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078B1 -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078B1
KR101238078B1 KR1020120110245A KR20120110245A KR101238078B1 KR 101238078 B1 KR101238078 B1 KR 101238078B1 KR 1020120110245 A KR1020120110245 A KR 1020120110245A KR 20120110245 A KR20120110245 A KR 20120110245A KR 101238078 B1 KR101238078 B1 KR 10123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quadrant
connecting piece
convex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정은수
(주) 해동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수, (주) 해동탑 filed Critical 정은수
Priority to KR102012011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02Sectional flasks, i.e. with divided, articulated, or interchangeable sid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6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37/64Mounting of, or supporting arrangements for, tub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사분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1 금형; 및 일면에 홈과 돌부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홈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볼록한 좌우측을 오목한 라운드면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 1, 제 2 볼록부와, 상기 각 돌부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좌우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 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 1, 제 2 오목부가 형성되는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제 1, 제 2 볼록부와 제 1, 제 2 오목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2 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 개 이상의 스플릿 링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스플릿 링을 성형함으로써, 스플릿 링을 제조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금형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Split Ring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plit Ring}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열이 지나가는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스플릿 링이 파이프 수에 맞추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을 제조하기 위한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火力發電, Thermal power station)는 물을 끓인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돌려 발전을 하는 발전소로서, 보일러에서 순도가 높은 고온 고압의 증기를 증기 터빈으로 보내어 발전기를 돌린다.
이러한 보일러 증기의 통로가 되는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스플릿 링은 고정시키고자 하는 파이프의 수에 따라 2 내지 30여 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스플릿 링의 개수에 따라 스플릿 링을 제조하는 금형이 각각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플릿 링을 제조함에 있어서 스플릿 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것에 대한 금형비의 부담이 크고, 스플릿 링을 제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402628 (공고일 2003.10.30)
한국등록특허: 10-0727551 (공고일 2007.06.1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사분편과, 상기 사분편과 조립되는 연결편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 개 이상의 스플릿 링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사분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1 금형; 및 일면에 홈과 돌부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홈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볼록한 좌우측을 오목한 라운드면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 1, 제 2 볼록부와, 상기 각 돌부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좌우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 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 1, 제 2 오목부가 형성되는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제 1, 제 2 볼록부와 제 1, 제 2 오목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2 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분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홈부가 형성된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금형은 좌측금형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우측금형의 캐비티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분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볼록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홈부가 형성된 볼록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에는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와, 상기 오목한 파형부 일측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의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구비된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3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3 금형; 및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와, 상기 오목한 파형부 일측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구비된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4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4 금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파형이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파형이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제 4 금형은 좌측금형의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우측금형의 캐비티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3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가 형성된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플릿 링 제조방법은 제 1, 제 2 금형에 각각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S10단계; 상기 성형된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에 각각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여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성형하는 S20단계; 및 상기 성형된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고정할 파이프 수에 맞게 조립하는 S3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플릿 링의 조립은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원의 스플릿 링 일측에 제 1 연결편을 연결하고, 반원의 스플릿 링 타측에 제 2 연결편을 연결하며, 제 1 연결편의 홈부에 제 2 연결편의 돌부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연결편의 일측에 다른 제 1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편의 일측에 다른 제 2 연결편을 연결하며, 다른 제 1 연결편에 형성된 홈부에 다른 제 2 연결편에 형성된 돌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 1, 제 2 연결편을 파이프의 수에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연결편과 제 2 연결편의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S10단계에는 제 3, 제 4 금형에 각각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20단계에는 성형된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에 각각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여 제 3, 제 4 연결편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S30단계에는 성형된 사분편 및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편을 파이프의 수에 맞게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플릿 링 조립은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원의 스플릿 링 일측에 제 1 연결편을 연결하고, 반원의 스플릿 링 타측에 제 2 연결편을 연결하며, 제 1 연결편의 홈부에 제 2 연결편의 돌부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연결편의 일측에 제 3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편의 일측에 제 4 연결편을 연결하며, 제 3 연결편에 형성된 홈부에 제 4 연결편에 형성된 돌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 3, 제 4 연결편을 파이프의 수에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연결편과 제 4 연결편의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플릿 링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고, 서로 조립에 의해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하는 제 1, 제 2 사분편; 상기 제 1 사분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을 연결하는 연결면에 홈이 형성된 제 1 연결편; 및 상기 제 2 사분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사분편을 연결하는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제 2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스플릿 링은 제 1 사분편 또는 제 1 연결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 사이에 반원의 라운드편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연결면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제 3 연결편; 및 상기 제 2 사분편 또는 제 2 연결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 사이에 반원의 라운드편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연결면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연결면에 홈부가 형성된 제 4 연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 개 이상의 스플릿 링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스플릿 링을 구비함으로써, 스플릿 링을 제조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플릿 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것에 대한 금형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1, 제 2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1, 제 2 금형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1, 제 2 금형에 의해 성형된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에 의해 제조된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3, 제 4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3, 제 4 금형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3, 제 4 금형에 의해 성형된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에 의해 제조된 제 3, 제 4 연결편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분편 및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편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1, 제 2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1, 제 2 금형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1, 제 2 금형에 의해 성형된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에 의해 제조된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은 사분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1 금형(100),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2 금형(200)을 포함한다.
도 1의 (a)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금형(100)은 좌측금형(110)과 우측금형(120)으로 이루어진다. 좌측금형(110)은 일면에 한 쌍의 홈(111)과 한 쌍의 돌부(113)가 형성되고, 한 쌍의 홈(111)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112)가 형성되며, 한 쌍의 돌부(113)에는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금형(120)은 일면에 좌측금형의 볼록부(112)와 오목부(114)에 대응하여 각각의 캐비티(121)가 형성된다.
도 1의 (b)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금형(200)은 좌측금형(210)과 우측금형(220)으로 이루어진다. 좌측금형(210)은 일면에 홈(211)과 돌부(214)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 홈(211)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볼록한 좌우측을 오목한 라운드면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 1, 제 2 볼록부(212,213)가 형성되고, 각 돌부(214)에는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좌우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217) 또는 돌기부(218)가 형성되는 제 1, 제 2 오목부(215, 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금형(220)은 좌측금형(210)의 제 1, 제 2 볼록부(212,213)와 제 1, 제 2 오목부(215,216)에 대응하여 각각 캐비티(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금형(100)과 제 2 금형(200)은 좌측금형(110,210)의 볼록부(112,212)와 오목부(114,215)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측금형(120,220)의 캐비티(121, 221)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볼록부(112,212)와 오목부(114,215)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형(100)은 좌측금형(110)과 우측금형(120)의 내부에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사분편 성형틀(130)을 성형한다(S10단계).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분편 성형틀(130)은 좌측금형(110)의 일면에 형성된 볼록부(112)에 의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131)과, 좌측금형(110)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부(114)에 의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내측 형틀(132)로 이루어진다.
제 2 금형(200)은 좌측금형(210)과 우측금형(220)의 내부에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제 1 연결편 성형틀(230)과 제 2 연결편 성형틀(240)을 성형한다(S10단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편 성형틀(230)은 좌측금형(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볼록부(212)에 의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231)과, 좌측금형(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오목부(215)와 연결면에 형성된 홈부(217)에 의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돌기부(233)가 형성된 내측 형틀(232)로 이루어진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결편 성형틀(240)은 좌측금형(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볼록부(213)에 의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241)과, 좌측금형(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오목부(216)와 연결면에 형성된 돌기부(218) 의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홈부(243)가 형성된 내측 형틀(2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분편 성형틀(130)은 내측 형틀(132)의 볼록한 라운드면과 외측 형틀(131)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로 스플릿 링의 두께만큼 이격시키고, 내측 형틀(132)과 외측 형틀(131) 사이에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면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스플릿 링의 제1, 제 2 사분편(140,150)이 몰드성형된다(S20단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편 성형틀(230)은 내측 형틀(232)의 볼록한 라운드면과 외측 형틀(231)의 오목한 라운드 면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로 스플릿 링의 두께만큼 이격시키고 내측 형틀(232)의 돌기부(233)가 외측 형틀(231)의 연결면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내측 형틀(232)과 외측 형틀(231) 사이에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면 원통의 일 사분면과 이 사분면을 연결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면에 홈부(251)가 형성된 제 1 연결편(250)이 몰드성형된다(S20단계).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결편 성형틀(240)은 내측 형틀(242)의 볼록한 라운드면과 외측 형틀(241)의 오목한 라운드 면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로 스플릿 링의 두께만큼 이격시킨다. 그리고, 내측 형틀(242)과 외측 형틀(241) 사이에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면 원통의 일 사분면과 이 사분면을 연결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면에 돌기부(261)가 형성된 제 2 연결편(260)이 몰드성형된다. 이때, 돌기부(261)는 내측 형틀(242)의 연결면에 형성된 홈부(243)에 의해 성형된다.
이때, 제 1, 제 2 금형(100,200)에서 좌측금형(110, 210)의 볼록부(112,212)와 오목부(114, 215)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우측금형(120,220)의 캐비티(121, 221)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경우, 사분편 성형틀(130)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132)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131)로 이루어지고, 제 1 연결편 성형틀(230)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돌기부(233)가 형성된 볼록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232)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231)로 이루어지며, 제 2 연결편 성형틀(240)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홈부(243)가 형성된 볼록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242)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24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분편 성형틀(130)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230, 240)을 한번에 복수 개씩 성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한번에 복수 개의 사분편(140,150) 및 제 1, 제 2 연결편(250, 26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제 1, 제 2 사분편(140,150)과, 제 1, 제 2 연결편(250,2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 개 이상의 스플릿 링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a)는 제 1, 제 2 사분편과 제 1, 제 2 연결편이 조립되기 전에 조립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제1, 제 2 사분편과 제 1, 제 2 연결편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플릿 링의 조립은 제 1, 제 2 사분편(140,150)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한다. 이어 반원의 스플릿 링 일측에 제 1 연결편(250)을 연결하고, 반원의 스플릿 링 타측에 제 2 연결편(260)을 연결한 다음 제 1 연결편(250)의 홈부(251)에 제 2 연결편(260)의 돌기부(261)를 끼워 고정시킨다. 이어, 제 1 연결편(250)과 제 2 연결편(260)의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제 1, 제 2 사분편(140,150)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시킬 수도 있고(도시되지 않음), 제 1 연결편(250)의 일측에 다른 제 1 연결편(250)을 연결하고 제 2 연결편(260)의 일측에 다른 제 2 연결편(260)을 연결하며 다른 제 1 연결편(250)에 형성된 홈부(251)에 다른 제 2 연결편(260)에 형성된 돌기부(261)를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 1, 제 2 연결편(250,260)을 복수단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시킬 수도 있다(S30단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3, 제 4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3, 제 4 금형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의 제 3, 제 4 금형에 의해 성형된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에 의해 제조된 제 3, 제 4 연결편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제 2 사분편 및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편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스프릿 링에는 앞서 설명한 제 1, 제 2 사분편(140,150) 및 제 1, 제 2 연결편(250,260)에 이어 연결되는 제 3 연결편( 및 제 4 연결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결편을 성형하는 제 3 금형(300)은 좌측금형(310)과 우측금형(320)으로 이루어진다. 좌측금형(310)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312)가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311)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볼록한 라운드면의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3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우측금형(320)에는 좌측금형(310)의 오목한 파형부(311)와 볼록한 파형부(313)에 대응하여 각각 캐비티(321,322)가 형성된다.
제 4 연결편을 성형하는 제 4 금형(400)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412)가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411)와, 오목한 파형부(411) 일측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413)가 구비된 좌측금형(410) 및 좌측금형(410)의 오목한 파형부(411)와 볼록한 파형부(413)에 대응하여 캐비티(421,422)가 형성된 우측금형(420)으로 이루어진다.
제 3 금형(300)은 좌측금형(310)과 우측금형(320)의 내부에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제 3 연결편 성형틀(330)을 성형한다(S10단계).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결편 성형틀(330)은 좌측금형(310)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한 파형부(311) 및 돌기부(312)에 의해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332)가 형성되는 내측 형틀(331)과, 좌측금형(310)의 일면에 형성된 볼록한 파형부(313)에 의해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한 라운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파형이 형성되는 외측 형틀(3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4 금형(400)은 좌측금형(410)과 우측금형(420)의 내부에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제 4 연결편 성형틀(430)을 성형한다(S10단계).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연결편 성형틀(430)은 좌측금형(410)의 일면에 형성된 오목한 파형부(411)에 의해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432)가 형성되는 내측 형틀(431)과, 좌측금형의 일면에 형성된 볼록한 파형부에 의해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오목한 라운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파형이 형성되는 외측 형틀(433)로 이루어진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결편 성형틀(330)은 내측 형틀(331)의 볼록한 라운드면과 외측 형틀(333)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로 스플릿 링의 두께만큼 이격시키고, 내측 형틀(331)의 홈부(332)가 외측 형틀(333)의 연결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내측 형틀(331)과 외측 형틀(333) 사이에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면 좌우 양측에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이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라운드편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반원의 라운드편들과 제 1 사분편을 상호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341)가 형성된 제 3 연결편(340)이 몰드성형된다.(S20단계)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연결편 성형틀(430)은 내측 형틀(431)의 볼록한 라운드면과 외측 형틀(433)의 오목한 라운드 면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로 스플릿 링의 두께만큼 이격시킨 다음 내측 형틀(431)과 외측 형틀(433) 사이에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면 좌우 양측에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이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라운드편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반원의 라운드편들과 제 1 사분편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441)가 형성된 제 4 연결편(440)이 몰드성형된다.(S20단계)
이때, 제 3, 제 4 금형(300,400)은 좌측금형(310,410)의 오목한 파형부(311, 411)와 볼록한 파형부(313,413)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우측금형(320,420)의 캐비티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금형(300)에서 성형되는 제 3 연결편 성형틀(330)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내측 형틀(331)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외측 형틀(333)로 이루어지고, 제 4 금형(400)에서 성형되는 제 4 연결편 성형틀(430)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432)가 형성된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내측 형틀과(431),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외측 형틀(4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330,430)을 한번에 복수 개씩 성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한번에 복수 개의 제 3, 제 4 연결편(340,44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제 3, 제 4 연결편(340,4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사분편(140,150) 및 제 1, 제 2 연결편(250,260)에 이어 조립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스플릿 링을 조립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제 1, 제 2 사분편과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편이 조립되기 전에 조립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제 1, 제 2 사분편과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편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플릿 링의 조립은 제 1, 제 2 사분편(140,150)을 조립하여 반원을 형성한 다음 제 1 사분편(140)의 일측에 제 1 연결편(250)을 연결하고, 제 2 사분편(150)의 일측에 제 2 연결편(260)을 연결한 다음 제 1 연결편의 홈부(251)에 제 2 연결편의 돌기부(261)를 끼워 고정시킨다. 이어 제 2 연결편(260)의 일측에 제 3 연결편(340)을 조립하고, 제 1 연결편(250)의 일측에 제 4 연결편(440)을 조립하며, 제 3 연결편(340)의 돌기부(341)를 제 4 연결편(440)의 홈부(441)에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정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수에 맞게 제 3, 제 4 연결편(340,440)을 복수단 연결하며, 이어 제 3, 제 4 연결편(340,440)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제 1, 제 2 사분편(140,150)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한다(S30단계).
또한, 스플릿 링의 조립은 반원을 형성한 제 1, 제 2 사분편(140,150) 양측에 제 3 연결편(340)과 제 4 연결편(440)을 각각 연결하고, 제 3 연결편(340)의 돌기부(341)를 제 4 연결편(440)의 홈부(441)에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 3, 제 4 연결편(340,440)을 복수단 연결하며, 제 3, 제 4 연결편(340,440)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제 1, 제 2 사분편(140,150)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을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 개 이상의 스플릿 링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스플릿 링을 구비함으로써, 스플릿 링을 제조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스플릿 링의 패턴에 따라 각각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것에 대한 금형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 1 금형 110: 좌측금형
111: 홈 112: 볼록부
113: 돌부 114: 오목부
120: 우측금형 121: 캐비티
130: 사분편 성형틀 131: 외측 형틀
132: 내측 형틀 140: 제 1 사분편
150: 제 2 사분편 200: 제 2 금형
210: 좌측금형 211: 홈
212: 제 1 볼록부 213: 제 2 볼록부
214: 돌부 215: 제 1 오목부
216: 제 2 오목부 217: 홈부
218: 돌기부 220: 우측금형
221: 캐비티 230: 제 1 연결편 성형틀
231: 외측 형틀 232: 내측 형틀
233: 돌기부 240: 제 2 연결편 성형틀
241: 외측 형틀 242: 내측 형틀
243: 홈부 250: 제 1 연결편
251: 홈부 260: 제 2 연결편
261: 돌기부 300: 제 3 금형
310: 좌측금형 311: 오목한 파형부
312: 돌기부 313: 볼록한 파형부
320: 우측금형 321, 322: 캐비티
330: 제 3 연결편 성형틀 331: 내측 형틀
332: 홈부 333: 외측 형틀
340: 제 3 연결편 341: 돌기부
400: 제 4 금형 410: 좌측금형
411: 오목한 파형부 412: 홈부
413: 볼록한 파형부 420: 우측금형
421,422: 캐비티 430: 제 4 연결편 성형틀
431: 내측 형틀 432: 돌기부
433: 외측형틀 440: 제 4 연결편
441: 홈부

Claims (14)

  1.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사분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1 금형; 및
    일면에 홈과 돌부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홈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볼록한 좌우측을 오목한 라운드면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 1, 제 2 볼록부와, 상기 각 돌부의 좌우측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좌우측을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 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 1, 제 2 오목부가 형성되는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제 1, 제 2 볼록부와 제 1, 제 2 오목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2 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볼록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홈부가 형성된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금형은 좌측금형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우측금형의 캐비티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볼록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연결편 성형틀은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의 연결면에 홈부가 형성된 볼록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한 쌍을 이루고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에는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와, 상기 오목한 파형부 일측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의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구비된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3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3 금형; 및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와, 상기 오목한 파형부 일측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구비된 좌측금형과, 상기 좌측금형의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하여 캐비티가 형성된 우측금형으로 이루어져 제 4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제 4 금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파형이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라운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어 파형이 형성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 4 금형은 좌측금형의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우측금형의 캐비티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오목한 파형부와 볼록한 파형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홈부가 형성되는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연결편 성형틀은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볼록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볼록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볼록한 라운드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의 중앙에 돌기부가 형성된 볼록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내측 형틀과, 일면에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오목한 라운드면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반원의 오목한 라운드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연결면이 라운드로 형성되는 오목한 파형부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외측 형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9. 제 1, 제 2 금형에 각각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S10단계;
    상기 성형된 사분편 성형틀 및 제 1, 제 2 연결편 성형틀에 각각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여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는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성형하는 S20단계;
    상기 성형된 사분편 및 제 1, 제 2 연결편을 고정할 파이프 수에 맞게 조립하는 S30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은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원의 스플릿 링 일측에 제 1 연결편을 연결하고, 반원의 스플릿 링 타측에 제 2 연결편을 연결하며, 제 1 연결편의 홈부에 제 2 연결편의 돌기부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연결편의 일측에 다른 제 1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편의 일측에 다른 제 2 연결편을 연결하며, 다른 제 1 연결편에 형성된 홈부에 다른 제 2 연결편에 형성된 돌기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 1, 제 2 연결편을 파이프의 수에 맞추어 복수단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연결편과 제 2 연결편의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에는 제 3, 제 4 금형에 각각 코티드샌드를 주입하여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20단계에는 성형된 제 3, 제 4 연결편 성형틀에 각각 용해된 스플릿 링의 원재료를 주입하여 제 3, 제 4 연결편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S30단계에는 성형된 사분편 및 제 1, 제 2, 제 3, 제 4 연결편을 파이프의 수에 맞게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은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원의 스플릿 링 일측에 제 1 연결편을 연결하고, 반원의 스플릿 링 타측에 제 2 연결편을 연결하며, 제 1 연결편의 홈부에 제 2 연결편의 돌기부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연결편의 일측에 제 3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편의 일측에 제 4 연결편을 연결하며, 제 3 연결편에 형성된 홈부에 제 4 연결편에 형성된 돌기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 3, 제 4 연결편을 파이프의 수에 맞추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연결편과 제 4 연결편의 일측에 반원을 형성하는 사분편 한 쌍을 연결하여 스플릿 링의 조립을 완성하는 단계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제조방법.
  13. 원통의 사분면에 해당되고, 서로 조립에 의해 스플릿 링의 반원을 형성하는제 1, 제 2 사분편;
    상기 제 1 사분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을 연결하는 연결면에 홈이 형성된 제 1 연결편; 및
    상기 제 2 사분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사분편을 연결하는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제 2 연결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스플릿 링은 제 1 사분편 또는 제 1 연결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 사이에 반원의 라운드편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연결면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연결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제 3 연결편; 및
    상기 제 2 사분편 또는 제 2 연결편과 조립되고, 제 1 사분편과 제 2 사분편 사이에 반원의 라운드편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 연결면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연결면에 홈부가 형성된 제 4 연결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플릿 링.
KR1020120110245A 2012-10-04 2012-10-04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KR10123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45A KR101238078B1 (ko) 2012-10-04 2012-10-04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45A KR101238078B1 (ko) 2012-10-04 2012-10-04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078B1 true KR101238078B1 (ko) 2013-02-27

Family

ID=4790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245A KR101238078B1 (ko) 2012-10-04 2012-10-04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28B1 (en) 2002-12-11 2003-10-30 Yi Nam Han Molding frame for production of concrete pumping car reducer shell mold and core metallic mold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shell mold by the same
JP2005035218A (ja) 2003-07-17 2005-02-10 Kowa Spinning Co Ltd リング状部品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使用される金型
KR100727551B1 (ko) 2004-12-28 2007-06-14 가부시키가이샤 사카이야 금속조 합성 수지 링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출성형 금형
JP2012162038A (ja) 2011-02-08 2012-08-30 Prime Polymer Co Ltd 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28B1 (en) 2002-12-11 2003-10-30 Yi Nam Han Molding frame for production of concrete pumping car reducer shell mold and core metallic mold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shell mold by the same
JP2005035218A (ja) 2003-07-17 2005-02-10 Kowa Spinning Co Ltd リング状部品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使用される金型
KR100727551B1 (ko) 2004-12-28 2007-06-14 가부시키가이샤 사카이야 금속조 합성 수지 링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출성형 금형
JP2012162038A (ja) 2011-02-08 2012-08-30 Prime Polymer Co Ltd 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43971A (en) Contact lens production
JP2014516831A (ja) 複合材料製タービンエンジン案内翼を製造するための繊維プリフォーム用圧縮成形および射出成形モールド
JP6076251B2 (ja)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の製造方法
CN107952859B (zh) 一种用于制造s型金属波纹管的可拆卸式液压胀形模具
KR101238078B1 (ko) 화력발전소용 조립식 스플릿 링 몰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스플릿 링의 제조방법 및 조립식 스플릿 링
CN109695697B (zh) 齿轮及齿轮制造方法
JPWO2021261316A5 (ko)
CN203792728U (zh) 填充0°碳纤维预浸料预成型工装
WO2017016100A1 (zh) 金属箱壳体圆弧角接筋的拉伸工艺
CN102922669B (zh) 水轮机上的叶片固定座成型模具
CN109737197B (zh) 齿轮及齿轮制造方法
CN104227362B (zh) 一种分离器轴的制造方法
CN218838323U (zh) 一种液压波纹管成型的模具
CN201405420Y (zh) 一种竹集成材的组坯结构
CN220008659U (zh) 叠层模热流道结构
CN108204252B (zh) 汽轮机用的汽缸
CN216151001U (zh) 一种篦缝砂芯生产用组合热芯盒结构
TWM576751U (zh) Motor combined stator structure
CN203665928U (zh) 一种组合式曲棍球杆模具
CN202667414U (zh) 无外圈波纹管成型中模
CN202480213U (zh) 一种低压快排水模具
CN202934758U (zh) 水轮机上的叶片固定座成型模具
CN214026330U (zh) 一种钢筋混凝土f型顶管底托
CN219233908U (zh) 一种防壳体端部坡口处缩孔的浇铸模具
CN203391069U (zh) 植纤板冷压锁模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