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610B1 - 유아용 변형완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변형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610B1
KR101237610B1 KR1020100116016A KR20100116016A KR101237610B1 KR 101237610 B1 KR101237610 B1 KR 101237610B1 KR 1020100116016 A KR1020100116016 A KR 1020100116016A KR 20100116016 A KR20100116016 A KR 20100116016A KR 101237610 B1 KR101237610 B1 KR 10123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ble
caps
male coupler
deformed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747A (ko
Inventor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석 filed Critical 서용석
Priority to KR102010011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6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변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자유로운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입체물을 다양하게 창작토록 하고, 그 흥미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입에 넣거나 하더라도 안전 및 무해하여 안전 규격에도 결격사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금속재로 된 심재(10)와,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심재(10)를 둘러싸는 변형부재(20)와,
상기 변형부재(20)의 양단을 마감하는 캡(30)(40)을 포함하고,
상기 캡(30)(40)의 어느 하나는 숫결합구(3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숫결합구(31)가 형성되는 타측 캡(40)에는 이 숫결합구(31)가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홈(41)을 각각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절곡 가능한 상태로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기둥(6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 성형되는 볼죠인트(6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변형완구{a flexible toy used of children}
본 발명은 유아용 변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자유로운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입체물을 다양하게 창작토록 하고, 그 흥미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입에 넣거나 하더라도 안전 및 무해하여 안전 규격에도 결격사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놀이 중 대표적인 것이 찰흙놀이와 퍼즐용 블록이다.
찰흙놀이의 경우 아이들이 손을 사용하여 원하는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런데, 찰흙놀이의 경우, 아이들이 찰흙을 부주의하게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오물로 인해 집안이 더러워질 수 있으며, 찰흙은 일단 말라버리면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소모성 물품이므로, 찰흙놀이를 할 때마다 찰흙을 새로 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퍼즐용 블록의 경우에는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 삼각기둥 내지 정육면체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구자석과 이에 자착되는 금속볼을 이용하기 위해 블록의 각 면마다 영구자석 및 금속볼을 매립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퍼즐용 블록체를 이용한 완구는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조각들의 위치를 맞추는 놀이이기 때문에, 퍼즐의 과정 자체가 지루하다.
뿐만아니라, 같은 퍼즐을 반복하여 맞출 경우, 횟수가 반복될수록 퍼즐을 맞추는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몇 번만 맞추어 보면 흥미가 떨어지므로, 새로운 퍼즐을 사야 한다.
즉, 퍼즐에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새로운 퍼즐을 구매해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10-0642501호에서는 유연한 케이블을 이용해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가능하게 하므로써, 유아의 창의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로 한 변형 완구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등록특허 10-0642501호의 구조는 심재를 둘러싸는 유연재질로 형성되는 피복재를 포함하는 변형부의 단부에 서로 확장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되, 결합부의 구성으로 결합부 내부에 자성체가 일부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종래, 퍼즐용 블록체는 확장 변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블록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이용해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또, 이 영구자석에 자착되는 금속판 내지 금속볼 또한 블록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볼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이용해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 내지 이에 자착되는 금속볼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 공정수가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한 유아용 변형완구도 확장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부 내측 수용부에 자성체를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재로 된 자석이 유아들 입으로 들어가게 되서 빨게 되거나, 이 영구자석이 불량으로 인해 이탈되어 삼키게 되는 안전사고가 가끔 발생된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이용해 자성체를 부착하거나, 또는 영구자석을 포함한 자성체가 노출된 상태로 유아 입으로 빨게 될 경우 유해물질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한 유아 안전규정에 통과하기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단점을 해소하여 변형부의 양단을 인해 무해한 합성수지재 마감캡으로 마감하면서 이 마감캡에 서로 확장 연결 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개선하므로 제작자는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으로 이익을 줄 수 있는 유아용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및 영구자석 등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규제에 통과될 수 있는 유아용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금속재로 된 심재(10)와,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심재(10)를 둘러싸는 변형부재(20)와,
상기 변형부재(20)의 양단을 마감하는 캡(30)(40)을 포함하고,
상기 캡(30)(40)의 어느 하나는 숫결합구(3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숫결합구(31)가 형성되는 타측 캡(40)에는 이 숫결합구(31)가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홈(41)을 각각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절곡 가능한 상태로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기둥(6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 성형되는 볼죠인트(60)가 더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변형부재(20)의 중간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돌기(51)가 돌출되는 클램프(5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또,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하도록 끼움홈(41)에 끼워 조립되는 숫중간부재(70)와, 숫결합구(31)가 끼워 조립되는 암중간부재(80)를 더 구비하기도 한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변형부의 양단을 인해 무해한 합성수지재 마감캡으로 마감하면서 이 마감캡에 서로 확장 연결 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자는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으로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 공수나 재료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유해성분 사용이 배제되므로 유해 안전규정에도 통과될 수 있어,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부재의 양단에 조립된 캡들이 서로 끼워 조립되는 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3과 도 4는 숫중간부재와 암중간부재를 이용해 확장되는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숫중간부재와 암중간부재를 이용해 확장되는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부재의 중간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시키는 클램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양단에 조립되는 캡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절곡 가능한 상태로 확장 연결시키는 볼죠인트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다른 굵기를 갖도록 성형하여 조립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되는 창작물의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변형 완구는, 심재(10)와, 심재(10)를 둘러싸는 변형부재(20)와, 이 변형부재(20)의 양단을 마감하는 캡(30)(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심재(1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철사와 같이 외력에이 가해질때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연질의 금속재질로 일정한 굵기로 길게 형성되며, 그 외부를 변형부재(20)로 피복하게 된다.
변형부재(2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과 인성이 양호한 실리콘 및 합성수지재 중에 특히 EPDM재로 발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된 심재(10)의 외부를 변형부재(20)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유아들이 원하는 형태로 힘을 약간만 가하여 변형부재(20)를 변형시키면 그 변형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심재(10)가 과도히 절곡되지 않도록 하여 심재(10)가 절단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금속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체가 상처입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리고, 심재(10)의 부식변형 상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시키는 과정이 자유롭고 변형가능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게 되는 것이다.
심재(10)를 피복하고 있는 변형부재(20)의 양단부는 캡(30)(40)으로 각각 마감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30)(40)의 어느 하나는 숫결합구(3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숫결합구(31)가 형성되는 타측 캡(30)에는 이 숫결합구(31)가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홈(41)을 각각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이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변형부재(20)를 둥근 원형으로 변형하고자 할 때 일측 캡(30)에 돌출된 숫결합구(31)가 타측 캡(40)의 끼움홈(41)에 긴밀하게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둥근 원형으로 변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변형부재(20)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연속 배치한 상태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캡(30)에 돌출된 숫결합구(31)가 타측 캡(40)의 끼움홈(41)에 긴밀하게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일직선으로 길게 확장 연결할 수도 있다.(도 2)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변형 완구는 다수개가 하나의 셋트로 소비자인 유아들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변형부재(20)의 길이와 색상 및 굵기를 각각 다양하게 제작하여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물을 다양하게 변형,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변형부재(20)의 굵기를 다르게 다수개의 모델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도 9에서와 같이 캡(30)(40)의 어느 일측에 돌출되는 숫결합구(31)와 이에 결합되는 끼움홈(41)의 치수를 동일한 비율로 가감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여 변형부재(20)의 굵기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은 예로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말이나 기린과 같은 동물 모습으로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굵기로 변형부재(20)를 제공하는 경우 몸통에 해당되는 부위는 가장 굵은 것을 선택하고 얼굴이나 뿔, 다리에 해당되는 부위는 몸통부위 보다 가는 변형부재를 이용하여 형태를 변형시키면서 완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도 11과 같이 예로서 숫자나 문자를 변형부재(20)들 형상 변형과 결합으로 완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형부재(20)의 중간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돌기(51)가 돌출되는 클램프(5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 클램프(50)는 내경이 변형부재(20)의 외경보다 작게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어 탄성을 갖는 변형부재(20)의 외부에 강제로 결합되는 경우 변형부재(20)의 탄성과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변형부재(20)와 클램프(50)가 상호 유동없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클램프(50)에 돌출되는 조립돌기(51)는 주로 2개-4개 사이의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변형부재(20)의 끝단을 마감하는 캡(30)(40)들 중에 끼움홈(41)이 파여지는 캡(40)과 결합되면서 임의의 변형부재(20) 중간 위치에서 직각 또는 경사방향으로 다른 변형부재(20)들이 확장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 클램프(50)를 이용하면 예로서 도 12에서와 같이 안경과 같은 사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절곡 가능한 상태로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기둥(61)이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볼죠인트(6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 볼죠인트(60)를 이용하면 예로서 로봇의 팔이나 다리가 원하는 각도로 변형될 수 있는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볼죠인트(60)의 조립기둥(61)에는 변형부재(20)의 끝단을 마감하는 캡(30)(40)들 중에 끼움홈(41)이 파여지는 캡(40)과 결합되면서 변형부재(20)들의 중간 연결에서 팔이나 다리 등의 관절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확장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하도록 끼움홈(41)에 끼워 조립되는 숫중간부재(70)와, 숫결합구(31)가 끼워 조립되는 암중간부재(80)를 더 구비하기도 한다.
숫중간부재(70)는 변형부재(20)를 확장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연결부 양측에 암기능을 갖는 끼움홈(41)이 각각 파여진 캡(40)이 위치되는 경우에도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끼움홈(41)들에 각각 끼워 결합되면서 확장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암중간부재(80)는 숫결합구(31)들에 각각 끼워 결합되도록 관형상으로 관통되어, 변형부재(20)를 확장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연결부 양측에 숫기능을 갖는 숫결합구(31)가 각각 돌출 성형된 캡(30)이 위치되는 경우에도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숫결합구(31) 사이에서 확장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변형완구들을 이용해 나타내고자 하는 모양에 따라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및 사물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삭제
그러므로, 유아들의 인지발달이 향상된 상태로 취학하게 되므로, 학업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10 - 심재 20 - 변형부재
30,40 - 캡 31 - 숫결합구
41 - 끼움홈 50 - 클램프

Claims (4)

  1.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금속재로 된 심재(10)와,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심재(10)를 둘러싸는 변형부재(20)와,
    상기 변형부재(20)의 양단을 마감하는 캡(30)(40)을 포함하고,
    상기 캡(30)(40)의 어느 하나는 숫결합구(3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숫결합구(31)가 형성되는 타측 캡(40)에는 이 숫결합구(31)가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홈(41)을 각각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절곡 가능한 상태로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기둥(6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 성형되는 볼죠인트(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형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20)의 중간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돌기(51)가 돌출되는 클램프(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형완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확장 연결하도록 끼움홈(41)에 끼워 조립되는 숫중간부재(70)와, 숫결합구(31)가 끼워 조립되는 암중간부재(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형완구.







KR1020100116016A 2010-11-22 2010-11-22 유아용 변형완구 KR10123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016A KR101237610B1 (ko) 2010-11-22 2010-11-22 유아용 변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016A KR101237610B1 (ko) 2010-11-22 2010-11-22 유아용 변형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747A KR20120054747A (ko) 2012-05-31
KR101237610B1 true KR101237610B1 (ko) 2013-02-26

Family

ID=4627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016A KR101237610B1 (ko) 2010-11-22 2010-11-22 유아용 변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96B1 (ko) 2017-07-26 2018-08-27 고영호 변형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531A (ja) * 2003-04-01 2004-10-28 Optonica Kobo Kk 可撓性連接棒、結合部材、及び立体組立て遊戯具
KR100642501B1 (ko) * 2004-11-18 2006-11-02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변형 완구
JP2008212230A (ja) 2007-02-28 2008-09-18 Agatsuma:Kk 組み立て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531A (ja) * 2003-04-01 2004-10-28 Optonica Kobo Kk 可撓性連接棒、結合部材、及び立体組立て遊戯具
KR100642501B1 (ko) * 2004-11-18 2006-11-02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변형 완구
JP2008212230A (ja) 2007-02-28 2008-09-18 Agatsuma:Kk 組み立て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96B1 (ko) 2017-07-26 2018-08-27 고영호 변형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747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8661B2 (ja) 組み付け玩具
US20150104992A1 (en) Plaything
KR20070092247A (ko) 다면체 놀이기구
KR101240866B1 (ko) 유아용 블록완구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KR20130057531A (ko) 유아용 변형완구
KR20170042850A (ko) 조립식 완구블럭
KR101237610B1 (ko) 유아용 변형완구
KR101506114B1 (ko) 조립식 관절완구
KR10091551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040090653A (ko) 조립식 블록 및 조립식 블록완구세트
KR200399450Y1 (ko) 자석블록완구용 스틱 및 그를 구비한 자석블록완구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923086B1 (ko) 유아용 기능성 변형결합완구
KR101036721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120035058A (ko) 입체구조물 조립용 블록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103459B1 (ko)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20130004958A (ko) 자석완구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255484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153487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119416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20130092686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273054B1 (ko)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