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313B1 - 약물 적하 노즐 - Google Patents

약물 적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13B1
KR101237313B1 KR1020050091325A KR20050091325A KR101237313B1 KR 101237313 B1 KR101237313 B1 KR 101237313B1 KR 1020050091325 A KR1020050091325 A KR 1020050091325A KR 20050091325 A KR20050091325 A KR 20050091325A KR 101237313 B1 KR101237313 B1 KR 10123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nozzle
discharge amount
outer she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377A (ko
Inventor
이창현
김태서
김현욱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313B1/ko
Priority to US11/434,878 priority patent/US20070073231A1/en
Priority to JP2008533226A priority patent/JP2009509625A/ja
Priority to PCT/KR2006/001849 priority patent/WO2007037584A2/en
Priority to CN2006800362044A priority patent/CN101495079B/zh
Priority to EP06768513A priority patent/EP1928394A4/en
Publication of KR2007003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챔버에 결합되어 소정량의 약물 액적을 적하시키는 약물 적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관 또는 중공된 원뿔대 형상의 외각부와, 외각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각부와의 사이에서 약물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외각부와 안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약물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홀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약물 챔버로부터 토출되는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를 낮추고 약물 토출량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약물 액적 토출 후 잔류하는 약물이 약물 챔버 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약물 적하 노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은 정확한 약물 토출량이 요구되는 점안액의 약물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됨으로써 정확한 점안액 량을 안구에 투여할 수 있도록 하여 약물의 오남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노즐, 액적 적하, 점안액, 프로스타마이드

Description

약물 적하 노즐{DRIPPING NOZZLE OF MEDICINAL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이 있는 약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이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약물 용기 10: 약물 노즐
11: 외각부 12: 안내부
13: 연결부 13h: 홀
20: 약물 챔버 30: 약물 용기 뚜껑
d: 홀의 직경 L: 약물 액적
2: 약물 용기 100: 약물 노즐
110: 외각부 120: 안내부
130: 연결부 130h: 홀
200: 약물 챔버 300: 약물 용기 뚜껑
본 발명은 소정량의 약물 액적을 적하시키는 약물 적하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약물 토출량을 일정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약물 적하 노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질병이나 상처의 치료나 예방을 위하여 점안액이나 식염수 등을 안구나 상처부위 등에 액적으로 떨어뜨릴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이 있어, 손으로 약물 챔버를 미소한 압력으로 눌러주면 약물 챔버내의 약물이 노즐을 통하여 액적의 형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약물 용기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약물 용기는 수요자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액적 토출을 위한 약물 용기의 노즐은 중공된 원뿔형 노즐이나 중공된 원기둥형 노즐로서, 중공된 부분을 통하여 약물이 유도되어 노즐의 끝단에서 액적의 형태로 토출된다.
일반적인 노즐은 액적 토출시 약물 챔버에 손으로 가하는 압력의 세기 및 압력을 가하는 시간 또는 노즐의 기울기 등에 의하여 액적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며 약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액정당 24 ~ 28 ㎎ 정도가 토출된다.
약물 토출량이 일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노즐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정확한 약물 토출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노즐을 사용할 경우 약물의 오남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녹내장의 치료에 사용되는 프로스타마이드(Prostamide) 성분의 점안제는 그 치료용량이 하루 한 방울로써 그 양은 31㎎ 으로 극히 제한되며, 이를 어기고 안구에 과량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안구의 착색조직에 변화를 일으켜 홍채 등에 색소를 침착시키거나, 눈의 색깔을 변화시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부작용은 매우 서서히 나타나므로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자각하지 못할 수도 있어, 이러한 약물의 투여에 종래의 일반적인 노즐이 결합된 약물 용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즐에 약물이 토출되는 홀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에는 약물 액적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공기방울이 형성되기 쉽고, 약물 액적의 형성 및 토출 후에 잔류 약물이 약물 챔버 내로 재유입되는 것이 어려워 약물의 낭비 또는 변질이 문제된다.
특히, 약물 액적의 크기를 늘려 약물 토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 홀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약물 토출량의 편차가 커져 일정한 토출량을 기대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약물 용기가 기울어지면 홀을 통하여 자 연적으로 약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약물 챔버로부터 홀을 통해 토출되는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를 낮추고 토출 범위를 줄임과 동시에 약물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약물 액적 토출 후 잔류하는 약물이 약물 챔버 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약물 적하 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물 적하 노즐은, 원통관 또는 중공된 원뿔대 형상의 외각부와 상기 외각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각부와의 사이에서 약물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각부와 상기 안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약물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홀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10)이 있는 약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 면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10)의 사용상태도이다.
약물 적하 노즐(10)이 있는 약물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적하 노즐(10)과, 약물 챔버(20)와, 약물 적하 노즐(10)에 씌워지는 약물 용기 뚜껑(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챔버(20)에 보관된 약물이 토출되는 유로의 외주를 형성하는 원통관 형상이 외각부(11)와, 외각부(11) 내부에 위치하고 외각부(11)와의 사이 공간이 약물의 유로가 되도록 약물을 안내하는 안내부(12)와, 외각부(11)와 안내부(12)를 연결함과 동시에 도 1의 약물 챔버(20) 내의 약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된 약물 챔버(20)와 연통되는 홀(13h)이 형성되는 연결부(13)를 포함한다.
약물 챔버(20)를 손(미도시) 등으로 압력을 가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3h)을 통하여 토출된 약물이 외각부(11)와 안내부(12)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노즐(10) 끝단으로 안내되고,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0) 끝단에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안내부(12) 끝단과 외각부(11) 끝단에 의하여 지지되며 액적이 형성된 후, 안내부(12) 끝단 및 외각부(11) 끝단에서 이탈되어 소정 부위에 적하된다.
여기서, 안내부(1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상, 원기둥형상, 또는 예각으로 꺾이는 부분을 갖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약물이 토출되는 홀(13h)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홀(13h)들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홀(13h)의 직경은 0.15 mm 초과 0.25 mm 미만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홀(13h)의 직경이 커질수록 약물 토출량이 증가하나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가 커지며, 반대로 홀(13h)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는 작아지나 토출량이 감소하게된다.
따라서, 홀(13h)의 약물 토출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토출량의 표준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홀(13h)의 개수가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 1 내지 6 및 비교실험예 1 내지 3은 다음과 같다.
대기압(1기압), 상온(25℃)에서 프로스타마이드(Prostamide) 성분의 점안제를 하나의 액적으로 31 ㎎ 토출되는 것을 목적으로, 1개의 홀이 형성된 노즐로부터 하나의 액적을 토출하는 실험(실험예 1)과 2개의 홀(13h)이 형성된 노즐(10)로부터 홀(13h)의 직경을 변경하며 하나의 액적을 토출하는 실험(실험예 2 내지 실험예 4)한 결과는 다음 표(표 1)와 같다.
Figure 112005055193709-pat00001
이 실험을 의하면, 약물 토출량을 늘이기 위해서 홀(13h)의 크기를 늘인 경우와 홀(13h)의 개수를 늘인 경우를 비교해보면, 홀(13h)의 크기를 늘인 경우(실험예 1)에는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가 커졌으며, 따라서 목적하는 토출량(31 ㎎)에 가까우면서 일정한 약물 토출량을 얻기 위해서는 홀(13h)의 개수를 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예 2 내지 4에서, 홀(13h)의 직경이 0.1 mm 인 경우에는 약물이 홀(13h)을 통해 토출되는 시간이 길어 사용자가 약물 챔버(20)를 오랜 시간동안 누르고 있어야 하며, 홀(13h)의 직경이 0.3 mm 인 경우에는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가 클 뿐만 아니라 약물 용기(20)가 기울어지면 자연적으로 약물이 흘러나오게 되었다.
더욱이, 실험예 2와 실험예 4를 실험예 3과 비교할 때, 실험예 3의 경우에 약물 토출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현격히 줄어들었다.
대기압(1기압), 상온(25℃)에서 프로스타마이드(Prostamide) 성분의 점안제를 하나의 액적으로 31 ㎎ 토출되는 것을 목적으로, 2개의 홀(13h)이 형성된 노즐(10)로부터 홀(13h)의 직경을 변경하며 하나의 액적을 토출하는 실험(실험예 5 및 실험예 6)한 결과는 다음 표(표 2)와 같다. 실험예 3과의 비교를 위하여 표 2에 실험예 3과 같이 표시하였다.
Figure 112005055193709-pat00002
이 실험에 의할 때, 홀(13h)의 직경이 0.15 mm 인 경우와 0.25 mm 인 경우에도 약물 토출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작게 측정됨으로써 홀(13h)의 직경이 0.2 mm 인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전후의 일정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기압(1기압), 상온(25℃)에서 프로스타마이드(Prostamide) 성분의 점안제를 종래의 노즐로부터 하나의 액적을 토출하는 비교실험을 약물 용기의 기울기를 달리하며 실험한 결과는 다음 표(표 3)와 같다.
Figure 112005055193709-pat00003
이 비교실험을 통하여, 홀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는, 약물 용기의 기울기에 따라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 및 약물 토출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크고 , 일정한 기울기 하에서도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 및 약물 토출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기압(1기압), 상온(25℃)에서 프로스타마이드(Prostamide) 성분의 점안제를 종래의 노즐과 0.2 mm 의 직경을 갖는 2개의 홀(13h)이 형성된 노즐(10)을 이용하여 액적을 토출하는 실험(실험예 5)을 하되, 약물 용기(1)를 수평으로부터 0도, 23도, 45도, 68도, 및 90도 되도록 각각 기울인 상태에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 표(표 4)와 같다.
Figure 112005055193709-pat00004
(각 수평각도마다의 토출회수 = 20회)
이 실험에 의하면, 종래의 노즐은 약물이 홀(13h)로부터 토출될 때 약물 용기(1)의 기울기에 따라 약물 토출량 및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가 크게 변하지만, 0.2 mm 의 직경을 갖는 2개의 홀(13h)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즐(10)은 약물 용기(1)의 기울기에 따라 약물 토출량 및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가 종래의 노즐에 비하여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노즐보다 0.2 mm 의 직경을 갖는 2개의 홀(13h)이 형성된 노즐(10)이 약물 용기(1)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험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적하 노즐은 목적하는 약물 토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약물이 토출되는 홀(13h)이 2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고, 홀(13h)의 직경이 0.1 mm 초과 0.3 mm 미만으로 되도록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홀(13h)의 직경이 0.15 mm 초과 0.25 mm 미만으로 되도록 한다.
물론, 약물 토출량을 늘이는 것은 홀(13h)의 개수를 늘임으로써 실현된다.
특히, 고가의 강력한 녹내장 치료제인 프로스타마이드(Prostamide) 성분의 점안제는 하루 한번의 31 ㎎의 점안이 요구되므로, 실험예 1 내지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물이 토출되는 홀(13h)은 2개 형성되고 홀(13h)의 직경은 0.2 mm 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홀(13h)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약물 토출 과정 중에 하나의 홀에서 토출되는 약물이 퍼져야 하는 면적이 줄어들므로 홀이 하나만 형성되는 것보다 약물 토출 과정 중에 공기방울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홀(13h)을 2개 형성하는 경우에 약물 토출 과정 중에 공기방울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2개의 홀(13h)이 멀리 이격되어, 하나의 홀(13h)로부터 토출되어 약물이 퍼지는 영역이 상기 홀(13h)로부터 가까운 것이 좋으므로, 2개의 홀(13h)은 안내부(1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13)는 외각부(11)의 내측과 안내부(12)의 외측이 계곡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홀(13h)은 연결부(13)의 기저면에 형성된다.
홀(13h)이 연결부(13)의 기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약물 액적 토출 후 연결부(13) 상에 남아있는 약물이 다시 약물 챔버(20)내로 재유입되어 수용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2)의 끝단은 액적과 안내부(12) 끝단의 표면장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액적이 안내부(12) 끝단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이상에서는 액적 적하 노즐(10)의 외각부(11)가 원통관으로 형성된 경우의 도면을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액적 적하 노즐(100)의 외각부(110)는 중공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외각부(110)가 중공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약물 적하 노즐이 있는 약물 용기(2)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면 단면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적 적하 노즐(100)은 중공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외각부(110)와 외각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각부(110)와의 사이에서 약물을 안내하는 안내부(120)를 포함하고, 외각부(110)와 안내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에는 약물 용기(2) 내부와 연통되는 홀(130h)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적 적하 노즐(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약물 챔버(20)를 손(미도시) 으로 눌러 압력을 가하면, 홀(13h)을 통하여 토출된 약물이 외각부(11)와 안내부(1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노즐(10) 끝단으로 안내되며,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0) 끝단에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안내부(12) 끝단과 외각부(11) 끝단에 의하여 지지되며 액적(L)이 형성된 후, 안내부(12) 끝단 및 외각부(11) 끝단에서 이탈되어 소정 부위에 적하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액적(L) 적하 후 약물 챔버(20)에 가하고 있던 압력을 줄이면, 외부공기가 홀(13h)을 통해 약물 챔버(20) 내로 유입되면서 연결부(13) 상에 남아있던 약물이 외부공기와 같이 약물 챔버(20) 내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적 적하 노즐은 약물 챔버로부터 토출되는 약물 토출량의 표준편차를 낮추고 약물 토출량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약물 액적 토출 후 잔류하는 약물이 약물 챔버 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약물 적하 노즐을 제공한다.
특히, 정확한 약물 토출량이 요구되는 점안액의 약물 용기와 결합되어 사용됨으로써 정확한 점안액 량을 안구에 투여할 수 있도록 하여 약물의 오남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약물 챔버에 결합되어 소정량의 약물 액적을 적하시키는 약물 적하 노즐에 있어서, 원통관 또는 중공 원뿔대 형상의 외각부와, 상기 외각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각부와의 사이에서 약물을 안내하도록 원통형상 또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끝단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외각부와 상기 안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각부의 내측과 상기 안내부의 외측이 계곡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약물 챔버와 연통되는 0.15 mm 초과 0.25 mm 미만인 직경의 홀이 적어도 2개 이상 상기 연결부의 기저부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약물 챔버를 가압하면, 상기 홀을 통해 토출된 약물이 상기 안내부와 외각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노즐의 끝단으로 안내되어 표면장력에 의해 지지되어 액적이 형성된 후, 적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적하 노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점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적하 노즐.
  7. 삭제
KR1020050091325A 2005-09-29 2005-09-29 약물 적하 노즐 KR10123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325A KR101237313B1 (ko) 2005-09-29 2005-09-29 약물 적하 노즐
US11/434,878 US20070073231A1 (en) 2005-09-29 2006-05-17 Medicinal solution dripping nozzle
JP2008533226A JP2009509625A (ja) 2005-09-29 2006-05-18 薬物滴下ノズル
PCT/KR2006/001849 WO2007037584A2 (en) 2005-09-29 2006-05-18 Medicinal solution dripping nozzle
CN2006800362044A CN101495079B (zh) 2005-09-29 2006-05-18 药物溶液滴管
EP06768513A EP1928394A4 (en) 2005-09-29 2006-05-18 MEDICAL SOLUTION DRIP NO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325A KR101237313B1 (ko) 2005-09-29 2005-09-29 약물 적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77A KR20070036377A (ko) 2007-04-03
KR101237313B1 true KR101237313B1 (ko) 2013-02-28

Family

ID=3789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325A KR101237313B1 (ko) 2005-09-29 2005-09-29 약물 적하 노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73231A1 (ko)
EP (1) EP1928394A4 (ko)
JP (1) JP2009509625A (ko)
KR (1) KR101237313B1 (ko)
CN (1) CN101495079B (ko)
WO (1) WO20070375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2742B2 (en) 2012-10-02 2017-05-09 Harold D. Mansfield Eye drop applicator and drop transfer method
US9737252B2 (en) * 2013-12-20 2017-08-22 B. Braun Melsungen Ag Vascular access blood collec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6255293B2 (ja) * 2014-03-31 2017-1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部材
US11203467B2 (en) * 2018-01-24 2021-12-21 Nanodropper, Inc. Assembly and method for delivery of micro-volume droplets from a squeeze bottle
KR102279627B1 (ko) * 2021-03-02 2021-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USD1007680S1 (en) * 2023-03-17 2023-12-12 John Z. Blazevich Eye drop dispen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322A (ja) * 1994-04-12 1995-10-24 Rohto Pharmaceut Co Ltd 目薬容器等の注ぎ口構造
JPH11128313A (ja) * 1997-10-30 1999-05-18 Shinko Chemical Co Ltd 点眼容器の中栓
KR20050030853A (ko) * 2003-09-26 2005-03-31 신코 가가쿠 가부시키 가이샤 점안약 용기의 적하노즐
KR20050048622A (ko) * 1999-08-17 2005-05-24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개구 점안 용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2567A (en) * 1937-04-19 1940-08-27 Kirmes Erich Drop dispensing bottle
US3934585A (en) * 1970-08-13 1976-01-27 Maurice David M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eye drops
DE2447553C3 (de) * 1974-10-02 1978-09-14 Miron 1000 Berlin Padowicz Tropfflasche
EP0362911A1 (en) * 1988-09-01 1990-04-11 Merck & Co. Inc. Bottle for controllably dispensing a liquid by drops
US5246145A (en) * 1990-05-03 1993-09-21 Nalge Company Liquid dropper spout having lockable pivoted closure cap
US5373964A (en) * 1993-06-23 1994-12-20 Moore; Sidney D. Eyedrop dispenser with focusing liquid lens
DK93495A (da) * 1995-08-22 1997-02-23 Gea Farmaceutisk Fabrik As Drypstykke til dannelse af små dråber
US6098852A (en) * 1999-01-27 2000-08-08 Automatic Liquid Packaging, Inc. Tip for liquid drop dispensing container
CA2415209C (en) * 2002-12-27 2008-12-09 Seastar Chemicals Inc. Dropper cap
CN2609546Y (zh) * 2003-02-18 2004-04-07 凌沛学 一种新型滴眼剂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322A (ja) * 1994-04-12 1995-10-24 Rohto Pharmaceut Co Ltd 目薬容器等の注ぎ口構造
JPH11128313A (ja) * 1997-10-30 1999-05-18 Shinko Chemical Co Ltd 点眼容器の中栓
KR20050048622A (ko) * 1999-08-17 2005-05-24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개구 점안 용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50030853A (ko) * 2003-09-26 2005-03-31 신코 가가쿠 가부시키 가이샤 점안약 용기의 적하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8394A4 (en) 2010-03-17
US20070073231A1 (en) 2007-03-29
CN101495079A (zh) 2009-07-29
KR20070036377A (ko) 2007-04-03
WO2007037584A3 (en) 2008-08-07
JP2009509625A (ja) 2009-03-12
WO2007037584A2 (en) 2007-04-05
EP1928394A2 (en) 2008-06-11
CN101495079B (zh)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13B1 (ko) 약물 적하 노즐
WO2017131197A1 (ja)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US5578021A (en) Eye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JP5830036B2 (ja) 液体分配用滴下ヘッド及び液体分配用滴下ボトル
JP6779281B2 (ja) 製品を吹き付けるためのデバイス
JP6170251B2 (ja) 液状内容物を滴状に吐出する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CN103179910B (zh) 具有压缩气体辅助装置的医用喷头
EP0732111A2 (en) Micronized douche device for cleansing nasal and neighboring cavities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JP4796307B2 (ja) 滴下用のノズル孔構造、このノズル孔構造を有する滴下ノズル
EP3210671A1 (en) Spray orifice structure
US6695821B1 (en) Surgical infusion tool with flow diffuser
US20170297042A1 (en) Spray nozzle, in particular for a system for dispensing a pressurized fluid provided with a pushbutton, and dispensing system comprising such a nozzle
US20020134863A1 (en) Dispenser head and fluid product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same
JP2004529827A (ja) 滴状の液体を吐出するためのドロッパキャップ並びにドロッパキャップを有するコンテナ
KR20150143565A (ko)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 점안기 및 눈의 표면 상에 액체를 투여하기 위한 방법
CN109789051B (zh) 分配器
CA2139040A1 (en) Foamer nozzle with looped rib flow disrupters
US3711031A (en) Valve button
US20060249598A1 (en) Spray head for liquid product
CN109310832B (zh) 喷雾散布器
WO2015030249A1 (ja) 液体容器及び該液体容器に用いられる液体吐出部材
US20240148550A1 (en) Tip valve for eye drop dispenser
KR200489165Y1 (ko) 약제 분사 장치
DE102022102476B3 (de) Tropfenspender zur Abgabe einer pharmazeutischen Flüssigke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