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03B1 - 스노우보드 바인딩 - Google Patents

스노우보드 바인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03B1
KR101237403B1 KR1020110037621A KR20110037621A KR101237403B1 KR 101237403 B1 KR101237403 B1 KR 101237403B1 KR 1020110037621 A KR1020110037621 A KR 1020110037621A KR 20110037621 A KR20110037621 A KR 20110037621A KR 101237403 B1 KR101237403 B1 KR 10123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high back
foot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583A (ko
Inventor
정성록
Original Assignee
정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록 filed Critical 정성록
Priority to KR102011003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03B1/ko
Priority to PCT/KR2012/002906 priority patent/WO2012144782A2/ko
Publication of KR2012011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04Shoe holders for passing over the shoe
    • A63C10/045Shoe holders for passing over the shoe with means to ease introduction of the shoe, e.g. by collapsing upstanding shoe hold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04Shoe holders for passing over the shoe
    • A63C10/06Straps therefor, e.g. adjusta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16System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bindings
    • A63C10/22System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bindings to fit the size of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24Calf or heel supports, e.g. adjustable high back or heel loo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의 측벽을 하이백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의 회동축 보다 후미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이백과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가 상기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측벽 부위인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이백이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해 감기면서 견인됨에 따라, 상기 발등덮개가 부츠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노우보드에 밀착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형성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후단측에서 상기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백, 베이스의 선단측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 하이백과 베이스와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 베이스의 일측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에 인장력을 발생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이백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풀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하이백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기 측벽은 상기 하이백의 회동축보다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상기 발등덮개와 상기 하이백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노우보드 바인딩{snowboard binding}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의 측벽을 하이백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의 회동축 보다 후미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이백과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가 상기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측벽 부위인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이백이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해 감기면서 견인됨에 따라, 상기 발등덮개가 부츠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우보드는 스키와 함께 겨울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스노우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보드와, 스노우보더들의 발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부츠와, 보드와 부츠를 연결하여 주는 바인딩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인딩의 종류로는 소프트 바인딩(Soft Binding), 스탭인 바인딩(Step-in Binding) 및 스트랩 바인딩(Strap Binding)으로 구분되고, 상기 바인딩 중에는 스트랩 바인딩(Strap Binding)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스트랩 바인딩(Strap Binding)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노우보드에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츠의 뒷꿈치를 잡아주는 뒷꿈치받침(2) 및, 상기 뒷꿈치받침(2)에 장착되어 발목을 지지하여 주는 하이백(High back, 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일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1)의 타측으로 부츠의 발목 및 발등을 조일 수 있도록 각각의 버클이 장착된 제1조인트(4) 및 제2조인트(5)가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의 타측에는 각각의 제1조인트(4) 및 제2조인트(5)에 장착된 버클이 끼워지는 제1스트랩(6) 및 제2스트랩(7)이 장착된다.
이러한 스트랩인 바인딩은 유격 없이 부츠를 잘 고정시키며 라이딩 시 충격에도 부츠의 고정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부츠를 바인딩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제1조인트(4) 및 제2조인트(5)를 각각의 제1스트랩(6) 및 제2스트랩(7)에 장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바인딩에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 있었으며,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야 체결되기 때문에 착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베이스의 측벽을 하이백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의 회동축 보다 후미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이백과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가 상기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측벽 부위인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이백이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해 감기면서 견인됨에 따라, 상기 발등덮개가 부츠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이백의 후면에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아울러 발등덮개 선단상에 보조적으로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부츠의 크기 등 신체조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노우보드에 밀착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형성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후단측에서 상기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백, 베이스의 선단측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 하이백과 베이스와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 베이스의 일측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에 인장력을 발생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이백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풀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하이백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기 측벽은 상기 하이백의 회동축보다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상기 발등덮개와 상기 하이백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은 상기 발등덮개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유도홀을 구비하고, 그 후단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홀을 통과하여 나오는 상기 제1 와이어가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와이어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유도홀은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백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홈에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와이어를 가이드하여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 가이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가이딩부의 하단은 상기 하이백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유도홈의 상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백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이 결합되되,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 평기어, 상기 고정 평기어에 맞물려서 결합되되, 일단에 상기 제1 와이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평기어, 상기 고정 평기어에 상기 이동 평기어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상에는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길이 조절수단이 결합되되, 상기 보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양 끝단이 서로 교차된 상태로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이동결합부가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동결합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결합부는 고정나사를 상기 결합홀에 삽입한 후, 상기 발등덮개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너트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발등덮개 상에서 위치 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의하면, 베이스의 측벽을 하이백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의 회동축 보다 후미쪽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이백과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가 상기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측벽 부위인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하이백이 잠금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해 감기면서 견인됨에 따라, 상기 발등덮개가 부츠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이백의 후면에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아울러 발등덮개 선단상에 보조적으로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 부츠의 크기 등 신체조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등덮개의 발가락 부분과 발목 부분이 동시에 제1와이어에 의해 견인되므로 부츠의 앞부분을 감싸는 것은 물론, 상기 발등덮개를 견인하는 제1와이어에 의해 부츠의 뒷부분에 위치하는 하이백이 부츠의 뒷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부츠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길이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조 길이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이백 풀림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이백 잠금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이백 잠금 상태 유지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1"부분의 확대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도면부호 180(길이조절 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스노우보드 바인딩은 스노우보드에 장착되는 베이스(110)와, 상기베이스(11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부츠(B)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하이백(120)과, 상기 베이스(110)의 선단측 상부에 설치되어 부츠(B)의 발등 부분을 지지하는 발등덮개(130)와, 상기 베이스(110)와 발등덮개(130)와 하이백(120)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140)와,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단에 각각 끝단이 연결되는 제2 와이어(160)와, 이 제2 와이어(160)에 인장력을 발생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백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구성상 특징 중, 핵심적인 특징은 상기 베이스(110)의 후단,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베이스(110)를 구성하는 측벽(112a,112b)의 후미쪽에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상기 측벽(112a,112b)은 상기 하이백(120)의 회동축(H)보다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통하여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발등덮개(130)와 상기 하이백(120)을 연결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스노우보드에 밀착되는 플레이트(111)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112a,112b)과, 상기 측벽(112a,112b)의 선단측에 상기 제1와이어(140)가 관통하는 통로(114a,114b)가 형성된다.
상기 하이백(120)은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112a,112b) 후단측을 관통하는 회동축(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략 수직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부츠(B)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와이어(140)가 관통되어 가이드되는 와이어 가이딩부(122)가 하부 양측에 형성되고, 제1와이어(140)를 고정함과 동시에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180)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180) 사이에 상기 레버(150)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라켓(126, 도 8 내지 도 10 참조)이 중앙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발등덮개(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선단측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된 양측 통로(114b)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140)가 통과하는 제1통로(131)와,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112a)의 통로(114a)와 상기 베이스(110)의 측단(112a, 112b) 후미쪽에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와이어 유도홀 입구(171)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140)가 통과하는 제2 및 제3 통로(132, 133)가 형성된다. 상기 발등덮개(130)에서 제1통로(131)는 발등의 아랫부분, 즉 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2,제3통로(132,133)는 발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140)는 상기 하이백(120)과 베이스(110)와 발등덮개(13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피복된 금속철선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140)는 상기 베이스(110)와 발등덮개(130) 사이에서 노출되는 부분에 코일형 압축 스프링(142)이 마련되어 상기 발등덮개(130)를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레버(150)는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이백(120)의 브라켓(126)에 조립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제2 와이어(160)가 삽입되는 삽입공(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와이어(160)는 상기 제1와이어(140)와 마찬가지로 피복된 금속철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 측벽(112a)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레버(150)의 삽입공(153)을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110)의 타측 측벽(112b)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와이어(160)는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에 고정되나,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에 상기 제2와이어(1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고, 이 길이조정수단에 상기 제2와이어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 와이어(160) 및 상기 레버(150)는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풀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하이백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여기서, 하이백(120)의 잠금 상태라 함은 상기 하이백(120)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부츠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하이백(120)의 풀림 상태라 함은 상기 하이백(120)이 뒤쪽으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부츠를 상기 스노우보드 바인딩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이백 제어수단은 상기 하이백(120)이 상기 회동축(H)을 중심으로 대략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후, 상기 레버(150)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2 와이어(160)가 팽팽해지면서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레버(15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2 와이어(160)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하이백(120)은 상기 제2 와이어(160)의 인장력에 의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레버(150)를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2 와이어(160)에 인장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하이백(1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풀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하이백(120)의 잠금 상태는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베이스(110)쪽으로 강하게 견인되어,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부츠를 강하게 밀착시킨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베이스(110)쪽으로 강하게 견인되는 과정은 상기 하이백(120)을 상기 베이스(110)의 회동축(H)을 중심으로 대략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발생한다. 즉,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회동시킬 때,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베이스(110) 쪽으로 강하게 견인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베이스(110) 쪽으로 강하게 견인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112a, 112b)을 후미쪽으로 연장시켜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은 상기 측벽(112a, 112b)의 일부분이고, 후미쪽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상세도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구조와 동작 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은 상기 측벽(112a, 112b) 후미 부분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측벽(112a, 112b)에 대한 상기 하이백의 회동축(H)보다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은 상기 발등덮개(130)와 상기 하이백(120)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상기 하이백(120)의 잠금 상태 전환 과정에서 강하게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통하여 상기 발등덮개(130)와 상기 하이백(1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에 감기면서 베이스(110) 쪽으로 강하게 견인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등덮개(130)는 상기 베이스(110) 쪽으로 강하게 밀착된다.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등덮개(13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유도홀(173)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측벽(112a, 112b)의 후미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상단에 와이어 유도홀(173)의 입구(1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와이어 유도홀 입구(171)를 통하여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나오는 상기 제1 와이어(140)는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후단(175)을 따라 위쪽으로 감겨진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라운딩 형상의 후단(175)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나오는 상기 제1 와이어(140)가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와이어 유도홈(1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는 길이조절수단(18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과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을 따라 상기 하이백(120) 쪽으로 견인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베이스(110) 쪽으로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에 통과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 와이어(140)를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에서 쉽게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방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면,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에 통과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와이어(140)를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이백(120)을 상기 베이스(110)와 접촉할 수 있을 때까지 회동시킬 수 있어,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노우보드 바인딩을 적재 또는 저장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은 개방부(와이어 유도홀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와이어 유도홀을 따라 개방되는 부분)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 또는 풀림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에 통과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179)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개폐판(179)이 개폐판 회동축(179a)을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사용시에는 상기 개폐판(179)이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키도록 회동시켜 놓고, 상기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보관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 유도홀(173)로부터 상기 제1 와이어(140)를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판(179)을 회동시켜 상기 개방부를 노출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에 감김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와이어(140)가 더 강하고 확실하게 견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 하측에는 와이어 가이딩부(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 양 하측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에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와이어(140)를 가이드하여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 가이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딩부(122)는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 하측 양 쪽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그 하단은 상기 하이백(120)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의 상측을 따라 이동된다. 즉, 상기 와이어 가이딩부(122)는 그 하단이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와이어 가이딩부(122)의 하단이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에 따라, 상기 하이백(120)이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상기 와이어 유도홈(177)에서 이탈되지 않고,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딩부(122)를 통해 가이드되고 안내되는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길이 조절 수단에 고정되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제1 와이어(140)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180)이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길이 조절 수단(180)은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 평기어(181), 상기 고정 평기어(181)에 맞물려서 결합되되, 일단에 상기 제1 와이어(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평기어(183), 상기 고정 평기어(181)에 상기 이동 평기어(183)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구(1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40)가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이동 평기어(183)를 상기 고정 평기어(181)의 소정 위치에 맞물린 후, 상기 고정구(185)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평기어(183)에 길이 방향의 수직홀(183a)를 형성시키고, 나사홀(181a)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 평기어(181)에 상기 이동 평기어(183)를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85)를 상기 수직홀(183a)에 삽입시킨 후 상기 나사홀(181a)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와이어(140)는 회전 결합구(187)를 통하여 상기 이동 평기어(183)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상태의 상기 이동 평기어(183)를 상기 회전 결합구(187)를 중심축으로 하여 180°회전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 평기어(181)에 맞물려서 결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 조절 범위는 더욱 커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평면도인데, 이를 통해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결합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는 발등덮개(130)에서 상기 제1 와이어(140)가 교차하여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도 6의 (b)는 비교차하여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제1 와이어(140)의 연결 경로를 살펴보면, 상술한 하이백(120)의 후면 양측단에 배치되는 길이조절수단(180)의 한쪽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일측의 와이어 가이딩부(122),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거치고,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와이어 유도홀의 입구(171)에서 발등덮개(130)의 제3 통로(133)로 들어가 반대쪽(도면에서 왼쪽) 측벽(112b)에 형성된 통로(114a, 114b)를 통해 제1 통로(131)를 통과한다. 그리고, 오른쪽 측벽(112a)에 형성된 통로(114a, 114b)를 지나 제2 통로(132)로 들어가서, 도면에서 왼쪽에 형성된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통하여 타측의 와이어 가이딩부(122)를 거쳐 다른 쪽의 길이조절수단(180)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제1 와이어(140)의 연결 경로를 살펴보면, 상술한 하이백(120)의 후면 양측단에 배치되는 길이조절수단(180)의 한쪽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일측의 와이어 가이딩부(122),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거치고,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와이어 유도홀의 입구(171)에서 발등덮개(130)의 제3 통로(133)로 들어가 제2 통로(132)로 바로 나온 후, 오른쪽 측벽(112a)에 형성된 통로(114a, 114b)를 지나 제1 통로(131)를 통과한다. 그런 다음 왼쪽의 측벽(112a)에 형성된 통로(114a, 114b)를 지나 제2 통로(132)와 제3 통로(133)를 연속해서 바로 지나, 도면에서 왼쪽에 형성된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통하여 타측의 와이어 가이딩부(122)를 거쳐 다른 쪽의 길이조절수단(180)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로 연결되는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40)의 양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상기 길이조절수단(180)에 의하여 다양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수단(180) 대신에 또는 함께 상기 발등덮개(130)의 선단 상에 보조 길이조절수단(19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등덮개(130)의 선단 상에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길이조절수단(190)을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길이조절수단(190)은 상기 제1 와이어(140)의 양 끝단이 서로 교차된 상태로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이동결합부(191)를 포함한다. 이 한 쌍의 이동결합부(191)는 상기 발등덮개(130)의 선단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와이어(140)의 일단은 상기 제1 통과홀(13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한 후, 한 쌍의 이동결합부(191) 중,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와이어(140)의 타단은 상기 제1 통과홀(13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통과한 후, 한 쌍의 이동결합부(191) 중, 다른 하나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결합부(191)가 결합되는 상기 발등덮개(130) 부분에는 너트(미도시)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미도시)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기 발등덮개(130) 상에 결합되는 상기 이동결합부(191)에는 복수개의 결합홀(19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나사(195)를 상기 결합홀(193)을 통하여 상기 너트(197)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동결합부(191)를 상기 발등덮개(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동결합부(191)에는 복수개의 결합홀(19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결합부(191)는 고정나사(195)를 상기 결합홀(193)에 삽입한 후, 상기 발등덮개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너트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발등덮개 상에서 위치 변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나사(195)가 삽입되는 상기 이동결합부(191)에 형성된 결합홀(193)을 변경한 후, 상기 너트에 상기 고정나사(195)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풀림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회동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하이백의 잠금 상태에서 레버를 채워서(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하이백을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과 같이 하이백(120)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하이백(120)을 후방으로 완전히 회동시켜 하이백(120)과 발등덮개(130)의 사이간격을 벌림으로써, 하이백 풀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하이백(120)이 부츠의 뒷굽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되므로 부츠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이백 풀림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160)가 느슨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발등덮개(130)와 상기 베이스(110)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커진다. 이는 상기 제1 와이어(140)에 형성된 탄성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에 감긴 상태로 있던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발등덮개(130)와 상기 베이스(110)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발등덮개(130)가 상기 베이스(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려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부츠를 상기 스노우보드 바인딩에 삽입시킨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백(120)을 베이스(110)의 측벽(112a, 112b)에 형성된 회동축(H)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하게 회동시킨다. 이 상태는 상기 하이백(120)이 상기 부츠의 뒤축을 지지하게 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112a) 후단측에 회동축(H)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하이백(120)이 대략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회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발등덮개(130)는 제1와이어(140)에 의해 베이스(110)측으로 견인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제1와이어(140)가 설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일단이 길이조절수단(180)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이백(120)의 일측 와이어 가이딩부(122)와 일측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을 통과하여 상기 발등덮개(130)를 교차 또는 비교차(도 6 참조)로 경유한 후, 다시 타측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 및 타측 와이어 가이딩부(122)를 거쳐 상기 길이조절수단(18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제1 와이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백(120)이 잠금 상태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의 지렛대 원리를 통하여 상기 발등덮개(130)에서 상기 하이백(120) 쪽으로 강하게 견인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등덮개(130)는 상기 베이스(110) 쪽으로 강하게 견인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 위치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와이어(140)는 상기 하이백(1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축(H)의 후미쪽으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17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와이어(140)의 견인 동작이 강하게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이백(120)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백 제어 수단인 레버(150)를 채워서(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제2 와이어(160)에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하이백(120)은 제2와이어(160)의 인장력에 의해 풀림 방향 즉, 후방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등덮개(130)가 하이백(120)의 회동에 의해 하이백(120) 및 베이스(110)측으로 견인됨에 의해 상기 베이스(110)와 하이백(120) 및 발등덮개(1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부츠의 발가락 부분 및 발등부분을 견고하게 조여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등덮개(130)는 제1와이어(140)에 의해 베이스(110)와 하이백(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발등덮개(130)와 베이스(110)의 사이의 노출된 제1와이어(140) 외측으로 삽입된 스프링(142)에 의해 베이스(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의 상기 스프링(142)은 탄성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와이어(160)가 설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일단이 베이스(110)의 일측 측벽(112a)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이백(120)의 일측 연결고리(124a)와 레버(150)의 삽입공(153)과 하이백(120)의 타측 연결고리(124b)를 경유하여 베이스(110)의 타측 측벽(112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이백(120)의 연결고리(124a) 및 레버(150)의 삽입공(153)은 레버(150)가 잠금 해제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레버(150)의 회동축(151)을 기준으로 대향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50)가 잠금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상부 방향으로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이백(120)의 연결고리(124a)와 레버(150)의 삽입공(153)을 연결하는 제2와이어(160)는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레버(150)의 잠금 방향에 대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므로 레버(150)가 임의로 잠금 해제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베이스(110)와 하이백(120) 사이의 제2와이어(160)가 팽팽하게 당겨져 있으므로 상기 하이백(120)이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0 : 베이스 111 : 플레이트
112a, 112b : 측벽 114a, 114b : 통로
120 : 하이백 122 : 와이어 가이딩부
124a, 124b : 연결고리 130 : 발등덮개
131 : 제1 통로 132 : 제2 통로
133 : 제3 통로 140 : 제1 와이어
150 : 레버 151 : 회동축
153 : 삽입공 160 : 제2 와이어
170 :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 180 : 길이조절수단
190 : 보조 길이조절수단

Claims (6)

  1. 스노우보드에 밀착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단측에서 상기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백;
    상기 베이스의 선단측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
    상기 하이백과 베이스와 발등덮개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베이스의 일측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에 인장력을 발생 또는 해제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이백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풀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하이백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하이백의 회동축보다 후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을 통하여 상기 발등덮개와 상기 하이백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은 상기 발등덮개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유도홀을 구비하고, 후단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홀을 통과하여 나오는 상기 제1 와이어가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와이어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도홀은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견인유도 수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홀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이백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와이어 유도홈에 감긴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와이어를 가이드하여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 가이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가이딩부의 하단은 상기 하이백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유도홈의 상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백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이 결합되되,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 평기어, 상기 고정 평기어에 맞물려서 결합되되, 일단에 상기 제1 와이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평기어, 상기 고정 평기어에 상기 이동 평기어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상에는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길이 조절수단이 결합되되, 상기 보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양 끝단이 서로 교차된 상태로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이동결합부가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동결합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결합부는 고정나사를 상기 결합홀에 삽입한 후, 상기 발등덮개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너트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발등덮개 상에서 위치 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바인딩.
KR1020110037621A 2011-04-22 2011-04-22 스노우보드 바인딩 KR10123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21A KR101237403B1 (ko) 2011-04-22 2011-04-22 스노우보드 바인딩
PCT/KR2012/002906 WO2012144782A2 (ko) 2011-04-22 2012-04-17 스노우보드 바인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21A KR101237403B1 (ko) 2011-04-22 2011-04-22 스노우보드 바인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583A KR20120119583A (ko) 2012-10-31
KR101237403B1 true KR101237403B1 (ko) 2013-02-27

Family

ID=4704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621A KR101237403B1 (ko) 2011-04-22 2011-04-22 스노우보드 바인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7403B1 (ko)
WO (1) WO20121447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174B1 (ko) * 2013-09-27 2014-09-1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WO2015046644A1 (ko) * 2013-09-27 2015-04-02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보드용 바인딩
KR101438173B1 (ko) * 2013-09-27 2014-09-1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보드용 바인딩
JP6060465B1 (ja) * 2015-07-24 2017-01-18 株式会社 ネオスノーレンタル スノーボードビンディング
CN113876070B (zh) * 2021-09-29 2023-07-28 温州市爱西爱鞋业有限公司 一种男式皮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19Y1 (ko) 2003-03-12 2003-06-18 윤지현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스노우보드 바인딩
KR200358899Y1 (ko) 2004-05-14 2004-08-12 김준 스노우 보드용 바인딩
KR2010007356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 바인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9223C2 (de) * 1997-09-08 2002-04-25 Reinhard Hansen Snowboardbindung
KR100662805B1 (ko) * 2004-08-19 2006-12-28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발등조임장치.
US7246811B2 (en) * 2005-04-27 2007-07-24 K-2 Corporation Snowboard binding engageme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19Y1 (ko) 2003-03-12 2003-06-18 윤지현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스노우보드 바인딩
KR200358899Y1 (ko) 2004-05-14 2004-08-12 김준 스노우 보드용 바인딩
KR2010007356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 바인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782A2 (ko) 2012-10-26
KR20120119583A (ko) 2012-10-31
WO2012144782A3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992B1 (ko) 스노우보드 바인딩
KR101237403B1 (ko) 스노우보드 바인딩
US7207592B2 (en) Binding for a sports boot on a gliding board
US5697631A (en) Snowboard binding
JP5319537B2 (ja) 調整可能な甲要素を備える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
US20170049190A1 (en) Shoe
JP2009061244A (ja) スノーボードビンディング及び関連した方法
US20020174570A1 (en) Articulated ski boot
JPH09311A (ja) ビンディング
EP1927381B1 (en) Highback with textile-like material for support
KR101101251B1 (ko) 스노우보드 바인더의 각도 조절장치
US7494148B2 (en) Board binding
EP3175730B1 (en) Ski boot
US20190247736A1 (en) Snowboard binding with adjustment memory
EP1093338B1 (en) Dual-action buckle
JP2013530790A (ja) スノーボードバインディング用のストラップ
US10010783B2 (en) Snowboard binding and snowboard
WO2023092397A1 (zh) 单板滑雪靴
JP3208687U (ja) 繋ぎ縄装置
AU2020201580A1 (en) Snowboard boot and binding
US9636569B2 (en) Adjustment system for straps on snowboard bindings
JPH11206405A (ja) スノーボード用シューズ
KR20180094612A (ko) 스포츠 부츠용 바인딩
JPH0588601B2 (ko)
JPH11178975A (ja)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及びこれに取り付けられるスノーボード用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