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16B1 - 기능성 컵 - Google Patents

기능성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16B1
KR101237416B1 KR1020100106606A KR20100106606A KR101237416B1 KR 101237416 B1 KR101237416 B1 KR 101237416B1 KR 1020100106606 A KR1020100106606 A KR 1020100106606A KR 20100106606 A KR20100106606 A KR 20100106606A KR 101237416 B1 KR101237416 B1 KR 10123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grip piece
functional cup
funct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206A (ko
Inventor
송경현
Original Assignee
송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현 filed Critical 송경현
Priority to KR102010010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with table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컵은 상방이 개방되고 하면과 측벽이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보관용기; 및 상기 측벽과 이격되게, 상기 측벽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립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고온의 음용수가 담아진 컵을 파지하는 경우 뜨거워진 측벽을 파지하지 않고도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그립편을 파지함으로써 고온의 음용수가 담긴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컵{Functional cup}
본 발명은 음용수를 담아 마시기 위한 컵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 플라스틱 소재의 기능성 컵에 관한 것이다.
물 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한 용기로서 컵은 유리나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전통적이다. 전통적 방식으로 제작된 컵은 유통 및 사용이 불편하고 파손의 위험이 높은 관계로, 실용적 측면에서 종이 재질의 일회용 컵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컵이 개발되어 사용된다.
최근에는 환경적 측면에서 일회용 컵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어, 플라스틱 소재 컵의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 컵 분야에서 컵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컵 중에 고온의 음용수가 담긴 경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 기능성 컵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컵의 형상적 구조를 개선하여 고온의 음용수가 담긴 경우에도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며 유통의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컵은 상방이 개방되고 하면과 측벽이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보관용기; 및 상기 측벽과 이격되게, 상기 측벽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 그립편;을 포함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컵은 상방이 개방되고 하면과 측벽이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보관용기; 상기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환형 플랜지; 및 상기 측벽과 이격되게, 상기 환형 플랜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그립편;을 포함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특징에 따른 기능성 컵에서, 상기 측벽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환형 플랜지는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컵이 적층된 경우, 하측 기능성 컵을 이루는 결합공에 상측 기능성 컵을 이루는 그립편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특징 및 제2 특징에 따른 기능성 컵에서, 상기 그립편은 상기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칭으로 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편은 상기 측벽의 아래로 갈수록 상기 측벽과의 이격거리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기능성 컵이 적층된 경우, 하측 기능성 컵을 이루는 측벽의 가장자리 내측면으로 상측 기능성 컵을 이루는 그립편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광고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문양은 상기 그립편의 형상과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컵은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편의 외측면에 광고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편에는 돌기 또는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컵은 고온의 음용수가 담아진 컵을 파지하는 경우 뜨거워진 측벽을 파지하지 않고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그립편을 파지함으로써 고온의 음용수가 넣어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컵은 전자레인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컵은 그립편 또는 측면에 광고문양을 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광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립편에 파지력을 높일 수 있는 돌기 또는 천공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을 적층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을 적층한 상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을 적층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은 하면(122)과 측벽(124)이 밀폐되어 형성된 보관용기(12)와 그립편(16)으로 이루어진다.
보관용기(12)를 구성하는 측벽(1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갈수록 좁아지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들이 다수개 적층되는 경우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립편(16)은 측벽(124)의 상부 가장자리(126)의 외측면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측벽(124)의 상부 가장자리(1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따라 절곡되며 그립편(16)은 절곡된 상부 가장자리(126)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그립편(16)은 측벽(124)의 아래로 갈수록 측벽(124)과의 이격거리가 커지도록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편(16)은 서로 대칭하여 2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립편(16)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온의 음용수가 담겨진 경우 뜨거워진 측벽(124)을 파지하지 않고 측벽(124)으로부터 이격된 그립편(16)을 파지함으로써 고온의 음용수가 담긴 기능성 컵(1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립편(16)이 2개이지만, 그립편(16)은 대칭으로 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첫번째는 그립편(16)이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고려한 측벽(124)의 외측면에 형성된 형태이다. 그립편(16)의 크기 또는 갯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두번째는 그립편(16)이 중간부위가 측벽(124)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절되고 끝단부는 측벽(124)의 외측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형태이다. 세번째는 그립편(16)이 측벽(124)의 외측면으로부터 하향이 아닌 가로로 연장된 형태이다. 즉, 그립편(16)의 끝단부의 지향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을 가르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 2개가 적층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측에 위치한 기능성 컵(10)을 이루는 그립편(16)의 끝단부가 하측에 위치한 기능성 컵(10)을 이루는 측벽(124)의 상부 가장자리(126)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은 대량생산 및 재활용성이 좋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소재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기능성 컵(10)은 본질적으로 일정 탄성력을 가지며, 도 3과 같이, 탄성력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기능성 컵(10)의 끝단부는 하측에 위치한 기능성 컵(10)을 이루는 측벽(124)의 상부 가장자리(126) 내측면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된다. 그러나 보관용기(12)의 형태에 따라 기능성 컵(10)의 끝단부는 상부 가장자리(126) 내측면에 삽입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은 고온의 음용수를 담아낼 수 있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자레인지용 용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내열성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제작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는 강성이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10)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의 내열성 플라스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기(22), 환형 플랜지(28), 그립편(26)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20), 보관용기(22)는 상방이 개방되고 하면(222)과 측벽(224)이 밀폐되어 형성되며, 측벽(224)은 측벽(224)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환형 플랜지(28)는 측벽(224)의 상부 가장자리(226)를 따라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환형 플랜지(28)는 재활용 컵에 많이 사용되는 일회용 뚜껑 등과의 결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편(26)이 제1 실시예와 달리 환형 플랜지(28)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편(26)은 제1 실시예보다 측벽(224)으로부터 효과적인 이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용기(32), 환형 플랜지(38), 그립편(3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다른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플랜지(38)에 결합공(382)이 형성된 점이다.
결합공(382)은 환형 플랜지(38)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8과 같이 컵이 적층된 경우, 상측에 위치한 컵의 그립편(36)의 끝단부가 하측에 위치한 컵의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적층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40)은 보관용기(42)의 외측면에 광고문양이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성 컵(10, 20, 30)에 광고용 기능을 추가한 실시예이다. 광고문양은 광고를 위한 디자인 또는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 형상, 모양 및 색상을 그 요소로 하고 있으며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40)은 광고문양을 그립편(46)의 형상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문양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40)은 3차원 구조물인 그립편(46)의 형상을 광고문양의 일 요소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50)은 그립편(56)의 외측면에 광고문양이 형성된 실시예이다. 이에 의해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컵(50)은 광고의 표현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60)은 그립편(66)에 돌기(662) 또는 천공이 형성된 형태이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컵(60)은 그립편(66)의 파지력을 높이고 열전도성을 낮추며 재료절감을 꾀할 수 있다.
10, 20, 30, 40, 50, 60: 기능성 컵
12, 22, 32, 42, 52, 62: 보관용기
16, 26, 36, 46, 56, 66: 그립편
28, 38, 48: 환형 플랜지
122, 222: 하면
124, 224: 측벽
126, 226: 상부 가장자리

Claims (11)

  1. 상방이 개방되고 하면과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측벽이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보관용기;
    상기 측벽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환형 플랜지; 및
    상기 측벽과 이격되게, 상기 환형 플랜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그립편;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용기가 적층된 경우, 하측 환형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공에 상측 환형 플랜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그립편의 끝단부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편은 상기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칭으로 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편은 상기 측벽의 아래로 갈수록 상기 측벽과의 이격거리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광고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광고문양은 상기 그립편의 형상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컵은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편의 외측면에 광고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편에는 돌기 또는 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KR1020100106606A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컵 KR10123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606A KR101237416B1 (ko)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606A KR101237416B1 (ko)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206A KR20120045206A (ko) 2012-05-09
KR101237416B1 true KR101237416B1 (ko) 2013-02-26

Family

ID=4626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606A KR101237416B1 (ko) 2010-10-29 2010-10-29 기능성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1109S1 (en) 2018-12-04 2021-02-23 Churchill Container, Llc Double wall cup with l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4990B2 (ja) * 2017-02-21 2022-07-22 ウク カン,キョン 熱伝導防止板が備えられた紙コッ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4282U (ko) * 1981-01-29 1982-08-03
US20080078824A1 (en) * 2006-08-23 2008-04-03 Andhow Innovations, Llc Beverage cup sleeving system and method
KR20100000674A (ko) * 2008-06-25 2010-01-06 이태호 두개의 구멍이 뚫린 손잡이 종이컵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4282U (ko) * 1981-01-29 1982-08-03
US20080078824A1 (en) * 2006-08-23 2008-04-03 Andhow Innovations, Llc Beverage cup sleeving system and method
KR20100000674A (ko) * 2008-06-25 2010-01-06 이태호 두개의 구멍이 뚫린 손잡이 종이컵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1109S1 (en) 2018-12-04 2021-02-23 Churchill Container, Llc Double wall cup with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206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7478A1 (en) Measuring container with heat dissipating section
US20100181328A1 (en) Protective sleeve
KR101237416B1 (ko) 기능성 컵
US20130240544A1 (en) Disposable cup
JP4294579B2 (ja) 断熱容器
CN208790106U (zh) 包装用容器
JP2021123392A (ja) 包装用容器
US20090242574A1 (en) Heat-insulating cup
JP5702999B2 (ja) 使い捨て容器および容器入り食品
JP6966109B2 (ja) 包装用容器
CN204568453U (zh) 自散热包装盒
KR100905739B1 (ko) 컵 홀더
JP4589818B2 (ja) 食品収容容器
KR200469248Y1 (ko) 도시락 용기
JP6085399B2 (ja) 食品用容器
JP2017149462A (ja) 食品包装用容器
JP6522973B2 (ja) 包装用容器
JP5580078B2 (ja) 包装用容器
JP5916832B2 (ja) 脚部を有する容器
TWM498732U (zh) 具有強化結構的紙製容器
JP2010047304A (ja) 脚部を有する容器
JP4988387B2 (ja) 包装用容器
KR200479095Y1 (ko) 종이로 만든 조립식 음식용기
JP2008189337A (ja)
JP2009035320A (ja) セパレートトレ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