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511B1 -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511B1
KR101237511B1 KR1020110004973A KR20110004973A KR101237511B1 KR 101237511 B1 KR101237511 B1 KR 101237511B1 KR 1020110004973 A KR1020110004973 A KR 1020110004973A KR 20110004973 A KR20110004973 A KR 20110004973A KR 101237511 B1 KR101237511 B1 KR 10123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trigger
game controlle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690A (ko
Inventor
안희균
Original Assignee
안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균 filed Critical 안희균
Priority to KR102011000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5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이 거치되며 상기 휴대폰에 방향신호 또는 기능신호를 전달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총구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 기능을 수행하는 총구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방아쇠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방아쇠를 당길 경우 상기 본체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기능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아쇠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 및 상기 방아쇠부의 후면에 결합되며, 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며 내부에 방향키와 기능키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에 따르면, 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휴대폰을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한 상태로 방아쇠를 당겨서 사격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는, 손잡이부를 개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고, 개방된 손잡이부에 방향키와 기능키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방향키 등을 표시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전부 게임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방향키 등을 누를 때 게임화면이 전혀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A GAME CONTROLLE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총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편리하게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방아쇠를 당겨서 사격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부를 개방하여 방향키와 기능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에 내장된 게임을 더욱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여 전자기기의 보급이 매우 활성화됨에 따라, 거의 모든 사람들이 각각 1개 이상의 휴대폰을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휴대폰은 통화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타인을 연결시켜 주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가지나, 최근 생산되는 휴대폰에는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게임 등을 탑재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해 더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휴대폰은 디스플레이부와 버튼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드 형태 또는 폴더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나, 근래에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자체를 버튼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이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와 같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많은 게임을 즐길 수 있는데, 일례로 슈팅게임, 액션게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게임들은 기본적으로 방향키와 기능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며, 디스플레이부에 방향키 및 기능키를 모두 구현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향키 등을 터치할 경우 손가락이 화면의 일부를 가리게 되어 게임 실행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휴대폰을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한 상태로 방아쇠를 당겨서 사격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개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고, 개방된 손잡이부에 방향키와 기능키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방향키 등을 표시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전부 게임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방향키 등을 누를 때 게임화면이 전혀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는,
휴대폰이 거치되며 상기 휴대폰에 방향신호 또는 기능신호를 전달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총구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 기능을 수행하는 총구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방아쇠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방아쇠를 당길 경우 상기 본체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기능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아쇠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 및 상기 방아쇠부의 후면에 결합되며, 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며 내부에 방향키와 기능키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회동하여 기립됨으로써 상기 휴대폰의 후면을 지지하는 커버;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휴대폰의 상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고리는,
상기 커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상기 휴대폰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버가 기립될 경우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휴대폰을 받쳐서 고정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아쇠부에는,
상기 커버가 불필요하게 기립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커버 고정 버튼이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아쇠부에는,
일 측면에 방향키가 형성되고, 반대편 측면에 기능키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아쇠부에는,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코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잭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불필요하게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손잡이부 고정 버튼이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에 따르면, 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휴대폰을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한 상태로 방아쇠를 당겨서 사격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는, 손잡이부를 개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고, 개방된 손잡이부에 방향키와 기능키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방향키 등을 표시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전부 게임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방향키 등을 누를 때 게임화면이 전혀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좌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좌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10)는, 본체부(100), 총구부(200), 방아쇠부(300), 손잡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휴대폰(도 3의 20)이 거치되며 휴대폰(도 3의 20)에 방향신호 또는 기능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도 3의 20)에 연결되는 게임 컨트롤러로서, 휴대폰(도 3의 20)을 본 발명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자가 휴대폰(도 3의 20)의 디스플레이부(도 5의 500)를 확인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본체부(100)에 휴대폰(도 3의 20)을 세워서 거치한 뒤 방아쇠부(300)의 방아쇠(310)나 또는 손잡이부(400)의 방향키(330), 기능키(340)를 이용하여 게임을 편리하게 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체부(100)가 휴대폰(도 3의 20)에 전달하는 방향신호는 방아쇠(310)의 방향키(330)와 손잡이부(400)의 방향키(330)에 의해 생성되며, 기능신호는 방아쇠부(300)의 방아쇠(310)나 기능키(340) 또는 손잡이부(400)의 기능키(340)에 의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신호 전달을 위해 본체부(100)는 휴대폰(도 3의 20)에 연결되는 신호 전송 코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송 코드는 본체부(100)에 거치되는 휴대폰(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게임 컨트롤러에서 발생시킨 제어신호를 휴대폰(20)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신호 전송 코드는 거치된 휴대폰(20)과 물리적으로 연결 접속됨은 물론, 방아쇠부(300)의 방아쇠(310)나 기능키(340) 또는 손잡이부(400)의 기능키(34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어신호를 휴대폰(20)으로 전송함에 따라 휴대폰(20)에서 실행되는 게임이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신호의 전송 및 게임 실행의 제어 과정은, 게임 컨트롤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기능을 갖는 모듈(미도시)에서 방아쇠부(300)의 방아쇠(310)나 기능키(340) 또는 손잡이부(400)의 기능키(34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제어신호는 신호 전송 코드를 매개로 휴대폰(20)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인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과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 구성에 순차로 전달되어 실행중인 게임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10)와 휴대폰(20) 간의 제어신호의 전송 및 게임 실행의 제어 과정의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신호 전달과 제어 과정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는 게임 컨트롤러(10)와 휴대폰(20) 간에 신호 전송 코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고, 게임 컨트롤러(1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가 휴대폰(20)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최근 생산되는 휴대폰(도 3의 20)은 휴대폰(도 3의 20)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휴대폰(도 3의 20)이 기울어진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하는데, 이러한 기술은 자동차 게임에서 핸들이 기울어지는 것이나 사격 게임에서 총구가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휴대폰(도 3의 20) 자체가 방향키(330)의 역할을 하며, 휴대폰(도 3의 20)의 디스플레이부(도 5의 500)에는 기능키(340)만이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총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며 본체부(100)를 이용하여 휴대폰(도 3의 20)을 고정한 뒤, 사용자가 본 발명을 기울여 가면서 휴대폰(도 3의 20)에 설치된 사격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방아쇠부(300)의 방아쇠(310)를 기능키(340)로 구현하여 휴대폰(도 3의 20)의 디스플레이부(도 5의 500)에 기능키(340)가 표시될 필요를 제거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도 5의 500) 전체를 게임 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좌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10)의 본체부(100)는, 커버(110), 고정 고리(120), 받침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회동하여 기립됨으로써 휴대폰(20)의 후면을 지지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인 형태가 총과 유사하며, 커버(110)는 일반적인 총에서 탄알 장전을 위해 앞뒤로 움직이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20)의 후면, 즉 디스플레이부(도 5의 500)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을 커버(110)에 밀착시켜서 휴대폰(2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커버(110)의 후면에는 휴대폰(20)의 보호를 위하여 완충소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110)의 높이는 반드시 휴대폰(20)의 세로 길이보다 높을 필요는 없는데, 이는 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고리(120)가 커버(11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움직임에 따라 휴대폰(20)이 거치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커버(110)가 휴대폰(20)의 세로 길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휴대폰(20)을 어느 방향으로 거치하더라도 휴대폰(20)의 후면은 커버(110)의 완충소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고리(120)는, 필요에 따라 커버(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휴대폰(20)의 상단을 걸어 고정시킨다. 휴대폰(20)을 단순히 커버(110)에 밀착하는 것만으로는 휴대폰(20)이 세워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버(110)로부터 고정 고리(120)를 빼내어 휴대폰(2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 고리(120)에도 커버(110)와 마찬가지로 휴대폰(20)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휴대폰(20)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완충소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고정 고리(120) 자체를 완충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상이한 형태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20)이 모두 고정 고리(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고리(120)를 완충소재로 제작하면 특정한 휴대폰(20)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태가 아니더라도 압축력에 의해 휴대폰(20)을 문제없이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 고리(120)는 커버(1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본체부(100)에 휴대폰(20)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휴대폰(20)을 놓는 방향을 달리할 경우 휴대폰(20)의 높이는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고정 고리(12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20)의 방향과 상관없이 휴대폰(20)이 본체부(100)에 완벽히 고정되도록 한다.
받침대(130)는, 커버(110)가 기립될 경우 외부로 노출되며, 휴대폰(20)을 받쳐서 고정시킨다. 커버(110) 및 고정 고리(120)와 같이 휴대폰(20)이 접촉하는 부분에 완충소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거나, 받침대(130) 자체를 완충소재로 제작할 수 있고, 휴대폰(2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소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휴대폰(20)의 하단과 받침대(130)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받침대(130)는 측면 폭이 상대적으로 휴대폰(20)의 두께보다 넓으며, 휴대폰(20)이 닿지 않는 부분이 휴대폰(20)에 닿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즉, 측 단면이 V자 또는 U자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휴대폰(20)의 하단이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휴대폰(20)의 좌우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받침대(130)를 휴대폰(20)의 세로 길이 또는 가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전체 크기를 비정상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130)는 휴대폰(20)의 하단 일부분만을 지지하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구부(20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총구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본 발명에 거치된 휴대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줌을 의미한다.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은 많은 전력 소모를 야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휴대폰(20)을 충전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중 전원이 필요한 요소(손잡이부(400)의 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 총구부(200)는 방아쇠부(300)의 전원 잭(350)에 연결된 전원 코드(36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신호 전송 코드를 이용하여 휴대폰(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전송 코드는 휴대폰(20)에 전원과 방향신호 및 기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총구부(200)는 방아쇠부(300)의 측면에 형성된 총구부 분리 버튼(370)에 의하여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하나의 총구부(200)만 고정 결합되어 분리가 불가능한 형태라면, 사용자는 수시로 총구부(200)에 충전된 전력량을 확인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사용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총구부(200)의 전력이 예상치 못하게 바닥났다면 사용자는 큰 불편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 개의 총구부(200)를 휴대하고 필요한 경우 충전이 완료된 총구부(20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방아쇠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방아쇠(31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방아쇠(310)를 당길 경우 휴대폰(20)에 기능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방아쇠부(300)에는 일 측면에 방향키(330)가 형성되고, 반대편 측면에 기능키(34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가 구비된 휴대폰(20)을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폰(20)이 거치된 본 발명을 움직임으로써 방향키(330)의 기능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겠으나, 자이로스코프가 구비되지 않은 휴대폰(20)에 내장된 게임을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움직임으로는 방향신호의 발생이 불가하므로, 본 발명의 방아쇠부(300)는 방아쇠(310)와는 별도로 방향키(330)와 기능키(3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방향키(330)가 구비된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기능키(340)는, 방아쇠(310)만으로 게임을 즐기는 것이 충분하지 않을 때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방아쇠(310)와 방향키(330) 및 기능키(340)에 의해 생성되는 방향신호 또는 기능신호는 본체부(100)를 통하여 휴대폰(20)에 전달되며,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00)의 신호 전송 코드를 통해 휴대폰(20)에 전송될 수 있다.
방아쇠부(300)에는, 커버(110)가 불필요하게 기립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커버 고정 버튼(320)이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폰(20)을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커버(110)가 회동된다면 본 발명의 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충격에 커버(110)가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커버 고정 버튼(320)을 구비하여 커버(11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커버 고정 버튼(320)을 본체부(100)가 아니라 방아쇠부(300)에 형성하는 것은, 커버(110)가 본체부(100)의 측면을 모두 덮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이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커버 고정 버튼(320)을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방아쇠부(300)에는, 전원 코드(360)가 연결되어 전원 코드(3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잭(35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잭(350)의 규격은 제한하지 않으며, 전원 코드(36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총구부(200) 및 본체부(100)의 신호 전송 코드에 의하여 휴대폰(20)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될 수 있다.
방아쇠부(300)의 측면에는 총구부 분리 버튼(37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총구부(200)는 일종의 배터리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은 방아쇠부(300)에 총구부 분리 버튼(370)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총구부 분리 버튼(370)을 누른 경우 총구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400)는, 본체부(100)의 하단 및 방아쇠부(300)의 후면에 결합되며, 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며 내부에 방향키(410)와 기능키(420)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총 손잡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잡이부(400)의 표면에 마찰소재(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00)에는 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도중 일정한 순간에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돋울 수 있다. 손잡이부(400)의 회동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10)의 손잡이부(400)는, 좌우로 벌어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400)에는 손잡이부(400)가 불필요하게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손잡이부 고정 버튼(430)이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400)가 좌우로 벌어지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가 방아쇠부(300)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방아쇠부(300)의 방아쇠(310)와 방향키(330) 및 기능키(340)를 활용하는 때에는, 사용자는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상태로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잡이부(400)가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때 손잡이부(400)에 형성된 방향키(410)와 기능키(4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지 않아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10)의 손잡이부(400)가 손잡이부 고정 버튼(430)의 해제로 인해 좌우로 벌어질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400)의 좌우를 각각 파지하고, 좌측에 형성된 방향키(410)와 우측에 형성된 기능키(420)를 이용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는 사격 게임이나 자동차 게임과 같이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는 게임이 아니라, 단순히 버튼을 통해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격 게임 등과 같이 휴대폰(20)을 직접 기울여야 하는 게임은 물론이고, 방향키(330, 410)와 기능키(340, 420)를 모두 이용하여야 하는 게임도 편리하게 즐길 수 있으며, 휴대폰(20)의 디스플레이부(500)에 버튼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디스플레이부(500) 전체를 게임 화면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20: 휴대폰 100: 본체부
110: 커버 120: 고정 고리
130: 받침대 200: 총구부
300: 방아쇠부 310: 방아쇠
320: 커버 고정 버튼 330: 방향키
340: 기능키 350: 전원 잭
360: 전원 코드 370: 총구부 분리 버튼
400: 손잡이부 410: 방향키
420: 기능키 430: 손잡이부 고정 버튼
50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총의 형태를 갖는 게임 컨트롤러에 있어서,
    휴대폰이 거치되며 상기 휴대폰에 방향신호 또는 기능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신호 전송 코드가 상기 거치된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총구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 기능을 수행하는 총구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방아쇠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방아쇠를 당길 경우 상기 본체부의 신호 전송 코드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기능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방아쇠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 및 상기 방아쇠부의 후면에 결합되며, 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며 내부에 방향키와 기능키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회동하여 기립됨으로써 상기 휴대폰의 후면을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휴대폰의 상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고리는,
    상기 커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상기 휴대폰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버가 기립될 경우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휴대폰을 받쳐서 고정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부에는,
    상기 커버가 불필요하게 기립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커버 고정 버튼이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부에는,
    일 측면에 방향키가 형성되고, 반대편 측면에 기능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부에는,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코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불필요하게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손잡이부 고정 버튼이 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KR1020110004973A 2011-01-18 2011-01-18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KR10123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973A KR101237511B1 (ko) 2011-01-18 2011-01-18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973A KR101237511B1 (ko) 2011-01-18 2011-01-18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90A KR20120083690A (ko) 2012-07-26
KR101237511B1 true KR101237511B1 (ko) 2013-02-26

Family

ID=4671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973A KR101237511B1 (ko) 2011-01-18 2011-01-18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06B1 (ko) 2022-04-08 2022-09-26 (주)네온테크 건 타입 드론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92B1 (ko) * 2013-04-23 2014-12-31 (주)로보티즈 게임 컨트롤러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기기 케이스
KR101633922B1 (ko) * 2013-12-11 2016-06-27 이윤우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니터 연동형 슈팅 게임기용 격발장치
CN105892675A (zh) * 2016-04-26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基于手柄控制虚拟现实头盔的方法、装置及系统
CN108810214A (zh) * 2017-05-01 2018-11-13 (株)U欢乐世界 多功能自拍枪
KR101886821B1 (ko) * 2017-05-02 2018-08-08 주식회사 유조이월드 다기능 셀피건
KR101950237B1 (ko) 2017-09-19 2019-05-08 주식회사 나루스튜디오 증강현실 1인칭 슈팅게임의 총기 모양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41Y1 (ko) * 2000-02-16 2000-07-15 서창희 권총형 휴대폰
JP2005103323A (ja) * 2004-12-27 2005-04-21 Namco Ltd ゲームコントローラ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US20050197178A1 (en) * 2004-03-03 2005-09-08 Villegas Ariel P. Gun-shaped game controller
KR20070012214A (ko) * 2005-07-21 2007-01-25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게임기 콘트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41Y1 (ko) * 2000-02-16 2000-07-15 서창희 권총형 휴대폰
US20050197178A1 (en) * 2004-03-03 2005-09-08 Villegas Ariel P. Gun-shaped game controller
JP2005103323A (ja) * 2004-12-27 2005-04-21 Namco Ltd ゲームコントローラ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KR20070012214A (ko) * 2005-07-21 2007-01-25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게임기 콘트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06B1 (ko) 2022-04-08 2022-09-26 (주)네온테크 건 타입 드론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90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511B1 (ko) 휴대폰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JP748220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操作装置、および、付属機器
WO2018077207A1 (zh) 一种视角模式切换方法及终端
US9389698B2 (en)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JP2018019894A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処理装置
KR20110116892A (ko) 휴대폰용 게임패드 장치
CN104951088A (zh) 一种超薄游戏手柄键盘
CN109847348A (zh) 一种操作界面的操控方法及移动终端、存储介质
JP2019530123A (ja) パッチ型コントローラ
CN103736274A (zh) 多功能游戏手柄
CN202777757U (zh) 双面体感遥控器
CN202696688U (zh) 一种手机
CN205824568U (zh) 一种自拍杆的控制手柄
CN203861902U (zh) 一种手机控制杆
TW202046593A (zh) 無線充電裝置
CN202956726U (zh) 一种平板电脑外设键盘
CN203253153U (zh) 体感控制器
CN109045689A (zh) 游戏操控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208014A (zh) 充电装置、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20160224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ain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in a supported operative orientation
KR101900385B1 (ko) 모바일 기기용 게임 컨트롤러
CN209170472U (zh) 保护壳与设备套装
US20170242562A1 (en) Remote Controller
CN104423455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2054566B (zh) 无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