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396B1 - 변형완구 - Google Patents

변형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396B1
KR101892396B1 KR1020170094588A KR20170094588A KR101892396B1 KR 101892396 B1 KR101892396 B1 KR 101892396B1 KR 1020170094588 A KR1020170094588 A KR 1020170094588A KR 20170094588 A KR20170094588 A KR 20170094588A KR 101892396 B1 KR101892396 B1 KR 10189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quare
deformed
groov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호 filed Critical 고영호
Priority to KR102017009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유아가 이빨로 물고 잡아당기더라도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들이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삼키지 못하도록 하는 변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단면적으로 가지고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재의 변형심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연결 사각관이 돌출 형성되는 수 연결부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 연결이 가능한 사각봉 삽입홈이 형성되는 암 연결부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고 양 단부가 상기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연질 합성수지재나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변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형완구{FLEXIBLE TOY}
본 발명은 변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유아가 이빨로 물고 잡아당기더라도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들이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삼키지 못하도록 하는 변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형완구는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 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 도구이다. 이러한 변형완구는 유동이 가능한 긴 봉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봉을 구부려 여러 형상으로 만들어 놀이를 하는 도구로서, 유아들이나 아동들의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변형완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변형완구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7610호의 "유아용 변형완구"(이하, "종래의 변형완구"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변형완구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금속재로 된 심재(10)와,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심재(10)를 둘러싸는 변형부재(20)와, 상기 변형부재(20)의 양단을 마감하는 캡(30)(40)을 포함하고, 상기 캡(30)(40)의 어느 하나는 숫결합구(3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숫결합구(31)가 형성되는 타측 캡(40)에는 이 숫결합구(31)가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끼움홈(41)을 각각 일체로 성형한다.
아울러 종래의 변형완구는 상기 캡(30)(40)의 끝단부 위치에서 다른 변형완구를 절곡 가능한 상태로 확장 연결하도록 조립기둥(61)이 양측으로 각각 돌출 성형되는 볼죠인트(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캡(30)(40)은 변형부재(2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둘레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심재(10)의 양 단부가 캡(30)(40)과 분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숫 결합구(31)는 외경이 일정한 원형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4)을 내경이 일정한 원형홈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변형완구를 유아들이 가지고 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의 변형완구는 캡과 심재 단부의 사이가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유아들이 캡을 이빨로 물고 당길 경우에 캡이 변형부재의 외주면에서 쉽게 이탈되어 유아들이 캡을 삼키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변형완구는 숫 결합구가 외경이 일정한 원형봉으로 형성되고 끼움홈이 내경이 일정한 원형홈으로 형성됨에 따라, 변형완구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끼움홈이 확장되어 숫 결합구가 끼움홈에서 쉽게 빠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7610호의 "유아용 변형완구"(2013.02.20.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변형심재의 단부에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를 직접 연결하고,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를 변형관의 단부 내주면에 더 연결함으로써,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유아가 이빨로 물고 잡아당기더라도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관의 일측에 구비된 수 연결부재를 변형관의 타측에 형성된 암 연결부재에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심재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는 내부 변형관을 더 구비하고, 내부 변형관의 외주연에 쿠션 공간부를 두고 변형관을 구비함으로써, 내부 변형관을 통해 변형심재의 변형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변형관의 쿠션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형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연결 입체부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변형완구를 더 연결하여 다양한 변형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는 원형의 단면적으로 가지고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재의 변형심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연결 사각관이 돌출 형성되는 수 연결부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 연결이 가능한 사각봉 삽입홈이 형성되는 암 연결부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고 양 단부가 상기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연질 합성수지재나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변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의 상기 수 연결부재는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홀에는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변형관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가 연결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면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사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의 상기 암 연결부재는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홀에는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변형관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가 연결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봉과, 상기 원형봉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 연결이 가능하게 함몰 형성되는 사각봉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의 상기 변형심재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이 밀착되는 유동이 가능한 내부 변형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변형관의 외주면과 변형관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쿠션 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는 다수의 사각평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사각평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되는 다수의 사각봉 삽입 연결홈이 더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각평면에는 상기 암 연결부재에 형성된 사각봉 삽입홈에 삽입되는 연결 삽입 사각관이 더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입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변형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변형심재의 단부에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를 직접 연결하고,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를 변형관의 단부 내주면에 더 연결함으로써,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유아가 이빨로 물고 잡아당기더라도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아들이 수 연결부재나 암 연결부재를 삼키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관의 일측에 구비된 수 연결부재를 변형관의 타측에 형성된 암 연결부재에 쐐기식으로 견고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기간이 경과되더라도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의 연결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심재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는 내부 변형관을 더 구비하고 내부 변형관의 외주연에 쿠션 공간부를 두고 변형관을 구비함에 따라, 내부 변형관을 통해 변형심재의 변형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고, 내부 쿠션 공간부를 통해 변형관의 쿠션력을 좀 더 향상시켜 유아들이 손으로 잡고 놀 때 그립감이 우수한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연결 입체부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변형완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변형 놀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좀 더 다체로운 변형놀이가 가능한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d는 수 연결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e는 암 연결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변형완구를 절곡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변형완구가 꼬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변형 완구를 원형으로 절곡시켜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를 구성하는 연결 입체부재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직육면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직육면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삼각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d는 입체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와 연결 입체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변형완구의 수 연결부재를 연결 입체부재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변형완구의 암 연결부재를 연결 입체부재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하나의 연결 입체부재에 두 개의 변형완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래의 변형완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는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변형심재(1)와, 상기 변형심재(1)의 일측(도면상의 우측을 "일측"이라 하고 반대편인 좌측을 "타측"이라 한다.)에 연결 고정되는 수 연결부재(2)와, 상기 변형심재(1)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암 연결부재(3)와, 상기 변형심재(1)의 외측을 감싸는 변형관(4)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심재(1)는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게 원형의 단면적을 가지고 양측으로 길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심재(1)는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 연결부재(2)는 상기 변형심재(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연결 사각관(23)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사각관(23)의 내부의 일측은 개방되고 내부의 타측은 막혀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 연결부재(2)는 변형심재(1)의 일측과 변형관(4)의 일측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홀에는 상기 변형심재(1)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변형관(4)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결관(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 연결부재(2)는 연결관(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가 연결관(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수직판(22)과, 상기 수직판(22)의 일측면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 사각관(23)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 연결부재(3)는 상기 변형심재(1)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23)이 삽입 연결이 가능한 사각관 삽입홈(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암 연결부재(3)는 변형심재(1)의 타측과 변형관(4)의 타측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홀에는 상기 변형심재(1)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변형관(4)의 타측 단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결관(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암 연결부재(3)는 상기 연결관(3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가 연결관(3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봉(32)과, 상기 원형봉(32)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 사각관(23)이 삽입 연결이 가능하게 함몰 형성되는 상기 사각관 삽입홈(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사각관 삽입홈(33)은 변형완구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연결 사각관(23)이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타측이 개방된 원형홈(331)과, 상기 원형홈(331)의 전,후방과 상,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원형홈(3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사각관(23)의 각 평면에 밀착되는 4개의 수평 돌출부(3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각관 삽입홈(33)에 연결 사각관(23)을 보다 견고하게 삽입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4개의 수평 돌출부(332)들 중 각각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수평 돌출부(332)의 사이의 폭은 타측이 넓고 일측이 좁아지게 쐐기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사각관(23)은 4개의 평면들 중 각각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평면의 사이의 폭은 타측이 넓고 일측이 좁아지게 쐐기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형관(4)은 상기 변형심재(1)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는 것으로, 양 단부가 상기 수 연결부재(2)와 암 연결부재(3)에 연결 고정되는 연질 합성수지재나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형심재(1)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이 밀착되는 굴곡 유동이 가능한 내부 변형관(11)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변형관(11)을 통해 변형심재(1)의 변형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 변형관(11)의 외주면과 변형관(4)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변형관(4)에 쿠션을 주어 그립감을 좋게 할 수 있도록 쿠션 공간부(S)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변형관(4)의 일측 끝단과 수 연결부재(2)의 사이, 및 내부 변경관의 타측 끝단과 암 연결부재(3)의 사이에는 수 연결부재(2)나 암 연결부재(3)가 좀 더 원활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심재(1)로만 구성되는 연결부재 절곡부(1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를 유아들이 가지고 놀 경우에는, 유아가 변형완구를 구성하는 변형관(4)을 양 손으로 잡고 변형관(4)을 굴곡시키거나, 양측을 서로 포게어 꼬아서 놀이를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이 변형관(4)의 양단에 구비된 암 연결부재(3)에 수 연결부재(2)를 삽입시켜 연결함으로써 원형으로 굴곡시키는 놀이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들이 변형관(4)의 양 손으로 잡고 변형관(4)을 자유로이 절곡시킬 수 있고 원형으로 양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 놀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는 변형관(4)의 내부에 구비되는 변형심재(1)의 단부에 수 연결부재(2)와 암 연결부재(3)를 직접 연결하고 수 연결부재(2)와 암 연결부재(3)를 변형관(4)의 단부 내주면에 더 연결함으로써, 수 연결부재(2)나 암 연결부재(3)를 유아가 이빨로 물고 잡아당기더라도 수 연결부재(2)나 암 연결부재(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는 유아들이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수 연결부재(2)나 암 연결부재(3)를 삼키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를 구성하는 연결 입체부재들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와 연결 입체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완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완구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입체부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입체부재(5)는 다수의 사각평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입체부재(5)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사각평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55)이 삽입되는 다수의 사각봉 삽입 연결홈(54)이 더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각평면에는 상기 암 연결부재(3)에 형성된 사각관 삽입홈(33)에 삽입되는 연결 삽입 사각관(55)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 입체부재(5)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51)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평면인 삼각봉(52)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과 일측면이 사각평면으로 형성되어 직각을 이루고 전방면의 타측 단부와 일측면의 후방 단부의 사이가 1/4원호면으로 구성된 입체기둥(53)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봉 삽입 연결홈(54)은 변형완구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 사각관(23)이 견고하게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사각홈(541)과, 상기 사각홈(541)에서 4개의 측면들 중 하나의 즉면이나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사각홈(54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돌출부(54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형완구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 사각관(23)은 상기 사각봉 삽입 연결홈(54)의 사각홈(541)에 직각을 이루는 세 개의 측면과 하나의 돌출부(542)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사각봉 삽입 연결홈(54)의 사각홈(541)에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측면과 두 개의 돌출부(542)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연결 입체부재(5)를 통해 다수의 변형완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변형 놀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좀 더 다체로운 변형놀이가 가능한 변형완구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변형심재
11 : 내부 변형관
12 : 연결부재 절곡부
2 : 수 연결부재
21 : 연결관
22 : 수직판
23 : 연결 사각관
3 : 암 연결부재
31 : 연결관
32 : 원형봉
33 : 사각관 삽입홈
331 : 원형홈, 332 : 수평 돌출부
4 : 변형관
S : 쿠션 공간부
5 : 연결 입체부재
51 : 직육면체
52 : 삼각봉
53 : 입체기둥
54 : 사각봉 삽입 연결홈
541 : 사각홈, 542 : 돌출부
55 : 연결 삽입 사각관

Claims (10)

  1. 원형의 단면적으로 가지고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금속재의 변형심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연결 사각관이 돌출 형성되는 수 연결부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 연결이 가능한 사각봉 삽입홈이 형성되는 암 연결부재와;
    상기 변형심재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고 양 단부가 상기 수 연결부재와 암 연결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연질 합성수지재나 실리콘재로 구성되는 변형관;
    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심재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이 밀착되는 유동이 가능한 내부 변형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변형관의 외주면과 변형관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쿠션 공간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변형관의 일측 끝단과 수 연결부재의 사이, 및 내부 변형관의 타측 끝단과 암 연결부재의 사이에는 변형심재로만 구성되어 수 연결부재 및 암 연결부재을 절곡시키는 연결부재 절곡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연결부재는
    타측에 구비되고 내부홀에는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변형관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가 연결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면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사각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연결부재는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홀에는 상기 변형심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변형관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가 연결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봉과,
    상기 원형봉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 연결이 가능하게 함몰 형성되는 사각봉 삽입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봉 삽입홈은
    원형홈과,
    상기 원형홈의 전,후방과 상,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원형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사각관의 각 평면에 밀착되는 4개의 수평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수평 돌출부들 중 각각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수평 돌출부의 사이의 폭은 타측이 넓고 일측이 좁아지게 쐐기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사각관은 4개의 평면들 중 각각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평면의 사이의 폭은 타측이 넓고 일측이 좁아지게 쐐기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완구는
    다수의 사각평면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사각평면에는 상기 연결 사각관이 삽입되는 다수의 사각봉 삽입 연결홈이 더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각평면에는 상기 암 연결부재에 형성된 사각봉 삽입홈에 삽입되는 연결 삽입 사각관이 더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입체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입체부재는
    직육면체, 상,하부가 평면인 삼각봉, 전방면과 일측면이 사각평면으로 형성되어 직각을 이루고 전방면의 타측 단부와 일측면의 후방 단부의 사이가 1/4원호면으로 구성된 입체기둥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봉 삽입 연결홈은
    사각홈과,
    상기 사각홈에서 4개의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이나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사각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사각관은 사각봉 삽입 연결홈의 사각홈에 직각을 이루는 세 개의 측면과 하나의 돌출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사각봉 삽입 연결홈의 사각홈에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측면과 두 개의 돌출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완구.
KR1020170094588A 2017-07-26 2017-07-26 변형완구 KR10189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88A KR101892396B1 (ko) 2017-07-26 2017-07-26 변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88A KR101892396B1 (ko) 2017-07-26 2017-07-26 변형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396B1 true KR101892396B1 (ko) 2018-08-27

Family

ID=6345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88A KR101892396B1 (ko) 2017-07-26 2017-07-26 변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747A (ko) * 2010-11-22 2012-05-31 서용석 유아용 변형완구
KR20130057531A (ko) * 2011-11-24 2013-06-03 서용석 유아용 변형완구
CN203899150U (zh) * 2014-02-13 2014-10-29 骆运章 一种积木及其连接结构
KR20170042850A (ko) * 2015-10-12 2017-04-20 장문석 조립식 완구블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747A (ko) * 2010-11-22 2012-05-31 서용석 유아용 변형완구
KR101237610B1 (ko) 2010-11-22 2013-02-26 서용석 유아용 변형완구
KR20130057531A (ko) * 2011-11-24 2013-06-03 서용석 유아용 변형완구
CN203899150U (zh) * 2014-02-13 2014-10-29 骆运章 一种积木及其连接结构
KR20170042850A (ko) * 2015-10-12 2017-04-20 장문석 조립식 완구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439B1 (ko) 조립식 입체모형
ES2395568T3 (e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juguetes
JP4378661B2 (ja) 組み付け玩具
US10343080B2 (en) Assembling toy block
US20120015583A1 (en) Building toy block set
JPH0347289A (ja) 組立玩具キット
US20180339237A1 (en) Connector and assembly toy set
JP2010540001A (ja) 組立玩具用チューブ連結体
US6478649B1 (en) Flexible space structure construction connector for variably sized building elements
KR101892396B1 (ko) 변형완구
US9108705B2 (en) Semi-rigid floating tube assembly
KR101933097B1 (ko) 완구용 블럭 조립체
JP57965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具
KR200487018Y1 (ko) 조립식 입체교구
US8414302B2 (en) Modular educational device
KR20120035058A (ko) 입체구조물 조립용 블록 및 이의 이용방법
CN101310811A (zh) 一种玩具的连接元件
KR100648259B1 (ko) 플라톤 입체
KR100902755B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KR102007717B1 (ko) 조립형 완구 프레임
US20210170296A1 (en) Toy building set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JP3153111U (ja) 組合せブロック玩具
KR101237610B1 (ko) 유아용 변형완구
JP6883060B2 (ja) 乳幼児向けマルチスキル育成・教育ビーズ玩具、及び前記のビーズから成る玩具アクセサ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