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598B1 -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 - Google Patents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598B1
KR101238598B1 KR1020117015165A KR20117015165A KR101238598B1 KR 101238598 B1 KR101238598 B1 KR 101238598B1 KR 1020117015165 A KR1020117015165 A KR 1020117015165A KR 20117015165 A KR20117015165 A KR 20117015165A KR 101238598 B1 KR101238598 B1 KR 10123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attery
liquid
contac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339A (ko
Inventor
존 더블유. 오글레스비
윌리암 씨. 보니
존 이. 허맨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9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배터리 상에서 또는 배터리와 접속된 전자 장치 상에서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전기 접촉을 구비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상에서 또는 상기 전자 장치 상에서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접속된 센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회로는 액체의 검출시에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전기 접촉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IMMERSION SENSOR TO PROTECT BATTERY}
본 발명은 액체 검출 센서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외부 배터리 접촉을 보호하기 위해 액체 검출 센서를 사용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은 종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들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에 전류를 공급한다. 종종, 전자 장치들은 옥외에서 휴대되며, 습기 및 액체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소방관들은 무릎이 자주 물에 잠기고, 해상 경비원 및 해군 요원은 도전성의 호수 및 바닷물에서 작업하며, 이들 모두는 전자 장치들을 휴대한다.
물과 같은 이온 액체는 전자 장치들 및 전자 장치들 내의 배터리들의 부식성 부분들을 부식시킬 수 있다. 부식성 부분들은 전기 접촉들과 같은 전자 장치들 및 배터리들의 금속성 또는 도전성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액체는 특히, 배터리들의 외부 배터리 접촉들 또는 전자 장치들의 충전 접촉들과 같이, 전류가 통과하는 전자 장치들 또는 배터리들의 도전성 부분들을 부식시킨다. 충전 접촉들은 배터리 접촉들과 접촉할 때에도 습기 또는 액체에 노출될 수 있다.
종종, 배터리 접촉들과 같은 배터리의 부식성 부분들은 전자 장치에 접속될 때 액체로부터 차폐된다. 때로는, 전자 장치는 방수 하우징을 포함하며, 방수 하우징은 배터리를 하우징하여, 전자 장치가 소금물과 같은 액체에 우연히 잠기는 경우에 액체가 배터리의 임의의 부식성 부분들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배터리가 전자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 또는 전자 장치가 물과 배터리의 부식성 부분들의 접촉을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의 부식성 부분들은 액체에 노출되어 부식하기 시작할 수 있다. 배터리 또는 배터리와 접속된 전자 장치가 이온 액체에 우연히 노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바닷물에 빠지는 경우, 부식성 이온 액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배터리 또는 전자 장치의 과전류 보호 장치들을 시동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또는 전자 장치의 부식성 부분들의 빠른 전기 분해가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부식성 부분들에 대한 손상이 짧은 시간 내에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기 분해를 통해 부식성 부분들이 손상되었으므로, 배터리 또는 전자 장치는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부 예들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전자 장치로부터 제거하고, 플라스틱 가방과 같은 방수 용기에 유지함으로써, 배터리의 부식 또는 외부 배터리 접촉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온 액체에 의한 우연한 오염이 발생하거나, 용기가 분실되었거나, 용기가 누설될 수 있는 경우에, 배터리는 용기 내에 적절히 보관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습기 또는 액체가 전자 장치에 들어갈 수 있을 때마다 배터리를 방수 용기 내에 보관해야 하는 것은 성가시다.
따라서, 배터리들 및 배터리들과 접속된 전자 장치들이 이온 액체에 노출될 때 이들의 부식의 양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들 및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컴포넌트들은 반드시 비례 축소된 것은 아니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들을 도시할 때에는 강조가 주어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의 또는 배터리와 접속된 전자 장치 상의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과 접속된 배터리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과 접속된 전자 장치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의 또는 배터리와 접속된 전자 장치 상의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
센서를 이용하여 액체,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어서 센서와 접속된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전기 접촉들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또는 배터리에 접속된 전자 장치에 대한 전기 분해 손상이 줄거나 방지될 수 있다. 센서 및/또는 회로는 배터리 및/또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상의 또는 배터리에 접속된 전자 장치 상의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은 배터리 또는 전자 장치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100) 상의 또는 배터리(100)에 접속된 전자 장치 상의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과 같은 이온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90)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90)은 액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40) 및 센서(140)와 통신하는 센서 회로(150)를 포함한다.
센서(140)는 배터리(100) 또는 전자 장치(130) 상에, 그 근처에 또는 그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근처"는 배터리(100)로부터,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100) 상에 존재하는 제1 접촉(118)으로부터 또는 전자 장치(130) 상에 존재하는 접촉(136)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0 미터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 미터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이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25 미터 이내이다. 센서(140)는 배터리(100), 제1 접촉(118), 전자 장치(130), 또는 전자 장치(130) 상에 존재하는 접촉(136) 상에서, 그 근처에서 또는 그 안에서 액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140)는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포함하며, 압력 센서, 비저항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및 센서 상에 또는 그 근처에 액체가 존재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140)는 센서 회로(150)로 전송되는 센서 정보를 갖는 전자 신호들을 생성한다. 센서 정보는 액체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액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존재할 경우에는 얼마나 많은 액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센서 정보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무선으로 또는 광섬유 케이블 또는 금속 와이어와 같은 와이어를 통해 센서 회로(15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회로(150)는 센서(140)와 통신하며, 한 단부에서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과 다른 단부에서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 사이에서 배터리(100)에 접속된다.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100)의 부분이며, 연료 전지, 화학 배터리 전지, 커패시터, 및 에너지 또는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전류 보유 부분(102)은 센서 회로(150)를 통해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에 접속되어, 센서 회로(150)를 통해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에 전류의 흐름을 제공한다. 센서 회로(150)는 또한 센서(140)와 통신하여, 센서(140)로부터 액체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들을 수신한다.
센서 정보가 적어도 소정 양의 액체의 존재를 지시하는 경우, 센서 회로(150)는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과 배터리(100)의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불가능하게 하여, 전류가 배터리(100)의 제1 접촉(118)을 통해 전자 장치(13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센서 정보가 액체의 부재 또는 소정 양보다 적은 양의 액체의 존재를 지시하는 경우, 센서 회로(150)는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과 배터리(100)의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 간의 전류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전류가 배터리(100)의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을 통해 전자 장치(130)로 흐르는 것을 허락한다.
액체의 부재는 액체의 완전한 부재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허용 가능한 액체의 양 이하이면 되고, 이 양의 초과시에는 배터리(100) 및/또는 전자 장치(130) 상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은 양의 부식이 발생할 것이다. 반대로, 액체의 존재는 액체의 완전한 존재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허용 가능한 액체의 양 이하이면 되고, 이 양의 초과시에는 배터리(100) 및/또는 전자 장치(130) 상에서 허용 가능하지 않은 양의 부식이 발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회로(150)는 센서(140)의 비저항(R)을 계속 측정한다. 센서(140)의 비저항(R)이 적어도 0.0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만큼 변하는 경우, 센서 회로(150)는 전류가 제1 및 제2 접촉(118, 120)을 통해 전자 장치(13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퍼센트들은 필요한 감도, 재료 한계, 및 주변 온도 변화 또는 장치가 동작할 때와 동작하지 않을 때의 장치 온도 범위들에 기인하는 저항 변화와 같은 다른 인자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140)의 비저항(R)은 액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해 감소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90) 또는 시스템(90)의 적어도 일부는 배터리(100) 상에 위치한다. 배터리(100)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을 둘러싸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바람직하게는 저면(116)에 대향하는 상면(112)을 포함하며, 상면(112)과 저면(116) 사이에는 측면(114)이 정의된다. 배터리(100)는 제1 접촉(118) 및 바람직하게는 제2 접촉(120)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은 전류가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으로부터 하우징(110)을 통해 전자 장치(130)로 흐르는 것을 허락한다. 접촉들(118, 120)은 하우징(110)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연장하거나 하우징 내에 리세스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을 통해 노출된다. 접촉들(118, 12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한 금속들의 예는 구리, 황동, 강, 니켈, 금, 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원소 또는 화합물 금속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촉(118)은 양극 배터리 단자를 형성하며, 제2 접촉(120)은 음극 배터리 단자를 형성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센서 회로(90) 또는 센서 회로(9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30) 상에, 그 근처에 또는 그 안에 위치한다. 전자 장치(130)는 배터리(100)로부터의 전류를 사용하는 임의의 장치이다. 전자 장치(130)는 전화, 워키토키 및 라디오 등의 통신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휴대용 음악 재생기,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영화 재생기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장치; 리모트 컨트롤; 휴대용 GPS 장치; 휴대용 전력 툴 및 전력을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30)는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00)에 접속된다. 전자 장치(130)는 배터리(100)의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과 각각 접속하는 제1 및 제2 접촉들(136, 138)을 포함하며, 따라서 전력을 제1 접촉(118)을 통해 제1 접촉(136)으로 전달함으로써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으로부터 전자 장치(130)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장치(130)는 전자 장치(130)를 정의하는 하우징(132)을 포함하며, 하우징(132)은 배터리(10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구획(134)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구획(134)은 제1 접촉(13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구획(134) 내에 위치한다.
이제,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센서(140)는 제2 센서 접촉(14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제1 센서 접촉(14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은 제1 접촉(11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둘러싼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은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 사이의 비저항(R1)을 갖는 도전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센서 회로(150)는 제1 및 제2 접촉들(142, 144) 사이의 비저항(R1)을 계속 또는 간헐적으로 측정한다. 제1 및 제2 접촉들(142, 144) 사이의 비저항(R1)이 적어도 1% 변하는 경우, 센서 회로(150)는 전류가 제1 접촉(118)을 통해 전자 장치(13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센서 접촉들(142, 144)을 형성하는 동심원들 사이 및 센서 접촉들(142, 144)과 제1 접촉(118) 사이의 재료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지된 절연체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센서 회로(150)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와 더불어 제1 및 제2 저항기들(R1, R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저항기들(R1, R2)은 대략 동일한 저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저항기들(R1, R2)은 10 메가오옴(MΩ) 저항기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1, T2)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이다. 센서(140)는 또한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을 포함한다. 제1 저항기(R1)는 제1 단부에서 전력 보유 부분(102)의 양극 단자 및 제2 저항기(R2)의 제1 단부 양자에 접속된다. 제1 저항기(R1)는 제2 단부에서 제1 센서 접촉(142)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G1) 양자에 접속된다. 제2 저항기(R2)는 제1 단부에서 제1 저항기(R1)의 제1 단부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소스(S2) 양자에 접속된다. 제2 저항기(R2)는 제2 단부에서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게이트(G2)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드레인(D1) 양자에 접속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소스(S1)는 또한 전력 보유 부분(102)의 음극 단자 및 배터리(100)의 제2 접촉(120) 양자에 접속된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드레인(D2)은 배터리(100)의 제1 접촉(118)에 접속된다. 제2 센서 접촉(144)은 배터리(100)의 제2 접촉(120)에 접속된다.
동작에 있어서, 제2 트랜지스터(T2)는 액체가 검출되는 경우에 전류가 제1 접촉(118)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저항기들(R1, R2)은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증폭기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은 이온 액체를 감지하는 도전성 표면들을 포함한다.
제1 상태에서, 액체가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과 접촉하지 않을 때, 제1 센서 접촉(142)과 제2 센서 접촉(144) 사이의 전기 저항은 높은데, 예를 들어 약 10 MΩ 이상이다. 제1 상태에서, 제1 저항기(R1) 및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 사이의 저항은 분압기를 형성한다.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이러한 저항들은 대략 동일하므로, 전력 보유 부분(102)의 전압의 약 절반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G1)를 바이어싱하도록 제공된다. 이 전압은 제1 트랜지스터(T1)를 포화("온"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제1 상태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드레인(D1)은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으로부터의 음 전압(B-)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위로 풀링(pulling)된다. 이 전위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동시에 인가되며, 따라서 제2 트랜지스터(T2)도 포화되고, "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들(T1, T2)은 반대 타입이며, 즉 하나는 그의 게이트에 양의 전압이 인가될 때 포화되고, 다른 하나는 그의 게이트에 음의 전압이 인가될 때 포화된다. 제2 트랜지스터(T2)가 "온" 상태이므로,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은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B+, B-)에 유효하게 접속되며, 따라서 배터리(100)는 전자 장치(130)에 의해 제공되는 부하와 같은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제2 상태에서, 액체가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과 접촉할 때, 제1 센서 접촉(142)과 제2 센서 접촉(144) 사이의 전기 저항은 제1 상태에서보다 낮은데, 예를 들어 약 2 킬로오옴(kΩ) 이하이다. 따라서, 제2 상태에서, 제1 저항기(R1) 및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142, 144) 사이의 저항에 의해 형성되는 분압기는 실질적으로 다르며,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으로부터의 전압의 대부분은 제1 저항기(R1)에서 강하된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G1)를 바이어싱하는 데 사용되는 전압은 제1 트랜지스터(T1)가 포화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즉, 제1 트랜지스터(T1)는 "오프" 상태가 된다. 제2 상태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T1) 내에 드레인 전류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2 저항기(R2) 양단에는 전압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상태에서, 제2 저항기(R2) 양단의 전압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바이어스를 "온"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므로, 제2 트랜지스터(T2)는 즉시 "오프" 상태가 된다. 액체가 존재할 때 제2 트랜지스터(T2)를 "오프"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제1 접촉(118)이 배터리(100)의 전력 보유 부분(102)으로부터 격리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로부터 외부 회로를 통해 예를 들어 전자 장치(130)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된 임의의 액체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없으며, 따라서 전류가 통과하였을 제1 및 제2 접촉들(118, 120) 및/또는 제1 및 제2 접촉들(136, 138)과 같은 임의의 접촉들이 전기 분해에 가속되는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 개시의 특징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요약서는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 또는 한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와 더불어 제공된다. 또한, 위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개시를 간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특징들이 함께 그룹화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시 방법은 청구되는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보다 많은 특징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아래의 청구항들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들에 존재한다. 따라서, 이에 의하여 아래의 청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청구 발명으로서 그 자신에 의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 및 구현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을 고려하는 것 외에는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로서,
    제1 접촉을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접촉과 접속되는 제2 접촉을 갖는 배터리;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통신하는 센서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센서가 액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들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액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들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센서 접촉, 및 상기 제1 센서 접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센서 접촉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 양자와 접속되고,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 접촉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액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들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접촉은 상기 제1 접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7. 배터리상에서 또는 상기 배터리와 접속된 전자 장치상에서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전기 접촉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상에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상에서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접속된 센서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센서가 액체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기 접촉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기 접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기 접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기 접촉을 완전히 둘러싸는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센서의 비저항을 측정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비저항이 적어도 0.01%만큼 변한다면,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전기 접촉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
  13. 배터리상에서 액체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표면에서 액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기 접촉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는 비저항 변화들을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 센서 접촉, 및 상기 제1 센서 접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센서 접촉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는 센서 회로를 이용하며,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접촉들 양자와 접속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터리상에 위치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다른 장치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전기 접촉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접촉 주위에서의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는 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전기 접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센서 접촉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액체의 부재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기 접촉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15165A 2008-12-31 2009-12-21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 KR101238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47,040 US7944218B2 (en) 2008-12-31 2008-12-31 Immersion sensor to protect battery
US12/347,040 2008-12-31
PCT/US2009/069032 WO2010078119A2 (en) 2008-12-31 2009-12-21 Immersion sensor to protect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339A KR20110092339A (ko) 2011-08-17
KR101238598B1 true KR101238598B1 (ko) 2013-02-28

Family

ID=4228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165A KR101238598B1 (ko) 2008-12-31 2009-12-21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44218B2 (ko)
KR (1) KR101238598B1 (ko)
CN (1) CN102265449B (ko)
WO (1) WO20100781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4933B2 (en) 2010-08-27 2015-03-1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olysis on battery contacts in a dual-contact battery system
US20130073233A1 (en) * 2011-09-21 2013-03-21 Tesla Motors, Inc. Detection of Low Voltage Electrolysis in a Battery Pack
US8862414B2 (en) * 2011-09-21 2014-10-14 Tesla Motors, Inc. Detection of high voltage electrolysis of coolant in a battery pack
US20130073234A1 (en) * 2011-09-21 2013-03-21 Tesla Motors, Inc. Response to Low Voltage Electrolysis in a Battery Pack
US9966755B2 (en) * 2013-05-17 2018-05-08 Nvidia Corporation Preventing water damage in portable devices
WO2015061937A1 (zh) * 2013-10-28 2015-05-07 华为终端有限公司 保护终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3279676B1 (en) * 2016-08-04 2020-04-01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corrosion within an at least partially electrically conductive housing of an electric energy storage unit and corresponding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
AU2018205364B2 (en) 2017-01-09 2021-05-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11658443B2 (en) * 2021-04-13 2023-05-23 Apple Inc. Liquid detection and corrosion mitig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35B1 (ko) 1996-07-16 1999-06-15 손욱 2차 전지 누액 감지 장치
JP2000030759A (ja) 1998-07-10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KR20010043673A (ko) * 1999-03-16 2001-05-25 모리시타 요이찌 2차 전지 제어 회로
JP2007304086A (ja) 2006-03-31 2007-11-22 Sony Deutsche Gmbh バッテリの漏洩を検出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596A (en) * 1977-12-30 1979-04-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corrosion inhibition of coolant fluid
US5260146A (en) * 1991-11-18 1993-11-09 Motorola, Inc. Cathodically protected battery having sacrificial anode
US5306414A (en) * 1993-05-17 1994-04-2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rrosion sensor
US5792337A (en) * 1994-05-12 1998-08-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corrosion
US5948971A (en) * 1996-07-17 1999-09-07 Texaco Inc. Corrosion monitoring system
KR19990025348A (ko) 1997-09-12 1999-04-06 양재신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파손 감지장치
GB2349221B (en) * 1999-04-19 2003-10-15 Cormon Ltd Electrical resistance sensor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rrosion
US6556027B2 (en) * 2001-01-12 2003-04-29 Ondeo Nalco Company Low cost, on-line corrosion monitor and smart corrosion probe
US6683463B2 (en) * 2001-03-27 2004-01-27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Sensor array for electrochemical corrosion monitoring
US6628111B2 (en) * 2001-04-24 2003-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osion sensing
JP2004247217A (ja) * 2003-02-14 2004-09-02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同機器に使用する燃料電池
US6902316B1 (en) * 2004-02-05 2005-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Non-invasive corrosion sensor
WO2005083410A1 (ja) * 2004-02-26 2005-09-09 Origin Electric Company, Limited 酸性液漏れセンサ
US20050269213A1 (en) 2004-06-08 2005-12-08 University Of South Florida Electrochemical Corrosio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35B1 (ko) 1996-07-16 1999-06-15 손욱 2차 전지 누액 감지 장치
JP2000030759A (ja) 1998-07-10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KR20010043673A (ko) * 1999-03-16 2001-05-25 모리시타 요이찌 2차 전지 제어 회로
JP2007304086A (ja) 2006-03-31 2007-11-22 Sony Deutsche Gmbh バッテリの漏洩を検出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8119A3 (en) 2010-10-07
US7944218B2 (en) 2011-05-17
US20100164474A1 (en) 2010-07-01
CN102265449A (zh) 2011-11-30
KR20110092339A (ko) 2011-08-17
WO2010078119A2 (en) 2010-07-08
CN102265449B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598B1 (ko)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
KR100196535B1 (ko) 2차 전지 누액 감지 장치
AU2007253736B2 (en) Magnetic prob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 detection device
JP5196366B2 (ja) 携帯端末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4563887B2 (ja) 充電システム
JP4954449B2 (ja) 電池で作動するハンドピースとその充電装置の充電接点における電気化学腐食の防止
CN105869357B (zh) 浸水告警装置和浸水告警系统
EP11228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batteries
US201100899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power to wrist device
ATE190429T1 (de) Batterie mit integrierter prüfungsvorrichtung
US20140152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used batteries to surface charge an automobile battery
KR20090043712A (ko)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 그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을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을이용한 충전배터리 폭발 방지 방법
US77192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ttery pack for the same
JP3588343B2 (ja) 電池パック
US5600231A (en) Device for testing and refreshing batteries
US20110101958A1 (en) Current sensor
CN111918160B (zh) 可充电耳机以及可穿戴设备
US5841357A (en) Battery electrolyte monitor
JP2008041507A (ja) 浸水検知スイッチ及び該浸水検知スイッチを備える電池パック
JP5402545B2 (ja) 電池パック
KR101408014B1 (ko) 배터리가 삽입되는 전자기기의 침수보호장치
US200701881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used batteries to surface charge an automobile battery
US20100097235A1 (en) Explosion Proof Non-Contact Check Point to Mount in Explosion Proof Enclosure
CN207124446U (zh) 一种跳闸保护设备
KR101408016B1 (ko) 배터리가 삽입되는 전자기기의 코팅과 평판형 도전체를 이용한 침수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