제공받거나 적립받기 위해서는 해당 컨텐츠를 완전히 시청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컨텐츠를 켜 놓은 상태에서 다른 일을 하거나 집중하지 않은 채 컨텐츠 상영시간이 지나기만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컨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만약 컨텐츠가 동영상 광고인 경우라면 광고에 대한 전체적인 관심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광고를 제공하는 업체(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효과는 저하되면서 광고비용만 높아지는 부담이 있었다.However, since existing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must watch the contents completely in order to receive or receive prizes or winnings, the user waits for the content screening time to pass without any other work or concentration while the contents are turned on.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peopl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mmersion in the content was reduced. If the content is a video advertisement, the overall interest in the advertisement is lowered, and thus, the advertising provider's (advertiser) position has a burden of increasing the advertising cost while lowering the advertising effect.

또한, 컨텐츠를 보기 전에 해당 컨텐츠를 보면 얼마의 당첨금액이 발생하고 어떠한 경품이 있는지 알려 주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당첨금액이 크고 경품이 좋은 컨텐츠만 선택하여 보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content before viewing the content tells you how much the winning amount occurs and what prizes, there was a problem in the user's view to select only the content with a big winning amount and good prizes.

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마다 당첨금 또는 경품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익숙해지면 더 이상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prizes or prizes for each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when the user becomes familiar wit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ver time, the user may no longer us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광고 등의 컨텐츠 상에 당첨금 또는 경품의 당첨을 가능하게 하는 경품스티커가 무작위로 노출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randomly exposing a prize sticker that enables the winning of a prize or a prize on content such as an advertisement and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This recorded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본 발명은 해당 컨텐츠의 상영시간 중 일정하지 않은 시점에 경품스티커가 해당 컨텐츠 상에 노출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in which a prize sticker is exposed on a corresponding content at a non-scheduled time of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경품스티커가 해당 컨텐츠 상에 일정한 시간 동안만 노출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 경품스티커를 클릭하지 않으면 당첨되지 않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that does not win a prize sticker without a click of the prize stick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cause the prize sticker is exposed only on the conten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동안 클릭되지 않은 경품스티커에 대한 경품 또는 당첨금은 동일 컨텐츠 상에서 누적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that accumulates prizes or winnings for a prize sticker that has not been click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the same content,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 상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시청하는 사용자에 관한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컨텐츠의 공개를 요청하는 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 관리부; 상기 컨텐츠의 공개 채널, 공개 시간, 공개 횟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의 공개 중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의 경품내용, 노출여부 및 노출시간을 포함하는 경품속성을 관리하는 경품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on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viewing the content online A user manager that manages memb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A company manag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a company requesting the disclosure of the content; A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content discl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publication channel, a publication time, and a publication count of the contents; And a priz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prize attributes including prize contents, exposure and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which is randomly exposed during the publication of the contents.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상에 무작위로 경품스티커를 노출하고 사용자가 경품스티커를 일정 시간 내에 클릭하면 경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클릭 또는 시청을 활성화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click or viewing of the provided content by exposing the prize sticker on the content at random and allowing the user to pay the prize when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개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공개할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에 상기 컨텐츠를 각각 할당하며, 상기 컨텐츠의 공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may select a content to be published from a content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llocate the content to a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for publishing the content, and determine the disclosure order of the content.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구분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content.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공개 진행 중인 상기 컨텐츠에 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may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content in progress.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경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노출될 경품을 선택하며 상기 경품에 관한 내용을 상기 경품스티커에 수록할 수 있다.The prize management unit may select a prize to be exposed in the prize database that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prize and may include the contents of the prize in the prize sticker.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채널 중에서 상기 경품스티커가 노출될 컨텐츠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컨텐츠 채널에서 공개되는 컨텐츠의 공개시간 중에서 상기 경품스티커가 노출될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The premium management unit may select a content channel to which the premium sticker is to be exposed among the content channels, and manage a time at which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among the publication time of the content that is display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 시간 길이를 관리할 수 있다.The prize management unit may manage the exposure time length of the prize sticker.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화면 상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The prize management unit may manage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prize sticker on the disclosure screen of the content.

상기 경품 관리부는 경품의 종류를 관리할 수 있다.The prize management unit may manage the type of prize.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 당첨 여부를 관리하는 경품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rize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whether or not to win the prize depending on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the click signal is present.

상기 경품 처리부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과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시점을 비교하여 당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ize processing unit may determine whether to win by comparing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and the click time of the prize sticker.

상기 경품 처리부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있으면 당첨 처리하고,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없으면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The prize processing unit may win a prize processing if there is a click of the prize sticker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and if there is no click of the prize sticker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the prizes may be managed to accumulate.

상기 경품 처리부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The prize processing unit may manage to accumulate the prize for the same content.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경품의 누적 사실을 상기 컨텐츠 채널 상에 공개할 수 있다.The prize management unit may publish the cumulative facts of the prize on the content channel.

상기 경품 처리부는 당첨된 경품의 지급 여부 또는 적립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The prize processing unit may manage whether or not the prize of the winning prize is paid or earned.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노출 또는 시청 시간에 비례하는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적립되도록 상기 회원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manager may manage the member information so that a point proportional to the exposure or viewing time of the content is accumulated to the user.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개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 중에서 컨텐츠를 공개하고자 하는 컨텐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채널에서 공개되는 상기 컨텐츠 상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의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method by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 to be published in the content database; Allocating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ontent; Selecting a content channel to which content is to be publish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on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And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구분할 수 있다.In the allocating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상기 컨텐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순위, 공개 시간 또는 공개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channel, the publication ranking, publication time, or publication count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중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의 경품내용, 노출여부 또는 노출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may determine the premium content, the exposure or the exposure time of the premium sticker that is randomly exposed during the publication of the content.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에 상기 경품에 관한 내용이 수록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the premium sticker may be included in the premium sticker.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채널에서 공개되는 컨텐츠의 공개시간 중에서 상기 경품스티커가 노출될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a time at which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may be determined from the publication time of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의 공개 화면 상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In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an exposure position of the premium sticker may be determined on the disclosure screen of the content.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 당첨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n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rize is won depending on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과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시점을 비교하여 당첨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n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the winning time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with the click time of the prize sticker.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있으면 당첨 처리되고,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없으면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the presence of a click signal, if there is a click of the prize sticker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the prize is processed, and the prize sticker of the prize sticker is exposed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If there are no clicks, you can manage the accumulation of prizes.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may be managed to accumulate the prize for the same content.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의 누적 사실이 상기 컨텐츠 채널 상에 공개될 수 있다.The cumulative fact of the prize may be disclosed on the content channel in the step of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exists.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에서는 당첨된 경품의 지급 여부 또는 적립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the click signal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manage whether the prize is paid or earned.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선택한 컨텐츠 상에 경품스티커가 무작위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끝까지 시청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the prize sticker is randomly exposed on the selected content until the user finishes the content. You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watch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경품스티커가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may not expose the prize sticker to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t can in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일정 시간 내에 경품스티커를 클릭하지 않으면 당첨금 또는 경품이 누적되므로 사용자의 컨텐츠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implementing the method may increase a user's interest in content because winnings or prizes are accumulated when a prize sticker is not click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경품스티커가 노출되는 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보는 시간을 늘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컨텐츠에 내용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increase the time for a user who views the contents to view the contents because the time for exchanging the prize sticker is not long. This can increase the user's awareness of the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스마트폰 상에서 구현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implemented on a smartphone in the method of providing onli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스마트폰 상에서 구현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Fig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mplemented on a smartphone in the method of providing onlin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망(110)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101) 상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시청하는 사용자에 관한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51), 상기 컨텐츠의 공개를 요청하는 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 관리부(161), 상기 컨텐츠의 공개 채널, 공개 시간, 공개 횟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171) 및 상기 컨텐츠의 공개 중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의 경품내용, 노출여부 및 노출시간을 포함하는 경품속성을 관리하는 경품 관리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that provides content on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101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10. ), A user manager 151 that manages member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views the content online, a company manager 161 that manages information of a company requesting the release of the content, a public channel of the content,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71 manages the content disclos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lease time and the number of releases, and the priz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prize attribute including the prize contents, exposure and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randomly exposed during the release of the content. 181 may be included.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상에 무작위로 경품스티커(230)를 노출하고 사용자가 경품스티커를 일정 시간 내에 클릭하면 경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함으로써 제공되는 컨텐츠의 클릭 또는 시청을 활성화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click or viewing of the provided content by exposing the prize sticker 230 randomly on the content and allowing the user to pay the prize when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서비스제공서버(120)는 통신망(110)을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101)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10)은 무선 통신망 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망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1)는 통신망(110)을 통해 서비스제공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망(110)은 무선 통신망이고 사용자 단말기(101)는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of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s terminal 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1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for example, may be a computer, a mobile phone, a smartphone or a PD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101 is a smart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는 사람이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수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람이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s a person who uses a smart phone as a person who downloads and uses an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mart phone, a person watching a plurality of content through the application. .

서비스제공서버(120)는 사용자와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서버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30), 제어부(140), 사용자관리부(151), 업체관리부(161), 컨텐츠관리부(171), 경품관리부(181) 및 경품처리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관리부(151)에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DB)(156)가 연결되고, 업체관리부(161)에는 업체데이터베이스(166), 컨텐츠관리부(171)에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176), 경품관리부(181)에는 경품데이터베이스(186)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is a serv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user and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the user management unit 151, the company management unit 161, content management unit 171, prize management unit 181 and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include. On the other hand, a user database (DB) 156 is connected to the user management unit 151, a company database 166 to the company management unit 161, a content database 176 to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71, to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Prize database 18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단말기(101)가 접속되는 통신망(110)과 서비스제공서버(120)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may interfac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to which the user terminal 101 is connected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서비스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에 접근하기에 앞서 서비스제공서버(120)를 통해 회원가입 및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데이터베이스(156)에는 사용자의 회원정보 또는 개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와 관련한 정보에는 당첨내역 또는 당첨금의 출금을 위한 계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may access the desired content by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1. Prior to accessing the content, the user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registering for membership and enter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The user database 156 may store user information or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may include the details of the winnings or account information for withdrawing the winnings.

제어부(140)는 사용자관리부(151), 업체관리부(161), 컨텐츠관리부(171), 경품관리부(181) 또는 경품처리부(191)의 작동을 서로 연관시키고, 각각의 정보가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correlates the operations of the user manager 151, the company manager 161, the content manager 171, the prize manager 181 or the prize processor 191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piece of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a different part. Can be controlled.

사용자관리부(151)는 서비스제공서버(120)에 접속한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지, 경품스티커를 클릭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manager 151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who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is watch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clicks on the premium sticker to the controller 140 to manage the user.

사용자 관리부(151)는 사용자가 상영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 접속한 시간을 관리하고, 시청/접속 시간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관리부(151)는 컨텐츠의 노출 또는 시청 시간에 비례하는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적립되도록 회원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manager 151 may manage a time when the user watches the screened content or accesses the screened content channel 211,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a point proportional to the viewing / access time. That is, the user manager 151 may manage the member information such that points proportional to the exposure or viewing time of the content are accumulated to the user.

여기서, 포인트는 후출하는 경품스티커(230)에 의한 당첨과는 다른 개념이며, 사용자가 경품스티커(230)를 클릭하였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컨텐츠를 시청한 시간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를 시청한 시간당 또는 상영 컨텐츠 채널에 접속하는 시간당 일정하게 정해진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적립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Here, the point is a concept different from the winning by the prize giveaway sticker 230, and the user can pay points proportional to the time of viewing the content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clicks the prize sticker 230. For example, it may be managed so that a predetermined point is earned to the user per hour of watching the content or per hour of accessing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컨텐츠 시청 또는 접속 시간은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 접속한 시점부터 해당 채널을 벗어난 시점(해당 컨텐츠의 시청을 종료한 시점) 사이의 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컨텐츠 시청 또는 접속 시간은 실시간 확인 보다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경품스티커(230)에 의한 당첨의 경우와 달리, 적립된 포인트는 출금할 수는 없으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숍 등에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tent viewing or accessing time may be calculated as a time between accessing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and the time out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the end of view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user so that it can be checked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t this time, unlike the case of winning by the prize sticker 230, the accumulated points may not be withdrawn, and the points may be used in an online shop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한편, 컨텐츠 시청 또는 접속 시간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적립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포인트 관리부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관리부(151) 대신 상기 포인트 관리부가 포인트의 적립 여부, 컨텐츠 시청/접속 시간의 계산,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 point manager (not shown) for accumulating points proportional to content viewing or access time may be separately provided. If there is the point manager, instead of the user manager 151, the point manager may calculate whether or not to accumulate points, calculate content viewing / access time, and manage the points.

업체관리부(161)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동영상 광고인 경우에 업체는 광고주가 될 수 있다. 업체데이터베이스(166)에는 업체명, 업체가 공개를 원하는 컨텐츠의 내용, 컨텐츠의 종류, 제공하고자 하는 경품의 종류/금액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company manager 161 may manage information about a company that provides content. For example, if the content is a video advertisement, the company may be an advertiser. The company database 166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company name, content of a content that a company wants to disclose, a kind of content, and a type / amount of prizes to be provided.

컨텐츠관리부(171)는 상기 컨텐츠(contents)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로부터 공개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공개할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에 상기 컨텐츠를 각각 할당하며, 상기 컨텐츠의 공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에는 업체가 제공한 각종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동영상 광고, 영화, 뮤직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이다.The content manager 171 selects the content to be published from the content database 176 that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llocates the content to a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for publishing the content, respectively, The public ranking can be determined. The content database 176 may store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a company.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a video advertisement, a movie, a music video, and the like, an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content.

컨텐츠관리부(171)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각각의 컨텐츠 채널에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관리부(171)는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구분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171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nt database 176 to designat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1 to each content channel. Here, the content manager 171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cont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적용된 스마트폰의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전체 화면에 걸쳐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컨텐츠 채널(210)이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는 9개의 컨텐츠 채널(210)이 도시되어 있다. 화면의 아래쪽에는 컨텐츠 채널(210)에 관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채널 아이콘(220)이 구비될 수 있다.3 is a screen of a smartphone to which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channel 210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d over the entir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divided. For example, nine content channels 210 are illustrated in FIG. 3. The bottom of the screen may be provided with a channel icon 220 to enable the management of the content channel 210.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의 수는 조절할 수 있으며, 컨텐츠 채널(210)을 표시하는 화면의 모양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난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 중에서 보고자 하는 컨텐츠 채널(210)을 클릭하면, 해당 컨텐츠를 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may be adjusted, and the shape or change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content channel 210 may be changed. When a user clicks a content channel 210 to be view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he user may view the corresponding content.

도 4 및 도 5에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 채널을 클릭한 후의 단말기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화면의 상부를 차지하는 상영 컨텐츠 채널(211)은 사용자가 시청하기 위해 선택한 채널이며, 화면의 하부에는 선택한 컨텐츠 채널을 포함하여 다른 컨텐츠를 보여주는 대기 컨텐츠 채널(240)이 표시되어 있다.4 and 5 show a terminal screen after clicking on any one content channel.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occupy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is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for viewing, and a standby content channel 240 showing other contents including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is display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화면의 상단에는 선택한 컨텐츠가 상영되고 있는 채널의 번호와 해당 채널에서 제공하는 경품 또는 당첨금의 내용에 대해서 소개하는 채널 안내창(222)이 제공될 수 있다. The channel guide window 222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introduce the number of the channel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being screened and the contents of the prizes or the winnings provided by the channel.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서 공개되는 컨텐츠는 경품스티커(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품스티커(230)는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서 상영되는 컨텐츠 상에 노출될 수도 있고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경품스티커(230)는 상영 컨텐츠의 화면 중앙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경품스티커(230)의 노출 위치도 무작위로 선택되거나 경품관리부(181)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경품스티커(230)에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232)이 표시될 수 있다. Content published in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may include the giveaway sticker 230. The giveaway sticker 230 may or may not be exposed on the content being shown in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The giveaway sticker 230 does not appear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giveaway sticker 230 may also be randomly selected or adjusted by the giveaway manager 181. The premium sticker 230 may display the exposure time 232 of the premium sticker 230.

한편, 상영 컨텐츠 채널(211)과 대기 컨텐츠 채널(240) 사이에는 각각의 컨텐츠 채널(210)에서 공개되는 컨텐츠 상에 노출되는 경품스티커(230)의 내역, 당첨여부, 당첨자, 금액 등에 대한 설명이 게재되는 당첨 안내창(224)이 제공될 수 있다. 당첨 안내창(224)을 통해 제공되는 내용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내용을 안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and the standby content channel 240, a description of the prize, the winner, the winner, the amount, etc. of the prize sticker 230 exposed on the content disclosed in each content channel 210 The winning guide window 224 may be provided. Since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winning guide window 224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ore content may be guided.

이와 같이, 컨텐츠 관리부(171)는 채널 안내창(222) 또는 당첨 안내창(224)을 통해서 공개 진행 중인 상기 컨텐츠에 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ent manager 171 may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content in progress through the channel guide window 222 or the winning guide window 224.

컨텐츠 관리부(171)는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에 각각의 컨텐츠를 할당하며, 컨텐츠의 공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컨텐츠 채널(210) 중에서 상단 좌측에 있는 컨텐츠 채널이 사용자가 쉽게 클릭할 수 있는 컨텐츠 채널이라고 한다면, 컨텐츠 관리부(171)는 상단 맨 좌측 컨텐츠 채널을 통해 공개될 컨텐츠를 결정하고, 그 다음 컨텐츠 채널을 통해 공개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의 순위는 업체의 요구사항, 광고비, 경품스티커의 노출 빈도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171 may allocate each content to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and determine the disclosure order of the cont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if the content channel on the top left of the nine content channels 210 is a content channel that can be easily clicked by the user, the content manager 171 may select the top left content channel. The content to be published through the content channel may be determined, and the content to be published through the content channel may be determined. The ranking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the requirements of the company, the advertising cost, the frequency of exposure of the prize sticker, and the like.

한편, 경품 관리부(181)는 상기 경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품 데이터베이스(186)에서 노출될 경품을 선택하며, 상기 경품에 관한 내용을 경품스티커(230)에 수록할 수 있다. 경품에 관한 정보 즉, 경품을 현금으로 할 것인지, 현물로 할 것인지는 업체의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경품에 관한 내용은 경품 스티커(230) 또는 채널 안내창(222)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select a prize to be exposed in the prize database 186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prize, and may include the information on the prize in the prize sticker 230. Information about the prize, that is, whether the prize is cash or in-ki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company, and the contents of the prize may be guided to the user through the prize sticker 230 or the channel guide 222. Can be.

경품 관리부(181)는 컨텐츠 채널(210) 중에서 경품스티커(230)가 노출될 컨텐츠 채널(211)을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 채널(211)에서 공개되는 컨텐츠의 공개시간 중에서 경품스티커가 노출될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경품 관리부(181)는 컨텐츠 관리부(171)로부터 상영 컨텐츠 채널(211)을 통해 공개될 컨텐츠의 상영시간에 관한 정보를 받고, 상영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경품스티커(230)의 전체 노출시간길이, 상영시간 중 어느 시점에 경품스티커(230)를 노출시킬 것인지 결정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품 관리부(181)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 시간 길이, 노출시점 등을 포함하는 경품속성을 관리할 수 있다.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selects a content channel 211 to which the prize sticker 230 is to be exposed from the content channel 210, and selects a time when the prize sticker is to be exposed from the disclosure time of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211. Can manage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running time of the content to be released through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from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71, based on the screening time information, the total exposure time length of the prize sticker 230, screening At some point in time, the prize sticker 230 may be determined or managed. As such, the premium management unit 181 may manage the premium attribute including the exposure time length, exposure time and the like of the premium sticker 230.

또한, 경품 관리부(181)에 의해서 경품스티커(230)가 해당 컨텐츠의 상영 중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경품스티커(230)를 클릭하기 위해서 해당 컨텐츠를 끝까지 봐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언제 경품스티커(230)를 발견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컨텐츠의 많은 내용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ize sticker 230 may be exposed during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 by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the burden on the user to view the content in order to click the prize sticker 230 can be reduced, and the user Does not know when to find the prize sticker 230 while watching the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immersion in the content and much of the content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품 관리부(181)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화면 상에서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품 관리부(181)는 상영 컨텐츠 채널(211)의 화면 가운데, 모퉁이 등에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위치를 일정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경품스티커(230)를 발견하고 시간 내에 클릭하기 위해서 상영되는 컨텐츠에 집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가 동영상 광고인 경우에는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manage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prize sticker 230 on the disclosure screen of the content. For example,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determine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prize sticker 230 in a corner or the like on the screen of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As such, by mak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premium sticker 230 not constant, the user may be encouraged to focus on the screened content in order to discover the premium sticker 230 and click in time. If the content is a video advertisement,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또한, 경품 관리부(181)는 경품의 종류를 관리할 수 있다. 즉, 경품 관리부(181)는 경품을 현금으로 할 것인지, 현물로 할 것인지 관리할 수 있으며, 경품의 금액 또는 가격을 관리할 수도 있다. 경품 관리부(181)는 컨텐츠 채널(210)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채널에 과도한 금액의 경품이 할당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manage the type of prize. That is,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manage whether the prize is cash or in kind, and may manage the amount or price of the prize.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manage so that an excessive amount of prizes are not allocated to any one of the content channels of the content channel 210.

경품 관리부(181)는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에서 공개되는 각각의 컨텐츠 상에 노출되는 경품스티커(230)의 내용 즉, 경품의 종류, 경품의 금액, 당첨금의 금액이 서로 다르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채널 안내창(222) 또는 당첨 안내창(224)을 통해 각 컨텐츠 채널 마다 경품 내용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컨텐츠 마다 경품의 내용을 다르게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differently manage the contents of the prize sticker 230 exposed on each of the contents published by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that is, the type of prize, the amount of prizes, and the amount of winnings. . In addition, the user may know that the content of the prize is different for each content channel through the channel guide window 222 or the winning guide window 224. As such, by managing the content of the prize differently for each of the contents,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may be further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서비스제공서버(120)는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 당첨 여부를 관리하는 경품 처리부(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of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ze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whether or not to win prizes depending on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the presence of a click signal ( 191 may be further included.

경품 처리부(191)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과 경품스티커(230)의 클릭시점을 비교하여 당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경품 처리부(230)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이 있으면 당첨 처리하고,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이 없으면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The prize processor 191 may compare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and the click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prize is won. That is, the prize processing unit 230 wins if there is a click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and if there is no click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the prize is Can be managed to accumulate.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이 3초라고 하면, 사용자가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서 경품스티커(230)를 발견하고 3초 내에 경품스티커(230)를 클릭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경품이 당첨된 것으로 경품 처리부(191)가 처리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3초 내에 경품스티커(230)를 클릭하지 않는 경우에 경품 처리부(191)는 해당 경품스티커(230)의 당첨이 없는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exposure time of the giveaway sticker 230 shown in FIG. 5 is 3 seconds, the user finds the giveaway sticker 230 in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and clicks the giveaway sticker 230 within 3 seconds.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is processed to win the corresponding prize to the user. If the user does not click on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3 seconds, the prize processor 191 may process that the prize sticker 230 does not win.

여기서, 경품 처리부(191)는 정해진 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이 없어서 당첨이 되지 않은 경우, 해당 경품스티커(230)에 해당하는 당첨금 또는 경품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경품 처리부(191)는 클릭이 없는 경품스티커(230)의 경품/당첨금에 대해서 해당 경품스티커(230)가 노출된 컨텐츠 또는 해당 컨텐츠 채널에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경품의 누적 사실에 대해서 채널 안내창(222) 또는 당첨 안내창(224)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경품 처리부(191)는 상기 경품의 누적 사실을 상기 컨텐츠 채널 상에 공개할 수 있다. 따라서, 경품이 누적된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당첨되기 위해서 더 집중력을 가지고 컨텐츠를 시청하게 될 것이므로, 컨텐츠의 내용이 사용자에 전달되는 정도를 높일 수 있다.Here, when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does not win because there is no click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rize money or prizes corresponding to the prize sticker 230 may be managed to be accumulated for the same content.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manage the prizes / winning prizes of the prize stickers 230 without a click to be accumulated in the exposed contents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channels. In this case,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disclose the accumulated fact of the prize on the content channel by guiding the user through the channel guide window 222 or the winning guide window 224 about the accumulated fact of the prize. Therefore, in the case of a user accessing the accumulated content of the prize, the user will watch the content with more concentration in order to win the prize, thereby increasing the extent to which the content of the content is delivered to the user.

또한, 경품 처리부(191)는 당첨이 되지 않은 경우 동일한 컨텐츠 채널 마다 당첨금 또는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뿐만 아니라, 몇 개의 컨텐츠 채널은 혼용하여 당첨금 또는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도 있고 전체 컨텐츠 채널을 통합하여 당첨금 또는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컨텐츠 채널이 1~10까지 있는 경우라고 하면, 컨텐츠 채널 1에서 당첨되지 않은 당첨금을 컨텐츠 채널 2와 통합하여 누적되도록 관리하거나, 전체 컨텐츠 채널 1~10을 통합하여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not only manage to accumulate the winnings or prizes for the same content channel if not win, but also to mix the content channels of several to manage the prizes or prizes, or to integrate the entire content channel Winnings or prizes can be managed to accumulate. For example, if there are all content channels 1 to 10, the winnings of the content channel 1 may be managed to be accumulated by integrating with content channel 2, or may be managed to be accumulated by integrating all content channels 1 to 10. have.

여기서, 경품스티커(230)는 복권(lottery)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경품스티커(230)를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고, 발견하는 경우에도 정해진 시간 내에 클릭하지 못하면 경품 또는 당첨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경품스티커(230)를 발견하는 것과 경품스티커(230)를 클릭하는 행위가 복권에 당첨되거나 당첨되지 않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Here, the prize sticker 230 can be seen to function as a lottery (lottery). That i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prize sticker 230 may not be found, and even if it is found, the prize sticker or the prize money cannot be received if it is not click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prize sticker 230 is found and the prize sticker 230 is not found. You may feel as if you click on won or not win the lottery.

한편, 경품 처리부(191)는 당첨된 경품의 지급 여부 또는 적립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경품스티커(230)을 시간 내에 클릭하게 되면, 경품 처리부(19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창을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표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게 당첨 여부를 알리고 당첨 내역의 확인 여부를 알려 주게 된다.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메시지창에서 확인을 클릭하게 되면 도 7의 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지금까지 당첨된 내역을 확인하는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이 때, 위쪽에 기록된 당첨내역이 가장 최근에 당첨된 내역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manage whether the prizes paid or earned. When the user clicks on the prize sticker 230 in time, the prize processor 191 displays a message window as shown in FIG. 6 on the user's terminal. In other words, the user is notified whether or not to win and whether to confirm the winning history. When the user clicks OK in the message window shown in FIG. 6, the screen proceeds to the screen of FIG. 7. That is, a screen for checking the details of the winning prizes so far appears. At this time, the winning history recorded above is the most recent winning history.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여러 방법을 통해서 당첨 내역 또는 당첨 여부를 자신에게 알릴 수 있다.The user may inform himself or herself of the details of the winning or the winning through the various methods shown in FIG. 8.

당첨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당첨된 내역을 클릭하게 되면(즉, 도 7에서 맨 위쪽의 당첨내역을 클릭하면), 도 9의 출금신청 화면이 단말기 상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경품 또는 당첨금의 출금신청을 하게 되면, 경품 처리부(191)는 도 10에 도시된 메시지창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한다. 출금계좌정보를 입력하여 출금신청을 완료하면 도 11의 출금내역이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나타난다.When the winning user clicks on the most recent winning details (ie, clicking on the winning item at the top of FIG. 7), the withdrawal application screen of FIG. 9 appears on the terminal. When the user applies for the withdrawal of the prize or the winnings,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displays the message window shown in FIG. 10 on the user's terminal. After completing the withdrawal application by entering the withdrawal account information, the withdrawal details of FIG. 11 appear on the user's terminal.

한편, 경품 처리부(191)는 도 12의 마이페이지 화면을 통해서도 경품 또는 당첨금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경품 또는 당첨금의 지급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 경품 처리부(19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첨금이 누적 내지 적립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also pay prizes or winnings to the user through the My Page screen of FIG. When the user does not request the payment of the prize or the prize money,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manage the prize money accumulated or accumulat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내에 경품스티커가 무작위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를 집중하여 보게 하기 때문에 컨텐츠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s such,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ndomly exposes a prize sticker i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centrate on the content, thereby effectively display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to the user. I can deliver it.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에서 공개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 중에서 컨텐츠를 공개하고자 하는 컨텐츠 채널(211)을 선택하는 단계(S130); 상기 선택된 컨텐츠 채널에서 공개되는 상기 컨텐츠 상에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 및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S160~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의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method by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 to be published in the content database (176); Allocating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for the plurality of contents respectively; Selecting a content channel 211 to which content is to be publish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S130);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230 is exposed on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S140);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won (S150); And managing the prizes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S160 to S18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에서 공개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컨텐츠 관리부(171)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가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는 컨텐츠 관리부(171)가 컨텐츠의 순위, 컨텐츠의 내용, 컨텐츠의 경품 내역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에 각각의 컨텐츠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to be published in the content database 176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nt manager 171 and the content database 176. In addition, in the allocating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the content manager 171 may determine the contents of each content channel in consideration of the ranking of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prizes of the contents, and the like. Will be assign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우선 사용자의 회원가입부터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회원여부를 판단하고(S110),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6)에 입력하는 회원가입 단계(S115)가 수행된다. 이 때, 입력한 회원정보는 사용자관리부(171)에서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로그인 절차를 거치게 된다(S120).Referring to FIG. 2, an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rst start with user registratio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S110), and if not,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115) of inputting the user's member information to the user database 156 is performed. do. In this case, the input member information may be managed by the user manager 171. If the user is a member, the login process is performed (S120).

사용자가 시스템(100)에 로그인하게 되면, 사용자의 단말기에 도 3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자 하는 컨텐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S130). 이 때, 컨텐츠 관리부(171)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6)에 저장된 다수의 컨텐츠를 각각의 채널에 할당하게 된다. When the user logs in to the system 100, a screen as shown in FIG. 3 appears on the user's terminal. In this state, the user may select a content channel that he / she wants to see (S130). 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r 171 allocates a plurality of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176 to each channel.

경품관리부(181)에 의해서 해당 상영 컨텐츠에 경품스티커(230)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140). 만약 경품스티커(230)가 없는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부(171)는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반면에 경품스티커(230)가 있는 경우라면, 경품 관리부(181)는 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를 클릭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품 당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determine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exists in the screening content (S140). If there is no prize sticker 230, the content manager 171 may guide the user to select another content.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rize sticker 230,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determine whether to win the priz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click on the prize sticker 230 in time (S150).

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신호가 있어서 경품이 당첨된 것으로 경품 관리부(181)에서 판단된 경우에는, 경품 처리부(191)에서 경품의 적립 단계(S170)가 처리될 수 있다. 반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신호가 없어서 경품이 당첨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되는 경우에는, 경품 처리부(191)는 경품을 동일 컨텐츠 상에 누적하게 된다(S160).When it is determined in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that the prize is won because there is a click signal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the time period, the prize storing step S170 may be processed in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click signal of the prize sticker 230 and the prize is processed as not winning,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accumulates the prize on the same content (S160).

경품 적립이 수행되면, 경품 처리부(191)는 경품의 수령 여부(즉, 계속 적립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에게 경품을 지급할 것인지)와 지급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S180).When the prize is earned,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selects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prize (that is, whether to continue to accumulate or pay the prize to the user) and the payment method (S180).

경품 처리부(191)에서 경품의 적립 또는 지급여부가 결정되고 해당 과정이 완료되면, 컨텐츠 관리부(171)는 컨텐츠를 변경할 것인지 아니면 동일 컨텐츠를 다시 볼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90). 만약 경품스티커(230)를 시간 내에 클릭하여 당첨이 된 경우에는 상영 중인 컨텐츠 화면에 도 6의 팝업 창이 생긴다. 도 6의 상태에서 "확인"을 클릭하면 당첨 경품 또는 금액을 확인하는 도 7의 창이 생겨나게 된다. 그러나, "취소"를 클릭하면 현재 보고 있는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 계속 머무르면서 해당 컨텐츠를 계속 보게 된다. 즉, 사용자가 다른 채널을 클릭하지 않는 한 당첨된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 머무르면서 상영 컨텐츠를 계속 볼 수 있다.After the prize is determined or accumulated or paid in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and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71 perform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content or view the same content again (S190). If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in time to win, the pop-up window of FIG. Clicking "OK" in the state of Figure 6 will generate a window of Figure 7 to confirm the winning prize or amount. However, clicking "Cancel" will continue to view the content while still staying in the currently watched content channel 211. That is, as long as the user does not click on another channel, the screened content may be continuously viewed while staying in the winning screened content channel 211.

한편, 경품스티커(230)가 상영 컨텐츠 채널(211)에 표시되어 있었는지 여부는 사용자에게 알려 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경품스티커(230)를 보고서도 3초 내에 클릭을 하지 않아서 경품스티커(230)가 사라질 경우, 사용자 본인에게 당첨 기회가 왔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따로 안내하지 않고, 당첨되지 않음으로 인해 경품 또는 당첨금 등이 누적되었다는 사실만 당첨 안내창(224)을 통해 보여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not known to the user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was displayed on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211. For example, if the user does not click within 3 seconds of the report on the prize sticker 230, and the prize sticker 230 disappears, the user is not informed that the user has a chance to win, and does not win. Only due to the fact that the prizes or winnings have been accumulated will be shown through the winning guide 224.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210)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이 서로 비슷한 컨텐츠의 채널이 같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컨텐츠 채널(210)을 구분하여 사용자가 유사한 내용의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the allocating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210 may be divided according to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For example, the content channel 210 may be divided such that channels of contents having similar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ame terminal screen, thereby inducing a user to select desired contents from among contents having similar contents.

상기 컨텐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S130)에서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순위, 공개 시간 또는 공개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71)는 컨텐츠의 내용, 업체의 요구 사항, 경품의 금액 등에 따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채널의 위치를 결정하고 컨텐츠가 상영되는 시간, 상영 횟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lecting the content channel (S1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ublication rank, publication time, or publication count of the content. The content manager 171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hannel displayed o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content, the requirements of the company, the amount of the prize, and the like, and determine the time, the number of times of the screening, and the like.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중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의 경품내용, 노출여부 또는 노출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경품 관리부(181)는 컨텐츠 관리부(171)에서 상영 또는 공개될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매칭되는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노출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S140) may determine the premium content, the exposure or exposure time of the premium sticker that is randomly exposed during the publication of the content.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determine the exposure time, exposure or the like of the matching prize sticker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o be screened or published by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71.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경품스티커(230)에 상기 경품에 관한 내용이 수록될 수 있다. 경품 관리부(181)는 경품스티커(230) 상에 경품의 종류, 금액 등에 관한 정보를 수록함으로써, 경품스티커(230)를 발견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In operation S1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the premium sticker may be included in the premium sticker 230.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call the attention of the user who found the prize sticker 230 by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type, amount, etc. of the prize on the prize sticker 230.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선택된 컨텐츠 채널(211)에서 공개되는 컨텐츠의 공개시간 중에서 경품스티커(230)가 노출될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경품 관리부(181)는 컨텐츠 관리부(171)에서 컨텐츠의 상영시간 정보를 전달 받고, 해당 컨텐츠의 상영 시간 중에서 경품스티커(230)를 노출시킬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상영 초기에 경품스티커(230)를 노출시킬 것인지 아니면 컨텐츠의 상영이 끝날 시점에 경품스티커(230)를 노출시킬 것인 것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점도 경품 관리부(181)에 의해서 랜덤하게 관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집중한 상태로 컨텐츠를 볼 가능성이 높다.In step (S1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a time at which the premium sticker 230 is exposed may be determined from the public time of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211. The prize manager 181 may receive the display ti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manager 171 and determine a time to expose the prize sticker 230 among the display tim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present the prize sticker 230 at the beginning of the content screening or to expose the prize sticker 230 at the end of the screening of the cont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osure time point of the premium sticker 230 may be randomly managed by the premium management unit 181, the user is likely to view the content in a concentrated state.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상기 컨텐츠의 공개 화면 상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경품 관리부(181)는 컨텐츠의 상영 화면에 대해서 경품스티커(230)의 위치도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컨텐츠 화면 중 한 곳만 주시하기 보다는 컨텐츠 화면을 전체적으로 주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잘 숙지할 수 있게 된다.In step (S1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an exposure position of the premium sticker may be determined on the disclosure screen of the content. The prize management unit 181 may also random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content. As a result, the user may watch the content screen as a whole rather than only one of the content screens, and as a result, the user may be familiar with the content of the content.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에서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 당첨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경품 처리부(191)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click)신호가 있으면 당첨된 것으로 처리하고, 클릭신호가 없으면 당첨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에서 경품 처리부(191)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과 경품스티커(230)의 클릭시점을 비교하여 당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S150), whether the prize is won or not depends on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If there is a click signal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treats it as a winner, and if it does not have a click signal, it is treated as a winner. As such,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S150), the prize processor 191 may compare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 the click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prize is won or not. Can be.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S160~S180)에서, 경품 처리부(191)는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또는 클릭신호가 있으면 당첨 처리하고(S170), 경품스티커(230)의 노출시간 내에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또는 클릭신호가 없으면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S160).In the step of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the presence of the click signal (S160 ~ S180),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of the prize sticker 230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230 If there is a click or a click signal, the winner is processed (S170), and if there is no click or click signal of the premium sticker 230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emium sticker 230, the prize may be managed to accumulate (S160).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S160~S180)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경품 처리부(191)는 해당 컨텐츠 상에서 경품스티커(230)의 클릭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경품스티커(230)에 해당하는 경품 또는 당첨금을 다른 컨텐츠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컨텐츠에 누적시킨다. 이와 같이, 경품을 누적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더 강한 관심을 가지게 된다.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S160 to S180) may be managed to accumulate the prize for the same content. When the click signal of the prize sticker 230 does not occur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accumulates the prize or the prize money corresponding to the prize sticker 230 as other content, but accumulates the same content. As such, when the prize is accumulated, the user has a stronger interest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S160~S180)에서 상기 경품의 누적 사실이 상기 컨텐츠 채널 상에 공개될 수 있다. 경품 처리부(191)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당첨 안내창(224)을 통해서 경품의 누적 사실을 알릴 수 있다.The cumulative facts of the prizes may be disclosed on the content channel in managing the prizes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exists.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may notify the cumulative fact of the prize through the winning guide window 224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경품스티커(230)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S160~S180)에서는 당첨된 경품의 지급 여부 또는 적립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경품 처리부(191)는 당첨된 사용자가 경품 또는 당첨금의 지급을 신청하면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만약 사용자가 적립을 원하는 경우에는 경품 지급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다(S180). In the step (S160 ~ S180) of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230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manage whether the prize of the prize is paid or accumulated. The prize processing unit 191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paying the user when the winning user applies for the payment of the prize or the winnings, and if the user wants to accumulate, the prize payment process does not proceed (S180).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1: 사용자 단말기 110: 통신망
120: 서비스제공서버 130: 통신 인터페이스부
140: 제어부 151: 사용자 관리부
161: 업체 관리부 171: 컨텐츠 관리부
181: 경품 관리부 191: 경품 처리부
210: 컨텐츠 채널 230: 경품스티커
100: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101: us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40: control unit 151: user management unit
161: company management unit 171: content management unit
181: prize management unit 191: prize processing unit
210: content channel 230: giveaway sticker

Claims (30)

통신망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 상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시청하는 사용자에 관한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컨텐츠의 공개를 요청하는 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 관리부;
상기 컨텐츠의 공개 채널, 공개 시간, 공개 횟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공개되는 상기 컨텐츠 상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의 경품내용, 노출여부 및 노출시간을 포함하는 경품속성을 관리하는 경품 관리부; 및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 당첨 여부를 관리하는 경품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선택된 컨텐츠가 상영되는 상영 컨텐츠 채널과 상기 선택된 컨텐츠 채널을 포함하여 다른 컨텐츠를 보여주는 대기 컨텐츠 채널을 구분 형성하고, 상기 상영 컨텐츠 채널과 상기 대기 컨텐츠 채널 사이에는 당첨 안내창을 형성하여 공개되는 컨텐츠 상에 노출되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내역, 당첨여부, 당첨자 또는 금액을 포함하는 설명을 상기 당첨 안내창에 게재하고,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관리부로부터 상기 상영 컨텐츠 채널을 통해 공개될 컨텐츠의 상영시간에 관한 정보를 받고, 컨텐츠의 상영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 시간 길이 또는 상영시간 중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점을 관리하며,
상기 경품 처리부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있으면 당첨 처리하고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없으면 상기 경품스티커는 사라지되 경품은 누적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In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on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manager that manages member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views the content online;
A company manag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a company requesting the disclosure of the content;
A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content disclosure information including a publication channel, a publication time, and a publication count of the contents;
A premium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premium attributes including premium contents, exposure and exposure time of the premium stickers that are randomly exposed on the contents to be disclosed; And
And a prize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whether the prize is won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The content manager divides the screened content channel where the selected content is screened and the standby content channel showing other content including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and forms a winning guide window between the screened content channel and the standby content channel.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details of the prize sticker, the winning or not, the winner or the amount of money exposed on the content to be posted in the information window,
The prize management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running time of the content to be published through the screening content channel from the content management unit, and the exposure of the prize sticker during the exposure time length or running time of the prize sticker based on the content running time information To manage timelines,
The prize processing unit wins if there is a click of the prize sticker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and if the prize sticker is not clicked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the prize sticker disappears but the prizes are managed to accumulat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개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공개할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에 상기 컨텐츠를 각각 할당하며, 상기 컨텐츠의 공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management unit selects a content to be published from a content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llocates the content to a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published, and determines the ranking of the content.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ent manager divides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according to contents of the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공개 진행 중인 상기 컨텐츠에 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management unit provide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description of the content in progress.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경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노출될 경품을 선택하며 상기 경품에 관한 내용을 상기 경품스티커에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prize management unit selects a prize to be exposed in the prize databas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prize and the contents of the prize in the prize sticker on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화면 상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위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rize management unit i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anag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prize sticker on the public screen of the cont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관리부는 경품의 종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rize management unit i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anaging the type of priz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처리부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prize processing unit manages the prizes to be accumulated for the same content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관리부는 상기 경품의 누적 사실을 상기 컨텐츠 채널 상에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prize management unit publishes the cumulative facts of the prizes on the content chan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처리부는 당첨된 경품의 지급 여부 또는 적립 여부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mium processing unit i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anaging whether or not to pay or earn the prize.
제5항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개하고자 하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 중에서 컨텐츠를 공개하고자 하는 컨텐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채널에서 공개되는 상기 컨텐츠 상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있으면 당첨 처리되고,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 내에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이 없으면 상기 경품스티커는 사라지되 경품은 누적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의 제공 방법.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by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5,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to be published in the contents database;
Allocating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ontent;
Selecting a content channel to which content is to be publish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on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And
And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In the step of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the presence of a click signal, if there is a click of the prize sticker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the prize is processed, and the prize sticker of the prize sticker is exposed within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And if there is no click, the prize sticker disappears but the prize is accumulated to be manag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컨텐츠 채널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of assign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the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o distinguish the plurality of content channe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lurality of cont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컨텐츠의 공개 순위, 공개 시간 또는 공개 횟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selecting of the content channel,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s ranked, published time, or published number of tim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공개되는 상기 컨텐츠 상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경품스티커의 경품내용, 노출여부 또는 노출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the contents, the exposure or the exposure time of the premium sticker that is randomly exposed on the published content are determine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에 상기 경품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the content related to the prize is stored in the premium sticker on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컨텐츠 채널에서 공개되는 컨텐츠의 공개시간 중에서 상기 경품스티커가 노출될 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determining the time when the giveaway sticker is exposed among the release time of the content published in the selected content channel in determining whether the giveaway sticker is expose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의 공개 화면 상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And determining an exposure position of the premium sticker on the disclosure screen of the content in determining whether the premium sticker is expose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 당첨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claiming whether the prize is won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또는 당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노출시간과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시점을 비교하여 당첨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on,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ning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exposure time of the prize sticker and the click time of the prize sticker.
삭제delet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경품이 누적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managing of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includes managing the prize to accumulate the same conten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품의 누적 사실이 상기 컨텐츠 채널 상에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And accumulating the prizes in the step of managing the prizes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스티커의 클릭 여부 또는 클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경품을 관리하는 단계에서는 당첨된 경품의 지급 여부 또는 적립 여부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And managing the prize according to whether the prize sticker is clicked or whether a click signal is present.
제28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노출 또는 시청 시간에 비례하는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적립되도록 상기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user manager manages the member information so that a point proportional to the exposure or viewing time of the content is accumulated to the user.
KR1020120074520A 2012-07-09 2012-07-09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KR1012389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20A KR101238951B1 (en) 2012-07-09 2012-07-09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PCT/KR2013/005592 WO2014010843A1 (en) 2012-07-09 2013-06-25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implemen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20A KR101238951B1 (en) 2012-07-09 2012-07-09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951B1 true KR101238951B1 (en) 2013-03-04

Family

ID=4818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520A KR101238951B1 (en) 2012-07-09 2012-07-09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8951B1 (en)
WO (1) WO2014010843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91A (en) * 2000-03-11 2000-06-05 신진섭 A Plan for Maximizing Advertisement Effectiveness in Internet Website using Treasures Searching Method
KR20060087932A (en)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디뮤즈 An organizing system for multimedia broadcasting based on internet protocol
KR20060098068A (en) * 2005-03-08 2006-09-18 주식회사 오픈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capsule based on network time protocol
KR20090000863A (en) * 2007-06-28 2009-01-08 (주)손바닥 미디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ement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019A (en)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럭패스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 electric commerce using homep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91A (en) * 2000-03-11 2000-06-05 신진섭 A Plan for Maximizing Advertisement Effectiveness in Internet Website using Treasures Searching Method
KR20060087932A (en) *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디뮤즈 An organizing system for multimedia broadcasting based on internet protocol
KR20060098068A (en) * 2005-03-08 2006-09-18 주식회사 오픈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capsule based on network time protocol
KR20090000863A (en) * 2007-06-28 2009-01-08 (주)손바닥 미디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ement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843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384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ata from Mobile Applications and Dynamically Delivering Advertising Based on Generated Data
CN105938604A (en) Method and system of attaching advertising red envelopes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9033783B1 (en) Methods and systems of enabling users to actively allocate advertising resources and promote follower tracking
US20140043426A1 (en) Successive real-time interactive video sessions
US10628872B2 (en) Brow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browsing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1850157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al marketing services
US20160098753A1 (en) Monitoring an application on a processing device and generating rewards
EP3129941A1 (en) Methods, platforms and systems for paying persons for use of their personal intelligence profile data
CA2935414C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onsumers in a consumer game session
KR20150020422A (en)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for wallpaer of smart phone
JP69047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program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WO2020184669A1 (en) Device, program, and system for providing point services
KR20150014545A (en) method of providing point reserving service of banner advertisement
KR101758973B1 (en) Method of providing reward advertisement and server therefor
KR101238951B1 (en)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o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to implement the same method
KR20150102168A (en) User indemnification system for indirect advertising of reaction type in webtoon using random sampling and method therefor
CN112990950A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JP2007226543A (en) Prize system
KR2014006602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platform service
KR101305402B1 (en) Advertizing system and method of drill and practice type for controlling standby time by using item on web or mobile
JP6014827B2 (en) Expected game data disclosure system
KR20140109781A (en) Smart Phone,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dvertising banners in the Smart Phone
US20190391862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terminal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100723310B1 (en) System for reserving premium of on-line community event and method thereof
KR101752557B1 (en) Method for managing mobile advertisement platform using lottery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