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860B1 -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860B1
KR101234860B1 KR1020110006420A KR20110006420A KR101234860B1 KR 101234860 B1 KR101234860 B1 KR 101234860B1 KR 1020110006420 A KR1020110006420 A KR 1020110006420A KR 20110006420 A KR20110006420 A KR 20110006420A KR 101234860 B1 KR101234860 B1 KR 10123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tool
trace
main body
art education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036A (ko
Inventor
배상민
유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0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8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는: 외부에 노출된 평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의 평면부에 자취를 남길 수 있는 보조도구 및 본체의 평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를 촉각적으로 구분 가능하게 하는 입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ART EDUCATION DEVICE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요소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스로 작업한 결과물을 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들은 시각을 사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인지하는 것의 대부분을 시각에 의존하는 사람들과 사회를 이루고 살아간다. 이로 인해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로부터 소외된다. 시각 장애인에게 미술을 교육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시각 장애인용 미술 교육 도구는 촉각적 감각만을 사용하도록 제작된다.
촉각만으로도 일부 미술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허나 위에서 언급한 미술 작품이란 대부분 입체적 형태이며,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이 2차원 평면에 그림을 그리는 활동을 고려한 미술 교육 도구는 고안이 부족하다. 시력이 매우 약하거나 시각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촉각만으로 평면에 그림을 그리는 교육을 받을 시, 그림을 그리는 행위에 대한 피드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작품을 창출하기가 어렵고, 쉽게 흥미를 잃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청각요소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스로 작업한 결과물을 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는: 외부에 노출된 평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의 평면부에 자취를 남길 수 있는 보조도구 및 본체의 평면부에 구비되어 보조도구의 자취를 촉각적으로 구분 가능하게 하는 입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보조도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조도구는 내부에 액상의 화합물이 저장되고, 선단이 다른 물질과 접촉되면 내부의 화합물이 선단으로 유출되고, 입체부재는 보조도구의 자취를 따라 화합물이 접촉되면, 접촉된 부위와 접촉되지 않은 부위가 입체적으로 차이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입체부재가 일정 횟수 사용될 수 있는 분량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부는 본체에 구비되는 저장부와, 저장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입체부재가 롤형태로 감기는 회전축 및 본체에 형성되어 입체부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부는 회전축의 착탈을 위해 저장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보조도구의 자취를 소리로 표현하는 자취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취알림부는 평면부에 구비되어 보조도구의 자취를 감지하는 위치감지패드와, 위치감지패드에서 인식된 보조도구의 자취를 소리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조도구에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위치감지패드는 보조도구의 자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위치감지패드에서 인식된 보조도구의 자취에 따라 소리의 음높이와 음출력방향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취알림부는 제어부는 소리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는 시각을 활용할 수 없는 사람이 2차원 평면부에 그림을 그리게 되면, 그림을 그리는 보조도구의 위치 정보를 자취알림부에 의해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표현하고자 하는대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보조도구에서 유출되는 화합물이 입체부재에 접촉되면서 보조도구의 자취를 입체적으로 표출됨으로 자신이 작업한 결과물을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그림을 감상하고 다른 사람들과 그림에 대한 소통을 하기가 원활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입체부재를 롤형상으로 저장하여 본체의 평면부에 공급할 수 있고, 교체가 가능한 구조에 의해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보조도구(130) 및 입체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외부로 노출된 평면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는 전면이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도구(130)는 필기도구 형상으로 이루지고, 내부에 액상의 화합물(132)이 저장되고, 선단이 다른 물질과 접촉되면 내부의 화합물(132)이 선단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보조도구(130)는 본체(110)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용부(114)에 안착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입체부재(140)는 본체(110)의 평면부(112)에 구비되어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촉각적으로 구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따라 화합물(132)과 접촉되면, 접촉된 부위와 접촉되지 않은 부위가 입체적으로 차이가 생기게 된다.
즉, 입체부재(140)는 압축스폰지로 이루어지고, 보조도구(130)의 화합물은 물로 이루어져 압축스폰지에 물이 닿는 부분만 부풀어 오르므로 접촉되는 부위와 접촉되자 않은 부위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체부재(140)는 본체(110)의 공급부(120)에 일정 횟수 사용될 수 있는 분량으로 저장되고, 평면부(112)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부(120)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저장부(122)와 저장부(122)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입체부재(140)가 롤형태로 감기는 회전축(124) 및 본체(110)에 형성되어 입체부재(140)의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부(122)는 본체(110)의 내부에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24)은 저장부(122)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안내부(125)는 본체(110)의 평면부(112)를 기준으로 양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저장부(122)로부터 공급되는 입체부재(140)를 안내한다.
또한, 본체(110)에는 안내부(125)와 연결되는 인출홀(116)이 형성되어, 그림이 그려진 입체부재(140)를 인출홀(116)을 통해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120)는 회전축(124)의 착탈을 위해 저장부(122)를 개폐하는 커버(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회전축(124)에 감긴 입체부재(140)가 소진되면, 입체부재(140)가 감긴 새로운 회전축(124)을 저장부(122)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입체부재(140)는 본체(110)의 평면부(112) 넓이게 맞게 잘린 형태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10)는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소리로 구현하는 자취알림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취알림부(150)는 평면부(112)에 구비되어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감지하는 위치감지패드(152)와 위치감지패드(152)에서 인식된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소리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부(154) 및 제어부(154)의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보조도구(130)는 자성체(134)를 포함하고, 위치감지패드(152)는 보조도구(130)의 자력을 감지하여 보조도구(1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도구(130)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자취를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156)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
출력부(156)는 본체(110)에 형성되어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과 연결되는 출력단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54)는 위치감지패드(152)에서 인식된 보조도구(130)의 자취에 따라 소리의 음높이와 음출력방향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보조도구(130)가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 이어폰에서 소리가 들리게 되고,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오른쪽 이어폰에서 소리가 들리게 되며, 보조도구(130)가 윗쪽으로 움직이면, 소리의 음이 높아지고,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소리의 음이 낮아짐으로 사용자는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소리로 들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취알림부(150)는 제어부(154)의 소리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모리부(160)는 본체(110)에 형성되는 인식단자(162)와 인식단자(162)에 착탈되는 SD카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전자식 부품 일체에 전기를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는 전원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의 전원부(170)를 작동시켜 전원을 공급한 후 인식단자(162)에 SD카드(164)를 결합시킨다.
이후, 수용부(114)에서 보조도구(130)를 분리시킨 후 입체부재(140)가 노출되는 평면부(112)에 보조도구(130)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면 된다.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도구(130)의 움직임에 따라 입체부재(140)에 보조도구(130)의 선단을 접촉되고, 접촉에 의해 보조도구(1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합물(132)은 유출되어 입체부재(140)의 표면에 묻게 되고, 입체부재(140)에는 즉시 입체적인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처럼, 입체부재(140)에 생성된 모양은 손으로 만져도 변형되거나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강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보조도구(130)는 자성체(134)를 포함하고 있어 자성체(134)의 자력을 위치감지패드(152)에서 감지하여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자취는 제어부(154)에서 소리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부(156)를 통해 출력된다.
즉, 보조도구(130)의 자취에 따른 소리신호는 특정 음높이와 방향이 배정되어 출력부(156)에 연결된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보조도구(130)가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 이어폰에서 소리가 들리게 되고,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오른쪽 이어폰에서 소리가 들리게 되며, 보조도구(130)가 윗쪽으로 움직이면, 소리의 음이 높아지고,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소리의 음이 낮아짐으로 사용자는 보조도구(130)의 자취를 소리로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림을 그리는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그리는 그림의 자취를 파악하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신호는 인식단자(162)에 연결되는 SD카드(164)에 저장될 수 있으며, SD카드(164)에 저장된 소리신호는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보조도구(130)의 자취는 보조도구(130)의 화합물(132)이 입체부재(140)에 묻게 됨으로써, 자신이 작업한 결과물을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그림을 감상하고 다른 사람과 그림에 대한 소통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그림을 그리고자 할 때는 인출홀(116)을 통해 그림이 그려진 입체부재(140)를 인출시키면, 회전축(124)에 감긴 입체부재(140)가 안내부(125)에 의해 안내되면서 본체(110)의 평면부(112)로 공급되며, 인출홀(116)을 통해 인출된 부분은 잘라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일정 횟수 이상 그림을 그려 입체부재(140)가 소진되면, 커버(123)를 개방하여 기존의 회전축(124)을 제거하고, 저장부(122)에 입체부재(140)가 감긴 새로운 회전축(124)을 삽입하면 된다.
또한, 그림이 그려진 입체부재(140)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필요에 따라서 다리미의 약한 열로 다려주면 평판하게 복원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보조도구의 위치 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그림에 표현하고자 하는 대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용이하고, 자신이 작업한 결과물을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110 : 본체
112 : 평면부 114 : 수용부
116 : 인출홀 120 : 공급부
122 : 저장부 123 : 커버
124 : 회전축 125 : 안내부
130 : 보조도구 132 : 화합물
134 : 자성체 140 : 입체부재
150 : 자취알림부 152 : 위치감지패드
154 : 제어부 156 : 출력부
160 : 메모리부 162 : 인식단자
164 : SD카드 170 : 전원부

Claims (11)

  1. 외부에 노출된 평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평면부에 자취를 남길 수 있는 보조도구; 및
    상기 본체의 평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를 촉각적으로 구분 가능하게 하는 입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를 소리로 표현하는 자취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보조도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구는 내부에 액상의 화합물이 저장되고, 선단이 다른 물질과 접촉되면 내부의 화합물이 선단으로 유출되고;
    상기 입체부재는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를 따라 화합물이 접촉되면, 접촉된 부위와 접촉되지 않은 부위가 입체적으로 차이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체부재가 일정 횟수 사용될 수 있는 분량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입체부재가 롤형태로 감기는 회전축;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입체부재의 공급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회전축의 착탈을 위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취알림부는 상기 평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를 감지하는 위치감지패드;
    상기 위치감지패드에서 인식된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를 소리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구에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패드는 상기 보조도구의 자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패드에서 인식된 상기 보조도구의 자취에 따라 소리의 음높이와 음출력방향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취알림부는 상기 제어부의 소리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KR1020110006420A 2011-01-21 2011-01-21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KR10123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20A KR101234860B1 (ko) 2011-01-21 2011-01-21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20A KR101234860B1 (ko) 2011-01-21 2011-01-21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36A KR20120085036A (ko) 2012-07-31
KR101234860B1 true KR101234860B1 (ko) 2013-02-19

Family

ID=4671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420A KR101234860B1 (ko) 2011-01-21 2011-01-21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37B1 (ko) 2022-11-11 2023-03-20 송건종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KR20240062342A (ko) 2022-10-31 2024-05-09 박상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8189B (zh) * 2017-03-29 2019-05-07 湖北工业大学工程技术学院 一种绘画学习训练装置及方法
KR102543667B1 (ko)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721Y1 (ko) * 1997-06-28 2000-09-01 안상민 입체형 그림그리기 학습완구
JP2001022517A (ja) * 1999-07-02 2001-01-26 Nyuuton:Kk 手書入力装置
KR20090017065A (ko) * 2007-08-14 2009-02-18 이용재 글자 공부판
KR20100089200A (ko) * 2009-02-03 2010-08-12 양선미 다기능 학습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721Y1 (ko) * 1997-06-28 2000-09-01 안상민 입체형 그림그리기 학습완구
JP2001022517A (ja) * 1999-07-02 2001-01-26 Nyuuton:Kk 手書入力装置
KR20090017065A (ko) * 2007-08-14 2009-02-18 이용재 글자 공부판
KR20100089200A (ko) * 2009-02-03 2010-08-12 양선미 다기능 학습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342A (ko) 2022-10-31 2024-05-09 박상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교구
KR102512237B1 (ko) 2022-11-11 2023-03-20 송건종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36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860B1 (ko)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CN209486630U (zh) 触笔
US20180081456A1 (en) Multipurpose stylus with exchangeable modules
CN104903803B (zh) 用于可靠而有意识地激活可控技术装置的功能和/或运动的方法
US8085253B2 (en) Laptop computer,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USD797762S1 (en) Control board device for machine too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999027A (zh) 终端和界面操作管理方法
WO2007036728A1 (en) Fabric bag including control device
CN203350778U (zh) 一种内藏鼠标的笔记本电脑
CN105437839A (zh) 削笔机
CN105185176A (zh) 一种基于信息化教学的无线手持设备
CN203995360U (zh) 削笔机
CN205039880U (zh) 一种可检测皮肤水分的手机保护套
CN201255931Y (zh) 盲童学习机
CN104142708B (zh) 便携式电子装置
CN204833190U (zh) 一种可视化智能健康鼠标
KR101269854B1 (ko)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단말기용 입력보조장치
CN205334389U (zh) 具滚珠的电容笔
KR101618667B1 (ko)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CN104820599B (zh) 电子终端、及其应用的基于距离感应器的控制方法及系统
CN204631799U (zh) 一种智能鼠标
KR20140122602A (ko) 커버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장치
CN206805488U (zh) 移动终端触控笔状态检测装置和触控笔
CN205942606U (zh) 一种用于虚拟现实的交互控制棒
KR102070491B1 (ko) 천공 위치 파악이 용이한 브레드보드용 스티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