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686A - 유아용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686A
KR20130092686A KR1020120014104A KR20120014104A KR20130092686A KR 20130092686 A KR20130092686 A KR 20130092686A KR 1020120014104 A KR1020120014104 A KR 1020120014104A KR 20120014104 A KR20120014104 A KR 20120014104A KR 20130092686 A KR20130092686 A KR 2013009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block
housing
cap memb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102012001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686A/ko
Publication of KR2013009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4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o form symbols or signs by appropriate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보다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확장가능 하도록 된 블록완구에 영구자석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블록몸체(10)에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영구자석(20)이 구비되는 자석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의 단부에 속이 빈 상태로 트인창(12)과 직각되게 조립홈(13)이 트여지는 하우징(11) 둘레에 걸림홈(14)을 성형하고,
영구자석(20)을 수용하도록 컵 단면 형상의 캡부재(30)에는 상기 트인창(12)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창문(31)이 트여져 상기 하우징(11)의 조립홈(13)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14)에 걸려지도록 진입방향으로 경사면(33)이 형성된 걸림턱(32)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Description

유아용 블록완구 {a block toy used child}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보다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자유롭게 확장가능 하도록 된 블록완구에 영구자석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은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 삼각기둥 내지 정육면체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기 위해 블록의 각 면마다 영구자석 및 금속볼을 매립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은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쉽게 연결하거나 그것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공간개념이나 창의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종래, 자석블록은 영구자석과 이에 자착되는 금속판 내지 금속볼을 합성수지재 내지 목재로 된 블록체에 매립상태로 고정시켜야 한다.
자석블록은 영구자석을 블록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이용해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또, 이 영구자석에 자착되는 금속판 내지 금속볼 또한 블록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볼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멍을 뚫고 접착제를 이용해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외부에서부터 끼워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블록들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된 블록체에 영구자석을 외부에서부터 끼워 접착제로 고정시키게 되므로 유아들이 블록체의 이용중 영구자석이 이탈되어 입으로 삼키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 영구자석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외관을 해쳐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다 영구자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작되어 안전성과 상품성이 향상되고,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물을 확장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자석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자석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블록몸체(10)에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영구자석(20)이 구비되는 자석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의 단부에 속이 빈 상태로 트인창(12)과 직각되게 조립홈(13)이 트여지는 하우징(11) 둘레에 걸림홈(14)을 성형하고,
영구자석(20)을 수용하도록 컵 단면 형상의 캡부재(30)에는 상기 트인창(12)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창문(31)이 트여져 상기 하우징(11)의 조립홈(13)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14)에 걸려지도록 진입방향으로 경사면(33)이 형성된 걸림턱(32)이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30)의 창문(31)과 하우징(11)의 트인창(12) 크기는 영구자석(20)의 직경보다 작게 성형하게 되고, 상기 영구자석(20)은 원통형상으로 원주방향으로 극성이 분할되게 성형한 것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블록몸체(10)의 각 변방향으로 대응되는 블록몸체(10)들이 창문(31)과 트인창(12)을 통해 상대 영구자석(20)들이 직접 자착되면서 입체물을 계속하여 확장 연결될 수 있다.
캡부재(30)가 영구자석(20)의 이탈을 안전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에 의해 보다 안정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사용으로 충격이 가해지거나, 유아들이 부주의로 입으로 넣어서 빨거나 하더라도 유해하거나 영구자석(20)이 이탈되어 목으로 넘기거나 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영구자석(20)들이 직접 자착되는 것에 의해 연결 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원하는 입체물을 확장 연결시킬 수 있어 유아들로 하여금 지능발달에 유익하게 되므로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예로서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몸체들이 반원형 구조로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예로서 보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상기 블록몸체(1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게 되는데, 도면에서와 일자형이나 원형 또는 "┛"형, 삼각형상 등 다양한 몸체 형상으로 다수개를 제작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몸체(1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 모두에 속이 빈 상태로 영구자석(20)을 수용한 상태의 캡부재(30)를 끼워 조립하기 위한 하우징(11)을 구비하게 된다.
하우징(11)은 일측으로, 즉 상대 블록몸체(10)가 연결되는 방향으로는 트인창(12)이 트여지고, 이 트인창(12)과 직각되는 방향으로는 캡부재(30)를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조립홈(13)이 트여진다.
그리고, 이 하우징(11)의 둘레에는 캡부재(30)에 돌출된 걸림턱(32)이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홈(14)이 적어도 1개 이상 성형된다.
상기 캡부재(30)는 합성수지재로 내부로는 상기 영구자석(20)을 수용하도록 컵 과 같은 단면 형상이면서, 그 외경은 하우징(11)의 조립홈(13)과 대응되는 치수로 제작된다.
또 이 캡부재(30)에는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되는 트인창(12)과 조립상태에서 그 트인 방향이 일치되도록 창문(31)이 트여지게 된다.
그리고, 캡부재(30)에는 상기 하우징(11)의 조립홈(13)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14)에 걸려지도록 진입방향으로 경사면(33)이 형성된 걸림턱(32)이 돌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캡부재(30)에 돌출 성형되는 걸림턱(32)의 높이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성형 되므로 유아들이 조작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손으로 눌러져 로크상태가 해제되면서 캡부재(30)와 영구자석(20)이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게 된다.
걸림턱(3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면(33)은 캡부재(30)와 하우징(11)이 조립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작되어 조립은 용이하게 되는 반면, 한번 조립된 후에는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그 걸림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블록몸체(10)와 캡부재(30) 모두 프라스틱 탄성력을 갖고 있으므로, 걸림턱(32)이 걸림홈(14)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약간의 힘을 가하면서 캡부재(30)를 하우징(11) 내부로 밀어 넣으면 '탈칵'하는 음과 함께 걸림턱(32)이 걸림홈(14)에 끼워 걸려져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1)의 트인창(12)과 캡부재(30)에 트여진 창문(3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캡부재(30)에는 위치결정돌기(35)를 돌출 성형하고, 하우징(11)에는 이 위치결정돌기(15)에 대응되는 조립 위치로 위치결정홈(15)을 파내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조립성이 더 향상되고, 제품의 불량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영구자석(20)을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11)에 조립된 캡부재(30)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유아들이 반복되는 사용으로 충격이 가해지거나, 유아들이 부주의로 입으로 넣어서 빨거나 하더라도 영구자석(20)이 이탈되어 목으로 넘기거나 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20)은 원통형상으로 원주방향으로 극성이 분할되게 성형한 것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블록몸체(10)들이 확장 연결되는 방향으로 영구자석(20)의 원통부중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상대 블록몸체(10)의 하우징(11) 내에 수용된 영구자석(20)들과 직접 자착(磁着)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블록몸체(10)들이 도면에서와 같이 일직선 방향, 원호 방향, 직각 방향 등으로 계속 자유롭게 확장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영구자석(20)을 수용하고 있는 캡부재(30)의 내경 크기는 영구자석(20)의 외경보다 크게 성형되어 있으므로, 원통형의 영구자석(20)은 캡부재(30)의 내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 영구자석(20)은 원주방향으로 극성들이 'N, S'극으로 분할되는 구조의 것이 선택된다.
따라서, 확장하고자 하는 상대 블록몸체(10)들이 서로 근접하는 경우 캡부재(30)의 내부에서 영구자석(20)들이 서로 자유롭게 순간 회전되면서 다른 극성의 위치에서 자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물을 완성할 수 있고, 입체물의 이해도와 완성도를 높혀 제품의 상품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블록몸체 11 - 하우징
12 - 트인창 13 - 조립홈
14 - 걸림홈 15 - 위치결정홈
20 - 영구자석 30 - 캡부재
31 - 창문 32 - 걸림턱
33 - 경사면 35 - 위치결정돌기

Claims (3)

  1.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블록몸체(10)에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영구자석(20)이 구비되는 자석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10)의 단부에 속이 빈 상태로 트인창(12)과 직각되게 조립홈(13)이 트여지는 하우징(11) 둘레에 걸림홈(14)을 성형하고,
    영구자석(20)을 수용하도록 컵 단면 형상의 캡부재(30)에는 상기 트인창(12)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창문(31)이 트여져 상기 하우징(11)의 조립홈(13)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14)에 걸려지도록 진입방향으로 경사면(33)이 형성된 걸림턱(32)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30)에는 위치결정돌기(35)를 돌출 성형하고, 하우징(11)에는 이 위치결정돌기(15)에 대응되는 조립 위치로 위치결정홈(15)을 파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30)의 창문(31)과 하우징(11)의 트인창(12) 크기는 영구자석(20)의 직경보다 작게 성형하게 되고, 상기 영구자석(20)은 원통형상으로 원주방향으로 극성이 분할되게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블록완구.





KR1020120014104A 2012-02-13 2012-02-13 유아용 블록완구 KR20130092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04A KR20130092686A (ko) 2012-02-13 2012-02-13 유아용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04A KR20130092686A (ko) 2012-02-13 2012-02-13 유아용 블록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86A true KR20130092686A (ko) 2013-08-21

Family

ID=4921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104A KR20130092686A (ko) 2012-02-13 2012-02-13 유아용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6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7B1 (ko) * 2014-04-15 2014-12-10 (주)에드토이코리아 조립완구용 자석모듈
CN109568982A (zh) * 2017-09-28 2019-04-05 吕惠学 一种安全的磁力棒积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7B1 (ko) * 2014-04-15 2014-12-10 (주)에드토이코리아 조립완구용 자석모듈
CN109568982A (zh) * 2017-09-28 2019-04-05 吕惠学 一种安全的磁力棒积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201B1 (ko) 벽돌블럭 완구
KR100954429B1 (ko) 자석완구의 자석 장착구조
ES2399366T3 (es) Aparato de unión con imán rotatorio en el mismo y juguete de tipo construcción con el mismo
US9457288B2 (en) Magnetic block toy
KR20110026895A (ko) 자석완구의 회전자석 장착구
KR20130034897A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블럭 완구
KR101783296B1 (ko) 조립식 완구
KR20130092686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20140067453A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091551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04768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130057531A (ko) 유아용 변형완구
CN205461020U (zh) 一种拼接结构组件
KR101036721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2018601B1 (ko) 조립형 교구 블록
KR10102896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036688B1 (ko)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10102895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103459B1 (ko)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US20170312645A1 (en) Magnetically connected toy block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KR101968830B1 (ko) 자석 블록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