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269B1 -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269B1
KR101238269B1 KR1020120023745A KR20120023745A KR101238269B1 KR 101238269 B1 KR101238269 B1 KR 101238269B1 KR 1020120023745 A KR1020120023745 A KR 1020120023745A KR 20120023745 A KR20120023745 A KR 20120023745A KR 101238269 B1 KR101238269 B1 KR 10123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creen
impregnated
melamine resi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완
Original Assignee
윤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완 filed Critical 윤수완
Priority to KR102012002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10Writing surfac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2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chem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기재용 속지에 페놀수지를 함침시켜 페놀수지 함침지를 준비하는 단계, 칠판표면을 이룰 표면지에 멜라민수지를 함침시켜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준비하는 단계, 페놀수지 함침지와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배열 및 정렬하는 단계, 배열 및 정렬된 이 함침지들을 가열, 가압하여 경화된 상태의 화이트보드용 패널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스크린 겸용 칠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보드형 칠판이 스크린을 겸할 수 있으므로 강의실이나 회의실에서 칠판 및 스크린의 설치 비용을 절약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칠판과 스크린의 상호 전환 설치에 사용되는 번거로움과 소요시간도 없앨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등의 와이드 화면과 정합하여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칠판 영역을 남김없이 사용함으로써 같은 면적에서 화면 구현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method of making whiteboard which can be used as a screen}
본 발명은 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화이트보드'로 불리어 마커 등을 이용하여 잉크로 표기한 후에 천이나 휴지로 닦아 지우는 것이 가능한 칠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학교나 학원의 교실에서 사용되는 칠판은 표면에 도료 처리를 하고 탄산칼슘이 주된 재질을 이루는 분필로 그 위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면 분필이 긁히면서 칠판 표면에 분필가루가 묻어서 표시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판서 방식은 분필의 미세 가루가 주변에 날려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사용자나 주변 사람의 호흡기에 유입되어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근래에는 화이트보드 방식으로 많이 바뀌고 있다.
화이트보드는 일반적으로, 패널 기재 상에 백색의 폴리염화비닐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백색 안료인 산화티타늄과 함께 유기용매에 희석하여 기재 상에 도포한 다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고르게 하고, 경화시킨 후 이 필름을 박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지는 화이트보드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경량이고 가공성이 양호하며, 마커펜에 대한 가필성 및 소거성 또한 양호하지만 표면경도가 낮아 긁히기 쉬우므로 쓰기와 지우기를 여러번 반복하게 되면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표면으로 채택하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화이트보드 표면용 필름은 가필성 및 소거성이 완전하지 못하며, 광택성이 높아 주변 광원과 화이트보드를 보는 사람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에 의해 가독성이 떨어지고, 눈부심으로 인한 불편을 초래하기 쉽다.
특히, 스크린의 경우, 표면이 난반사를 잘 일으켜야 시야각이 넓어지고 눈부심이 없으나 기존 화이트보드의 경우 표면이 가필성, 소거성을 높이기 위해 매끈하게 처리하여 광택이 심하고, 스크린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여 칠판 위에 별도로 스크린을 롤 식으로 감고 펼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는 화이트보드의 경우,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만들기 때문에 가로와 세로의 비가 여러 가지 규격으로 나오고 있지만 세로의 크기가 주로 1200mm 크기로 나오고 있어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 등에서 많이 채택되는 4:3 또는 16:9의 와이드 화면에 들어맞는 규격이 없어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을 프로젝터로 스크린에 비출 경우, 왜곡이 크지 않은 정상 화면으로 화이트보드 전체를 꽉 채워서 최대한도로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화이트보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칠판과 별도로 스크린을 설치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 비용 및 공간이 절약될 수 있는 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등의 와이드 화면을 프로젝터를 통해 영사할 때 화면과 정합하여 칠판 영역을 남김없이 사용함으로써 같은 면적에서 화면 구현의 비율을 높일 수 있는 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은, 기재용 속지에 페놀수지를 함침시켜 페놀수지 함침지를 준비하는 단계, 칠판표면을 이룰 표면지에 멜라민수지를 함침시켜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준비하는 단계, 페놀수지 함침지와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배열 및 정렬하는 단계, 배열 및 정렬된 이 함침지들을 가열, 가압하여 경화된 상태의 화이트보드용 패널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화이트보드용 패널은 가로:세로 비율을 4:3 또는 16:9로 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용 속지로는 질기고 강한 크래프트지를 사용할 수 있고, 표면지는 재질이 강하고 표면 재질감이나 외관을 조절하여 비광택면으로 제작하기에 이점이 있는 데코 모양지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겸용 칠판은 크래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시킨 것을 복수로 적층, 경화하여 이루어진 기재부분과 상기 기재부분의 양면 가운데 적어도 한 면에 결합된, 모양지를 멜라민수지에 함침시킨 후 경화시킨 표면부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부분은 전체적으로 수 십 마이크로미터 (10μm ~ 100μm) 정도의 오돌도돌한 미세 돌기가 비정형으로 형성되어 매끈한 유리와 같은 광택면이 아니고 산란광을 만들 수 있는 난반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가로세로 비율이 4:3 혹은 16: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보드형 칠판이 스크린을 겸할 수 있으므로 강의실이나 회의실에서 칠판 및 스크린의 설치 비용을 절약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칠판과 스크린의 상호 전환 설치에 사용되는 번거로움과 소요시간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등의 와이드 화면과 정합하여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칠판 영역을 남김없이 사용함으로써 같은 면적에서 화면 구현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인 스크린 겸용 칠판의 층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인 스크린 겸용 칠판의 가로세로 비율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기재용 속지에 페놀수지를 함침시켜 페놀수지 함침지를 준비하고(10), 이와 별도로 칠판표면을 이룰 표면지에 멜라민수지를 함침시켜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준비한다(20).
여기서 기재용 속지로는 크래프트 펄프(황산염펄프 sulfate pulp, kraft pulp, KP)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크래프트지를 사용한다. 크래프트지는 표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높은 강도를 필요로하는 시멘트 포대 등의 지대나 골판지의 원료로서 많이 이용되며, 여기서도 기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크래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며, 이를 위해 먼저 페놀수지를 준비한다. 페놀수지의 페놀류는 보통 석탄산이 주로 사용되나 크레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조공정 중 염기성 촉매에 의해서 생기는 수지인 레졸(resol)은 습식으로 그대로 가압·가열하면 경화되며, 여기서는 알코올에 녹여서 그 속에 크래프트지를 담가 함침(含浸)시킨 다음 알코올을 날려 건조시켜 함침지를 만든다.
이렇게 만든 기재부분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높은 절연성과 내수성을 가진다.
칠판 표면부분을 위해서 여기서는 데코 모양지를 멜라민수지에 담가 함침시켜 함침지를 만든다.
데코 모양지는 다양한 표면 재질감과 효과를 위해 많이 사용되며, 여기서도 강하고 표면 재질감이나 외관을 조절할 수 있어 난반사성 무광택 표면을 만들기에 이점이 있으므로 데코 모양지가 사용된다.
멜라민 수지는 아미노기(-NH2)를 가져서 요소수지와 함께 아미노플라스틱이라 통칭되며, 무색 투명하다. 약알칼리성으로 한 포말린(폼알데하이드 수용액)에 적당량의 멜라민을 가하여 가온 반응시켜 시럽 모양의 제1차 수지를 얻는다. 통상적 제품을 만들기 위해 수지에는 성형용(成型用) 혼합물 가루를 혼합하고 틀에 넣어 가열 성형하지만 여기서는 데코 모양지를 담가 함침지를 만들도록 한다.
이 수지는 열·산·용제에 대하여 강하고, 비중이 1.5 정도로 가벼우며, 내열성, 내수성이 있고, 외관도 좋아서 상품의 표면을 구성하기에 좋으며, 여기서는 모양지에 제1차 수지액을 침투시켜 함침지를 만들게 된다. 이때, 화이트보드를 위해서는 수지에 미세한 가루형태의 백색 안료를 추가할 수 있고, 모양지 자체의 색깔을 이용하여 화이트보드를 이룰 수도 있다. 이 수지의 경화된 표면은 단단하여 스크래치에도 강하고 방오성이 양호하여 마커로 쓴 글씨가 쉽게 지워지므로 화이트보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함침지들이 준비되면, 이들 함침지를 겹쳐 정렬하는 배열 및 정렬 단계(30)와, 프레스에 넣어 가열,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40)를 거치게 된다.
먼저, 배열 및 정렬 단계(30)에서는 페놀수지 함침지는 화이트보드용 패널의 거의 전체 두께를 이루게 되므로 0.5 내지 1mm 두께가 되도록 겹쳐지게 정렬하고, 화이트보드용 패널의 표면을 이룰 멜라민수지 함침지도 필요한 두께(대개 0.1 내지 0.3mm)로 1겹 이상이 되도록 하여 페놀수지 함침지를 적층한 것의 전면, 후면 혹은 전후면에 겹쳐지게 정렬한다.
다음으로, 경화 단계(40)에서는 적층된 함침지들은 프레스 속에 정렬된 상태로 놓고 가열, 가압하면 도2와 같이 외측의 두 표면부분(110a, 110b)에는 경화된 멜라민수지 함침지가 위치하고, 기재부분(120)에는 복수개의 경화된 페놀수지 함침지가 적층된 상태로 일체로 경화되어 위치하는, 본 발명 칠판을 위한 화이트보드용 패널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도2의 도면부호 111은 표면부분에 있는 비정형 돌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런 구성에서는 전면과 후면을 모두 화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프레스에 의한 가열 가압 과정은 150℃ 이상 180℃ 이하로 진행할 수 있고, 압력은 평방미터당 1000kgf 내지 1500kgf 정도로 진행할 수 있다.
프레스로 가열, 가압하는 과정에서 함께 겹쳐진 함침지 가운데서 표면에 나오는 종이(데코 모양지)에 적당한 인쇄를 하면 다양한 무늬를 낼 수 있고 이런 표면 효과를 표면에 전체적으로 10~100마이크로미터(μm)의 미세 돌기가 비정형으로 형성된 스크린용 난반사 무광택 표면을 형성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화이트보드용 패널을 필요한 크기 및 규격으로 잘라서 화이트보드용 규격패널을 제작하는 절단 단계(50)가 추가될 수 있다. 이는 대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큰 사이즈로 한번에 화이트보드용 패널을 만들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작업이며, 처음부터 규격에 따라 패널을 제작하면 생략될 수 있는 단계다.
본 발명의 스크린 겸용 칠판은 이때 화이트보드용 패널을 도3 혹은 도4와 같이 가로세로비 16:9 또는 4:3으로 하여 얻어진다. 이는 가령 기존의 화이트보드에서 세로 크기가 1200mm 규격이던 것을 1300mm 내지 1330mm로 크게 하여 절단하거나, 처음에 사용하는 크래프트지나 데코모양지를 이런 규격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규격패널에서는 잘단된 면은 연마를 통해 버(bur)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없애고 이면에는 필요에 따라 샌딩(sanding)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과 결합하여 적절한 형태의 화이트보드 상품을 완성하여 불량품을 가리기 위한 검사를 한 후에 포장하거나, 규격패널 상태로 포장되어 다른 부품과의 결합을 위해 이송된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런 정도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a, 110b : 표면부분 111: 기재부분
120: 비정형 돌기

Claims (5)

  1. 기재용 속지를 페놀수지에 함침시켜 페놀수지 함침지를 준비하는 단계,
    칠판 표면을 이룰 표면지를 멜라민수지에 함침시켜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페놀수지 함침지와 상기 멜라민수지 함침지를 겹쳐서 배열 및 정렬하는 단계,
    배열 및 정렬된 상기 함침지를 가열, 가압하여 경화된 상태의 패널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용 속지로는 크래프트지를 사용하고, 상기 표면지로는 전면에 걸쳐 돌기를 형성한 데코 모양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을 가로:세로 비율을 16:9 또는 4:3을 가진 개별 패널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패널을 만드는 단계는 프레스기를 통해 가열, 가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스기에 의한 가열, 가압은 150℃ 이상 180℃ 이하의 온도 및 평방미터당 1000kgf 내지 1500kgf의 압력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겸용 칠판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20023745A 2012-03-08 2012-03-08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KR10123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45A KR101238269B1 (ko) 2012-03-08 2012-03-08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45A KR101238269B1 (ko) 2012-03-08 2012-03-08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269B1 true KR101238269B1 (ko) 2013-03-04

Family

ID=4818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745A KR101238269B1 (ko) 2012-03-08 2012-03-08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2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839A (ko) * 1999-11-22 2001-06-25 톰슨 파트라시아 에이. 자기 감수성 마커보드
JP2005313326A (ja) * 2004-04-26 2005-11-10 Nippon Hoan Kogyo Kk 黒板
KR20100081583A (ko) * 2009-01-06 2010-07-15 민 전 분필이나 바이오 펜, 수성펜 또는 보드마카의 사용이 가능한 만능칠판의 제조를 위한 그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지는 시트와 상기 시트에 코팅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839A (ko) * 1999-11-22 2001-06-25 톰슨 파트라시아 에이. 자기 감수성 마커보드
JP2005313326A (ja) * 2004-04-26 2005-11-10 Nippon Hoan Kogyo Kk 黒板
KR20100081583A (ko) * 2009-01-06 2010-07-15 민 전 분필이나 바이오 펜, 수성펜 또는 보드마카의 사용이 가능한 만능칠판의 제조를 위한 그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지는 시트와 상기 시트에 코팅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9695B (ko)
TWI228077B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melamine sheet laminated floor covering
JP5840624B2 (ja) 明色表面層
ES2963939T3 (es) Panel laminado sin papel de contratracción
US5422155A (en) Composite laminated noteboard
JP6701849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7060155B2 (ja) 艶消物品
ES264153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sustrato de impresión así como de un panel decorativo impreso directamente
WO2022054644A1 (ja) 艶消物品
US20240125128A1 (en) Digitally printed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KR101238269B1 (ko) 스크린 겸용 칠판 제조방법
KR101237314B1 (ko) 스크린 및 판서용 다기능 시트
KR100860536B1 (ko) 가죽무늬 문양을 갖는 플라스틱카드
US10011702B2 (en) Wear-protection layer with ellipsoidal solid material particles
CN103694774A (zh) 高亮度uv夜光贴片的制作方法
ES2587766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 sustrato de impresión
US20240157722A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ember
WO2022210538A1 (ja) 艶消物品
KR20090095216A (ko) 친환경적이며 지움성이 우수한 무광보드 및 그 제조방법
TW202248017A (zh) 消光物品
JP6878797B2 (ja) 広告表示化粧板、広告表示化粧板の施工方法、および広告体
JP2019151001A (ja) 窯業系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4986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8126949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CN102501421A (zh) 一种模内装饰用磨砂硬化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