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519B1 -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519B1
KR101237519B1 KR1020110051039A KR20110051039A KR101237519B1 KR 101237519 B1 KR101237519 B1 KR 101237519B1 KR 1020110051039 A KR1020110051039 A KR 1020110051039A KR 20110051039 A KR20110051039 A KR 20110051039A KR 101237519 B1 KR101237519 B1 KR 10123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cutting
manufacturing
light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733A (ko
Inventor
조남웅
Original Assignee
조남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웅 filed Critical 조남웅
Priority to KR102011005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5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이 갖추어야 하는 빛 투과라는 기본적 요건을 갖추면서도 도자기라는 재질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동일 형상의 대량생산이 필요한 판매 상품인 점을 감안할 때 높은 생산성과 동질의 우수한 상품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 조명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준비된 점토를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내부가 중공된 장식체로 압출성형하는 압출공정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된 장식체를 커팅기를 통하여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장식링을 얻는 커팅공정을 통하여 장식링을 제조하는 장식링 제조단계와,
준비된 점토를 석고판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주입된 점토에서 일정 폭을 가진 외곽을 남기고 내부를 따내는 따내기공정을 거쳐 조명틀을 제조하는 조명틀 제조단계와,
상기 조명틀에 장식링을, 장식링과 장식링을 점토와 물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조명등 형상을 완성하는 접착단계와,
접착을 통해 완성된 조명등 형상을 가마에서 굽는 초벌구이단계와,
초벌구이한 조명등 형상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단계와, 그리고 유약이 건조된 조명등 형상을 재벌구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ING MADE OF THE CERAMICS}
본 발명은 조명등 특히, 도자기로 이루어진 조명등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명이 갖추어야 하는 빛 투과라는 기본적 요건을 갖추면서도 도자기라는 재질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동일 형상의 대량생산이 필요한 판매 상품인 점을 감안할 때 높은 생산성과 동질의 우수한 상품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 조명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 조명은 특정 공간을 밝혀주는 1차적인 기능 외에 인테리어적인 요소로도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이에 형상적 요소만이 아니라 재질적 특성을 이용한 조명등도 소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단순히 아크릴이나 철재로 완성되는 조명만이 아니라 실내 장식을 위해 철사나 창호지를 이용한 조명등 또는 도자기 그릇에 램프를 설치한 조명등 등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철사나 창호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경우 관리 소홀 등으로 인해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수 있고, 변색되거나 찢어져서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도자기로 조명등을 제작하는 경우 도자기적 재질 특성상 화재나 변색 등의 단점이 없는 대신 도자기를 굽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므로 그 형태 및 크기가 조금씩 차이가 있고, 이에 생산성 역시 떨어지며,
더욱이 광원의 빛이 사방으로 비치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투각(透刻)방식으로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참고로, 도자기라 함은 가소성(可塑性)이 뛰어난 점토를 이용하여 어떤 주어진 형으로 만들어 고열로 구운 성형물을 총징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도자기 조명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명등 재질로 도자기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가 일어나고 있는데,
등록특허 제10-0890031호(2009.03.16.)『도자기 호롱 초롱 등 제조방법』, 공개특허 제10-2005-0110382호(2005.11.23.)『조명투과 도자판넬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도자판넬 및 그 도자판넬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들 수 있다.
그 중 공개특허 제10-2005-0110382호는 도자기 조명등의 문제점인 광원에 대한 빛 투과와 관련하여 도자기 자체에서 조명투과가 가능한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시도는 좋으나 생산성 및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가진다. 더욱이 조명투과를 위해 도자기 판넬 두께가 상당히 얇아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일단 실내에 설치되면 오랜 기간 사용되어야 하는 조명등에는 맞지 않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등록특허 제10-0890031호(2009.03.16.)는 도자기 조명등에 있어 빛 투과를 위한 구조 내지 이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등록특허 제10-0890031호에서 제시된 방법에 의하면 도자기 조명등의 측면을 판상으로 일체 제조하는 것이어서 다양하고 곡면을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작에는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명등 재질을 도자기로 함에 있어, 내부가 중공된 장식링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형성함으로써 빛 투과가 용이하면서도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도자기 조명등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도자기 조명등을 제조함에 있어 타 도자기 조명등에 비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본 발명에서 장식링 제조에 사용되는 압출기의 경우 간단한 구조이면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였으며, 커팅기의 경우 동일한 형상을 가진 장식링을 대량으로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은,
준비된 점토를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내부가 중공된 장식체로 압출성형하는 압출공정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된 장식체를 커팅기를 통하여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다수의 장식링을 얻는 커팅공정을 통하여 장식링을 제조하는 장식링 제조단계와,
준비된 점토를 석고판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주입된 점토에서 일정 폭을 가진 외곽을 남기고 내부를 따내는 따내기공정을 거쳐 조명틀을 제조하는 조명틀 제조단계와,
상기 조명틀에 장식링을, 장식링과 장식링을 점토와 물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조명등 형상을 완성하는 접착단계와,
접착을 통해 완성된 조명등 형상을 가마에서 굽는 초벌구이단계와,
초벌구이한 조명등 형상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단계와, 그리고
유약이 건조된 조명등 형상을 재벌구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밥법 중 상기 압출공정에 사용되는 압출기는
점토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마련된 것으로 투입된 점토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통해 이송된 점토를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으로 압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압출부를 통해 압출된 점토가 위치하는 배출부와, 상기 압출부와 배출부 사이에 마련된 것으로 압출된 점토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형상으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단을 연결하는 커팅줄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에서 상기 본체를 회동시켜 점토를 커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밥법 중 상기 커팅공정에 사용되는 커팅기는
압출성형된 장식체가 위치되는 것으로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가 위치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전부 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의 양 측에 결합되는 체결블록과, 상기 체결블록에 결합되어 체결블록에 형성된 회동홈을 따라 회동하면서 회전부에 마련된 장식체를 커팅하는 커팅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수단에서는 커팅날이 결합된 축이 회전하되 상기 회전은 축이 제1 벨트가 제1 회전체와 연결됨으로써 제1 회전체 회전과 연동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는 제2 밸트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설치 위치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에 의하면, 우선 압출성형 및 커팅공정을 통해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장식링을 동일한 형태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장식링과 장식링을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가진 조명등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디자인 다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장식링의 압출공정에 있어 압출되는 점토를 원하는 길이로 용이하게 커팅을 할 수 있으며,
커팅공정에 있어서도 압출성형된 장식체를 회전부에 위치시키고 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커팅날을 통해 커팅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깔끔한 마감면을 가질 수 있도록 장식체를 대량 커팅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 효율과 동시에 상품성을 높였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조명등 제조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압출공정에 사용되는 압출기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커팅공정에 사용되는 커팅기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조명틀 제조단계의 주입공정과 따내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조명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조명등의 형상을 형성하는데 있어 기본 단위가 되는 장식링을 제조하는 장식링(a) 제조단계와,
상기 장식링이 부착되는 것으로 조명등의 틀을 형성하는 조명틀(b) 제조단계와,
상기 조명틀(b)과 장식링(a), 그리고 장식링(a)과 장식링(a)을 서로 접착하여 원하는 형상의 조명등을 완성하는 접착단계(도 5 참조)와,
그리고 상기 접착단계를 거쳐 완성된 조명등 형상을 가마에 굽는 초벌구이단계와, 이후 유약을 바르는 시유단계와, 시유단계 후 다시 가마에 굽는 재벌구이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도자기 조명등 제조 방법의 경우
광원의 빛 투과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조명등의 측면을 내부가 중공된 장식링(a)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상기 내부가 중공된 장식링은 압출 성형(압출공정) 후 커팅을 통해(커팅공정)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조명틀(b) 제조단계의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준비된 점토(C)를 석고판(F)에 위치시키는 배열공정과 석고판(F)에 위치된 점토에서 일정 폭을 가진 외곽을 남기고 내부를 따내는 따내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석고판(F)을 준비하고, 상기 석고판 상면에 점토(C)를 배치시킨 다음 점토 내부를 일정 폭을 가진 외곽 테만을 남긴채 따내게 된다.
특히 점토 내부를 따내는 공정의 경우, 특정 형상을 가진 보조틀(Fb)을 석고판 상면에 위치한 점토에 간단히 눌러주고, 보조틀(Fb)의 누름으로 형성된 절단선을 통해 외곽과 분리된 점토 내부를 빼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점토의 수분이 석고판으로 신속하게 흡수되므로 다양한 조명틀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시 장식링 제조단계로 돌아가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장식링 제조단계는
준비된 점토를 압출기(10)의 호퍼에 주입하여 내부가 중공된 장식체(C1)로 압출성형하는 압출공정과, 상기 압출공정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압출 성형된 장식체를 커팅기(20)를 통하여 일정 길이로 동시에 커팅하여 다수의 장식링(a)을 얻는 커팅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압출공정에 사용되는 압출기(10)는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도 2을 참조하면,
점토가 투입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 하부에 마련된 것으로 투입된 점토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시크류부(12)와,
상기 스크류부를 통해 이송된 점토를 특정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부(13)와,
상기 압출부를 통해 압출된 점토가 위치하는 배출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내부가 중공된 장식링 제조가 필요한 바, 상기 압출부에서는 점토를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으로 압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에는 압출부와 배출부 사이에 압출된 점토를 일정 길이에서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15)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팅부는 "┌┐" 형상을 가진 것으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본체(15a)와, 상기 본체의 양 단을 연결하는 커팅줄(15b)로 이루어진다.
이에 원하는 길이로 점토가 압출된 경우, 작업자는 커팅부의 본체를 회동시켜 커팅줄로 점토를 간단히 절단하게 된다(도 2에서 확대 도시된 원 참조).
또한 상기 커팅줄에 의한 점토의 정확한 절단을 위해, 상기 압출부(13)와 배출부(14)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팅부 본체(15a)의 경우 작업자의 용이한 파지를 위해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커팅공정에 사용되는 커팅기(20)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팅기는 압출기의 압출부를 통해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으로 압출성형된 장식체(C1)가 커팅작업을 위해 위치되는 회전부(21)와,
상기 회전부가 위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22)과,
상기 회전부 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의 양 측에 결합되는 체결블록(23)과,
상기 체결블록에 결합되어 회동하면서 회전부에 마련된 장식체를 커팅하는 커팅수단(24)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회전부(21)의 경우 제1 회전체(21a)와 제2 회전체(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는 제2 벨트(B2)로 연결되어 제2 벨트의 움직임에 의해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커팅수단(24)을 살펴보면
일측이 상기 체결블록(23) 각각에 제1 축핀(242)으로 연결된 연결판(241)과,
연결판과 연결판 사이에 구비되는 축(244)과
상기 축에 구비된 커팅날(245)과, 그리고
상기 연결판 일면에 구비된 손잡이부(24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커팅날(245)의 경우 축 외주면에 다수 개 등 간격으로 나열되어 동시에 다량의 장식링 확보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블록의 경우 회동홈(23a)이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가 손잡이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회동홈을 따라 제1 축핀(242)이 이동되면서 이와 함께 연결판(241)이 이동되게 되고, 커팅날(245)이 회전부에 놓여진 장식체에 닿게 된다.
또한 용이한 커팅 작업을 위해 상기 커팅날 즉, 커팅날이 구비된 축(244)이 회전이 되어야 하는데, 상기 축의 회전은 축이 제1 밸트(B1)를 통해 제1 회전체(21a)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팅날의 회전 구조를 설명하면,
연결판(241)에 제1 벨트(B1)의 일면과 맞닿으면서 제1 벨트의 회전을 보조하는 보조핀(247)이 구비되고, 상기 축(244)에는 제1 벨트가 걸쳐지는 제2 축핀(246)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 회전체(21a)를 거치는 제1 벨트(B1)는 보조핀(247)의 후면을 거쳐 제2 축핀(246)에 감긴 후 제1 축핀(242)의 후면을 거쳐 제1 회전체(21a)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벨트를 구성한다.
결국 제2 벨트(B2)를 통해 제1 및 제2 회전체(21a, 21b)가 회전되고(참고로 제2 벨트의 회전은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회전체(21a)의 회전에 의해 제1 벨트(B1)가 회전되면서 이와 연결된 제1 축핀(242)을 통해 축(244)과 커팅날(245)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압출 성형된 장식체(C1)의 고른 절단을 위해 커팅날만이 아니라 장식체가 놓여진 회전부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21a, 21b)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커팅날 및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회전을 한 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제품성을 향상시켰다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벨트 회전의 경우 모터 회전 제어방식을 공지된 발판 누름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도 4의 (b) 참조),
작업자가 한 발로 발판 누름식의 스위치(S)를 가압하면 회전부(21)와 커팅날(245)이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가 손잡이(243)를 통해 커팅날을 장식체쪽으로 이동시켜 커팅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장식체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회전운동에 의해 장식체가 정해진 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체의 위치를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압출공정과 커팅공정을 거쳐 완성된 장식링들(a)을 점토와 물을 이용하게 서로 붙이면서 원하는 조명등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 제품 마감은 조명틀(b)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하단에는 조명틀을 역시 물과 점토를 이용하게 부착시키게 된다.
이후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을 거쳐 완성된 조명등 형상은 초벌구이단계와, 시유단계, 그리고 재벌구이 단계를 거쳐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 도자기 조명등 a: 장식링 b; 조명틀
C; 점토 C1; 장식체
F; 석고판 Fb; 보조틀
10: 압출기
11; 호퍼 12: 스크류부 13: 압출부
14: 배출수 15: 커팅부
20: 커팅기
21: 회전부 21a: 제1 회전체 21b; 제2 회전체
22; 프레임
23: 체결블럭 23a: 회동홈
24: 커팅수단
241: 연결판 242: 제1 축핀 243; 손잡이
244: 축 245: 커팅날 246: 제2 축핀
247: 보조핀
B1; 제1 벨트 B2: 제2 벨트

Claims (4)

  1. 준비된 점토를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내부가 중공된 장식체로 압출성형하는 압출공정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된 장식체를 커팅기를 통하여 일정 길이로 동시에 커팅하여 다수의 장식링을 얻는 커팅공정을 통하여 장식링을 제조하는 장식링 제조단계;
    준비된 점토를 석고판에 위치시키는 배열공정과, 배열된 점토에서 일정 폭을 가진 외곽을 남기고 내부를 따내는 따내기공정을 거쳐 조명틀을 제조하는 조명틀 제조단계;
    상기 조명틀에 장식링을, 장식링과 장식링을 점토와 물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조명등 형상을 완성하는 접착단계;
    접착을 통해 완성된 조명등 형상을 가마에서 굽는 초벌구이단계;
    초벌구이한 조명등 형상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단계; 및
    유약이 건조된 조명등 형상을 재벌구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정에 사용되는 압출기는
    점토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마련된 것으로 투입된 점토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통해 이송된 점토를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으로 압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압출부를 통해 압출된 점토가 위치하는 배출부와,
    상기 압출부와 배출부 사이에 마련된 것으로 압출된 점토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형상으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단을 연결하는 커팅줄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에서 상기 본체를 회동시켜 점토를 커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공정에 사용되는 커팅기는
    압출성형된 장식체가 위치되는 것으로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가 위치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전부 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의 양 측에 결합되는 체결블록과,
    상기 체결블록에 결합되어 체결블록에 형성된 회동홈을 따라 회동하면서 회전부에 마련된 장식체를 커팅하는 커팅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수단에서는 커팅날이 결합된 축이 회전하되 상기 회전은 축이 제1 벨트가 제1 회전체와 연결됨으로써 제1 회전체 회전과 연동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는 제2 밸트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설치 위치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KR1020110051039A 2011-05-30 2011-05-30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KR10123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039A KR101237519B1 (ko) 2011-05-30 2011-05-30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039A KR101237519B1 (ko) 2011-05-30 2011-05-30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33A KR20120132733A (ko) 2012-12-10
KR101237519B1 true KR101237519B1 (ko) 2013-02-25

Family

ID=4751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039A KR101237519B1 (ko) 2011-05-30 2011-05-30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54B1 (ko) * 2015-03-24 2016-08-25 강지연 빛 투과성 색도자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812A (ja) 1997-03-24 1998-10-09 Yoshimori Miyamura 花器などを装備したランプシェード
KR20050110382A (ko) * 2004-05-18 2005-11-23 (주)투앤원 조명투과 도자판넬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통해제조되는 도자판넬 및 그 도자판넬을 이용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812A (ja) 1997-03-24 1998-10-09 Yoshimori Miyamura 花器などを装備したランプシェード
KR20050110382A (ko) * 2004-05-18 2005-11-23 (주)투앤원 조명투과 도자판넬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통해제조되는 도자판넬 및 그 도자판넬을 이용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33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519B1 (ko) 빛 투과를 위한 중공부를 가진 도자기 조명등 제조방법
US20180292080A1 (en) Illuminated ceramic tile and production method
KR20090052672A (ko) 점토 벽돌의 표면 무늬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1843148B1 (ko)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KR100887734B1 (ko)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CN101498166A (zh) 一种装饰陶瓷砖及其装饰颗粒以及装饰颗粒的制造工艺与设备
CN103568107B (zh) 一种用于生产瓷编产品的装置及生产方法
KR100890031B1 (ko) 도자기 호롱 초롱 등 제조 방법
EP1702901A3 (en)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formed structure, and colored ceramic formed structure
KR100969267B1 (ko)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1145809B1 (ko) 다양한 색상의 황토벽돌 제조를 위한 표면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및 그 제품
CN110483019B (zh) 一种立体装饰陶瓷砖的制备方法及其制得的产品
KR100723969B1 (ko) 미끄럼 방지와 투수 기능을 갖는 점토 바닥벽돌 및 그제조장치
KR101991636B1 (ko) 벽화용 이형타일의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벽화용 이형타일
KR101746932B1 (ko) 파벽돌 성형 장치
CN107060253B (zh) 一种嵌套式马赛克瓷砖及其制备方法
KR101770273B1 (ko) 도자기 성형용 흙관 토출기
KR101746931B1 (ko) 파벽돌 성형 방법
CN205742838U (zh) 一种装饰瓷砖及其专用制作模具
CN103950088B (zh) 干法制水泥花砖工艺
CN204569727U (zh) 一种汽车车灯制造玻璃切割机
RU233624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керам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KR20060085215A (ko) 벽화용 타일의 제조방법
JP2517246B2 (ja) 任意断面形状で有底に形成できる容器類の製造方法
CN2847865Y (zh) 双色多功能曲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