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097B1 - 완구용 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완구용 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097B1
KR101933097B1 KR1020170000331A KR20170000331A KR101933097B1 KR 101933097 B1 KR101933097 B1 KR 101933097B1 KR 1020170000331 A KR1020170000331 A KR 1020170000331A KR 20170000331 A KR20170000331 A KR 20170000331A KR 101933097 B1 KR101933097 B1 KR 10193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axis
block
hole
fixing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754A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17000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0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3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wires, springs, suction cups, telescopic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용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는 블럭;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상기 블럭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블럭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 상기 블럭의 일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홈부; 상기 블럭의 타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3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홈부;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럭을 서로 결합시키는 줄로서,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잘 구부러지는 유연한 재질의 결합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줄은,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한 2개의 블럭이 'ㅡ'자 형태로 결합한 자세를 유지하거나 'ㄱ'자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거나 '11'자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는 등 인체의 관절과 유사하게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꺾일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구용 블럭 조립체 {Toy Block Assembly}
본 발명은 완구용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인접한 2개의 블럭이 인체의 관절과 유사하게 다양한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거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용 블럭은 아이들이 가지고 놀게 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모양의 부품을 끼워 맞추어 조립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한 완구를 일컫는 것이다.
이 같은 완구용 블럭은 생활주변에서 보여지거나 아이들 스스로 생각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물을 직접 형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발달과정에 있는 아이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워주고, 공간감각능력을 향상시키며, 참을성과 끈기를 길러주게 되는 한편, 원하는 형상의 구조물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기 때문에 학습능력 또한 크게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완구용 블럭 조립체의 일례로, 미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6-0089615)에 개시된 보카 블럭(Bokah Block) 있다. 상기 보카 블럭은 복수 개 마련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을 서로 연결해주는 스트링을 구비한다. 그러나 보카 블럭의 스트링은 유연한 줄의 양단부에 구형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1개의 스트링이 2개의 인접한 블럭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보카 블럭의 스트링은 비교적 그 길이가 짧고 블럭의 개수만큼 다수 개 필요하며 이론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보카 블럭의 스트링은 비교적 그 길이가 짧아 유아들이 입에 넣어 삼킬 수 있어, 상기 구형 부재가 기도를 폐쇄하여 호흡 곤란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카 블럭의 스트링은 비교적 그 길이가 짧아 탄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따라서 유아들이 스트링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트링이 강하게 튈 수 있고, 상기 구형 부재에 의하여 유아의 안구 등 신체에 상해가 가해질 위험도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카 블럭의 스트링은 블럭의 개수만큼 다수 개 필요한 바, 전체적인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스트링의 분실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인접한 2개의 블럭이 인체의 관절과 유사하게 다양한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거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완구용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블럭 조립체는,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는 블럭;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상기 블럭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블럭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 상기 블럭의 일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홈부; 상기 블럭의 타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3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홈부;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럭을 서로 결합시키는 줄로서,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잘 구부러지는 유연한 재질의 결합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줄은,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블럭의 일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블럭의 타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홈부가 서로 교차하는 제1 교차점은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홈부가 서로 교차하는 제2 교차점은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럭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줄의 말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용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관통공은, 입구와 출구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아니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관통공은,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 중 하나는, 상기 제1 중심축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고 있는 제4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5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럭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줄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홈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는 블럭;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상기 블럭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블럭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 상기 블럭의 일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홈부; 상기 블럭의 타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3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홈부;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럭을 서로 결합시키는 줄로서,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잘 구부러지는 유연한 재질의 결합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줄은,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블럭이 'ㅡ'자 형태로 결합한 자세를 유지하거나 'ㄱ'자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거나 '11'자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는 등 인체의 관절과 유사하게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꺾일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합용 줄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결합용 줄의 분실 우려가 거의 없으며, 유아들이 입에 넣어 삼킬 위험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합용 줄의 탄성이 비교적 작아 유아들이 스트링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트링이 강하게 튀지 않고 상기 보카 블럭의 구형 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유아의 안구 등 신체에 상해가 가해질 위험도 없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의하면, 블럭의 개수에 비하여 상기 결합용 줄의 개수가 매우 적게 필요하므로, 전체적인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완구용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평면도 또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우측면도 또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럭의 관통공 및 고정용 관통공에 결합용 줄이 관통된 후 묶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블럭의 관통공 및 고정용 관통공에 결합용 줄이 관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관통공 및 고정용 관통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2개의 블럭이 결합용 줄에 의하여 'ㅡ'자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2개의 블럭을 제1 중심축을 따라 당겨서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2개의 블럭이 'ㄱ'자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수 개의 블럭을 복수 개의 결합용 줄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로봇 형태를 가지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봇의 팔이 경례 자세를 취하고 있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완구용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평면도 또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럭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복수 개의 블럭(block)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구현하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로서, 블럭(10)과, 관통공(20)과, 제1 홈부(30)와, 제2 홈부(40)와, 고정용 관통공(50)과, 결합용 홈부(60)와, 결합용 줄(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럭(10)은,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직육면체 부재로서, 2개 이상이 마련된다. 이 블럭(10)은 나무 또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블럭(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심축(C1)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블럭(10a)과, 상기 제1 중심축(C1)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블럭(10b) 등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럭(10a)은 70m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블럭(10b)는 50mm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블럭(10)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면(11) 및 제2 면(12)과, 4개의 측면(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면(11) 및 제2 면(12)은 동일한 형상의 정사각형 면이며, 상기 측면(13)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11) 및 제2 면(12)의 가로 및 세로는 20mm이다.
상기 관통공(20)은, 상기 블럭(10)의 제1 면(11)으로부터 상기 블럭(10)의 제2 면(12)까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직선적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이다.
상기 관통공(20)의 양단부는, 상기 블럭(10)의 서로 마주하는 양면(11, 12)의 중심을 서로 연통시키고 있으며, 상기 제1 홈부(30) 및 상기 제2 홈부(40)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0)의 직경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거나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보다 조금 큰 값을 가진다.
상기 제1 홈부(30)는, 상기 블럭(10)의 제1 면(11)에 미리 정한 깊이(T)로 형성되어 있는 사각 단면의 홈부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 홈부(30)의 폭(W)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거나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보다 조금 큰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홈부(30)의 폭(W)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다.
상기 제1 홈부(30)의 깊이(T)는, 상기 결합용 줄(70)이 상기 제1 홈부(30)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깊다.
상기 제1 홈부(30)의 깊이(T)는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의 3배 내지 7배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홈부(30)의 깊이(T)는 10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홈부(30)는, 상기 블럭(10)의 측면(13)으로부터 그 측면(13)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13)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홈부(30)는, 상기 블럭(10)의 제1 면(11)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홈부(30)가 서로 교차하는 제1 교차점(31)은 상기 관통공(20)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 홈부(30) 각각은 상기 관통공(20)의 일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 홈부(40)는, 상기 블럭(10)의 제2 면(12)에 미리 정한 깊이(T)로 형성되어 있는 사각 단면의 홈부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3 중심축(C3)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중심축(C3)은 상기 제2 중심축(C2)과 서로 평행하다.
상기 제2 홈부(40)의 폭(W)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거나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보다 조금 큰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홈부(40)의 폭(W)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다.
상기 제2 홈부(40)의 깊이(T)는, 상기 결합용 줄(70)이 상기 제2 홈부(40)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깊다.
상기 제2 홈부(40)의 깊이(T)는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의 3배 내지 7배 정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홈부(40)의 깊이(T)는 10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홈부(40)는, 상기 블럭(10)의 측면(13)으로부터 그 측면(13)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13)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홈부(40)는, 상기 블럭(10)의 제2 면(12)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홈부(40)가 서로 교차하는 제2 교차점(41)은 상기 관통공(20)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 홈부(40) 각각은 상기 관통공(20)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홈부(40)는 상기 제1 홈부(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용 홈부(6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관통공(50)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말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의 구멍으로서, 상기 블럭(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13)에 마련된다.
상기 고정용 관통공(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a, 50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 중 하나의 고정용 관통공(50b)는, 상기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예각(α1)을 이루고 있는 제4 중심축(C4)을 중심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 중 나머지 하나의 고정용 관통공(50a)는, 상기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둔각(α2)을 이루고 있는 제5 중심축(C5)을 중심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예각(α1)은 60 내지 80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둔각(α2)은 100 내지 120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예각(α1)은 70도이며 상기 둔각(α2)은 110도이다.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a, 50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0)과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관통공(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51)가 출구(52)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오르막 형태로 경사져 있다.
상기 입구(51)와 상기 출구(52)의 개념은, 상기 결합용 줄(70)이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결합용 줄(70)이 삽입되는 측이 입구(51)가 되며 상기 결합용 줄(70)이 나오는 측이 출구(52)가 된다.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의 입구(51a)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50b)의 출구(52b)와 동일한 측면(13)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의 출구(52a)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50b)의 입구(51b)와 동일한 측면(13)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 중 하나의 고정용 관통공(50a)의 입구(51a)와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 중 나머지 하나의 고정용 관통공(50b)의 출구(52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아니하다. 즉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의 입구(51a)의 높이(H1)가 상기 고정용 관통공(50b)의 출구(52b)의 높이(H2)보다 큰 값이다.
상기 결합용 홈부(60)는, 상기 결합용 줄(7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각 단면의 홈부로서, 상기 블럭(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용 홈부(60)의 깊이(T1)와 폭(W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용 줄(70)이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거나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보다 조금 큰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용 홈부(60)의 깊이(T1)와 폭(W1)은, 상기 결합용 줄(70)의 직경(D)과 같다.
상기 결합용 홈부(60)는,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결합용 줄(70)은, 상기 복수 개의 블럭(10)의 관통공(20)을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럭(10)을 서로 결합시키는 원형 단면의 줄(string)이다. 이 결합용 줄(70)은, 2 내지 5mm의 직경(D)을 가진다.
상기 결합용 줄(70)은, 잘 구부러지고 늘어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결합용 줄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 결합용 줄(70)은 줄 본체(71)와 커버 부재(72)를 포함한다.
상기 줄 본체(71)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다양한 탄성중합체(elasto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72)는, 섬유를 직조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되는 부재로서, 미리 정한 길이만큼 늘어날 수 있는 신축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줄 본체(71)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둘러 감싼다.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72)의 신축성은 상기 줄 본체(71)의 신축성보다 적은 값을 가진다.
상기 커버 부재(72)는, 상기 줄 본체(71)에 비하여 비교적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관통공(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마찰 계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커버 부재(72)는, 상기 줄 본체(71)가 필요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줄 본체(71)가 외부 마찰에 의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결합용 줄(70)을 상기 복수 개의 블럭(10)의 관통공(20)에 차례로 삽입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다.
이어서, 상기 관통공(20)을 통과한 상기 결합용 줄(70)을 상기 제1 홈부(30) 중 하나에 수용되도록 꺾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용 줄(70)의 말단을 상기 고정용 관통공(50b)의 입구(51b)로 삽입시킨다.
상기 고정용 관통공(50b)의 입구(51b)로 삽입된 결합용 줄(70)의 말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관통공(50b)의 출구(52b)로 나오게 되며,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의 입구(51a)로 삽입시킨다.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의 입구(51a)로 삽입된 상기 결합용 줄(70)의 말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의 출구(52a)로 나오게 되며, 상기 결합용 줄(70)의 말단을 상기 측면(13)과 상기 결합용 줄(70) 사이로 삽입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듭(73)이 상기 결합용 줄(7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이 매듭(73)에 의하여 상기 결합용 줄(70)과 상기 블럭(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매듭(73)은 언제든지 쉽게 풀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상기 결합용 줄(70)의 하단부를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상기 매듭(73)이 쉽게 풀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결합용 줄(70)의 상단부는 상기 관통공(20)과 상기 제1 홈부(30)와 상기 고정용 관통공(50a, 50b)를 통과하면서 여러 지점에서 90도 이상 절곡되고, 상기 결합용 줄(70)의 표면은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관통공(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마찰 계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블럭(10)을 조립하면 도 9와 같은 'ㅡ'자 형태의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가 완성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블럭(10a, 10b)를 양손으로 각각 파지하고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외측으로 당기면 2개의 블럭(10a, 10b)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다. 사용자가 상기 블럭(10a, 10b)에서 손을 떼면 상기 결합용 줄(7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블럭(10a, 10b)을 서로 이격시킨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블럭(10a, 10b)이 'ㄱ'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꺾은 후, 상기 블럭(10a, 10b)에서 손을 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결합용 줄(70)은 상기 블럭(10b)의 제2 홈부(40)에 완전히 수용된다.
도 12에는 10여 개의 블럭(10)을 사용하여 로봇 형태를 가지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200)를 구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봇형 블럭 조립체(200)는, 3개 내지 5개의 블럭(10)을 사용하여 3개 뭉치의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를 제작한 후, 그 3개 뭉치의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를 다시 별도의 결합용 줄(70a)을 사용하여 1개의 뭉치로 결합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별도의 결합용 줄(70a)은 로봇의 몸통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복수 개의 블럭(10)의 결합용 홈부(60)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로봇형 블럭 조립체(200)는, 각 블럭(10)이 인접하는 부위가 인체의 관절처럼 작동하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을 올려서 경례 자세를 취할 수도 있고, 다리를 굽히거나 머리를 숙이는 등의 다양한 자세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를 이용하면, 로봇, 동물, 숫자, 로켓, 크리스마스 트리 등등 어린이들이 상상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조립체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는 블럭(10);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상기 블럭(1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블럭(10)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0); 상기 블럭(10)의 일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T)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홈부(30); 상기 블럭(10)의 타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T)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3 중심축(C3)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홈부(40);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20)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럭(10)을 서로 결합시키는 줄로서, 잘 구부러지는 유연한 재질의 결합용 줄(7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30)는 상기 관통공(20)의 일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부(40)는 상기 관통공(20)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줄(70)은, 상기 제1 홈부(30) 및 상기 제2 홈부(40)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블럭(10)이 'ㅡ'자 형태로 결합한 자세를 유지하거나 'ㄱ'자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거나 '11'자 형태로 꺾인 자세를 유지하는 등 인체의 관절과 유사하게 상기 중심축(C1, C2, C3)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꺾일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제1 홈부(30)가, 상기 블럭(10)의 일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홈부(40)가, 상기 블럭(10)의 타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홈부(30)가 서로 교차하는 제1 교차점(31)은 상기 관통공(20)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홈부(40)가 서로 교차하는 제2 교차점(41)은 상기 관통공(20)의 타단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관통공(20)과 복수 개의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를 모두 동시에 연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제1 중심축(C1)과 상기 제2 중심축(C2)은 서로 직교하며, 상기 제1 중심축(C1)과 상기 제3 중심축(C3)은 서로 직교하므로, 상기 블럭(10)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을 가공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제2 중심축(C2)과 상기 제3 중심축(C3)은 서로 평행하므로, 상기 제2 홈부(40)와 상기 제1 홈부(30)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상기 결합용 홈부(6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블럭(10)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20)의 양단부는, 상기 블럭(10)의 서로 마주하는 양면(11, 12)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는 직육면체 블럭(10)을 대량으로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블럭(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줄(70)의 말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용 관통공(50)을 포함하므로, 별도의 고정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결합용 줄(70)을 상기 블럭(10)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블럭(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50)이,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용 줄(70)이 상기 관통공(20)과 상기 제1 홈부(30)와 상기 고정용 관통공(50)를 통과하면서 여러 지점에서 90도 이상 절곡됨으로써, 상기 관통공(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50)이, 입구(51)와 출구(52)가 서로 동일한 높이(H1, H2)에 있지 아니하므로, 상기 결합용 줄(70)이 상기 고정용 관통공(50)를 통과하면서 절곡되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결합용 줄(70)이 상기 고정용 관통공(50)를 통과하면서 절곡되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결합용 줄(70)과 상기 고정용 관통공(50)과의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50)이,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a, 50b) 중 하나(50b)는, 상기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예각(α1)을 이루고 있는 제4 중심축(C4)을 중심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a, 50b) 중 나머지 하나(50a)는, 상기 제1 중심축(C1)에 대하여 둔각(α2)을 이루고 있는 제5 중심축(C5)을 중심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용 줄(70)이 1개의 고정용 관통공(50)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결합용 줄(70)과 상기 고정용 관통공(50)과의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 중 하나(50a)의 입구(51a)와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50) 중 나머지 하나(50b)의 출구(52b)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아니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결합용 줄(70)과 상기 고정용 관통공(50)과의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블럭(10)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줄(7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홈부(60)을 포함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뭉치의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를 다시 별도의 결합용 줄(70a)을 사용하여 1개의 뭉치로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결합용 홈부(60)가, 상기 블럭(10)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2개의 블럭(10)을 상기 결합용 줄(70a)을 사용하여 결합시킨 경우에 그 결합이 쉽게 파괴되지 않아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블럭(10)의 중간부는 상기 블럭(10)의 무게 중심과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결합용 줄(70)이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로 인접한 블럭(10a, 10b)를 양손으로 각각 파지하고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외측으로 당기면 2개의 블럭(10a, 10b)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블럭(10a, 10b)을 'ㄱ'자 형태로 쉽게 꺾을 수 있으며, 상기 결합용 줄(70)이 가진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블럭(10a, 10b)의 'ㄱ'자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결합용 줄(70)이, 고무 재질의 줄 본체(71); 상기 줄 본체(71)를 둘러 감싸는 커버 부재(72);를 포함하므로, 상기 줄 본체(71)가 필요 이상으로 늘어나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줄 본체(71)가 외부 마찰에 의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완구용 블럭 조립체(100)는, 상기 결합용 줄(7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관통공(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마찰 계수를 가지므로, 상기 결합용 줄(70)이 상기 관통공(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럭(10)이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직육면체 부재이나, 원기둥, 각기둥, 원뿔대, 각뿔대, 구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가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가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일자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가 각각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가 상기 블럭(10)의 측면(13)으로부터 그 측면(13)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13)까지 연장되는 홈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상기 제1 홈부(30) 및 제2 홈부(40)가 상기 제1 중심축(C1)으로부터 상기 블럭(10)의 측면(13)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반 길이의 홈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용 줄(70)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탄성 변형 가능한 줄이나, 상기 결합용 줄(70)의 중간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결합용 줄(7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소성 변형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결합용 줄(70)의 중간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결합용 줄(70)의 양단부는 소성 변형되는 철사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완구용 블럭 조립체
10, 10a, 10b: 블럭
11: 제1 면
12: 제2 면
13: 측면
20: 관통공
30: 제1 홈부
31: 제1 교차점
40: 제2 홈부
41: 제2 교차점
50, 50a, 50b: 고정용 관통공
51, 51a, 51b: 입구
52, 52a, 52b: 출구
60: 결합용 홈부
70, 70a: 결합용 줄
71: 줄 본체
72: 커버 부재
73: 매듭

Claims (6)

  1.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는 블럭;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상기 블럭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블럭의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
    상기 블럭의 일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홈부;
    상기 블럭의 타단부에 미리 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3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홈부;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럭을 서로 결합시키는 줄로서,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잘 구부러지는 유연한 재질의 결합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줄은,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럭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줄의 말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용 관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용 관통공은, 입구와 출구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아니하고,
    상기 고정용 관통공은,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 중 하나는, 상기 제1 중심축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고 있는 제4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중심축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5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4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용 줄과, 상기 제5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고정용 관통공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용 줄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블럭의 일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블럭의 타단부에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홈부가 서로 교차하는 제1 교차점은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홈부가 서로 교차하는 제2 교차점은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줄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홈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럭 조립체
KR1020170000331A 2017-01-02 2017-01-02 완구용 블럭 조립체 KR10193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31A KR101933097B1 (ko) 2017-01-02 2017-01-02 완구용 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31A KR101933097B1 (ko) 2017-01-02 2017-01-02 완구용 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54A KR20180079754A (ko) 2018-07-11
KR101933097B1 true KR101933097B1 (ko) 2018-12-27

Family

ID=6291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331A KR101933097B1 (ko) 2017-01-02 2017-01-02 완구용 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7014A1 (it) 2019-05-20 2020-11-20 Paolo Bozzella Set di elementi per costruzioni giocattolo e metodo per realizzare costruzioni giocattolo
IT201900007013A1 (it) 2019-05-20 2020-11-20 Paolo Bozzella Set di elementi per costruzioni giocattolo e metodo per realizzare costruzioni giocattolo
IT201900007015A1 (it) 2019-05-20 2020-11-20 Paolo Bozzella Set di elementi per costruzioni giocattolo e metodo per realizzare costruzioni giocattol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5089A (en) 1991-08-16 1996-06-11 Heinz; Ted Rotatable, demountable blocks of several shapes on a central elastic anchor
JP2014117334A (ja) * 2012-12-13 2014-06-30 Ryoji Sato ブロック状遊具
CN204684655U (zh) * 2015-06-15 2015-10-07 钟端伟 新型机器人玩具
CN204973045U (zh) * 2015-08-07 2016-01-20 钟端伟 新型变形机器人玩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915A (en) * 1982-06-11 1983-12-06 Calebs Robert A Puzzle of stacked segments
JPH0315685U (ko) * 1989-06-26 1991-02-18
KR19990084101A (ko) * 1999-09-14 1999-12-06 주경일 완구용 블록
JP3138472U (ja) * 2007-10-03 2008-01-10 喜利 平田 連結式穴付きブロック
CN204601611U (zh) * 2015-05-21 2015-09-02 龚火亮 新型多变机器人玩具
CN205796506U (zh) * 2016-06-02 2016-12-14 龚火亮 趣味变形机器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5089A (en) 1991-08-16 1996-06-11 Heinz; Ted Rotatable, demountable blocks of several shapes on a central elastic anchor
JP2014117334A (ja) * 2012-12-13 2014-06-30 Ryoji Sato ブロック状遊具
CN204684655U (zh) * 2015-06-15 2015-10-07 钟端伟 新型机器人玩具
CN204973045U (zh) * 2015-08-07 2016-01-20 钟端伟 新型变形机器人玩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7014A1 (it) 2019-05-20 2020-11-20 Paolo Bozzella Set di elementi per costruzioni giocattolo e metodo per realizzare costruzioni giocattolo
IT201900007013A1 (it) 2019-05-20 2020-11-20 Paolo Bozzella Set di elementi per costruzioni giocattolo e metodo per realizzare costruzioni giocattolo
IT201900007015A1 (it) 2019-05-20 2020-11-20 Paolo Bozzella Set di elementi per costruzioni giocattolo e metodo per realizzare costruzioni giocatto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54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9418B2 (ja) ロッドと接続具とから成る構築玩具セット
JP2005514185A6 (ja) ロッドと接続具とから成る構築玩具セット
KR101933097B1 (ko) 완구용 블럭 조립체
JP2005514185A5 (ko)
US6800016B2 (en) Flexible dolls and posable action figures
KR101969178B1 (ko) 완구 조립 세트
US4305582A (en) Articulatively segmented, elongate amusement device
US10661193B2 (en) Chain-shaped splicing toy
EP1509293B1 (en) Flexible toy figure with wire armature
US6176756B1 (en) Plush construction set
US3422565A (en) Tube,plug and resilient link construction device
JP2021030061A (ja) 2つの容器及びそれらの間の可撓性ベルトを含む建造部材
US9844886B2 (en) Tendon systems for robots
CN209405672U (zh) 一种变形玩具机器人
EP2692396B1 (en) Toy ball
US20080160874A1 (en) Ball-and-socket segmented manipulative device
US20120252308A1 (en) Pose Able Toy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JP6883060B2 (ja) 乳幼児向けマルチスキル育成・教育ビーズ玩具、及び前記のビーズから成る玩具アクセサリー
CN108421268A (zh) 插接式轨道积木
JPH0542873Y2 (ko)
US11255375B2 (en) Multi-function joint
KR101892396B1 (ko) 변형완구
JP3061023U (ja) わら棒遊具
US20140349549A1 (en) Posable Toy and Method of Interconnection
WO2015058124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