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641B1 -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 Google Patents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641B1
KR101235641B1 KR1020120112780A KR20120112780A KR101235641B1 KR 101235641 B1 KR101235641 B1 KR 101235641B1 KR 1020120112780 A KR1020120112780 A KR 1020120112780A KR 20120112780 A KR20120112780 A KR 20120112780A KR 101235641 B1 KR101235641 B1 KR 10123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binder
dispersant
grou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선
우승윤
임도순
Original Assignee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우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1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6Calcium compounds, e.g. l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8Aluminium compounds, e.g. alumin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재, 충진재, 팽창재, 방청제, CNT(Carbon Nano Tube), 분산제, 소포제 및 모래로 구성된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로서,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3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팽창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방청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3~3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CNT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5~1.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분산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1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소포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0.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결합재 대비 20~120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Anti-corrosive and shrinkage compensating grout}
본 발명은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결합재, 충진재, 팽창재, 방청제, CNT(Carbon Nano Tube), 분산제, 소포제 및 모래로 구성되어 그라우팅 시에 철근재료의 녹발생을 방지해주는 한편, 수축과 블리딩을 감소시켜 작업성도 증대시켜주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에 관해 개시한다.
그라우팅(grouting)은 토목공사에서 누수방지나 토질 안정 등을 위하여 지반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空洞) 등에 주입재를 주입하는 것을 말하며, 그라우팅에 사용되는 주입재를 그라우트재라고 한다. 그라우트재로는 일반적으로 시멘트 풀, 시멘트 모르타르, 플라이 애시, 아스팔트, 약액 등이 사용되는데, 그라우트재는 자중이나 펌프를 이용해 주입되어 지반의 공극을 메워줌으로써 토목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시켜 준다.
그라우트재는 토목구조물 내의 강재들의 기초충진과 고정에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무수축성이나 방청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교한 그라우팅을 위해서는 그라우트재가 미세 주입관을 통해 주입될 수 있는 정도의 점도와 흐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축성 그라우트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특1993-000934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1976호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들이 개시하고 있는 그라우트재는 그라우트재 자체의 고강도화를 위한 것으로서 강재의 부식방지 성능까지는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그라우트재의 점성을 극복하고 미세 주입관을 통한 주입이 수월할 정도의 작업성이 확보되면서도 압축강도면에서도 우수한 그라우트재는 선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방청성과 더불어 무수축성을 가지고 있어 철근재료의 부식을 방지해주는 한편, 블리딩을 최소화 시켜주어 1회의 주입만으로도 그라우팅 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게 해줄 정도로 작업성도 뛰어난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흐름성을 가지고 있어 미세주입관을 통한 주입작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재, 충진재, 팽창재, 방청제, CNT(Carbon Nano Tube), 분산제, 소포제 및 모래로 구성된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로서,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3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팽창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방청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3~3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CNT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5~1.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분산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1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소포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0.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결합재 대비 20~120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재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마이크로 시멘트 및 알루미나 시멘트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재는 플라이애시, 실리카흄, 탄산칼슘 및 석회미분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재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및 석고 알루미늄파우더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청제는 아질산나트륨 및 아질산칼슘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NT는 시멘트 혼용성을 가지는 분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리그닌계 분산제, 멜라민계 분산제, 나프탈렌계 분산제 및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지방산계 분말 소포제 및 실리콘계 분말 소포제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는 최대 입경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청성과 무수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흐름성이 우수한 그라우트재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그라우팅 시 강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1회의 주입만으로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게 되며, 미세주입관을 통한 주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는 결합재, 충진재, 팽창재, 방청제, CNT(Carbon Nano Tube), 분산제, 소포제 및 모래로 구성되되,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3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팽창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방청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3~3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CNT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5~1.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분산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1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소포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0.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결합재 대비 20~100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재는 그라우트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라우트재의 강도를 발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재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마이크로 시멘트 및 알루미나 시멘트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혼합수의 사용을 감소시켜 주고 공극을 채워주어 강도를 개선해주는 한편 작업성도 잃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진재는 플라이애시, 실리카흄, 탄산칼슘 및 석회미분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시와 상기 실리카흄은 SiO2, Al2O3, Fe2O₃등의 성분을 주로 제공하며, 상기 탄산칼슘과 상기 석회미분은 CaCO3, CaO, Ca(OH)2 등의 성분을 제공하여 Ca2+, AlO4 4-, SiO4 4- 이온들을 용출시키고,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CSH) 및 칼슘알루미네이트 수화물(CAH) 등을 생성하는 수화반응이 일어나게 해준다.
상기 충진재는 강도의 개선과 작업성 확보 등을 고려할 때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3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재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충진재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35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초기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팽창재는 무수축성을 발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재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석고 알루미늄파우더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와 상기 석고 알루미늄파우더는 CaO, Al2O3, CaSO4 등을 제공하고, 수화반응을 통해 에트린자이트(ettringite)를 생성하는 한편, 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SO3 2-를 공급하여 팽창성이 높은 에트린자이트가 수화물 결정크기가 작은 모노설페이트(3CaO·Al2O3·CaSO4·12H2O)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그라우트재가 수축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팽창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팽창제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수축저지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팽창제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과도한 팽창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방청제는 철근재료의 부식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경사면 보수를 위한 그라우팅에는 스틸바가 사용되는 등 일반적으로 그라우팅 후 그라우트재가 철근재료에 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라우트재에는 철근재료의 부식을 방지해주는 성질이 요구되는데 상기 방청제는 그라우트재에 이러한 방청성을 부여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체제는 아질산나트륨 및 아질산칼슘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질산나트륨이나 상기 아질산칼슘 중의 아질산이온(NO2 -)은 Fe2+과 반응하여 OH-와 염화물이온(Cl-)이 반응하는 것을 차단해준다. 더 나아가 철근재료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안정한 산화제이철(Fe2O3)이 피막이 형성되도록 해주어 부식을 방지해준다.
상기 방청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3~3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방청제의 함량이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3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식방지 효과가 미미해지고, 상기 방청제의 함량이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그라우트재의 유동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CNT는 그라우트재에 배합될 경우 그라우트재가 철근재료에 잘 접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한편, 수화열의 배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CNT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로서, 관의 지름이 수~수십㎚에 불과하며, 현존하는 물질 중 열전도도가 가장 좋은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단일벽 CNT의 경우 그 열전도도가 6,000W/mK로서 은의 15배에 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CNT는 시멘트 혼용성을 가지는 분말형태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NT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5~1.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NT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CNT가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1.5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그라우트재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그라우트재의 점성을 저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리그닌계 분산제, 멜라민계 분산제, 나프탈렌계 분산제 및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에서 입자표면에 흡착하여 입자 표면에 전하를 주고 입자간 반발력을 발산시켜 응집한 입자를 분산하여 조성물의 유동성을 증가시켜준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1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산제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점성 저하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1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재료의 분리로 인한 압축강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기포를 제거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하여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포제는 지방산계 분말 소포제 및 실리콘계 분말 소포제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0.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상기 소포제가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5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그라우트재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모래는 통상적인 골재로 사용되는 규사 등을 의미하는데, 상기 모래는 그 최대 입경이 3㎜를 넘지 않는 것이 그라우트재의 물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모래는 상기 결합재 대비 20~100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요구되는 압축강도에 따라 상기 모래의 배합비는 상기 범위 내에서 변경의 폭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들의 물성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며 살펴본다.
아래의 [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조성비가 결합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표 1]의 결합재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충진재는 실리카흄과 탄산칼슘의 1:2 혼합물, 팽창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방청제는 아질산칼슘, CNT는 시멘트 혼용성을 가지는 분말형태의 CNT, 분산제는 나프탈렌계 분산제, 소포제는 실리콘계 분말 소포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래는 최대 입경이 3㎜이하인 규사가 사용되었다.
결합재 충진재 팽창제 방청제 CNT 분산제 소포제 모래
실시예 100 25 8 1.5 1 0.8 0.4 30
비교예 1 100 3 8 1.5 1 0.8 0.4 30
비교예 2 100 40 8 1.5 1 0.8 0.4 30
비교예 3 100 25 8 5 1 0.8 0.4 30
비교예 4 100 25 8 1.5 2 0.8 0.4 30
비교예 5 100 25 8 1.5 1 1.5 0.4 30
비교예 6 100 25 8 1.5 1 0.8 0.8 30
비교예 7 100 25 1 1.5 1 0.8 0.4 30
비교예 8 100 25 15 1.5 1 0.8 0.4 30
아래의 [표 2]에는 위의 [표 1]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6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KS F 4044 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플로(㎜)
압축강도(N/㎟)
1일 3일 7일 28일
실시예 300이상 19.4 36.1 44.8 57.1
비교예 1 300이상 19.0 33.2 35.5 43.3
비교예 2 255 19.8 38.5 48.5 60.3
비교예 3 265 19.5 36.0 45.3 57.3
비교예 4 270 19.6 36.5 45.1 57.0
비교예 5 300이상 15.1 23.5 33.2 42.8
비교예 6 275 19.5 36.2 45.1 56.9
[표 2]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유동성은 우수하지만 충진재가 과소하게 함유되어 압축강도의 발현양상이 실시예에 비하여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압축강도의 발현양상은 실시예에 비하여 우수하지만 유동성이 저하되며, 비교예 3, 4 및 6의 경우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비슷한 압축강도의 발현양상을 보이지만 유동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5의 경우는 유동성은 우수하지만 압축강도의 발현은 상당히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분산제가 과도하게 함유됨으로 인하여 재료분리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아래의 [표 3]에는 위의 [표 1]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 7 및 8의 블리딩률 및 팽창높이를 KS F 4044 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블리딩률(%) 팽창높이(%)
1일 3일 7일 28일
실시예 0.0 0.00 0.00 0.01 0.01
비교예 7 3.5 -0.05 -0.12 -0.28 -0.41
비교예 8 0.0 +0.15 +0.5 과팽창파괴 과팽창파괴
위의 [표 3]을 살펴보면 실시예에 비하여 팽창제가 과소하게 함유된 비교예 7의 경우 블리딩률이 높아지고 (-)팽창 즉, 수축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비하여 팽창제가 과대하게 함유된 비교예 8의 경우는 과도한 팽창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로서 그 배합비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50wt%, 마이크로 시멘트 10wt%, 실리카흄 5wt%, 탄산칼슘 10%,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wt%, 아질산칼슘 1wt%, CNT 0.5wt%, 나프탈렌계 분산제 0.5wt%, 실리콘계 분말 소포제 0.25wt% 및 모래 17.75wt%인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이하, 'ACG')에 대하여 품질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본다.
아래의 [표 4]에는 ACG에 대하여 KS F 2561 방법에 따라 방청성을 시험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배합염분량(%) 기준(%) ACG 방청성(%) 기준대비(%)
0.2 95.0 100.0 105.3
0.4 90.0 99.0 110.0
[표 4]를 살펴보면 배합염분량이 0.2%인 경우 ACG의 방청성이 기준대비 105.5%이며, 배합염분량이 0.4%인 경우에는 ACG의 방청성이 기준대비 110.0%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5]에는 ACG에 대하여 KS F 4044 방법에 따라 각종 물성을 시험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항목
단위 성능기준 ACG 시험결과
유하시간 60 이내 58
플로 225 이상 300이상
응결시간
초결 시간 1 이상 4:25
종결 시간 10 이내 7:10
블리딩률 % 0.5 이하 0.0
팽창높이


1일 %
0.40 이내


0.00
3일 0.00
7일 0.01
28일 0.01
압축강도


1일 N/㎟


7.0 이상 19.6
3일 18.0 이상 36.3
7일 24.0 이상 45.2
28일 35.0 이상 57.2
염화물량 ㎏/㎡ 0.30 이하 0.06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CG에 의할 경우 작업성에서 유하시간을 60초 이내로 확보할 수 있고, 플로도 300㎜ 이상이며, 블리딩률도 0.0%를 보였다. 따라서 ACG는 미세주입관을 통한 주입이 가능할 정도로 점성이 낮으면서도 블리딩률 역시 무블리딩에 가까워 1회의 주입만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해주는 우수한 작업성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팽창높이와 압축강도를 살펴보면 과도한 팽창이나 수축이 없는 매우 우수한 치수안정 특성을 발휘하는 한편, 압축강도 면에서도 전 재령일수에서 성능기준을 훨씬 상회하는 압축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결합재, 충진재, 팽창재, 방청제, CNT(Carbon Nano Tube), 분산제, 소포제 및 모래로 구성된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로서,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3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팽창재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방청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3~3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CNT는 시멘트 혼용성을 가지는 분말형태로서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5~1.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분산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1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소포제는 상기 결합재 100중량부 대비 0.01~0.5중량부 함유되고, 상기 모래는 최대 입경이 0.5㎜ 이하로서 상기 결합재 대비 20~120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재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마이크로 시멘트 및 알루미나 시멘트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3. 제1항에서,
    상기 충진재는 플라이애시, 실리카흄, 탄산칼슘 및 석회미분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4. 제1항에서,
    상기 팽창재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및 석고 알루미늄파우더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5. 제1항에서,
    상기 방청제는 아질산나트륨 및 아질산칼슘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분산제는 리그닌계 분산제, 멜라민계 분산제, 나프탈렌계 분산제 및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8. 제1항에서,
    상기 소포제는 지방산계 분말 소포제 및 실리콘계 분말 소포제 가운데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9. 삭제
KR1020120112780A 2012-10-11 2012-10-11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KR10123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80A KR101235641B1 (ko) 2012-10-11 2012-10-11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80A KR101235641B1 (ko) 2012-10-11 2012-10-11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641B1 true KR101235641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80A KR101235641B1 (ko) 2012-10-11 2012-10-11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641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8662A (zh) * 2014-06-13 2014-09-24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核电站防渗复合灌浆材料及应用
KR20150055291A (ko) 2013-11-13 2015-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스트레스트 교량용 긴장재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무수축 그라우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7661B1 (ko) * 2015-02-13 2015-08-26 (주)에이치비티 무수축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547686B1 (ko) * 2014-10-30 2015-09-04 트윈보강기술(주) 사면 보강용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7748B1 (ko) * 2015-03-27 2015-12-15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해양 psc구조물용 그라우트 조성물
KR101671438B1 (ko) * 2015-12-07 2016-11-02 주식회사 삼표산업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US20180118620A1 (en) * 2015-05-12 2018-05-03 Alfonso Javier MORANO RODRIGUEZ Addition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mortars and structural concrete
CN108191346A (zh) * 2018-03-01 2018-06-22 冯恩芳 一种装配式建筑套筒灌浆料
CN109734393A (zh) * 2019-03-27 2019-05-10 山西佳维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早强微膨胀水泥基灌浆料
KR102130041B1 (ko) 2019-09-05 2020-07-03 주식회사 에스엔투 고성능 방청 혼화제 조성물
KR102134679B1 (ko) 2020-02-19 2020-07-17 주식회사 에스엔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와 단면 및 표면보수를 위한 조성물 및 공법
KR102158535B1 (ko) 2020-04-07 2020-09-23 주식회사 에스엔투 노후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보수 및 보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2158536B1 (ko) 2020-04-06 2020-09-23 주식회사 에스엔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보수 및 보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875410A (zh) * 2020-07-28 2020-11-03 西安交通大学 一种轻质镁渣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26161A (ko) 2020-08-25 2022-03-04 (주)에이치비티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방청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8745A (ja) * 2006-03-08 2007-09-20 Denki Kagaku Kogyo Kk グラウ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グラウトモルタル
WO2011105529A1 (ja) * 2010-02-26 2011-09-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防食塗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鋼材の防食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8745A (ja) * 2006-03-08 2007-09-20 Denki Kagaku Kogyo Kk グラウ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グラウトモルタル
WO2011105529A1 (ja) * 2010-02-26 2011-09-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防食塗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鋼材の防食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291A (ko) 2013-11-13 2015-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스트레스트 교량용 긴장재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무수축 그라우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4058662A (zh) * 2014-06-13 2014-09-24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核电站防渗复合灌浆材料及应用
KR101547686B1 (ko) * 2014-10-30 2015-09-04 트윈보강기술(주) 사면 보강용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47661B1 (ko) * 2015-02-13 2015-08-26 (주)에이치비티 무수축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577748B1 (ko) * 2015-03-27 2015-12-15 주식회사 제트콘코리아 해양 psc구조물용 그라우트 조성물
US10611685B2 (en) * 2015-05-12 2020-04-07 Alfonso Javier MORANO RODRIGUEZ Addition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mortars and structural concrete
US20180118620A1 (en) * 2015-05-12 2018-05-03 Alfonso Javier MORANO RODRIGUEZ Addition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mortars and structural concrete
KR101671438B1 (ko) * 2015-12-07 2016-11-02 주식회사 삼표산업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CN108191346A (zh) * 2018-03-01 2018-06-22 冯恩芳 一种装配式建筑套筒灌浆料
CN109734393A (zh) * 2019-03-27 2019-05-10 山西佳维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早强微膨胀水泥基灌浆料
KR102130041B1 (ko) 2019-09-05 2020-07-03 주식회사 에스엔투 고성능 방청 혼화제 조성물
KR102134679B1 (ko) 2020-02-19 2020-07-17 주식회사 에스엔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와 단면 및 표면보수를 위한 조성물 및 공법
KR102158536B1 (ko) 2020-04-06 2020-09-23 주식회사 에스엔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보수 및 보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8535B1 (ko) 2020-04-07 2020-09-23 주식회사 에스엔투 노후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보수 및 보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법
CN111875410A (zh) * 2020-07-28 2020-11-03 西安交通大学 一种轻质镁渣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26161A (ko) 2020-08-25 2022-03-04 (주)에이치비티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방청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41B1 (ko)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KR101355392B1 (ko) 내산 및 내염해성 시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 및 상기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311699B1 (ko)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72265B1 (ko)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JP5022579B2 (ja) グラウト材
KR101631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41179B1 (ko) 고강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460498B1 (ko) 자기 보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WO2011108065A1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101253310B1 (ko) 사석층 차수용 팽창형 수중불분리 그라우트 조성물
KR100876222B1 (ko) 연약지반 개량용 기능성 고화재
KR102158508B1 (ko) 그래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보강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JP2019085305A (ja) セメント組成物、セメントペースト、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コンクリート材
KR101547661B1 (ko) 무수축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JP7394194B2 (ja) グラウトモルタル
JP2019085304A (ja) 無収縮グラウト組成物、及び無収縮グラウト材
KR102271506B1 (ko) 친환경 단면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313674B1 (ko) 친환경 속경성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4176964A (zh) 一种混凝土复合防腐剂
CN116425492B (zh) 用于盾构同步注浆的注浆组合物、盾构同步注浆系统、方法及应用
KR20190072938A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복합단면 하수관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하수관의 제조방법
JP2013177279A (ja) 吹付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吹付け工法
KR101311703B1 (ko) 불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마감용 뿜칠 시공방법
KR20140017247A (ko) 내염성 시멘트를 포함하는 반강성 도로포장용 고내구성 시멘트와 이를 가진 주입 시공한 고내구성 반강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JP6252851B2 (ja) プレミックスモルタル作業性改善用乾燥収縮低減剤組成物、プレミックスモルタ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硬化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