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173B1 - 스노보드용 바인딩 - Google Patents

스노보드용 바인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173B1
KR101438173B1 KR1020130115229A KR20130115229A KR101438173B1 KR 101438173 B1 KR101438173 B1 KR 101438173B1 KR 1020130115229 A KR1020130115229 A KR 1020130115229A KR 20130115229 A KR20130115229 A KR 20130115229A KR 101438173 B1 KR101438173 B1 KR 10143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side wall
guide
movabl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즈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즈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즈런
Priority to KR102013011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04Shoe holders for passing over the shoe
    • A63C10/06Straps therefor, e.g. adjusta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08Toe or heel stirrup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16System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bind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레버의 일 회동에 의해 스노보더 부츠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사이즈가 다른 스노보더 부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베이스의 양측 측벽에서 그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동 측벽과; 상기 가동측벽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직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로 선회하는 하이백과; 상기 베이스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와; 상기 하이백 후면에 힌지 연결되는 레버와; 폐회로를 이루며, 일측은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에 지지되고, 중간 부위는 양측의 상기 가동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각각 경유하고, 타측은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부위에서 지지되는 제 1 와이어와; 폐회로를 이루며, 일측은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에 지지되고, 중간 부위는 양측의 상기 가동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발등덮개의 후단 부위에서 지지되는 제 2 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 측벽에 설치되며, 경유하는 상기 제 1 와이어를 굴곡 변형시켜 상기 가동 측벽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상기 제 1 와이어의 변위를 조절토록 하는 변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노보드용 바인딩{BINDING FOR SNOWBOARD}
본 발명은 스노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레버의 일 회동에 의해 스노보더 부츠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사이즈가 다른 스노보더 부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노보드에는, 보드에 스노보더의 부츠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하는 바인딩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바인딩은, 스노보더의 부츠를 보드에 대하여 유격이 없이 밀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부츠의 출입이 이루어지며 발목 상부의 후면 부위를 받쳐 지지하는 하이백과 부츠 상부의 전방과 후방을 보드에 밀착되게 압박하는 스트랩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랩 방식의 바인딩은 그 장착과 탈착을 위해 주저앉고 일어서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각각의 스트랩을 일일이 체결하고 푸는 과정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992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개시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상술한 선행기술의 보완과 더불어 그 편의성 향상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권리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992호의 기술을 보완하기 위함과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노보더들의 다양한 발 사이즈 즉, 다양한 부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그 적용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목 상부 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잡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노보드용 바인딩은, 베이스의 양측 측벽에서 그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동 측벽과; 상기 가동측벽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직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로 선회하는 하이백과; 상기 베이스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와; 상기 하이백 후면에 힌지 연결되는 레버와; 폐회로를 이루며, 일측은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에 지지되고, 중간 부위는 양측의 상기 가동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각각 경유하고, 타측은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부위에서 지지되는 제 1 와이어와; 폐회로를 이루며, 일측은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2 지지홀에 지지되고, 중간 부위는 양측의 상기 가동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발등덮개의 후단 부위에서 지지되는 제 2 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 측벽에 설치되며, 경유하는 상기 제 1 와이어를 굴곡 변형시켜 상기 가동 측벽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상기 제 1 와이어의 변위를 조절토록 하는 변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가이드홀들이 상호 간격을 둔 상하 배치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측벽에는 상기 가이드홀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하부에 상하 배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 중 상측에 형성된 것은 하측에 형성된 것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호 대응하는 상기 각 관통홀과 가이드홀을 사이에 두고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정도에 따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전후진 가능하거나 위치 고정되며, 상기 하이백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제일 하측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를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힌지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 주연에는 제 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측벽 내측의 상기 관통홀 주연에는 상기 제 1 요철부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2 요철부는, 상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상호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호 압착되어 맞물려 상기 가이드에 대한 상기 가동 측벽의 전후진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상호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호 간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가이드에 대한 상기 가동 측벽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의 지지를 받아 연장된 양측 부위가 대응하는 상기 가동 측벽의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제 2 유도홀을 경유하고, 계속하여 측벽의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제 1 유도홀을 경유하며, 이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전단 부위에 형성된 제 4 유도홀을 통해 상호 연결된 배치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 조절부는 상기 제 1 유도홀과 연통하는 상기 베이스 측벽 내부에형성된 상기 제 1 와이어의 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높이 방향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확장 구간의 중심 부위에는 하측으로부터 관통하는 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홀에는 조정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확장 구간 내에는 대응 위치하는 상기 제 1 와이어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조정볼트가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조정너트가 형성된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변위 조절부를 통한 상기 제 1 와이어의 변위 조절은, 상기 조정볼트의 이미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확장 구간 양측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 1 와이어가 더 굽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유도홀 내의 상기 제 1 와이어의 길이 변위를 늘리고, 상기 조정볼트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확장 구간 양측의 지지를 받는 상기 제 1 와이어 부위가 더 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유도홀 내의 상기 제 1 와이의 길이 변위를 줄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는 상기 가동 측벽은 상측 부위가 부츠의 관절부 이상의 높이를 이루고,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2 지지홀의 지지를 받아 연장된 양측 부위가 대응하는 상기 가동 측벽의 후방에서 상단 부위로 관통하는 제 3 유도홀을 경유하고, 이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후단 부위에 형성된 제 5 유도홀을 통해 상호 연결된 배치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발등덮개의 중심 부위는 부츠의 관절 부위에 대응하며, 그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목부를 이루고, 상기 발등덮개의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는 양측 부위가 각각 대응하는 부츠의 발등 부위와 발목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발등덮개의 목부는 부츠의 발목 부위 상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작용에 대응하여 부츠의 발등 상부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굽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도홀에서 상기 제 4 유도홀 사이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와이어의 배치 구간 또는 상기 제 3 유도홀에서 제 5 유도홀 사이로 이어지는 상기 제 2 와이어의 배치 구간에는 상기 제 1 와이어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커버가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측벽이 전후진 하는 관계와 그에 따른 제 1 와이어의 길이 변위를 통한 인장력이 확보됨으로써 스노보더들의 다양한 발 사이즈 즉, 다양한 부츠의 사이즈에 대하여 더욱 넓은 범위로 대응할 수 있고, 제 2 와이어는 부츠의 관절부 이상의 높이로 세워진 가동 측벽을 통해 발등덮개를 압박하게 됨에 따라 보드에 대한 부츠를 밀착 및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노보드용 바인딩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노보드용 바인딩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부츠의 사이즈 변화에 대응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부츠의 발목 부위 상부가 앞으로 기울어짐에 대응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노보드용 바인딩(10)은,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드(도시 안됨)의 상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베이스(12)가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12)의 중앙에는 보드에 대하여 고정수단(도시 안됨)을 통해 고정되게 하는 고정홀(14)이 형성되고, 베이스(12)의 양측에는 측벽(16)이 상측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측벽(16)의 구성은,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1 와이어(72)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유도홀(20a, 20b)이 형성되고, 그 측벽(16)의 내부에는 제 1 유도홀(20a, 20b)와 연통하며 제 1 와이어(72)가 배치되는 경로(1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로(18)는, 측벽(16)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그 상대편 방향으로 제 1 유도홀(20a, 20b)과 연통하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홈 형상에 따른 상술한 경로(18)의 개구 부위는 마감판(32)으로 덮인다.
또한, 상술한 경로(18) 중 중심 부위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측벽(16)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와이어(72)의 굴곡 변형이 가능한 영역으로 확장 형성되고, 이렇게 확장 형성되는 구간의 중심 부위에는 하측으로부터 관통 형성되는 조정홀(22)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는 조정볼트(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조정볼트(24)에는 하부로부터 조정볼트(24)의 회전에 따라 나사 체결되는 조정너트(28)가 형성된 슬라이더(26)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26) 중 일측 부위에는 상술한 경로(18)를 따라 가설되는 제 1 와이어(72)의 일측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안내홈(30)이 형성된다.
즉, 슬라이더(26)는, 도 2에 표현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 조정너트(28)가 형성되며, 적어도 안내홈(30)은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 1 와이어(72)의 굴곡 변형되는 형상을 감안하여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상술한 경로(18)의 확장 구간에 가설되는 제 1 와이어(72)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더(26)의 안내홈(30)에 일부가 감싸여진 상태로 그 굴곡 변형이 안내되고, 또한 슬라이더(26)는 상술한 조정볼트(24)의 회전에 따라 측벽(16)과 마감판(32) 사이에서 지지되어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승하강 한다.
이때, 안내홈(30)에 지지되는 제 1 와이어(72)는 슬라이더(26)의 승하강 이동에 대응하여 확장 구간 내에서 확장 구간 양측의 지지를 받아 더 굽어지거나 굽어진 상태에서 펴지는 관계를 이룬다.
여기서, 상술한 확장 구간 내에서 제 1 와이어(72)가 굽어지는 것은, 제 1 유도홀(20a, 20b) 내에서의 제 1 와이어(72) 길이 변위를 더욱 늘리는 것이고, 이것은 베이스(12)에 대한 평면상에서의 제 1 와이어(72) 영역이 축소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작동관계에서 다시 설명하겠으나 해당 범위 내의 작은 사이즈의 부츠에 대응하기 제 1 와이어(72)의 인장력 조건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상술한 확장 구간 내에서 제 1 와이어(72)가 펴지는 것은, 제 1 유도홀(20a, 20b) 내에서의 제 1 와이어(72) 길이 변위를 더욱 줄이고, 이렇게 측벽(16) 내에서 줄어든 제 1 와이어(72)의 길이 변위는 상대적으로 측벽(16) 외부에서 늘어나게 됨에 따라 베이스(12)에 대한 평면상에서의 제 1 와이어(72) 영역이 확장되는 것으로 앞의 부츠 사이즈 보다 큰 것에 대응하기 위한 제 1 와이어(72)의 인장력 조건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측벽(16) 내의 경로(18)를 포함하여 제 1 와이어(72)의 길이 변위를 조절하기 위한 각 구성들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변위 조절부'라 명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측벽(16)의 후방에는, 이미 설정된 면적의 판 형상의 가이드(34)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34)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이드홀(36)이 가이드(34)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배치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홀(36)의 외측 주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홀(3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표면에 대한 걸림 작용을 갖는 제 1 요철부(38)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34)의 외측에는, 가이드(34)의 안내를 받아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동 측벽(40)이 구비된다.
상술한 가동 측벽(40)은 가이드(34)에 대향하는 내측 케이스(40b)와 그 반대 방향인 외측 케이스(40a)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참조되는 도 2에서는, 외측 케이스(40a)가 가장자리 두레를 따라 테두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케이스(40b)는 외측 케이스(40a)의 개구를 막는 형상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며, 여기서는 가동 측벽(40)에 대한 구성 및 그 구성에 따른 작동 관계는, 도 2를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가동 측벽(40)을 이루는 내·외측 케이스(40b, 4a)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배치를 이루는 가이드홀(36) 각 위치에 대응하는 상하 배치의 관통홀(42a, 42b)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홀(42a, 42b) 중 상측에 형성된 것은 하측에 형성된 것의 수직 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한다.
이렇게 관통홀(42a, 42b)의 전후 배치 관계는 후술하는 하이백(56)의 회동에 건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 가이드홀(36)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가동 측벽(40)이 수직하게 세워진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홀(36)에 대항하는 내측 케이스(40b)의 관통홀(42b) 주연에는 상술한 제 1 요철부(38)에 대응하여 맞물림 관계에 있는 제 2 요철부(48)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42a, 42b)과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홀(36)에는, 이들을 사이에 두고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44a, 44b)와 고정너트(46a, 46b)가 체결되고, 이들 고정볼트(44a, 44b)와 고정너트(46a, 46b)의 체결에 따른 압력 조건에 의해 가이드(34)를 기반으로 한 가동 측벽(4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거나 위치가 고정되는 관계가 결정된다.
즉, 고정볼트(44a, 44b)와 고정너트(46a, 46b)가 상호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 압력을 높일 경우는, 상술한 제 1 요철부(38)와 제 2 요철부(48)는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착되어 맞물리고, 이에 따라 가동 측벽(40)은 가이드(34)에 전후진 이동 없이 고정되는 관계에 있다.
반대로 고정볼트(44a, 44b)와 고정너트(46a, 46b)가 상호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에 체결 압력이 느슨해져 제 1 요철부(38)와 제 2 요철부(48) 상호 간의 구속이 해제되어 제 1 요철부(38)와 제 2 요철부(48)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틈새를 이루고, 이에 따라 가동 측벽(40)은 고정볼트(4a, 44b)를 통해 가이드홀(36)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전후진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가이드(34)의 지지를 받는 가동 측벽(40)은, 그 상측 부위가 부츠의 관절부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 측벽(40)에 대한 제 1 와이어(72)의 설치는, 도 2 내지 도 4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폐회로를 이루는 일측이 후술하는 레버(64)에 형성된 제 1 지지홀(68)에 지지되고, 제 1 지지홀(68)로부터 연장된 제 1 와이어(72)의 양측 중간 부위는 가동 측벽(40)의 하부 후방에서 측벽(16)의 후방에 형성된 제 1 유도홀(20b)에 근접 대응하는 위치로 관통 형성된 제 2 유도홀(50a, 50b)을 관통하고, 이어서 제 1 유도홀(20a, 20b)을 관통하여 경유한다.
이렇게 제 1 유도홀(20a, 20b) 중 전방에 위치한 제 1 유도홀(20a)을 통해 이어지는 제 1 와이어(72)의 타측 부위는 후술하는 발등덮개(78)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 4 유도홀(80)을 통해 제 1 와이어(72) 양측이 일체로 연결되는 배치 구성을 이룬다.
한편, 가동 측벽(40)에는제 2 와이어(74)의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제 2 와이어(74)의 설치는, 도 2 내지 도 4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폐회로를 이루는 일측이 후술하는 레버(64)에 형성된 제 1 지지홀(68)에 지지되고, 제 1 지지홀(68)로부터 연장된 제 2 와이어(74)의 양측 중간 부위는 가동 측벽(40)의 하부 후방에서 가동 측벽(40)의 상측으로 관통 형성된 제 3 유도홀(52a, 52b)을 관통하여 경유한다.
이후, 제 2 와이어(74)의 타측 부위는, 상술한 발등덮개(78) 후단부에 형성된 제 5 유도홀(82)을 통해 양측의 제 2 와이어(74)가 일체로 연결되는 배치 구성을 이룬다.
여기서, 상술한 제 2 와이어(74)의 배치 위치는, 상술한 가동 측벽(40)의 높이 관계와 더불어 전방에 위치한 제 3 유도홀(52a)의 형성 위치가 부츠의 관절부 이상의 높이에 있다.
상술한 가동 측벽(40)의 내부에는 제 1 와이어(72)와 제 2 와이어(74)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리브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54)가 마련된다.
더불어, 상술한 레버(64)에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지지홀(70)이 형성되고, 이 제 2 지지홀(70)에는 길이를 갖는 제 3 와이어(90)의 중심 부위가 지지된다.
그리고, 제 2 지지홀(70)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와이어(90)의 단부는, 가동 측벽(40)의 상단 후방 부위를 관통하여 상술한 고정볼트(44a, 44b) 중 상측에 위치한 고정볼트(44a)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3 와이어(90)는 레버(64)가 마운트(58)를 지지기반으로 하는 힌지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이백(56)의 후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술한 레버(64)의 제 2 지지홀(70)에서 가동 측벽(40)의 상단 후방으로 이어져 인장력이 작용하는 제 3 와이어(90)의 가설 위치가, 하이백(56) 후방의 마운트(58)에 대한 레버(64)의 힌지 연결부위보다 더 앞에 배치되게 하여 제 1, 2 와이어(72, 74)와 더불어 레버(64)의 자동 풀림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3 와이어(90)에 의한 레버(64)의 자동 풀림 방지 기능은, 부츠의 사이즈 변화에 대응하는 가동 측벽(40)과 함께 이동하게 됨에 따라 레버(64)의 힌지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력 즉, 레버(64)의 각 와이어에 대한 인장력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젖혀질 때 그 회전 반경의 상사점 위치를 거치기까지 제 3 와이어(90)에 의한 인장력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장력 확보 관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이백의 젖혀짐 정도로 부츠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과는 그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관계에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가동 측벽(40)에는, 일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측벽(40)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볼트(44b)를 힌지축으로 하여 힌지 연결되고, 이로부터 타단부는 상술한 고정볼트(44b)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세워진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로 선회하는 하이백(56)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이백(56)의 하측으로 연장된 부위에는 관통홀(42a, 42b) 중 제일 하측에 위치한 곳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4b)와 힌지 연결을 위한 제 2 힌지홀(62)이 형성된다.
즉, 가동 측벽(40)의 제일 하측에 위치한 고정볼트(44b)와 이에 대응 체결되는 고정너트(46) 사이에는 상술한 외측에서부터 가동 측벽(40)의 관통홀(42a, 42b)과 가이드홀(36) 및 제 2 힌지홀(62)이 일렬 배치되어 이들 고정볼트(44b)와 고정너트(46)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관계를 이룬다.
또한, 하이백(560의 후방 중심 부위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부위가 후방으로 더 돌출한 형상의 마운트(58)가 형성되고, 마운트(58)에는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힌지홀(60)이 형성되며, 이들 제 1 힌지홀(60)을 통해 일정 형상과 길이를 갖는 레버(64)가 힌지 연결된다.
더불어, 레버(64)에는, 제 1 힌지홀(60)에 대응하는 제 3 힌지홀(66)이 형성되어 이들 제 1 힌지홀(60)과 제 3 힌지홀(66)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상의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또한, 레버(64)의 중간 부위에는 제 1 와이어(72)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홀(68)이 레버(6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제 1 지지홀(68)에는 종래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와이어(72)의 미세한 길이 변위에 조절하기 위한 통상의 길이 변위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64)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6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와이어(72)와 제 2 와이어(74)의 일측을 함께 지지하는 것이며, 이 제 1 지지홀(68)에는 제 1, 2 와이어(72, 74)가 상호 간섭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베이스(12)와 측벽(16)의 상부에는, 제 1, 2 와이어(72, 74)에 의해 벌어짐이 제한되게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78)가 구비된다.
이러한 발등덮개(78)의 형상은, 그 중심 부위가 부츠의 관절 부위에 대응하며, 이를 사이에 둔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그 폭이 좁은 목부(N)를 이루고, 발등덮개(78)의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는 폭 방향 양측 부위가 각각 대응하는 부츠의 발등 부위와 발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발등덮개(78)의 목부(N)는 도 4a에서 화살표 'P' 방향으로 부츠의 발목 부위 상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작용에 대응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굽어져 부츠의 발등 상부를 누트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굽어지게 되며, 이러한 작용은 발등덮개(78)의 후단 부위의 만곡된 정도와 더불어 폭이 좁은 목부(N)를 상술한 'F' 방향으로 굽어지게 평탄하면서 하측 방향으로 굽은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밖에도 발등덮개(78)의 목부(N)가 굽어지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그러한 굴곡 변형이 가능하도록 두께 조절 내지 형상 변경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 1 유도홀(20a)에서 제 4 유도홀(80) 사이로 이어지는 제 1 와이어(72)의 배치 구간과 제 3 유도홀(52a)에서 제 5 유도홀(82) 사이로 이어지는 제 2 와이어(74)의 배치 구간에는 제 1 와이어(72) 또는 제 2 와이어(7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커버(76a, 76b)를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76a, 76b)의 재질은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 내지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스노보드용 바인딩 구성으로부터 발 사이즈가 큰 스노보더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은, 먼저 작업자는 측벽(16) 하부에 관통 설치된 조정볼트(24)를 조작하여 슬라이더(26)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경로(18) 상에 위치한 제 1 와이어(72)의 긴장 상태를 이완 즉, 해당 구간에서 굴곡된 제 1 와이어(72)의 형상을 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1 와이어(72)는, 측벽(16) 외측으로 그 길이가 연장 확보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술한 고정볼트(44a, 44b)와 고정너트(46)가 상호 일정 간격으로 풀리도록 하여 가동 측벽(40)을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이때 발등덮개(78)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와이어(74)의 제한된 길이에 따라 대체적으로 후방으로 일정 각도 범위로 후퇴할 뿐 아니라 부츠의 발등 형상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 배치되는 관계를 이룬다.
이러한 형상 변화와 배치의 변화를 통해 발 사이즈가 큰 스노보더에 대하여도 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발 사이즈가 작은 스노보더에 대하여는 반대의 작동 관계로 진행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발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10: 바인딩 12: 베이스
14: 고정홀 16: 측벽
18: 경로 20a, 20b: 제 1 유도홀
22: 조정홀 24: 조정볼트
26: 슬라이더 28: 조정너트
30: 안내홈 32: 마감판
34: 가이드 36: 가이드홀
38: 제 1 요철부 40: 가동 측벽
42a, 42b: 관통홀 44a, 44b: 고정볼트
46: 고정너트 48: 제 2 요철부
50a, 50b: 제 2 유도홀 52a, 52b: 제 3 유도홀
54: 지지대 56: 하이백
58: 마운트 60: 제 1 힌지홀
62: 제 2 힌지홀 64: 레버
66: 제 3 힌지홀 68: 제 1 지지홀
70: 제 2 지지홀 72: 제 1 와이어
74: 제 2 와이어 76a, 76b: 커버
78: 발등덮개 80: 제 4 유도홀
82: 제 5 유도홀 90: 제 3 와이어

Claims (9)

  1. 베이스의 양측 측벽에서 그 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동 측벽과;
    상기 가동측벽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직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로 선회하는 하이백과;
    상기 베이스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발등덮개와;
    상기 하이백 후면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레버와;
    폐회로를 이루며, 일측은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에 지지되고, 중간 부위는 양측의 상기 가동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측벽을 각각 경유하고, 타측은 상기 발등덮개의 선단 부위에서 지지되는 제 1 와이어와;
    폐회로를 이루며, 일측은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에 지지되고, 중간 부위는 양측의 상기 가동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발등덮개의 후단 부위에서 지지되는 제 2 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 측벽에 설치되며, 경유하는 상기 제 1 와이어를 굴곡 변형시켜 상기 가동 측벽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상기 제 1 와이어의 변위를 조절토록 하는 변위 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가이드홀들이 상호 간격을 둔 상하 배치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측벽에는 상기 가이드홀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하부에 상하 배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 중 상측에 형성된 것은 하측에 형성된 것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호 대응하는 상기 각 관통홀과 가이드홀을 사이에 두고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체결 정도에 따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전후진 가능하거나 위치 고정되며,
    상기 하이백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제일 하측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를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힌지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 주연에는 제 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측벽 내측의 상기 관통홀 주연에는 상기 제 1 요철부에 대응하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2 요철부는, 상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상호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호 압착되어 맞물려 상기 가이드에 대한 상기 가동 측벽의 전후진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상호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호 간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가이드에 대한 상기 가동 측벽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의 지지를 받아 연장된 양측 부위가 대응하는 상기 가동 측벽의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제 2 유도홀을 경유하고, 계속하여 측벽의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제 1 유도홀을 경유하며, 이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전단 부위에 형성된 제 4 유도홀을 통해 상호 연결된 배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부는 상기 제 1 유도홀과 연통하는 상기 베이스 측벽 내부에형성된 상기 제 1 와이어의 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높이 방향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확장 구간의 중심 부위에는 하측으로부터 관통하는 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홀에는 조정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확장 구간 내에는 대응 위치하는 상기 제 1 와이어의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조정볼트가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조정너트가 형성된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변위 조절부를 통한 상기 제 1 와이어의 변위 조절은, 상기 조정볼트의 이미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확장 구간 양측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 1 와이어가 더 굽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유도홀 내의 상기 제 1 와이어의 길이 변위를 늘리고, 상기 조정볼트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확장 구간 양측의 지지를 받는 상기 제 1 와이어 부위가 더 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유도홀 내의 상기 제 1 와이의 길이 변위를 줄이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는 상기 가동 측벽은 상측 부위가 부츠의 관절부 이상의 높이를 이루고,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제 1 지지홀의 지지를 받아 연장된 양측 부위가 대응하는 상기 가동 측벽의 후방에서 상단 부위로 관통하는 제 3 유도홀을 경유하고, 이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후단 부위에 형성된 제 5 유도홀을 통해 상호 연결된 배치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의 중심 부위는 부츠의 관절 부위에 대응하며, 그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목부를 이루고,
    상기 발등덮개의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는 양측 부위가 각각 대응하는 부츠의 발등 부위와 발목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발등덮개의 목부는 부츠의 발목 부위 상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작용에 대응하여 부츠의 발등 상부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8.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도홀에서 상기 제 4 유도홀 사이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와이어의 배치 구간 또는 상기 제 3 유도홀에서 제 5 유도홀 사이로 이어지는 상기 제 2 와이어의 배치 구간에는 상기 제 1 와이어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커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중간 부위에는 제 2 지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홀에는 길이를 갖는 제 3 와이어의 중간 부위가 지지되게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와이어의 양측 타단 부위는 상기 가동 측벽의 상단 후방 부위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 3 와이어는 상기 레버가 힌지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하이백의 후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보드용 바인딩.
KR1020130115229A 2013-09-27 2013-09-27 스노보드용 바인딩 KR10143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229A KR101438173B1 (ko) 2013-09-27 2013-09-27 스노보드용 바인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229A KR101438173B1 (ko) 2013-09-27 2013-09-27 스노보드용 바인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173B1 true KR101438173B1 (ko) 2014-09-11

Family

ID=5175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229A KR101438173B1 (ko) 2013-09-27 2013-09-27 스노보드용 바인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1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404A (ko) * 2005-11-30 2008-12-1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조절가능한 힐-컵 프레임을 구비한 바인딩
KR2010007356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 바인딩
KR20120119583A (ko) * 2011-04-22 2012-10-31 정성록 스노우보드 바인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404A (ko) * 2005-11-30 2008-12-1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조절가능한 힐-컵 프레임을 구비한 바인딩
KR20100073560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 바인딩
KR20120119583A (ko) * 2011-04-22 2012-10-31 정성록 스노우보드 바인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174B1 (ko)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JP4543030B2 (ja) スノーボードに靴を取り付けるための締め具
US9589546B2 (en) Drum pedal with adjustment features
US5975557A (en) Calf support on snowboard binding or snowboard boot
US6523851B1 (en) Binding mechanism for a touring snowboard
US20110042911A1 (en) Cart with flexible cable carrier
CN101868375A (zh) 用于行李架的通用支腿
US8132818B2 (en) Binding components for a gliding board
US8167321B2 (en) Binding components for a gliding board
JP2004243122A (ja) スノーボード・バインディング
JP2004516118A (ja) スノーボードビンディング
CN101061287B (zh) 调节驱动装置
KR101438173B1 (ko) 스노보드용 바인딩
JPH04212389A (ja) スキー板にスキー靴を取り付ける装置
US6347436B1 (en) Dual-action buckle
US7493963B2 (en) Adjustable horse-boot buckle
JPH0472523B2 (ko)
CN105691545B (zh) 自行车前拨链器和自行车车架
EP3290273B1 (en) Roof rack
JP3056531U (ja) 靴の緊締装置
JPH04212304A (ja) アルペンスキー靴
US5553400A (en) Pressure-distributing plates for a ski boot
CN102413725A (zh) 用于鞋的鞋舌头和锁紧系统
JP4474616B2 (ja) スノーボードビンディング
JP2589057B2 (ja) 運動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