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237B1 -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237B1
KR102512237B1 KR1020220150483A KR20220150483A KR102512237B1 KR 102512237 B1 KR102512237 B1 KR 102512237B1 KR 1020220150483 A KR1020220150483 A KR 1020220150483A KR 20220150483 A KR20220150483 A KR 20220150483A KR 102512237 B1 KR102512237 B1 KR 10251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ackrest
spiral
chair bac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건종
Original Assignee
송건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건종 filed Critical 송건종
Priority to KR102022015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착석부의 후방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되는 의자에 있어서, 착석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일측이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인출입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피스톤부로 형성되어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실린더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실린더의 직선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홀더부 및 홀더부에 연동되어 실린더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CHAIR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SEAT BACK}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작동으로 홀더부가 실린더의 외경을 밀착하거나 이격되게 하여 실린더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자는 좌석, 등받이, 팔걸이 등으로 구성되고, 보다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좌석, 등받이에 쿠션재를 부가하기도 한다.
다양한 종류의 의자 중 이발소나 미용실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이미용 의자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등받이를 뒤로 젖혀 편안히 누울 수 있다. 그리고 근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등받이 의자도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각도로 눕혀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는 전동식과 수동식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먼저, 전동식은 사용이 간편한 이점은 있으나, 모터를 사용하여 동력원을 얻어 등받이를 뒤로 젖히거나 세우는 기구적 구조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부피도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 수동식은 레버를 당겨 등받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회동을 자유롭게 한 후 등받이를 뒤로 밀어주어 원하는 각도가 되게 한다. 그리고 레버를 밀어 등받이의 움직임을 정지함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등받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동식은 전동식에 비하여 제작비용은 적으나, 단순한 구조로 인해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동식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는 등받이의 각도 변화를 주기 위한 구조와 등받이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필요로 하여 복잡한 문제가 있다.
특히, 등받이의 최대 세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등받이가 세워질 때 과도하게 세워져 사람이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4860호(2013. 02.1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버의 작동으로 홀더부가 실린더의 외경을 밀착하거나 이격되게 하여 실린더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나선부를 회동하여 결합부가 나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게 하여 홀더부가 실린더부의 외경을 밀착하거나 이격되는 단순한 구조로 실린더부의 직선왕복 이동을 제한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받이가 착석부의 후방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인출입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피스톤부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직선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ㄱ자로 형성된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는 관으로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각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판으로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각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나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는 관으로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각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판으로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각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나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결합부의 각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나선부의 양측에 나선 결합된 나선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부를 회동 시, 상기 결합부의 방향으로 상기 나선볼트가 직선왕복 이동하여 상기 결합부를 서로 인접 또는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나선부의 일단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나선부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결합부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을 인입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나선부를 다른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결합부를 서로 인접시키는 경우 상기 수용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외경을 밀착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되게 연장된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의 일단에 레버가 연결된 축부; 상기 축부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된 지지편;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나선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편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부를 회동시키는 수평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수평대의 타측에 상기 지지편이 연결되는 홀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슬라이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축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대가 직선왕복 이동 시, 상기 지지편이 유격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레버의 회동 각도만큼 상기 축부가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평대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나선부를 회동시키고, 상기 수평대의 이동거리만큼 상기 실린더가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인접하게 이동하여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는 레버를 작동하여 실린더의 외경을 밀착하거나 이격되게 하여 실린더의 길이를 가변시켜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 인해 복잡한 구조로 제조된 등받이 의자보다 부품의 결함이 적어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고, 수리 및 부품의 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는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나선부를 회동하여 나선볼트로 결합부의 양측면을 밀착하거나 느슨하게 하여 결합부의 스프링백의 현상으로 결합부가 서로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를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게 함으로써, 홀더부가 실린더부의 외경을 밀착하거나 이격하여 실린더부의 직선왕복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는 레버의 작동으로 링크부에 연동된 홀더부의 나선부를 회동하여 등받이를 눕히거나 원래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를 회동 후 원래 위치로 복귀 시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인출입하는 피스톤부에 의해 등받이의 급격한 회동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일측면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홀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홀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링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링크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일측면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홀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홀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링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링크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10)는 실린더부(100), 홀더부(200) 및 링크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10)는 등받이가 착석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후로 회동되는 의자에 있어서, 착석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110)와 일측이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인출입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11)의 일측에 고정된 피스톤부(120)로 형성되어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부(100), 실린더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실린더의 직선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홀더부(200) 및 홀더부에 연동되어 실린더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링크부(300)를 포함한다.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각 구성간의 결합 또는 연결을 위해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일반적인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부(100)는 착석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의 하부에 일단이 회동되게 결합되어 등받이의 하부를 밀거나 잡아당긴다.
즉, 실린더부(100)는 등받이의 하부를 잡아당기면 착석부의 후방 양측에 결합된 힌지를 축으로 등받이가 눕혀지게 회동한다. 그리고 등받이의 하부를 밀어내면 눕혀졌던 등받이가 착석부의 전방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를 위해, 실린더부(100)는 실린더(110), 피스톤부(120) 및 연결브라켓(130)을 더 포함한다.
실린더(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에 체결홀(111)을 형성한 관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111)은 등받이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브라켓의 사이에 축 결합되어 등받이의 하부를 밀거나 잡아당길 때 유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피스톤부(120)는 실린더(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인출입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11)의 일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1)은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에 결합된 각각의 프레임이 착석부의 후방으로 하향되어 착석부의 하부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석부의 하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1)의 일단에 피스톤부(120)의 타측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부(120)는 타측이 지지프레임(11)의 일측에 고정되어 실린더(110)의 직선왕복 이동에 따라 일측이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실린더(110)의 길이를 가변되게 한다.
연결브라켓(130)은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ㄱ자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나선부(230)와 링크부(300)를 서로 연동되게 한다.
즉, 연결브라켓(130)은 홀더부(200)를 형성하는 결합부(220)에 나선결합되는 나선부(230)의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 결합부(220)의 높이만큼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링크부(300)를 형성하는 수평대(330)의 일측이 나선부(230)를 회동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게 해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홀더부(200)는 실린더(110)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실린더(110)의 직선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부(200)는 수용부(210), 결합부(220) 및 나선부(230)를 더 포함한다.
수용부(210)는 일측이 개방되어 실린더(110)를 수용하는 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210)는 실린더(110)의 외경을 둘러싸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돌기 또는 요철을 형상하여 실린더(110)의 외경이 접촉 시,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결합부(220)는 수용부(210)의 개방된 각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22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인접하여 수용부(210)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실린더(110)의 외경을 밀착하거나 이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결합부(22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하여 후술하는 나선부(230)의 회동으로 서로 인접된 상태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선부(230)는 결합부(22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각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즉, 나선부(230)는 결합부(220)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선을 형성하지 않고, 양측에만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나선볼트(240)를 나선부(230)의 양단에 결합하여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면 서로 다른방향의 나선에 의해 나선볼트(240)가 결합부(220)의 일면으로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10)에 있어서, 홀더부(200)는 나선볼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볼트(240)는 결합부(220)의 각 외측면에 배치되어 나선부(230)의 양측에 나선 결합되는 것으로, 나선부(230)의 회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나선을 따라 결합부(220)의 일면을 향해 직선왕복 이동한다.
이와 같은, 홀더부(200)는 나선부(230)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결합부(220)가 서로 이격되어 실린더(110)가 피스톤부의 일측을 인입하여 지지프레임(11)으로 인접하게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를 회동시킨다.
여기서, 결합부(220)는 나선부(230)의 일방향 회동에 의해 스프링백의 현상으로 벌어지게 되어 서로 이격되는 것이다.
또한, 홀더부(200)는 나선부(230)를 다른방향으로 회동하여 결합부(220)를 서로 인접시키는 경우 수용부(210)가 실린더부(100)의 외경을 밀착하여 실린더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10)에 있어서, 홀더부(200)는 연결편(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250)은 연결브라켓(13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선부(230)의 일단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연결편(250)은 나선부(230)의 일단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판재의 일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편(250)은 후술하는 수평대(330)의 일측이 결합되어 수평대(330)의 직선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나선부(23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링크부(300)는 홀더부(200)에 연동되어 실린더부(10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링크부(300)는 축부(310), 지지편(320) 및 수평대(330)를 더 포함한다.
축부(310)는 지지프레임(11)의 일측에 회동되게 연장된 축으로 형성되고, 축의 일단에 레버(311)가 연결된다.
즉, 축부(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지지프레임(11)의 일측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판과 판의 일면에 형성된 홀에 회동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축부(310)는 중앙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형성되어 회동 시 돌기가 피스톤부(120)의 타단에 접촉하여 회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는, 축부(310)의 회동을 제한하여 수평대(330)의 직선왕복 이동으로 수평대(33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상 이동 시, 각 구성들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편(320)은 축부(310)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된 것으로 연결브라켓(13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축부(310)와 나선부(230)의 높이의 차이를 줄여준다.
또한, 지지편(320)은 수평대(3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의 일단이 볼트 결합된다.
수평대(3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나선부(23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편(320)에 연결되어 축부(310)의 회동에 대응하여 나선부(23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10)에 있어서, 링크부(300)는 슬라이딩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홀(340)은 수평대(330)의 타측에 지지편(320)이 연결되는 홀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것이다.
이는, 축부(310)의 회동에 대응하여 수평대(330)가 직선왕복 이동 시, 지지편(320)이 유격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축부(310)의 회동으로 축부(310)의 일단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편(320)은 회동각에 따라 원의 중심으로부터 지름이 넓어진다. 이때, 지지편(320)에 연결된 수평대(330)는 직선왕복 이동하여 서로의 높이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축부(310)의 회동이 제한되거나 수평대(330)의 타측이 높이의 변화로 축부(310)의 회동만큼 나선부(23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대(330)에 슬라이딩홀(340)을 형성하여 지지편(320)이 유격을 갖게함으로써, 수평대(330)의 직선왕복 이동을 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링크부(300)는 레버(311)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레버(11)의 회동 각도만큼 축부(310)가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수평대(330)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나선부(230)를 회동시키고, 수평대(330)의 이동거리만큼 실린더(110)가 지지프레임(11)으로 인접하게 이동하여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레버(311)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사용자가 등받이를 눕히기 위한 힘을 준다.
이때, 도 4의 (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11)에 연결된 지지편(320)이 축부(310)를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지지편(320)에 연결된 수평대(330)가 홀더부(2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이로 인해, 수평대(330)의 일측이 연결편(250)을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연결편(250)에 결합된 나선부(230)를 회동시킨다.
다음, 나선부(230)의 회동으로 인해 나선볼트(240)는 나선부(230)의 양단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된 결합부(220)를 느슨하게 풀어준다. 그리고 결합부(220)는 백스프링의 현상으로 벌어지게되어 서로 이격된다.
결합부(220)의 이격으로 실린더(110)의 외경을 밀착한 수용부(210)가 실린더(110)의 외경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사용자가 등받이를 후방으로 눕히도록 회동하는 힘에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된 실린더(110)의 일측이 착석부의 하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110)는 피스톤부(12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하며 지지프레임(11)의 일측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직선이동을 하게 되어 등받이는 착석부의 후방으로 회동하여 눕혀지게 된다.
다음, 도 4의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동시켰던 레버(11)는 자체 무게 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경우, 지지편(320)이 전술한 회동방향과 다른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측으로 이동한 수평대(330)가 다시 타측으로 이동하여 연결편(250)이 다른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연결편(250)에 연결된 나선부(230)도 다른방향으로 회동하여 나선볼트(240)가 결합부(220)를 서로 인접하게 이동시킨다.
다음, 결합부(220)의 인접으로 인해 수용부(210)는 실린더(110)의 외경을 밀착하여 실린더(1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등받이는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레버(311)의 일방향 회동 및 다른방향 회동을 반복하여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를 원래 위치로 회동 시키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311)를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결합부(220)를 이격시킨다.
이때, 실린더(110)의 내부에 일측이 위치한 피스톤부(120)의 자체 압력으로 인해 실린더(110)가 피스톤부(120)의 일측을 인입시키며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눕혀졌던 등받이가 원래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110)의 직선왕복 이동의 거리를 홀더부(200)로 제어하여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눕히도록 회동시키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 시 실린더(110)의 자제 압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11 : 지지프레임 100 : 실린더부
110 : 실린더 120 : 피스톤부
130 : 연결브라켓 200 : 홀더부
210 : 수용부 220 : 결합부
230 : 나선부 240 : 나선볼트
250 : 연결편 300 : 링크부
310 : 축부 311 : 레버
320 : 지지편 330 : 수평대
340 : 슬라이딩홀

Claims (8)

  1.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에 결합된 각각의 프레임이 상기 착석부의 후방으로 하향되어 상기 착석부의 하부의 전방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착석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후로 회동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인출입하고,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피스톤부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를 둘러싸며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직선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연동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는 관으로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각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판으로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각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나선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결합부의 각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나선부의 양측에 나선 결합된 나선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부를 회동 시, 상기 결합부의 방향으로 상기 나선볼트가 직선왕복 이동하여 상기 결합부를 서로 인접 또는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나선부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결합부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을 인입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인접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나선부를 다른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결합부를 서로 인접시키는 경우 상기 수용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외경을 밀착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되게 연장된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의 일단에 레버가 연결된 축부;
    상기 축부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된 지지편;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나선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편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부를 회동시키는 수평대를 더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수평대의 타측에 상기 지지편이 연결되는 홀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슬라이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축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대가 직선왕복 이동 시, 상기 지지편이 유격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레버의 회동 각도만큼 상기 축부가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평대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나선부를 회동시키고, 상기 수평대의 이동거리만큼 상기 실린더가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인접하게 이동하여 상기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KR1020220150483A 2022-11-11 2022-11-11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KR10251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483A KR102512237B1 (ko) 2022-11-11 2022-11-11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483A KR102512237B1 (ko) 2022-11-11 2022-11-11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37B1 true KR102512237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483A KR102512237B1 (ko) 2022-11-11 2022-11-11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22Y1 (ko) * 2003-08-16 2003-11-01 송건종 무단 변각 방석의자 골격
KR101234860B1 (ko) 2011-01-21 2013-02-19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22Y1 (ko) * 2003-08-16 2003-11-01 송건종 무단 변각 방석의자 골격
KR101234860B1 (ko) 2011-01-21 2013-02-19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526B2 (en) Reclining chair
JP6641000B2 (ja) 椅子の構造及び椅子
US6945599B2 (en) Rocker recliner mechanism
US6796611B2 (en) Synchronizing mechanism for office chairs
US6692078B2 (en) Low profile articulated footrest assembly and rocking armchair using same
EP1566120A1 (de) Rückenlehne, insbesondere für einen Bürostuhl
CN113229663B (zh) 一种椅背调节机构
EP1301107A1 (de) Ergonomischer büro-stuhl mit ausleger-fuss
US20200015594A1 (en) Adjustment device for a headrest
CN104337258A (zh) 椅子
US20050140183A1 (en) Reclining chair with foot and leg rest
US20230397727A1 (en) Slim-profile, all-linkage, wall-proximity reclining mechanism allowing a wood-to-floor recliner seating unit
CN108601455A (zh) 用于装饰家具的可调节腰部支撑装置
CN104207520B (zh) 用于转椅底盘的椅背翘板锁定机构
KR102512237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ITTO20000538A1 (it) Sedia con sedile e schienale oscillanti in modo sincronizzato.
US11259635B2 (en) Seat and seatback linkage mechanism
CN210844141U (zh) 一种按摩椅
CN112293997A (zh) 一种动力伸展装置
ITMI980894A1 (it) Supporto inclinabile per sedia
JP2001190352A (ja) 椅 子
CN213820608U (zh) 动力伸展装置
CN210930412U (zh) 一种休闲椅
CN109419196B (zh) 用于办公椅的背座同步联动装置
CN110123602A (zh) 一种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