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438B1 -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438B1
KR101671438B1 KR1020150173319A KR20150173319A KR101671438B1 KR 101671438 B1 KR101671438 B1 KR 101671438B1 KR 1020150173319 A KR1020150173319 A KR 1020150173319A KR 20150173319 A KR20150173319 A KR 20150173319A KR 101671438 B1 KR101671438 B1 KR 10167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sand
grout mortar
mortar composition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
천성민
권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표산업
Priority to KR102015017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04B28/065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접합부용 충전재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 모래, 팽창재, 분산제, 성능개선제 등과 더불어 표면반응성 무기질 재료인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휨강도 및 수축저항성을 향상시켜 PC 부재간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접합부에 충전하여 부재 간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로서, 시멘트 30~50wt%, 모래 40~60wt%, 팽창재 2~5wt%, 충전재 1~3wt%, 분산제 0.1~1.5wt%, 재료분리 저감 및 표면상태 개선을 위한 성능개선제 1~2wt% 및 침상 마이크로 필러 1~3w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Precast Concrete)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Non-shrink grout mortar composition for filling joint of precast concrete members}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PC'라 함) 구조물 접합부용 충전재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 모래, 팽창재, 분산제, 성능개선제 등과 더불어 표면반응성 무기질 재료인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휨강도 및 수축저항성을 향상시켜 PC 부재간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건축·토목 구조물, 기계설비 구조물 등의 지지부 타설, 접합부 충전 등에 사용되는 건설재료로서, 하중과 충격, 진동 등의 응력을 구조물에 전달하여 분산시키고, 매입된 철근 자재를 외부의 열화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계기초 및 앵커볼트 고정용, 교량의 신축이음, 교좌장치 채움재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충전 보강재인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좁은 공간에 치밀한 충전이 이루어져야 하며, 반복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고유동, 고강도, 고인성 및 고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한편, PC 공법은 구조물의 안전성, 내구성, 신뢰성, 고품질, 비용절감 효과를 위한 실용적인 수단으로 작업성, 공사기간, 경제성, 시공품질 등에서 현장타설 공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규격화-표준화하여 미리 제작된 기둥, 보와 같은 구조물을 현장에서 조립만 하여 완성하는 시공방법이다. 이러한 PC 공법은 현장에서 작업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 단축 효과를 주목받으면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PC 부재 접합부 처리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부재 간 일체성이 확보되지 않아 구조적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보나 기둥 부재보다 응력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접합부가 응력을 견디지 못해 균열이 발생하거나 틈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결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고강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휨강도를 향상시켜, PC 부재 간 접합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변형 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의 휨강도 향상, 수축저항성 향상 등의 성능 발현을 위해 셀룰로오스 섬유, 나일론, PVA 섬유 등을 사용한 사례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유동성 및 충전성이 저하되어 PC 부재 접합부의 좁은 공간에 주입했을 때의 치밀화가 어렵다. 때문에 접합부 내부에 공극이 발생하고 모체와 접착성 감소, 응력 집중에 따른 균열, 내구성 저하 등 결함이 발생한다.
1. 등록특허 10-0675826 "무수축 모르타르 조성물", 2007. 01. 29. 공고 2. 등록특허 10-1015066 "고강도 경량 무수축 충진모르타르", 2011. 02. 16. 공고 3. 등록특허 10-1547661 "무수축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2015. 08. 26. 공고 4. 공개특허 1998-0009189 "시멘트 몰탈 균열방지용 무수축 혼화재", 1998. 4. 30. 공개
본 발명은 PC 부재 간 접합부에 충전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의 외부 충격(진동, 비틀림, 수축-팽창 등)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응력부담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PC 부재 접합부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제품들과 같이 무수축, 고유동, 고강도 등 성능을 보유하면서도 침상구조의 마이크로 필러를 적용하여 휨강도 및 수축저항성을 향상시킴으로써 PC 부재 간 접합부에 대한 충전성과 더불어 변형 응력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접합부에 충전하여 부재 간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로서, 시멘트 30~50wt%, 모래 40~60wt%, 팽창재 2~5wt%, 충전재 1~3wt%, 분산제 0.1~1.5wt%, 재료분리 저감 및 표면상태 개선을 위한 성능개선제 1~2wt% 및 침상 마이크로 필러 1~3w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Precast Concrete)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조강시멘트 및 슬래그시멘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래는 부순모래 또는 세척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팽창재는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 무수석고 및 소석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로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분산제로는 나프탈렌계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카르본산계 계면활성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성능개선제는 상기 성능개선제는 분말수지, 증점제, 증점안정화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는 CaSiO3 광물이 95wt% 이상 함유되어 있고, 형상비(Aspect Ratio)가 15:1 이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적용한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진동, 비틀림 및 수축-팽창 등 외부 충격에 대한 응력부담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PC 공법의 부재간 접합부를 보완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침상 마이크로 필러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경화체의 휨강도 및 압축강도를 증가시켜 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길이변화율을 최소화하여 치수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그라우트 조성물 전체 중량에서 1~3wt% 첨가할 때 우수한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길이변화율 또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변형응력-균열 저감형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PC 부재 간 접합부에 적용할 시 소정의 성능 향상을 통해 안정적인 품질확보와 양호한 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적용과 더불어, 점차 증가되고 있는 PC 구조물 시공에 있어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에 있어 부위별 적용 모식도이다.
[도 2]는 침상 마이크로 필러 적용 효과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미세구조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침상 마이크로 필러 적용에 따른 표면 및 계면에서의 반응형상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도 6]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의 길이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 구조물의 각 연결 부위에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를 적용하고 있다. 구조물 연결부의 충전 결합재로 사용하기 위한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제품들은 강도증진을 위한 고강도화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압축력에 의한 하중저항은 향상되나, 진동, 뒤틀림 등의 위부 충격에 대해서는 구조물 연결부에서 취성 증가, 균열 발생 등의 취약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응력이 집중되는 연결 부위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압축강도 이외에도 휨강도, 수축저항성 등 역시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 PC 구조물 공법 특성상 충전재의 결함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결함으로 연결되지는 않을지라도, 충전재 결함에 의해 연결부에서의 누수, 외부환경에 의한 열화, 내부 철근자재 보호효과 저감 등의 2차적 문제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접합부에 충전하여 부재 간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로서, 시멘트 30~50wt%, 모래 40~60wt%, 팽창재 2~5wt%, 충전재 1~3wt%, 분산제 0.1~1.5wt%, 재료분리 저감 및 표면상태 개선을 위한 성능개선제 1~2wt% 및 침상 마이크로 필러 1~3w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Precast Concrete)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조강시멘트 및 슬래그시멘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래는 부순모래 또는 세척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모래는 입도분포가 0.3~0.9㎜ 범위에 있는 것과 0.6~1.8㎜ 범위에 있는 것을 혼합한 것으로 1:2.0~2.5 비율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범위에서 모르타르의 점성 및 유동성을 감안하여 좀 더 세부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팽창재는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 무수석고 및 소석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와 무수석고(또는 소석회)를 중량비 7:3의 비율로 구성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팽창재를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계 팽창재는 화학성분상 CaO 및 Al2O3 총량이 50wt% 이상, SO3 함량이 25wt% 이상의 조건을 함께 충족시키도록 조성하고 분말도는 3,500㎠/g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는 모르타르 경화시의 강도 증진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산업부산물로 발생하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리카흄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의 굳기 전 물성 중 블리딩 및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물성을 확보하는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의 중요 특성 중 유동성 및 충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으로서, 폴리카본산계 계면활성제 또는 나프탈렌계 계면활성제가 상기 분산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개선제는 분말수지, 메틸셀룰로즈 증점제, 증점안정화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모르타르의 퍼짐 안정성을 확보토록 한다. 이는 좁은 공간의 접합부에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를 충전할 경우 재료 침하에 따른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모르타르 경화 후의 레이턴스, 에어포켓 발생 등의 표면상태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성능개선제로는 구체적으로 아크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말수지 80~90wt%, 메틸셀룰로오스 증점제 5~10wt%, 전분계 증점안정화제 3~5wt% 및 실리콘계 소포제 2~5w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는 본 발명에서 중요 성능으로 부여하고자 하는 모르타르 경화체의 휨 및 압축강도 증진, 치수안정성 등의 발현을 위해 적용되는 것이다. 모르타르 전체 중량 대비 1~3wt% 적용되는 침상 마이크로 필러는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질 광물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비(Aspect Ratio) 15:1 이상의 침상 구조를 가진다. 주요 광물상으로는 CaSiO3이며, CaSiO3는 CaO 성분 44~48wt%, SiO2 성분 49~53wt%로 광물상 중 95%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침상 마이크로 필러는 시멘트에서 용해된 Ca2 + 및 SiO4 4 - 이온과 상호작용하여 표면에 불용성의 C-S-H 겔(gel)을 생성한다. 때문에 시멘트 바인더와 결합력이 증가하여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경화체의 물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효과에 대한 모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침싱형 마이크로 필러에 의한 효과는 ① 형상비(Aspect ratio) 15:1 이상의 침상구조를 가지는 필러가 모르타르 내부에 분산되어 휨강도 증대 및 치수안정성 확보, ② 필러 표면에서 CaO, SiO2, H2O 반응에 의한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 생성으로 계면의 결합력 향상에 의한 파괴응력 저항성 증대를 들 수 있다. 이외에 부가적으로 ③ 재료 자체의 흡수성이 높지 않아 첨가량이 증가하여도 모르타르 배합시 가수량이 낮으며, ④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어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 안정성이 높게 나타난다.
상기 마이크로 필러에 대한 효과 중 [도 2]에 제시된 표면반응은 아래의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반응하여 C-S-H계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을 생성한다. 이 때 생성되는 수화물은 섬유상으로 얽혀있고 서로 접합하여 망상조직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 섬유상의 발생이 많을수록 계면에서 결합력이 증가한다.
[반응식 1]
CaSiO3 + 3H2O Ca2 + + [Si(OH)6]2-
위 [반응식 1]은 마이크로 필러의 주광물상인 CaSiO3가 H2O와 만나 표면에서 이온화되는 과정이며, 이때 생성된 이온들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멘트 및 혼합재에 존재하는 시멘트 광물상 C3S(3CaO·SiO2), C2S(2CaO·SiO2)에서 용해된 Ca2 +와 SiO4 4 - 이온과 상호작용하여 불용성의 C-S-H 겔(gel)을 생성한다.
[반응식 2]
3Ca2 + + 2H3SiO4 - + 4OH- ↔ 3CaO·SiO2·3H2O + 2H2O
또한,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불용성의 C-S-H 겔(gel) 및 표면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미세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반응 경화체 파괴 단면을 촬영한 것으로 1)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초기 반응단계(좌), 2)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반응 후기 표면상태(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침상 마이크로 필러와 주변 시멘트 수화물과의 반응으로 상호 일체화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계면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모르타르 경화체의 휨강도 및 압축강도 증대로 파괴응력 향상, 길이변화율 최소화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주광물은 CaSiO3로 존재하고 구성 광물 중 95% 이상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발명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
Figure 112015119595202-pat00001
상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나타낸 조성비는 모르타르 전체 중량 100wt%에 대해 제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 1]의 결합재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또는 유사 반응성을 갖는 조강시멘트, 슬래그시멘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모래는 직경 2㎜이하의 규사, 팽창재는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 및 석고계 재료(무수석고, 소석회 중 어느 하나 이상)가 중량비 7:3으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충전재는 실리카흄, 분산제는 나프탈란계 유동화제, 성능개선제는 품질안정성 확보를 위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드 분말수지, 메틸셀룰로우즈 증점제, 전분계 증점안정제 및 실리콘계 소포제를 혼합한 것을 적용하였다. 더불어 칼슘실케이트계 무기질 광물인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1~5wt% 범위에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wt% 간격으로 변화를 주면서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2]는 [표 1]에 제시된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KS F 4044 수경성 시멘트 무수축 그라우트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2]
Figure 112015119595202-pat00002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우 및 유하시간은 KS 기준[플로우(225㎜ 이상), 유하시간(60초 이내), 양생 28일 압축강도(35MPa)]을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유동성이 양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볼 때 본 발명에서 중요한 변수인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적용성에 대한 분석은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길이변화율로 시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상 마이크로 필러가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 1~2 대비 실시예 1~3은 침상 마이크로 필러 첨가에 따라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증가한 값을 나타낸다.
하지만, 실시예 3에서는 휨강도 및 압축강도뿐만 아니라 부착강도 등 전반적인 물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는 경화체 내에 존재하는 과량의 침상 마이크로 필러가 시멘트 수화물을 생성하여 모체와 반응할 수 있는 면적을 감소시켜 결합력을 저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침상 마이크로 필러 첨가량이 모르타르 전체 중량에서 3wt%를 초과할 경우 유동성 및 주입성이 우수해야 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특성상, 작업성 확보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은 길이변화율에 대한 측정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침상 마이크로 필러 적용시 길이변화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미적용 배합인 비교예 1~2 대비 큰 폭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는 나일론 섬유와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비교하고자 한 시험예이다. 그 결과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등 전반적인 물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원인으로 나일론 섬유는 침상 마이크로 필러와 같이 표면에서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합력이 감소한 것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적용은 전반적으로 휨강도, 압축강도, 길이변화율 등 물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욱 만족스럽게는 실시예 1~2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상 마이크로 필러의 첨가량을 전체 중량 대비 1~3wt%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물성을 발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침상 마이크로 필러를 적용함으로서, PC 공법의 부재간 접합부에 적용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의 진동, 비틀림 및 수축-팽창 등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응력부담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접합부를 보강하는데 효과적인 재료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전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없음

Claims (7)

  1.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접합부에 충전하여 부재 간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로서,
    시멘트 30~50wt%, 모래 40~60wt%, 팽창재 2~5wt%, 충전재 1~3wt%, 분산제 0.1~1.5wt%, 재료분리 저감 및 표면상태 개선을 위한 성능개선제 1~2wt% 및 침상 마이크로 필러 1~3wt%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래는 입도분포가 0.3~0.9mm 범위에 있는 것과 0.6~1.8mm 범위에 있는 것을 중량비 1:2.0~2.5로 혼합되고,
    상기 팽창재는 칼슘설퍼알루미네이트와 무수석고 또는 소석회를 중량비 7:3으로 혼합되되, CaO 및 Al2O3의 총량이 50wt% 이상, SO3 함량이 25wt% 이상, 분말도 3,500㎠/g 이상의 조건이 함께 충족되고,
    상기 성능개선제는 아크릴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말수지 80~90wt%, 메틸셀룰로오스 증점제 5~10wt%, 전분계 증점안정화제 3~5wt% 및 실리콘계 소포제 2~5wt%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상 마이크로 필러는 CaSiO3 광물이 95wt% 이상 함유되어 있고, 형상비(Aspect Ratio)가 15:1 이상이며, 상기 시멘트와 반응하여 표면에 C-S-H계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Precast Concrete)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조강시멘트 및 슬래그시멘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래는 부순모래 또는 세척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충전재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분산제는 나프탈렌계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카르본산계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150173319A 2015-12-07 2015-12-07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7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19A KR101671438B1 (ko) 2015-12-07 2015-12-07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19A KR101671438B1 (ko) 2015-12-07 2015-12-07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438B1 true KR101671438B1 (ko) 2016-11-02

Family

ID=5751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319A KR101671438B1 (ko) 2015-12-07 2015-12-07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4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3036A (zh) * 2017-10-19 2018-02-06 姜向军 一种抗冻型混凝土减缩剂的制备方法
CN108585626A (zh) * 2018-04-13 2018-09-28 山东科技大学 一种基于煤矸石粉的复用膨胀型膏体钻孔密封材料
CN111925146A (zh) * 2020-08-11 2020-11-13 衡阳市九州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膨胀剂的制备方法
CN112010611A (zh) * 2020-09-07 2020-12-01 金陵科技学院 掺入钢渣粉套筒微膨胀灌浆料及其制备和膨胀效应检测方法
CN112500093A (zh) * 2020-10-11 2021-03-16 桂林理工大学 一种适用于tbm压注式施工的混凝土及制备方法
KR102338898B1 (ko) * 2021-06-28 2021-12-16 현대엔지니어링(주) Pc 건식화 수평·수직 접합부 충전용 고부착성 무수축 그라우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컬럼부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결합구조
CN117185730A (zh) * 2023-09-27 2023-12-08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奉节分公司 铁塔脚高强无收缩二次浇筑填充材料及其浇筑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189A (ko) 1996-07-25 1998-04-30 이일쇄 시멘트 몰탈 균열방지용 무수축 혼화재
JP2001226162A (ja) * 2000-02-14 2001-08-21 Taiheiyo Cement Corp ポストテンショ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目地材
KR100600440B1 (ko) * 2005-08-05 2006-07-13 정시영 유동성이 우수한 무기계 그라우트 조성물과 이를 항균성탄소섬유패널과 함께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0675826B1 (ko) 2005-04-08 2007-01-29 성신양회 주식회사 무수축 모르타르 조성물
KR101015066B1 (ko) 2008-08-13 2011-02-16 한국세라믹기술원 고강도 경량 무수축 충진모르타르
KR101235641B1 (ko) * 2012-10-11 2013-02-21 (주)케미우스코리아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JP2015127285A (ja) * 2013-12-28 2015-07-09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プレミックスグラウト組成物
KR101547661B1 (ko) 2015-02-13 2015-08-26 (주)에이치비티 무수축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189A (ko) 1996-07-25 1998-04-30 이일쇄 시멘트 몰탈 균열방지용 무수축 혼화재
JP2001226162A (ja) * 2000-02-14 2001-08-21 Taiheiyo Cement Corp ポストテンショ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目地材
KR100675826B1 (ko) 2005-04-08 2007-01-29 성신양회 주식회사 무수축 모르타르 조성물
KR100600440B1 (ko) * 2005-08-05 2006-07-13 정시영 유동성이 우수한 무기계 그라우트 조성물과 이를 항균성탄소섬유패널과 함께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1015066B1 (ko) 2008-08-13 2011-02-16 한국세라믹기술원 고강도 경량 무수축 충진모르타르
KR101235641B1 (ko) * 2012-10-11 2013-02-21 (주)케미우스코리아 방청 무수축 그라우트재
JP2015127285A (ja) * 2013-12-28 2015-07-09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プレミックスグラウト組成物
KR101547661B1 (ko) 2015-02-13 2015-08-26 (주)에이치비티 무수축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3036A (zh) * 2017-10-19 2018-02-06 姜向军 一种抗冻型混凝土减缩剂的制备方法
CN107663036B (zh) * 2017-10-19 2020-02-04 浙江龙游通衢建材有限公司 一种抗冻型混凝土减缩剂的制备方法
CN108585626A (zh) * 2018-04-13 2018-09-28 山东科技大学 一种基于煤矸石粉的复用膨胀型膏体钻孔密封材料
CN111925146A (zh) * 2020-08-11 2020-11-13 衡阳市九州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膨胀剂的制备方法
CN112010611A (zh) * 2020-09-07 2020-12-01 金陵科技学院 掺入钢渣粉套筒微膨胀灌浆料及其制备和膨胀效应检测方法
CN112500093A (zh) * 2020-10-11 2021-03-16 桂林理工大学 一种适用于tbm压注式施工的混凝土及制备方法
CN112500093B (zh) * 2020-10-11 2022-04-08 桂林理工大学 一种适用于tbm压注式施工的混凝土及制备方法
KR102338898B1 (ko) * 2021-06-28 2021-12-16 현대엔지니어링(주) Pc 건식화 수평·수직 접합부 충전용 고부착성 무수축 그라우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컬럼부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결합구조
CN117185730A (zh) * 2023-09-27 2023-12-08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奉节分公司 铁塔脚高强无收缩二次浇筑填充材料及其浇筑工艺
CN117185730B (zh) * 2023-09-27 2024-04-26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奉节分公司 铁塔脚高强无收缩二次浇筑填充材料及其浇筑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438B1 (ko)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CN105622006B (zh) 一种低温早强高强型水下灌浆料
CN101817656B (zh) 后张法预应力混凝土梁管道压浆剂
KR101096513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속경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보수 보강하는 방법
CN113716915B (zh) 防腐加固用喷射超高性能混凝土
US10259747B2 (en) Advanced fiber reinforced concrete mix designs and admixtures systems
Nuruddin et al.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ductile self compacting concrete (DSCC) with various cement replacement materials
Mechtcherine et al. Mineral-based matrices for textile-reinforced concrete
KR101927403B1 (ko) 수중 불분리형 고강도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
KR100985194B1 (ko) 파우더형 방수재
KR102272220B1 (ko)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칼슘포메이트, pbo섬유가 함유된 고내열성 조강성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구조물 단면 복구 공법 및 유리섬유와 아라미드섬유로 제작된 고강도 복합시트를 병행한 구조물 내진 내화 보강 공법
KR101788677B1 (ko) 버텀애쉬를 활용한 고유동 저강도 채움재
KR102150958B1 (ko) 지반 보강을 위한 표준화 품질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 그라우팅 보강공법
JP4842050B2 (ja) 断面修復材及び断面修復工法
CN109133774A (zh) 微膨胀型装配式建筑用超高性能水泥基灌浆料及制备方法
CN101445342B (zh) 高性能结构工程加固用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082795A (zh) 氧化石墨烯增强预应力孔道灌浆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04378B1 (ko) 초고성능 섬유보강 무수축 그라우트 및 그 제조 방법
CN112125570A (zh) 一种喷射混凝土用掺合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615015B2 (ja) 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CN104129962B (zh) 一种后张法预应力孔道压浆剂及其制备方法
KR102218239B1 (ko) 개질 세라믹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보강 공법
CN103524098B (zh) 一种低Ca/Si率柔态抗裂复相增强加固材料
KR101860528B1 (ko)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CN113816703B (zh) 一种高固废含量的纤维聚合物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