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67B1 -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67B1
KR101618667B1 KR1020140192916A KR20140192916A KR101618667B1 KR 101618667 B1 KR101618667 B1 KR 101618667B1 KR 1020140192916 A KR1020140192916 A KR 1020140192916A KR 20140192916 A KR20140192916 A KR 20140192916A KR 101618667 B1 KR101618667 B1 KR 10161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ommunication module
interface
senso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근
권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티
Priority to KR102014019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4Foot operated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06F3/03546Pens or stylus using a rotatable ball at the tip as position detecting me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지 않아도 화면의 확대, 축소, 이동뿐만아니라, 메뉴의 선택 및 필기의 입력이 가능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3축 방향 가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 및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touch pen using sensor and communication module, and interface control method of smart 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지 않아도 화면의 확대, 축소, 이동뿐만아니라, 메뉴의 선택 및 필기의 입력이 가능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화면의 터치를 통해 필기 입력이 가능한 터치 펜을 제공한다.
하지만,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하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만 다르며, 여전히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때만 동작함에 따라, 터치 펜을 이용하더라도 기능적인 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또한,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감압식 터치스크린 등 터치 스크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펜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20-2013-0001318호 "터치펜"과 같이 터치 스크린의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터치 펜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기능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 펜의 펜촉의 두께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입력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13-0001318호 "터치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면서 입력되는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펜의 기능뿐만아니라, 무선 이어폰의 기능과 저장장치의 기능을 모두 구비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과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3축 방향 가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 및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3축 방향 가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스마트폰으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무선 이어폰과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통신 모듈에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기기와 무선통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통신모듈과 외부기기 사이의 통신감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통신 감도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을 때 제어부의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USB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펜 촉은 상기 USB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 촉의 외주부에 터치 펜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USB단자를 통해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이어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USB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펜의 움직임을 입력 받는 동작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다시 제1 버튼이 제2 시간 이하 이하로 짧게 입력될 때까지 상기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되는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통해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제1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입력되면 상기 상기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펜의 움직임을 입력 받게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입력받은 펜의 움직임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 축소, 이동(드래그)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2 버튼이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1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2 버튼이 제1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2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시에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3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3 버튼이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제1 내지 제3 팝업창 중 어느 하나의 내용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에 의하면, 펜 촉의 변경이 가능하여 터치 스크린의 종류 또는 입력하고자 하는 면적에 따라 펜 촉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에 의하면, 분리 가능한 무선 이어폰의 통신 모듈을 터치 펜이 공유하여 사용하며, 충전을 위한 단자를 저장장치가 공유하여 사용함에 따라, 하나의 통신모듈 또는 하나의 단자로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과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센서로 측정되는 펜의 움직임을 통해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무선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펜 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무선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펜 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도시한 것이며,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 필기 입력을 하기 위해 파지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2)과 상기 몸체(1)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4)과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2)의 입력을 스마트폰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제어부(5)와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5)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모듈이 포함된 무선 이어폰(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위치한 통신모듈과 별개로 무선 이어폰(3)의 통신모듈을 더 구비한 형태일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2)과 상기 몸체(1)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스마트폰으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무선 이어폰(3)과 상기 몸체(1)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4)과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3)의 통신 모듈에 단자(12)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부(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가 상기 무선 이어폰(3)의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기기와 무선통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는 알람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가 무선 이어폰(3)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통신모듈과 외부기기 사이의 통신감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통신 감도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을 때 제어부(5)의 알람장치를 동작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펜을 분실하지 않도록 펜이 소정의 거리 이상 멀어질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장치를 이용하여 경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4)의 고정을 위한 용도로 상기 몸체(1)의 하단에 상기 제어부(5) 또는 무선 이어폰(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장치와 접속을 위한 USB단자(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USB단자(13)는 펜 촉(4)의 고정을 위한 용도 이외에 상기 제어부(5) 또는 무선 이어폰(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상기 제어부(5)에 포함된 배터리 또는 무선 이어폰(3)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가 저장장치를 포함한 형태이거나, 상기 몸체(1)의 내부에 별도의 저장장치를 더 포함한 형태일 경우, 상기 USB단자(13)는 저장장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입출력 단자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즉, 상기 USB단자(13)는 펜 촉(4)의 고정을 위한 용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 저장장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입출력 단자의 용도 등 복수 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2)은 제1 버튼(21), 제2 버튼(22), 제3 버튼(23) 이외에 더 많은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하기에서 설명할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가압식의 제1 버튼(21)과 제2 버튼(22) 및 회전식의 제3 버튼(23)으로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의 내부에 3축 방향 가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부(11)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을 파지하고 움직일 때 터치 펜의 움직임을 가속도를 바탕으로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1)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5)를 통해 제어명령으로 변환되어 무선 이어폰(3)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1)는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 자기장 센서, 광센서 등 다른 형태로 방향 및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무선 이어폰을 도시한 것이며, 사용자가 착용하여 스마트폰과의 음성의 송,수신을 무선 형태로 사용하기 위한 무선 이어폰(3)은 기본적으로 스피커(31), 마이크(32),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이어폰(3)은 몸체(6)와의 탈부착을 위해 몸체(6)의 상단에 끼움결합됨이 바람직하며, 무선 이어폰(3)과 몸체(6)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한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으로 몸체(6)의 상단에 무선 이어폰(3)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통신모듈과 몸체(6) 내의 제어부(도 1의 5)는 단자(1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단자(12)는 상기 통신모듈과 제어부(도 1의 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하나의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면 끼움삽입되는 형태의 단자(12) 이외에 접촉식 단자 등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배터리가 위치하지 않고, 상기 무선 이어폰(3)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형태로 통신모듈뿐만 아니라, 배터리도 공유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제어부(도 1의 5)가 상기 무선 이어폰(3)의 통신모듈과 하나의 회로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에 의하면, 분리 가능한 무선 이어폰의 통신 모듈을 터치 펜의 제어부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통신모듈로 제어부의 무선 통신 기능과 무선 이어폰의 기능 등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무선 이어폰(3)을 터치 펜으로부터 분리하여 무선 이어폰(3)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펜 촉을 도시한 것이며,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4)은 몸체(1)의 하단에 위치한 USB단자(13)가 펜 촉(4)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 홀(42)에 끼움 삽입되는 형태로 펜 촉(4)과 몸체(1)는 결합(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방법에 의해 몸체(1)의 하단에 결합되는 펜 촉(4A 또는 4B)을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40A 또는 40B와 같이 터치(필기 입력)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감압식 터치스크린 등 터치 스크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펜 촉으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된 펜 촉(4C)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펜 촉(4C)이 탄성을 가질 경우, 가압되는 압력에 따라 40A 또는 43A와 같이 펜 촉의 접촉면적이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필기시 압력에 따라 필기 되는 선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촉(4)이 센서를 더 포함한 형태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펜 촉(4)의 첨단부 측의 외주면에 광센서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부(41)를 이용하여 필기시 바닥면(43)으로부터 펜 촉(4)의 움직임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센서부(41)를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도 1의 5)로 전송하기 위해 제어부와 연결된 USB단자(13)에 대응 하는 단자가 단자 홀(42) 내부에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며,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이외의 종이, 책상 등 다른 바닥면(43)에서 필기를 하더라도 스마트폰으로 필기되는 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은 스마트폰에도 필기 입력이 가능하며, 터치 펜이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리지 않아 시인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S1)와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펜의 움직임을 입력 받는 동작 입력단계(S2)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3)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S4)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계는 크게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에서 수행되는 A1, 무선 이어폰에서 수행되는 A2, 스마트폰에서 수행되는 A3로 나눌 수도 있으며, 이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통해 입력되는 사항을 무선 이어폰을 통해 무선으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에 따른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 동작 입력단계(S2), 변환단계(S3), 무선 송신단계(S4),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에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로 되돌아가는 형태로 반복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거나,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에서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로 되돌아가는 형태로 반복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제어 과정에서 전체 과정이 반복되거나, 상기 버튼 입력단계(S1), 동작 입력단계(S2)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으나, 변환단계(S3), 무선 송신단계(S4),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는 항상 포함하게 되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마지막으로 종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버튼 입력단계(S1), 변환단계(S3), 무선 송신단계(S4),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 동작 입력단계(S2), 변환단계(S3), 무선 송신단계(S4),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 순으로 지속적으로 입력을 받으면서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화면의 제어(확대, 축소, 이동)
도 7 또는 도 8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기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21)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입력하게 되면, 제1 버튼(21)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통해 입력되는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펜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을 확대, 축소, 이동(드래그)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제1 버튼(21)을 2초를 초과하여 누르면서, 터치 펜(6)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1 버튼(21)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화면은 확대된다.
다른 예를 들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제1 버튼(21)을 2초를 초과하여 누르면서, 터치 펜(6)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1 버튼(21)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화면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화면의 확대, 축소 이동을 위한 터치 펜(6)의 축 방향(X축방향 에서 -X축 방향, Y축 방향에서 -Y축 방향 등) 또는 화면의 변화 속도 등은 바뀔 수도 있다.
2. 제1 팝업창의 표시
도 9 내지 도 16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1 팝업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제2 버튼(22)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제1 팝업창(61)을 표시하게 된다.
제1 실시예로서, 이미지의 수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을 때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영역 선택, 복사, 잘라내기 등으로 구성된 제1 팝업창(61)을 표시하게 된다.
제1 팝업창(61)이 표시된 이후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거나, 영역 선택을 터치하면 제1 팝업창(61)은 사라지며, 터치 펜(6)을 이용하여 화면에서 소정의 영역(64)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영역 선택(64)을 완료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제1 팝업창(61)을 표시시킨 후 복사를 터치하거나 제3 버튼(23)을 회전시켜 복사가 선택되도록 한 후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선택한 소정의 영역(64)이 복사 되도록 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하고자하는 지점을 터치 펜(6)을 이용하여 터치한 후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제1 팝업창(61)을 표시시킨 후 붙여넣기를 터치하거나,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복사하고자하는 지점에 복사된 소정의 영역(64)을 붙여 넣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하고자하는 지점으로 선택된 영역(64)을 터치 펜(6)을 이용하여 드래그(끌어오기)한 후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제1 팝업창(61)을 표시시킨 후 붙여넣기를 터치하거나,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복사하고자하는 지점으로 드래그(끌어오기)한 선택된 영역(64)을 붙여 넣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팝업창(61)의 내용은 영역 선택, 복사, 잘라내기 이외에 사용환경 또는 동작 순서 및 실행 단계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제 2실시예로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을 때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스마트폰(51)의 화면에 영역 선택, 복사, 잘라내기 등으로 구성된 제1 팝업창(61)을 표시하게 된다.
제1 팝업창(61)이 표시된 이후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거나, 영역 선택을 터치하면 제1 팝업창(61)은 사라지며, 터치 펜(6)을 이용하여 다른 프로그램이 표시된 화면에서 소정의 영역(64)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영역 선택을 완료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제1 팝업창(61)을 표시시킨 후 복사를 터치하거나 제3 버튼(23)을 회전시켜 복사가 선택되도록 한 후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선택한 소정의 영역(64)이 복사 되도록 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된 소정의 영역(64)를 붙여넣고자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동 후 붙여 넣을 지점을 터치 펜(6)을 이용하여 터치한 후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제1 팝업창(61)을 표시시킨 후 붙여넣기를 터치하거나, 제2 버튼(22)을 다시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하고자하는 지점에 복사된 소정의 영역(64)을 붙여 넣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팝업창(61)의 내용은 영역 선택, 복사, 잘라내기 이외에 사용환경 또는 동작 순서 및 실행 단계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버튼(22)을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하여 제1 팝업창(61)을 표시시킨 후 제3 버튼(23)을 회전시켜 제1 팝업창(61)의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제2 버튼(22)을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하거나, 제1 팝업창(61)의 메뉴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된 메뉴에 따른 동작을 실행시키게 된다.
3. 제2 팝업창의 표시
도 17 또는 도 18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2 팝업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제2 버튼(22)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입력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제2 팝업창(62)을 표시하게 된다.
제1 실시예로서, 이미지의 수정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2초를 초과하여 길게 입력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펜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팝업창(62)을 표시하게 된다.
펜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팝업창(62)이 표시된 이후 제3 버튼(23)을 회전시켜 제2 팝업창(62)의 메뉴(굵기)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거나, 제2 팝업창(62)의 메뉴(굵기) 중 하나를 터치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표시된 제2 팝업창(62)의 메뉴는 펜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바뀌게 된다.
제2 팝업창(62)이 펜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된 이후 제3 버튼(23)을 회전시켜 제2 팝업창(62)의 메뉴(색상)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터치 펜(6)의 제2 버튼(22)을 1초 이하로 짧게 입력하거나, 제2 팝업창(62)의 메뉴(색상) 중 하나를 터치하면 제2 팝업창(62)은 사라지며, 터치 펜(6)을 이용하여 선택한 굵기 및 색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3. 제3 팝업창의 표시
도 19 내지 도 22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3 팝업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21)과 제2 버튼(22)이 동시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1 버튼(21)과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제3 팝업창(63)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51)의 화면(52)이 꺼진 상태에서 버튼이 입력될 경우 화면(52)이 켜지면서 제3 팝업창(63)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3 팝업창(63)이 메모를 위한 프로그램의 형태인 제4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 버튼(21)과 제2 버튼(22)이 동시에 1초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생략하고,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제1 버튼(21)과 제2 버튼(22)의 입력을 전송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스마트폰(51)의 화면에 메모를 위한 프로그램의 형태인 제3 팝업창(63)을 표시하게 된다.
제3 팝업창(63)이 표시된 이후 터치 펜(6)을 이용하여 메모를 한 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펜(6)을 이용하여 알림메뉴(64A)를 드래그 하여 도 21에 ㄷ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이 수행되는 시간을 입력하게 된다.
또한, 달력메뉴(64B)를 선택하여 메모된 내용을 선택된 날짜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4. 펜의 동작 입력
도 23은 스마트폰의 화면에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튼 입력단계(S1)를 통해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6)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21)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다시 제1 버튼(21)이 제2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될 때까지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통해 입력되는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화면(52)에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제5 실시예로서, 메모를 위한 프로그램에서 버튼 입력단계(S1)를 제1 버튼(21)이 1초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다시 제1 버튼(21)이 1초 이하로 짧게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가 터치 펜(6)을 움직이며 1, 2, 3을 필기하고 있다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S2)를 통해 터치 펜(6)의 움직임을 센서부(11)를 통해 X축, Y축, Z축 등 3차원으로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면서 상기 변환단계(S3)를 거친 후 무선 송신단계(S3)를 통해 스마트폰(51)으로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단계(S5)를 통해 화면(52)에 터치 펜(6)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전송된 1, 2, 3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몸체
2 : 버튼
3 : 무선 이어폰
4 : 펜 촉
5 : 제어부
11 : 센서부
12 : 단자
13 : USB단자
21 : 제1 버튼
22 : 제2 버튼
23 : 제3 버튼
31 : 스피커
32 : 마이크
41 : 광센서부
42 : 단자 홀
51 : 스마트폰
52 : 화면

Claims (13)

  1.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3축 방향 가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 및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통신모듈과 외부기기 사이의 통신감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통신 감도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을 때 제어부의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2.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 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파지하게 되는 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3축 방향 가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스마트폰으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무선 이어폰과;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 입력시 터치(필기 입력)되는 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탈부착 및 교체 가능한 펜 촉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통신 모듈에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기기와 무선통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통신모듈과 외부기기 사이의 통신감도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통신 감도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을 때 제어부의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USB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펜 촉은 상기 USB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의 외주부에 터치 펜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부는 USB단자를 통해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이어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USB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7.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펜의 움직임을 입력 받는 동작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다시 제1 버튼이 제2 시간 이하 이하로 짧게 입력될 때까지 상기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되는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통해 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제1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입력되면,
    상기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펜의 움직임을 입력 받게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입력받은 펜의 움직임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 축소, 이동(드래그)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2 버튼이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1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2 버튼이 제1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2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시에 제1 시간 이하로 짧게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3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에 있어서,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단계와 동작 입력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센서값을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를 통해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이어폰의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단계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버튼 중 제3 버튼이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제1 내지 제3 팝업창 중 어느 하나의 내용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1020140192916A 2014-12-30 2014-12-30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10161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16A KR101618667B1 (ko) 2014-12-30 2014-12-30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16A KR101618667B1 (ko) 2014-12-30 2014-12-30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667B1 true KR101618667B1 (ko) 2016-05-18

Family

ID=5611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916A KR101618667B1 (ko) 2014-12-30 2014-12-30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710A (zh) * 2016-05-25 2017-12-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耳机插头及耳机
KR20190015686A (ko) 2017-08-04 2019-02-14 주식회사 더한 디지털 통신기능을 갖는 저전력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710A (zh) * 2016-05-25 2017-12-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耳机插头及耳机
CN107437710B (zh) * 2016-05-25 2020-10-1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耳机插头及耳机
KR20190015686A (ko) 2017-08-04 2019-02-14 주식회사 더한 디지털 통신기능을 갖는 저전력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3969B2 (en) Dynamic visual indications for input devices
US9400570B2 (en) Stylus with inertial sensor
KR102184288B1 (ko) 입력 유닛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N103677711B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CN103870028B (zh) 使用笔提供用户交互的终端和方法
KR102087392B1 (ko)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285453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JP2014509768A (ja) 親指に装着可能なカーソル制御及び入力デバイス
US20150234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writing input
EP2818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switching stylus transmissions between stylus-modality signals and non-stylus-modality signals
CN113821113B (zh) 电子设备和触控笔的交互方法、系统和电子设备
CN209765455U (zh) 触笔
KR20110115683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 입력방법
US20150002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Switching Stylus Transmissions Between Stylus-Modality Signals and Non-Stylus-Modality Signals
KR101618667B1 (ko) 센서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TW201325101A (zh) 遠端多點遙控裝置及系統
JP2015158828A (ja) 電子黒板装置
KR10229582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24026166A (ja) 描画システム
KR20160092295A (ko) 다기능 터치 펜
TW201915681A (zh) 具有模式切換功能的觸控方法與系統
EP2787417A1 (en) Multi-control stylus
KR2015001708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문서 편집 방법
US20210181867A1 (en) Digital pen adapter shells
JP2013054726A (ja) 操作端末ユニット及び操作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