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087B1 -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087B1
KR101234087B1 KR1020070008722A KR20070008722A KR101234087B1 KR 101234087 B1 KR101234087 B1 KR 101234087B1 KR 1020070008722 A KR1020070008722 A KR 1020070008722A KR 20070008722 A KR20070008722 A KR 20070008722A KR 101234087 B1 KR101234087 B1 KR 10123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audio signal
sound
channel
li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301A (ko
Inventor
텟페이 요코타
노부유키 키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24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935091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7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을 음향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채널수보다도 적은 스피커로 되며, 또한, 대음량으로 재생해도 이웃집 등에의 소리의 전파를 경감할 수 있는 음향재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리스너의 양쪽 귀의 근방에, 스피커 유닛(11SW1, 11SW2)을, 그것의 진동판의 전후에서 나오는 소리가 혼합 가능하도록, 배플판에 부착하지 않고,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다. 이 스피커 유닛(11SW1, 11SW2)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가 다른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입력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음성신호 출력수단을 설치한다.
음향 재생, 서라운드 음성, 홈시어터, 가상 음원 처리

Description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AUDIO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요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실시예의 동작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의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요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개요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6은 도 15의 일부의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제4 실시예의 개요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제4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4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3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4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6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7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8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스피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1은 종래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음성신호 출력 장치부
4…리스너
11FL…전방 좌측 채널용의 스피커
11FR…전방 우측 채널용의 스피커
11C…센터 채널용의 스피커
11RL…후방 좌측 채널용의 스피커
11RL…후방 우측 채널용의 스피커11SW1∼11SW4…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되는 스피커
20,71,87,89…의자
22,72,731,732,74,76,771,772,78,83,85,88…스피커 지지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5.1채널 등과 같은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방식의 음성신호를 재생할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음향 재생 방법 및 음향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시어터 시스템으로 불리는 영상음향 재생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이 영상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로부터의 영상재생은, 비교적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서 행하는 동시에, 음향재생은,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방식, 요즘은, 5.1채널 방식을 채용하여, 박력이 있는 영상 및 음향재생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5.1채널 방식의 음향재생 시스템에서는, 리스너의 전방(이하 프론트라고 한다), 리스너의 정면(이하 센터라고 한다), 리스너의 후방(이하 리어라고 한다), 저역 전용의, 4종류의 스피커가 필요하고, 저역전용의 스피커인 서브우퍼는, 본래, 100Hz 이하의 대역을 모노럴로 담당하고 있다. 그 밖의 스피커는, 100Hz로부터 20kHz의 대역을 담당한다.
종래, 5.1채널 방식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는, 도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전방의, 좌측에 프론트 좌측 채널용 스피커(10FL)이, 오른쪽에 프론트 우측 채널용 스피커(10FR)가, 또한 정면에 센터 채널용 스피커(10C)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리스너(4)의 후방의, 좌측에 리어 좌측 채널용 스피커(10RL)이, 오른 쪽에 리어 우측 채널용 스피커(10RR)이, 각각 배치된다. 더구나, 적당한 위치에, LFE(Low Frequency Effect) 채널용(저역전용)의 서브우퍼 스피커(10SW)가 배치된다.
이들 6개의 스피커(10FL, 10FR, 10C, 10RL, 10RR, 10SW)는, 각각 스피커 박스(상자)에 장착되고,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다. 보통, 전후의 6개의 스피커는, 리스너(4)와의 거리 ds가, 예를 들면 2미터 정도로 되어 배치되는 일이 많다.
종래의 음향재생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15리터 정도의 스피커 박스가 이용되어 있었던 프론트 좌우 채널용의 스피커는, 1리터 전후의 작은 박스로 변하고, 새틀라이트 스피커로도 부르고 있다. 당연 저역은 나오지 않으므로, 그것을 보조하기 위해서 서브우퍼라고 불리는 저역전용의 스피커가 1개 추가되어 있다. 이렇게, 서브우퍼 이외의 스피커를 소형의 박스로 했을 경우에는, 서브우퍼(10SW)에 공급하는 음성신호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150Hz로, 상기한 100Hz보다도 약간 높게 되어있는 일도 많지만, 상당히 낮은 주파수인 것에는 변함은 없다.
이러한 배치의 스피커 시스템에서, DVD로부터의 5.1채널의 음성신호를 재생하면, 당연한 것이지만 충분한 저음이 재생된다. 게다가, 저역전용으로 재생측도 특별히 채널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영화 등의 소스에서는 종래에 없을 만큼의 중저음이 방 안에 울려 퍼져, 박력이 있는 현장감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벽이나 바닥이 튼튼하지 않은 가옥에서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을 음향재생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6개의 스피커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 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와, 외부에의 소리 누설에 의한 소음의 문제가 있다.
즉, 일반적인 5.1채널의 스피커 구성에서는, DVD의 영상음향 감상에 있어서, 박력있는 소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90dB 정도 이상의 음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리스너가 멀티채널 서라운드의 효과를 양호하게 얻으려고 했을 경우에는, 외부에의 소음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생긴다.
이때, 일반적으로, 고영역의 소리는 차음이 용이하고, 벽이라든가 도어 1개로 상당한 소리를 쇠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100Hz 이하와 같은 저역의 소리의 경우에는, 차음은 간단하게 할 수 없고, 작은 가옥에서는, 이 저역의 소리를 차단할 만큼 방의 넓이를 잡을 수 없는 일 많다. 특히 서브우퍼가 맡는 50Hz, 40Hz라고 하는 저음은, 울려, 상당한 범위로 소리가 전파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브우퍼로부터 소리가 재생되었을 때에, 이웃의 방은 물론, 상하의 방까지 소리가 울려 폐를 끼칠 우려가 있다. 특히 낮은 대역의 소리일수록 차음이 어려워, 서브우퍼의 사용은, 작은 주택에서는 큰 문제이며, 모처럼의 5.1채널의 음향재생 시스템도,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 불가늘하다는 현상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특개평 5-95591호)에는, 중고음은 소형 스피커(스피커 유닛이 스피커 박스에 수납되는 타입)으로 음향재생하고, 저음역은 저음용 헤드폰이나 골전도로,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서 음향재생하도록 한 음향재생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저음은 헤드폰이나 골전도로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서 음향재생되므로, 리스너에는 대음량으로 들려도, 이웃집에는 전해지지 않 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은,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95591호
그렇지만, 상기의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는, 저역의 소리를 귀의 근방에서 재생하는 것이라도, 스피커가 아니고, 헤드폰이나 골전도를 이용한 진동체로 되어 있다. 스피커 이외의 진동체로, 스피커와 동등한 저역감을 얻는 것은, 개인차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큼 꾸밈없는 감각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또한 리스너는 헤드폰이나 골전도용의 헤드셋을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더구나,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는, 저역의 소리에 관한 소음의 문제는 경감되지만, 다수개의 스피커를 좁은 스페이스에 배치해야 만 한다고 하는 문제는,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을 음향재생할 경우에 있어서, 채널수보다도 적은 스피커로 되고, 또한, 대음량으로 재생해도 이웃집 등에의 소리의 전파를 경감할 수 있는 음향재생 방법 및 음향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스피커 유닛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의 각각의 진동판의 전후에서 나오는 소리가 혼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을, 배플판에 부착하지 않고,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가 다른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입력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처리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음성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은,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리스너에게는 대음량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스피커 유닛은 배플판에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향재생된 음성은,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의 전후에서 방출된다.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 앞과 뒤에서 나오는 소리는, 서로 반대의 위상(역위상)이 되므로, 외부에 전파하는 소리는 서로 상쇄되어, 쇠퇴된다. 특히 저역일수록, 이 쇠퇴가 커서, 이웃집에 전파되는 음성, 특히 저역음성은 현저하게 경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스피커 유닛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프론트 채널의 음성이나 리어 채널의 음성이, 가상 음원 처리(음상전위처리)되어서 공급되고, 그것들의 프론트 채널이나 리어 채널의 음성이, 음향재생된다. 이 때문에, 프론트 채널용 스피커나 리어 채널용 스피커를 설치할 필요 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몇가지 실시예를, 전술한 5.1채널 방식의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을 음향재생할 경우를 예로 들어,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 제1 실시예는, DVD 플레이어에서 재생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사용하고,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신한 디지탈 방송 신호를 사용하여, 영상감시 및 5.1채널의 서라운드 음성청취를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1은, 이 제1 실시예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은, 2개의 스피커 11FL 및 11FR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상기(1)와, DVD 플레이어(2)과,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와, 유저(4)의 양쪽 귀의 근방에 설치되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5.1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재생용으로서, 텔레비젼 수상기(1)의 2개의 스피커 11FL 및 11FR를 사용한다. 이 2개의 스피커 11FL 및 11FR는, 텔레비젼 수상기(1)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1)와는 분리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유저(4)의 양쪽 귀의 근방에 설치되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는, 5.1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 저역음성 재생용, 즉, 서브우퍼로 된다. 그리고,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이 서브우퍼가 되는 2개의 스피 커11SW1 및 11SW2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5.1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 리어 좌우 2채널 음성의 음성신호가,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 있어서 가상 음원 처리되어서 공급된다.
텔레비젼 수상기(1)는, 디지탈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수신한 디지탈 방송 신호로부터,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고, 텔레비젼 수상기(1)의 표시 화면(1D)에,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스피커 11FL 및 11FR에 의해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음성을 음향재생한다.
이 경우,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이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일 때에는, 스피커 11FL 및 11FR로부터 방출되는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음성은,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에, 센터 채널, 리어 좌우 2채널 등의 음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로 수신되어서 재생된 음성신호 Au1은,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 공급된다.
DVD 플레이어(2)는, DVD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해서 출력한다. 이 예에서는, DVD 플레이어(2)에서 재생된 영상신호 Vi는, 텔레비젼 수상기(1)에 공급되어서, 표시 화면(1D)에, 상기 재생 영상신호 Vi에 의한 재생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DVD 플레이어(2)에서 재생된 음성신호 Au2은, 이 예에서는,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 공급된다.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는, 이 실시예에서는, 5.1채널의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방식에 대응하는 디코드 기능을 갖추고, 텔레비젼 수상기(1)에서 수신한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을 5.1채널 서라운드 음성으로 재생할 때는, 유저(4)의 양쪽 귀의 근방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공급하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대응하는 각 스피커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는, DVD 플레이어(2)에서 재생한 영상 및 음성의 재생시에는, 유저(4)의 양쪽 귀의 근방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공급하는 음성신호 뿐만 아니라, 텔레비젼 수상기 (1)의 좌우 2채널용의 2개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공급하는 음성신호를 생성하고, 각각 대응하는 각 스피커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은, 텔레비젼 수상기 (1)의 좌우 2채널용의 2개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대하여는, (프론트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L +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 및 (프론트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R +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을 공급한다.
또한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은,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의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소위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RL*+저역 음성신호 LFE 및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RR*+저역 음성신호 LFE를 공급한다.
[제1 실시예의 스피커 배치예]
다음에 도 2에,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스너(4)의 전방의, 좌측에 프론트 좌측 채널용 스피커(11FL)가, 오른쪽에 프론트 우측 채널용 스피커(11FR)가, 각각 배치된다.
이들의 스피커(11FL, 11FR)는, 이 예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 (1)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소형의 스피커 박스(12FL, 12FR)의 전방면측(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방면 패널)을 배플판으로서, 각각용의 스피커 유닛(13FL, 13FR이 부착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스피커(11FL, 11FR)는, 어느 채널인가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하, 프론트 스피커라고 칭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리스너(4)의 좌우의 귀의 근방에 있어서,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그 진동판이 각각의 귀에 대향하도록, 리스너(4)의 머리부를 끼워서 배치된다. 2개의 서브우퍼 11SW1 및 11SW2가, 리스너(4)의 머리부이나 귀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것들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그것의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의 전후에서 방사되는 소리가 혼합 가능하도록, 해당 스피커 유닛은 스피커 박스에는 수납되어서 있지 않고, 또한, 배플판에 장착되어 있지도 않다. 즉, 이들 스피커 유닛은 진동판의 전방면 및 후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그러나, 음향적인 작용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메쉬나 구멍 개방 보드로 그 외관을 덮거나, 구멍 개방 배플판에 부착하거나 할 수는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의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에는, LFE 채널의 저역음성신호가 공통적으로 공급되고, 이들 스피커 11SW1 및 11SW2로부터 같은 위상으로 LFE 채널의 저역음이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서브우퍼가 된다. 이하, 이 스피커 11SW1 및 11SW2을 서브우퍼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결과, LFE 채널의 저역음는,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리스너(4)에게는 대음량으로 청취되지만, 리스너(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서브우퍼 11SW1, 11SW2의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 앞과 뒤에서 나오는 소리가, 서로 180도 위상이 달라,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거의 청취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저역의 소리가 이웃집에까지 전파하여, 폐를 끼쳐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저역의 소리의 쇠퇴를 확인하기 위해서, 무향실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우퍼용으로 되는 예를 들면 17센티미터의 구경의 스피커 유닛 11SW로부터의 소리를, 스피커 유닛 11SW로부터 거리 d만큼 떨어진 위치의 마이크로폰(14)으로 수음하고, 그 음압레벨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한 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것이 되었다. 이 경우, 스피커 유닛 11SW는, 박스에 수납하거나, 배플판에 부착되어 있지는 않다.
도 4에 있어서의 4개의 주파수 특성곡선은,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 이 상기 스피커 유닛 11SW와 마이크로폰(14)과의 거리 d가, 각각 d=10센티미터, d=20센티미터, d=40센티미터, d=80센티미터일 때의 것이다.
이 도 4로부터, 스피커 유닛을 박스에 들어가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1kHz 이하의 소리는 상당히 쇠퇴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저역의 소리가 될 수록 그 쇠퇴량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서브우퍼 11SW 1,SW2과, 리스너(4)의 좌측 귀, 우측 귀와의 사이의 각각의 거리 dsw는, 저역의 소리가 리스너(4)의 귀에 그만큼 쇠퇴될 일이 없이 전달되는 거리, 이 예에서는, dsw=20센티미터 정도로 한다.
예를 들면 서브우퍼 2SW와 리스너(4)의 귀까지의 거리를 2미터로 한 일반적인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우퍼 11SW 1, 11SW2과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각각과의 거리는, 20센티미터로 했을 경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거리가 1/10이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스너(4)가 같은 음압을 느끼기 위해서 필요한 에너지는, 상기의 일반적인 것의 경우의 1/100로 되게 된다. 즉, 상기의 일반적인 예에서 가령 100W(와트)의 앰프를 필요로 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1W의 앰프에서도 같은 음압을 느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에 공급하는 음성신호 출력의 차이에 의한 것만으로도 소리의 확산이 작을 뿐만 아니라, 낮은 소리, 예를 들면 20Hz, 30Hz, 40Hz가 되면, 위상의 점에서 캔슬되어, 서브우퍼의 스피커 유닛의 극히 근방 이외에서는 대 부분 소리는 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DVD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박력있는 음향효과는, 이 저음의 대역에 큰 에너지를 수록함으로써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방음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저역음만에 주목하여, 해당 저역음만을 쇠퇴시키는 것을 생각했을 경우에는, 충분하게 효과가 얻어진다. 이때, 같은 방법으로, 스피커 11SW1 및 11SW2로부터, 저역음 이외의 소리를 음향재생해서 방출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5.1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경우, 센터 채널의 음성 및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이 더 있다. 종래에는, 센터 채널의 음성용 스피커(11C)는, 도 2에서, 리스너(4)의 전방에 있어서 점선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 박스(12C)의 전방면측을 배플판으로 하여, 스피커 유닛(13C)이 부착된 것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전방면측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종래는,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용 스피커 11RL 및 11RR는, 도 2에서, 리스너(4)의 후방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형의 스피커 박스 12RL 및 RR의 각각에, 해당 스피커 박스의 전방면측을 배플판으로서 부착된 리어용의 스피커 유닛 13RL 및 13RR가 배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 채널의 음성 및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은, 그것들 전용의 스피커 11C이나 11RL, 11RR를 설치하지 않고, 전술한 것과 같이 하여, 텔레비젼 수상기의 2개의 스피커 11FL, 11FR 및 리스너(4)의 양쪽 귀 근방의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
즉,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 L 및 R에 각각 가산하여, 스피커 11FL, 11FR의 각각에 공급하고, 이것들 스피커 11FL, 11FR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한다.
또한 리어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RL은 가상 음원 처리한 음성신호 RL*으로 하여, 리스너(4)의 좌측 귀에 대향하는 스피커 11SW1에 공급해서 음향재생한다. 더구나, 리어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RR는 가상 음원 처리한 음성신호 RR*로 하여 리스너(4)의 우측 귀에 대향하는 스피커 11SW2에 공급해서 음향재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리스너(4)의 귀까지의 거리가 작으므로, 리어 좌우 2채널 음성신호 RL 및 RR에 관해서도, 그 음역에서의 방사 에너지를 작게 해서, 방음에 기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스너(4)의 귓 전 가까이에 배치한 서브우퍼 11SW 1,11SW2에 의해, 가상 음원 처리한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을 음향재생하는 것은, 원래, 리어 좌우 2채널 음성은, 리스너(4)의 배면에서의 잔향음 등이 중심인 음원이기 때문에, 그만큼 정위 위치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스피커 절약, 저소음을 실현하면서, 양호한 서라운드 음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것과 같이, 서브우퍼 11SW1, 11SW2의 음압은, 해당 서브우퍼 11SW1, 11SW2과 리스너(4)의 귀와의 사이의 거리 dsw가, 일반적인 예의 2미터에 비교하여 20센티미터가 되는 것으로 20dB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리어 좌우 2채널 음성신호 RL, RR 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을 고려한 스피커 배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마사지 체어와 같은 구조의 의자에, 각각 스피커를 설치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도 5은, 그 경우의 일례이며, 전술한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배치되어야 할 2개의 스피커 11SW1, 11SW2가, 의자에 장착된 구조로 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의자(20)은, 비행기의 비즈니스 클래스의시트와 같은 구조로, 의자(20)의 등받이부(21)의 상단부(21a)에, 스피커 지지구(22)가 부착되고, 이 스피커 지지구(22)에, 서브우퍼 11SW1, 11SW2가 장착되어 유지된다.
도6a 및 도 6b는, 스피커 지지구(22)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스피커 지지구(2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2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221)은 편평한 링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 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서브우퍼 11SW1, 11SW2과, 다시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11SW4가 고정, 지지되는 구조가 되어 있다.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11SW4은, 리스너(4)의 귀의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서브우퍼 11SW1, 11SW2만으로는, 청감상, 저역의 소리가 파워 부족으로 느껴질 경우가 있어서, 해당 파워 부족을 보충하는 위한 것으로, 이들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11SW4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이들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11SW4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저 역음성신호(LFE 신호)만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들의 보조용 서브우퍼 11SW3, 11SW4에도, 서브우퍼 11SW1, 11SW2와 같은 방법으로, 가상 음원 처리한 음성신호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파이프(221)는, 편평한 링 모양 형상으로 구성되고 있고, 또한, 그 링 모양 부분이,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얼굴의 정면방향을 제외하는 머리부의 옆(좌우의 귀와 대향하는 쪽)과 머리부의 후방부를 둘러싸도록, 거의 ⊃자형(U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 모양 파이프(221)에는, 의자(20)의 등받이부(21)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다리부(222a, 222b)가 연결해서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 다리부(222a, 222b)에 의해, 의자(20)의 등받이부(21)에, 예를 들면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의자(20)의 등받이부(21)의 상단부(21a)에는, 장착 다리부(222a, 222b)가 삽입 끼워지는 긴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장착 다리부(222a, 222b)가, 해당 등받이부(21)의 긴 구멍에 삽입 끼워짐으로써, 장착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형(U자 모양)의 링 모양 파이프(221)의, 리스너(4)가 의자에 앉았을 때에, 리스너(4)의 좌우의 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서브우퍼 11SW1 및 11SW2가, 파이프(221)에 고정되어서 유지된다. 또한 리스너(4)의 머리부의 후방이 되는 링 모양 파이프 위치에,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11SW4가, 파이프(221)에 고정되어서 유지된다.
이 예의 경우, 리스너(4)가 의자(20)에 앉았을 때, 서브우퍼 11SW1∼SW4 과, 리스너(4)의 머리부(특히 귀)의 거리는, 이 예에서는, 20센티미터 정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피커 11SW1∼11SW4에의 대응하는 채널의 음성신호는, 이 예에서는,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로부터, 각각 신호선(스피커 케이블))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구성예]
도7은, 본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은, 음성신호처리부(300)과,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100)을(를) 구비한다.
제어부(10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에 대하여, 시스템 버스(102)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는 ROM(Read Only Memory)(103), 워크 에어리어용의 RAM(Random Access Memory)(104), 여러개의 입출력 포트(105∼108), 유저 조작 인터페이스부(110),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등이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저 조작 인터페이스부(110)은,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키 조작부 등 이외, 리모트 코멘더와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은, 텔레비젼 수상기(1)로부터의 음성신호 Au1과,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 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 수신된 음성신호 Au1 및 Au2은, 입력 선택용 스위치회로(301)에 공급된다.
이 입력 선택용 스위치회로(301)은, 유저 조작 인터페이스부(110)을 통한 유저의 선택 조작에 따라, 제어부(100)의 입출력 포트 105을 통한 전환 신호에 의해 전환된다. 즉, 유저에 의해, 텔레비젼 수상기(1)로부터의 음성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위치회로(301)은, 음성신호 Au1을 선택하도록 전환되고, 또한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위치회로(301)은, 음성신호 Au2을 선택하도록 전환된다.
그리고, 이 스위치회로(301)에서 선택된 음성신호는, 5.1채널 디코드부(302)에 공급된다. 5.1채널 디코드부(302)에서는, 스위치회로(301)로부터의 음성신호 Au1 또는 Au2을 받아, 채널 디코드 처리를 하고, 프론트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L, R와,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과,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RL, RR와, 저역음성신호 LFE를 출력한다.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프론트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L과,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합성부(303)에 공급되어서 합성되어, 그 합성 출력 음성신호(L+C)가, 앰프(305)을 통해서 음성출력 단자(307)에 도출된다. 이 출력 단자(307)에 얻어지는 음성신호는, 텔레비젼 수상기(1)의 한쪽의 스피커 11FL에 공급된다.
또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프론트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R와,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합성부(304)에 공급되어서 합성되고, 그 합성 출력 음성 신호(R+C)가, 앰프(306)를 통해서 음성출력 단자(308)에 도출된다. 이 출력 단자(308)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는, 텔레비젼 수상기(1)의 다른 쪽의 스피커 11FR에 공급된다.
앰프 305 및 306은, 음성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뮤팅 기능을 갖추고 있고, 제어부(100)의 입출력 포트 107을 통한 뮤팅신호에 의해 뮤팅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1)로부터의 음성신호 Au1을 수신할 때에는,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로부터는, 텔레비젼 수상기(1)에서 재생된 음성신호가 음향재생되므로, 앰프 305 및 306는, 뮤팅제어되어서, 음성신호장치부(3)로부터의 음성신호가,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한편,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을 수신할 때에는, 앰프 305 및 306은, 뮤팅제어되지 않고, 음성신호장치부(3)로부터의 음성신호가,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공급된다.
또한, 앰프 305 및 306을 뮤팅제어하는 구성 대신에, 5.1채널 디코드부(302)에 있어서, 텔레비젼 수상기(1)로부터의 음성신호의 디코드시에는, 프론트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L, R 및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을 디코드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그를 위한 제어신호는, 입출력 포트 106을 통해서 공급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에 5.1채널 디코드부(302)에서 디코드되어서 얻어진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 RL, RR는, 가상 음원 처리부로서의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 공급된다.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은, 예를 들면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미리,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에 준비되어 있는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를,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 RL과 RR에 대하여, 컨벌루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서는, 그것의 입력 음성신호가 디지탈 신호가 아닐 때에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가 컨벌루션이 행해진 후, 아날로그 신호에 되돌아와 출력된다.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는, 이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되어서 구해지져,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에 격납된다. 도8은,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좌우 양쪽 귀의 근방에, 좌측 채널 측정용 마이크로폰(41) 및 우측 채널 측정용 마이크로폰(42)을 설치한다. 다음에 리스너(4)의 후방의, 통상, 리어 좌측 채널용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과 같은 장소에, 해당 리어 좌측 채널용 스피커 11RL을 배치한다. 그리고, 이 리어 좌측 채널용 스피커 11RL에서, 예를 들면 임펄스를 음향재생했을 때의 방출 음성을, 각각의 마이크로폰(41, 42)으로 수음하고, 그 수음한 음성신호로부터, 리어 스피커 11RL로부터의 좌우의 귀까지의 전달함수(리어 좌측 채널에 관한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를 측정한다.
같은 방법으로 하여, 리어 우측 채널용 스피커 11RR에서, 예를 들면 임펄스를 음향재생했을 때의 방출 음성을, 각각의 마이크로폰(41, 42)으로 수음하고, 그 수음한 음성신호로부터, 리어 스피커 11RR로부터의 좌우의 귀까지의 전달함수(리어 우측 채널에 관한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를 측정한다.
또한,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는, 리어 스피커 RL 및 RR를, 예를 들면 리스너(4)의 후방 중앙에서 좌우로 30도에서, 2m의 위치에 스피커를 두었을 때에, 각 스피커로부터 귀까지의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얻은 전달함수로 하면 된다.
전달함수에 대해서 더욱 보충한다. 예를 들면 도 8의 좌후방에서 좌측 귀에 오는 전달함수를 전달함수 A라고 한다. 다음에 귀의 근방에 있는 스피커 11SW1로부터 마이크 41까지의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얻은 전달함수를 전달함수 B라고 한다. 그리고, 전달함수 B에, 어떤 전달함수 X를 곱하면 전달함수 A가 되도록 하는 전달함수 X를 구하고, 근방의 스피커 11SW1에 보내지는 신호음에, 구한 전달함수 X와 컨벌루션을 수행하면, 그 때에 스피커 11SW1로부터 방출되는 소리는, 마치 좌후방 2m에서 온 것 같이 느껴진다.
단, 반드시 전달함수 X를 구하면 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전달함수 A 만으로도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전달함수의 1개를 대표해서 기술했지만, 도 8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달함수는, 실제로는 복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측정된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가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에 기억되고,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 입출력 포트 108을 통 해서 공급되어,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 있어서 컨벌루션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이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로부터의 음성신호 RL* 및 RR*을, 양쪽 귀 근방에 배치한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공급해서 음향재생했을 때에는, 리스너(4)는, 마치, 후방의 좌우의 리어 스피커 11RL 및 11RR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재생 음성을 청취한다.
이 때의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RL* 및 RR*의 레벨은, 스피커 11RL 및 11RR에 공급할 경우의 신호레벨보다도, 낮은 레벨이어도 된다.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한 머리부 전달함수 컨벌루션에 의해, 가상적인 스피커 위치에서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되기 때문에, 이상의 처리를 가상 음원 처리로 부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로부터의 가상 음원 처리가 행해진 음성신호 RL* 및 RR*은, 합성부 311 및 312에 공급된다. 합성부 311 및 312에는,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저역음성신호 LFE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 합성부 311 및 312의 출력 음성신호가, 앰프 313 및 314을 통해서, 음성출력 단자 315 및 316에 도출된다.
이들 음성출력 단자는,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서브우퍼로서, 저역음성신호 LFE를 음향재생하는 동시에,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RL* 및 RR*을 음향재생한다.
이 경우에, 텔레비젼 수상기(1)로부터의 음성신호 Au1을 5.1채널 디코드부(302)로 디코드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음향재생을 할 경우,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로부터의 방출 음성에는,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 11SW1 및 11SW2로부터 방출되는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이,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로부터의 방출음성에 포함되는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에 의해, 음원 정위가 영향을 받지는 않을가 하는 문제이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의 위치보다도 충분하게 리스너(4)에 가깝고, 이 때문에, 스피커 11SW1 및 11SW2로부터의 방출 음성쪽이,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로부터의 방출 음성보다도, 훨씬 빨리 리스너(4)에 도달한다.
따라서, 하스(Haas)효과에 의해, 리스너(4)는, 리어 음성으로서는, 스피커 11SW1 및 11SW2로부터의 방출 음성만을 청취하는 상태가 되고,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공급하는 음성신호로부터,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를 미리 제거하는 등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또한,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에 공급하는 음성신호계에 대해서는, 도 7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상기한 것과 같이, 이들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에는, 저역음성신호 LFE만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RL 및 RR를, 저역음성신호 LFE에 덧해서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도 5에 나타낸 의자(20)에 멀티채널용 스피커를 부착한, 제 1 실시예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의자(20)에 앉은 리스너(4)은, 채널수보다도 작은 수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대음량으로, 현장감이 있는 멀티채널 음성을 즐길 수 있는 동시에, 주위에의 소리의 누설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우퍼용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을 박스에 수납하지 않고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한 것에 의해, 중저음이 인접한 방으로 새는 것을 대폭 쇠퇴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우퍼용의 채널 이외의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도, 이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의해 가상 음원 처리해서 방출하도록 하였으므로, 그것의 음성신호 레벨을 낮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저음 뿐만 아니라, 주위에의 소리의 누설의 레벨을 한층 더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심야의 DVD 감상에서도 다른 사람을 걱신경쓰지 않고, 충분한 음량으로 즐길 수 있다.
또한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했으므로, 음성신호 출력 파워는 극단적인 경우, 종래의 경우의 1/100 정도로 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출력 앰프)의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더구나, 음성출력 파워는, 작은 파워로 되므로, 스피커는 큰 스트로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얇고, 가볍고, 저렴한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음성출력 파워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발열이 줄어들고, 전원 등의 장치의 소 형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구동도 가능해서, 의자 등의 디자인 내부에 매립할 수 있다.
따라서, 토탈로 음향재생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감상하는 사람의 만족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주변에의 소음도 줄이는 음향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방음창에 있어서도, 5kHz에서 45dB 쇠퇴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도, 1kHz에서는 36dB, 100Hz에서는 20dB까지 떨어져 간다. 하물며, 50Hz 이하에서는, 한층 더 쇠퇴량은 적어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한 서브우퍼의 방음 효과는 현저하여, 방의 방음 공사까지 하고, 영상음향 재생을 즐기는 것을 생각하면, 그것이 절약할 수 있는 비용효과는 대단히 큰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DVD 플레이어(2)의 재생시에는, 음성신호 Au2은,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을 통해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을 텔레비젼 수상기(1)에 공급하도록 하고,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시 와 마찬가지로, 스피커 11FL 및 11FR에서는, 5.1채널의 음성이 혼합된 음성이 방출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1)의 스피커 11FL 및 11FR에 공급되는 음성신호 라인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때,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는, 의자(20)의 좌석 표면 아래 등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는, 멀티채널 음성신호의 공급원, 텔레비젼 수상기(1)나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을, 신호 케이블을 통해서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텔레비젼 수상기(1)나 DVD 플레이어(2)와 의자의 사이를 신호 케이블로 접속해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DVD 플레이어 등에, 전파나 빛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멀티채널의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 해당 무선송신되어 오는 멀티채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설치함으로써, DVD 플레이어(2) 등과, 의자(20)의 사이의 신호 케이블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DVD 플레이어 등의 멀티채널 음성신호의 공급원으로부터의 음성신호 출력을, 전파나 빛으로 전송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DVD 플레이어 등과 음향재생 시스템 사이는 코드리스가 되어, 예를 들면 음향재생 시스템을 장착한 의자(20)는, 자유롭게 이동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좌우 2채널 음성용의 스피커는, 텔레비젼 수상기(1)의 2개의 스피커 11FL 및 11FR를 사용했다. 이에 대하여,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론트 좌우 2채널 음성용의 스피커는, 별개로 설치한 2개의 스피커 51FL 및 51FR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2개의 스피커 51FL 및 51FR는,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 박스 52FL 및 52FR에, 예를 들면 해당 스피커 박스의 전방면을 배플판으로 하여 스피커 유닛 53FL 및 53FR이 부착된 것이다.
그리고,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영상출력 신호 Vi는, 텔레비젼 수상기(1)가 아니고, 스피커와는 별개의 표시 모니터 장치(15)에 공급되어서, 그 표시 화면(15D)에 표시되게 된다.
2개의 스피커 51FL 및 51FR는, 각각 독립된 것으로서,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해도 좋지만,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의자(20)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론트 좌측 채널용의 스피커 51FL은, 이 예에서는, 의자(20)의 좌측의 팔걸이부(23L)에 대하여, 예를 들면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착 암(24L)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팔걸이부(23L)에는, 장착 암(24L)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스피커 51FL이 선단부에 고정되어서 부착되어 있는 장착 암(24L)이, 그 장착부에 장착됨으로써, 의자(20)에 부착된다. 이때, 이 경우, 스피커 11FL의 위치는, 리스너(1)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영상의 시청시의 방해가 안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프론트 우측 채널용 스피커 51FR도, 마찬가지로, 장착 암의 선단부에 고정되어서 부착되어 있고, 그 장착 암이, 의자(20)의 오른쪽의 팔걸이부의 장착 암 장착부에 대하여, 장착됨으로써 부착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회로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회로(301)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앰프 305 및 306에 대한 뮤팅제어 기능도 불필요하게 되어, 음성출력 단자 307 및 308에 얻어진 음성신호가, 프론트 좌우 채널의 스피커 51FL 및 51FR에 각각 공급되는 것이다.
그 이외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 제2 실시예 에 의하면, 프론트 좌우 채널용의 스피커 51FL 및 51FR는, 비교적 리스너의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피커 51FL 및 51FR로부터의 방출 음성의 음량을, 제1 실시예의 경우의 스피커 11FL 및 11FR보다도 스피커의 방출 음성보다도 낮출 수 있어, 전체로서 저소음화에 도움이 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스피커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저소음화를 꾀하도록 했다. 그러나, 리어용 스피커는, 비교적, 리스너(4)의 부근에 있어서도, 서라운드 효과를 손상하는 일은 적으며, 이 때문에, 저소음화에의 기여는 적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리어용 스피커는, 실제 스피커를, 리스너(4)의 근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프론트 좌우 2채널에 공급하는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배치한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로 음향재생하도록 하고, 프론트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를 삭감하도록 한다.
도11은, 이 제3 실시예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영상출력 신호 Vi는, 표시 모니터 장치(15)에 공급되어서, 그 표시 화면(15D)에 비추어진다.
리스너(4)의 근방에는, 서브우퍼로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 뿐만 아 니라,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가 설치된다. 이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의 각각은,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형의 스피커 박스 62RL 및 62RR의 각각에, 예를 들면 그것의 전방면판을 배플판으로 하여 리어용 스피커 유닛 63RL 및 63RR의 각각이 부착된 것이다.
그리고,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는,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만이 공급된다.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서는, 음성신호 Au2로부터, 서브우퍼 11SW1 및 11SW2(보조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에 공급하는 저역음성신호 LFE 및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에 공급하는 리어 좌우 2채널 음성신호 RL 및 RR를 생성하는 동시에, 프론트 좌우 2채널 음성신호 L 및 R를 생성해서 가상 음원 처리하여, 그 가상 음원 처리한 음성신호 FL* 및 FR*을, 서브우퍼 11SW1 및 11SW2에 공급하는 음성신호에 가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은, 이 예에서는, 가상 음원 처리되는 프론트 좌우 2채널 음성신호 L 및 R의 각각에 합성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의 스피커 배치예]
도 12은,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스피커로서는,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설정되는 서브우퍼용의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과,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11RL 및 11RR이다. 전술한 바와 같 이, 스피커 11SW1, 11SW2 뿐만 아니라,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11RL, 11RR도, 리스너(4)과는, 예를 들면 dsw=20cm 만큼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터 채널용의 스피커 11C, 프론트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11FL 및 11FR는, 도 12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체로서는 설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 스피커에 공급되는 음성신호가 가상 음원 처리되어서,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공급되고, 그들 스피커가, 각각,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이, 리스너(4)가 청취 할 수 있도록 음향재생된다.
또한,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는,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에 가산되어, 그 후에 해당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가 합성된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가 가상 음원 처리됨으로써, 가상적으로, 도 12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스피커 11C의 위치에서 방출되도록 리스너(4)가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마사지 체어와 같은 구조의 의자에, 각각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3은,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의자(20)에 스피커를 배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서브우퍼 11SW1, 11SW2에 덧붙여,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가, 의자(20)에 장착된 구조로 된 것이다. 이 예로, 전술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는, 전술한 스피커 지지구(22)에, 서브우퍼 11SW1, 11SW2와 함께 장착되어 유지된다. 즉,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는, 스피커 지지구(22)을 구성하는 편평한 링 모양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리스너(4)의 머리부의 비스듬한 후방의 위치에, 고정,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이 예에 있어서도,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가, 제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리스너(1)가 의자(20)에 앉았을 때, 서브우퍼 11SW1∼SW4 및 리어 스피커 11RL, 11RR와, 리스너(4)의 머리부(특히 귀)의 거리는, 이 예에서는, 20센티미터 정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구성예]
도 15은, 본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과 마찬가지로, 음성신호처리부(300)과,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 대신에,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이 설치되는 점이 다를뿐으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다.
또한 음성신호처리부(300)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선택용 스위치회로(301)는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처리부(300)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5.1채널 디코드부(302)가 설치되는 동시에, 제1 실시예의 경우의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 대신에,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가 설치된다.
5.1채널 디코드부(302)에서는,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을 받고, 채널 디코드 처리를 하고, 프론트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L, R와,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과,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RL, RR와, 저역음성신호 LFE를 출력한다.
그리고,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프론트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L과,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합성부(303)에서 합성되어, 그 합성 출력 음성신호(L+C)가, 가상 음원 처리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 공급된다. 또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프론트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R와,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합성부(304)에서 합성되어, 그 합성 출력 음성신호(R+C)가,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 공급된다.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은,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미리,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에 준비되어 있는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를, 합성부 303 및 304로부터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컨벌루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서는, 그것의 입력 음성신호가 디지탈 신호가 아닐 때에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 가 컨벌루션 수행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복귀되어 출력된다.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는, 이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되어서 구해져,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에 격납된다. 도16은,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좌우 양쪽 귀의 근방에, 좌측 채널 측정용 마이크로폰(41) 및 우측 채널 측정용 마이크로폰(42)을 설치한다. 다음에 리스너(4)의 전방의, 통상, 프론트 좌측 채널용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과 같은 장소에, 해당 프론트 좌측 채널용 스피커(11FL)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프론트 좌측 채널용 스피커(11FL)에서, 예를 들면 임펄스를 음향재생했을 때의 방출 음성을, 각각의 마이크로폰(41,42)으로 수음하고, 그 수음한 음성신호로부터, 프론트 스피커(11FL)로부터의 좌우의 귀까지의 전달함수(프론트 좌측 채널에 관한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을 측정한다.
같은 방법으로, 프론트 우측 채널용 스피커(11FR)에서, 예를 들면 임펄스를 음향재생했을 때의 방출 음성을, 각각의 마이크로폰(41,42)으로 수음하고, 그 수음한 음성신호로부터, 프론트 스피커(11FR)로부터의 좌우의 귀까지의 전달함수(프론트 우측 채널에 관한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을 측정한다.
이때,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는, 프론트 스피커 FL 및 FR를, 예를 들면 리스너(4)의 전방 중앙에서 좌우로 30도로, 2m의 위치에 스피커를 두었을 때에, 각 스피커로부터 귀까지의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얻은 전달함수로 하면 된다.
전달함수에 대해서 더욱 보충한다. 예를 들면 도16의 좌측 전방에서 좌측 귀에 오는 전달함수를 전달함수 A라고 한다. 다음에 귀의 근방에 있는 스피커 11SW1로부터 마이크로폰 41까지의 전달함수를 측정하여 얻은 전달함수를 전달함수 B라고 한다. 더구나, 전달함수 B에, 어떤 전달함수 X를 곱하면 전달함수 A가 되도록 하는 전달함수 X를 구하고, 근방의 스피커 11SW1에 보내지는 신호음에, 구한 전달함수 X를 컨벌루션 수행하면, 그 때에 스피커 11SW1로부터 방출되는 소리는, 마치 좌측 전방 2m에서 온 것 같이 느껴진다.
단, 반드시 전달함수 X를 구하면 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전달함수 A 만으로도 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이상의 설명은, 전달함수의 1개를 대표해서 기술했지만, 도16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달함수는, 실제로는 복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측정된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가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에 기억되고,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 입출력 포트 108을 통해서 공급되어,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서 컨벌루션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이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서는, 가상 음원 처리된 프론트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FL*에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가 합성된 것과, 가상 음원 처리된 프론트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FR*에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가 합성된 것이 얻어진다.
이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로부터의 음성신호(FL*+C) 및 (FR*+C)을, 양쪽 귀 근방에 배치한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공급해서 음향재생했을 때에는, 리스너(4)는, 마치, 전방의 좌우의 프론트 스피커 11FL 및 11FR 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재생 음성을 청취하는 동시에, 센터 채널 음성을 중앙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한다.
이 때의 음성신호(FL*+C) 및 (FR*+C)의 레벨은, 스피커 11RL 및 11RR에 공급할 경우의 신호레벨보다도, 낮은 레벨이어도 된다.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가상 음원 처리가 행해진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로부터의 음성신호(FL*+C) 및 (FR*+C)은, 합성부 321 및 322에 공급된다. 합성부 321 및 322에는,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저역음성신호 LFE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 합성부 321 및 322의 출력 음성신호가, 앰프323 및 324을 통해서, 음성출력 단자 315 및 316에 도출된다.
이들 음성출력 단자는,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서브우퍼로서, 저역음성신호 LFE를 음향재생하는 동시에, 가상 음원 처리된 음성신호(FL*+C) 및 (FR*+C)을 음향재생한다.
또한,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에 공급하는 음성신호계에 대해서는, 도 15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상기한 것 같이, 이들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에는, 저역음성신호 LFE만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가상 음원 처리된 음성신호 (FL*+C) 및 (FR*+C)을, 저역음성신호 LFE에 덧붙여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리어 좌 우 2채널의 음성신호 RL 및 RR는, 각각 앰프 325 및 326을 통해서, 음성출력 단자 327 및 328의 각각에 도출되어, 이 음성출력 단자 327 및 328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리어 좌우 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에 공급되어서, 음향재생된다.
이 경우에, 리어 좌우 채널용의 스피커 61RL 및 61RR는,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이들 스피커 61RL 및 61RR에 공급되는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의 레벨은 낮은 레벨이어도 된다.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채널수보다도 적은 수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대음량으로, 현장감이 있는 멀티채널 음성을 즐길 수 있는 동시에, 주위에의 소리의 누설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론트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가상 음원 처리하여, 리스너(4)의 귀의 근방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의해 음향재생하도록 했으므로, 주위에의 소리의 누설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 제4 실시예는, 5.1채널의 서라운드 음성의 모두를, 리스너(4)의 귀의 근방에 설치한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의해, 방출하도록 하여, 저소음화 및 에너지 절약화의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한 경우이다.
도17은, 이 제4 실시예에 의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 와 마찬가지로,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영상출력 신호 Vi는, 표시 모니터 장치(15)에 공급되어서, 그 표시 화면(15D)에 비추어진다.
스피커는, 리스너(4)의 근방에 설치되는 서브우퍼로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만이 설치된다.
그리고,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는,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만이 공급된다.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에서는, 음성신호 Au2로부터, 서브우퍼 11SW1 및 11SW2(보조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에 공급하는 저역음성신호 LFE를 생성하는 동시에, 프론트 좌우 2채널 음성신호 FL, FR 및 리어 좌우 2채널 음성신호 RL 및 RR를 생성하고, 각각 가상 음원 처리하여, 그 가상 음원 처리한 음성신호를, 서브우퍼 11SW1 및 11SW2에 공급하는 음성신호에 가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이 예에서는, 가상 음원 처리되는 프론트 좌우 2채널 음성신호 L 및 R의 각각에 합성하도록 한다.
[제4 실시예의 스피커 배치예]
도18은,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스피커로서는,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설치되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 뿐이다.
센터 채널용의 스피커 11C, 프론트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11FL 및 11FR, 리어 좌우 2채널용의 스피커 11RL 및 11RR는, 도18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체로서는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 스피커에 공급되는 음성신호가 가상 음원 처리되어서, 스피커 11SW1 및 11SW2에 공급되어, 그들 스피커가, 각각,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이, 리스너(4)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음향재생된다.
또한,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는,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에 가산되어, 그 후에 해당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가 합성된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가 가상 음원 처리됨으로써, 가상적으로, 도18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스피커 11C의 위치에서 방출되도록 리스너(4)가 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스피커 11SW1 및 11SW2(필요에 따라 보조용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을 포함한다)는, 예를 들면 상기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여, 의자(20)에 부착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구성예]
도 19은, 본 제4 실시예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도,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 장치부(3)와 마찬가지로, 음성신호처리부(300)과,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부(100)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부(100)와 비교하면,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에 덧붙여,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을 구비하는 동시에, 입출력 포트 109가 추가되는 점이 다르다. 제어부(100)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다.
또한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처리부(300)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선택용 스위치회로(301)는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신호처리부(300)에 있어서는, 5.1채널 디코드부(302)가 설치된다 동시에, 제1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과, 제3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의 양쪽이 설치된다.
그리고, 5.1채널 디코드부(302)에서는, DVD 플레이어(2)로부터의 음성신호 Au2을 받고, 채널 디코드 처리를 하여, 프론트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L, R와,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과, 리어 좌우 채널의 음성신호 RL, RR와, 저역음성신호 LFE를 출력한다.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프론트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 L과,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합성부(303)에서 합성되어, 그 합성 출력 음성신호(L+C)가,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상 음원 처리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 공급된다. 또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프론트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 R와,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 C는, 합성부(304)에서 합성되어, 그 합성 출력 음성신호(R+C)가,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 공급된다.
또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 RL 및 RR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상 음원 처리부를 구성하는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 공급된다.
그리고,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에는, 제1 실시예에서,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하여 측정된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가 기억되어 있다. 이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기억부(111)에 기억되어 있는 머리부 리어 전달함수는, 판독되어서 입출력 포트 108을 통해서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 공급되고, 이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에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리어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에 컨벌루션이 행해진다.
또한,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에는, 제3 실시예에서, 도16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해서 측정된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가 기억되어 있다. 이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기억부(112)에 기억되어 있는 머리부 프론트 전달함수는, 판독되어서 입출력 포트 109를 통해서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 공급되고, 이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에서, 합성부 303 및 304로부터의,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가 합성되어 있는 프론트 좌우 2채널의 음성신호에 컨벌루션이 행해진다.
그리고,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로부터의 가상 음원 처리된,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가 합성되어 있는 프론트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는, 합성부 321에 있어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저역음성신호 LFE와 합성된 후, 합성 회로(331)에 공급되어서,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로부터의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좌측 채널의 음성신호와 합성된다. 그리고, 이 합성 회로(331)로부터 의 합성 음성신호가, 앰프(333)를 통해, 음성출력 단자(335)를 통해서 스피커 11SW1에 공급된다.
같은 방법으로, 프론트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20)로부터의 가상 음원 처리된, 센터 채널의 음성신호가 합성되어 있는 프론트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는, 합성부 322에 있어서, 5.1채널 디코드부(302)로부터의 저역음성신호 LFE와 합성된 후, 합성 회로(332)에 공급되어서, 리어 전달함수 컨벌루션 회로(310)로부터의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우측 채널의 음성신호와 합성된다. 그리고, 이 합성 회로(332)로부터의 합성 음성신호가, 앰프(334)를 통해, 음성출력 단자(336)를 통해서 스피커 11SW2에 공급된다.
따라서,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서브우퍼로서, 저역음성신호 LFE를 음향재생하는 동시에, 가상 음원 처리된 프론트 음성신호(FL*+C) 및 (FR*+C), 또한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음성신호 RL* 및 RR*을 음향재생한다.
또한,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에 공급하는 음성신호계에 대해서는, 도 19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이들 보조용의 서브우퍼 11SW3 및 11SW4에는, 저역음성신호 LFE만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가상 음원 처리된 음성신호 (FL*+C) 및 (FR*+C), 또한 가상 음원 처리된 리어 음성신호 RL* 및 RR*을, 저역음성신호 LFE에 덧붙여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의 스피커 11SW1, 11SW2 만에 의해, 대음량으로, 현장감이 있는 멀티채널 음성을 즐길 수 있는 동시에, 주위에의 소리의 누설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음 향재생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의자에 스피커를 부착하도록 해서 저역재생용의 스피커를,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하는 구성이지만,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시키는 구성으로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의자에 부착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의자에 고정된 스피커 지지구에,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스피커 유닛이, 스피커 박스에 수납되는 않고, 또한, 배플판에 부착되지 않고, 소위 알몸의 상태로 장착된 경우이지만, 스피커 지지구는, 의자에 고정되지 않고 있어도 좋다.
도20 및 도21에 나타낸 예는,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스피커 지지구를, 의자(7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예이다.
도20의 예에 있어서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스피커 지지구(72)의 T자형의 장착 암(72a)의 양측에 부착된다. 2개의 스피커 11SW1 및 SW2은, 그것의 진동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스피커 지지구(72)에 부착된다.
이 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스피커 11SW1의 진동면과, 스피커 11SW2의 진동면 사이의 거리는, 해당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사이에 리스너(4)의 머리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리스너(4)의 양쪽 귀와,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각각의 사이의 거리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거리 dsw가 되도록 되어 있다.
스피커 지지구(72)의 T자형의 장착 암(72a)의 중앙 암(72b)은, 이 예에서는, 의자(71)에 설치된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71a)에 삽입되어, 의자(71)에 스피커 지지구(72)를 부착하기 위한 부분이 된다.
의자(71)의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71a)은, 의자(71)의 배판부의, 리스너(4)가 앉았을 때의 어깨 넓이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도20의 예에 있어서는, 리스너(4)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을 사용해서 악곡을 청취할 때에, 스피커 지지구(72)의 중앙 암(72b)을, 의자(71)의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71a)에 삽입 장착하고, 스피커 11SW1 및 11SW2을, 의자(71)에 대하여 장착하도록 한다.
도20의 예에 있어서는, 리스너(4)은, 의자(71)에 앉으면, 자신의 양쪽 귀의 근방의, 해당 양쪽 귀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dsw 만큼 떨어진 위치에,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배치되고, 저역의 음성은, 작은 음량이라도 리스너(4)에 있어서 충분한 음량으로 재생되어, 주위에 대하여는 저소음이 된다.
또한, 도21의 예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각각이, 스피커 지지구 731과, 스피커 지지구 732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의자(71)의 배판부의, 리스너(4)가 앉았을 때의 어깨 넓이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스피커 지지구 731을 삽입 끼워맞추는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 71b가 형성되고, 의자(71)의 배판부의, 리스 너(4)가 앉았을 때의 어깨 넓이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에, 스피커 지지구 732을 삽입 끼워맞추는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 71c이 설치된다.
이 도21의 예에 있어서는, 리스너(4)는, 스피커 11SW1 및 11SW2을 사용해서 악곡을 청취할 때에는, 스피커 지지구 731을, 의자(71)의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 7lb에 삽입 장착하는 동시에, 스피커 지지구 732을, 의자(71)의 스피커 지지구 장착 구멍 71c에 삽입 장착하여, 스피커 11SW1 및 11SW2을, 의자(71)에 대하여 장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의자(71)에 대하여, 스피커 지지구 731 및 732을 장착했을 때의, 스피커 11SW1의 진동면과, 스피커 11SW2의 진동면 사이의 거리는, 해당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사이에 리스너(4)의 머리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리스너(4)의 양쪽 귀와,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각각의 사이의 거리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거리 dsw가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21의 예에 있어서도, 리스너(4)는, 의자(71)에 앉으면, 자신의 양쪽 귀의 근방의, 해당 양쪽 귀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dsw만큼 떨어진 위치에,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배치되어, 저역의 음성은, 작은 음량이라도 리스너(4)에 있어서 충분한 음량으로 재생되고, 주위에 대하여는 저소음이 된다.
도20 및 도21의 예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의자(71)의 사용시에는, 스피커 지지구 72나 스피커 지지구 731,732을, 의자(71)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방해될 일이 없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이상의 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의자에 대하여 부착하도록 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2의 예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도20이나 도21의 예와 같은 거리를 갖고 대향해서 부착된 스피커 지지구(74)가, 매달기 부재(75)에 의해, 예를 들면 천정으로부터 매달린 예이다.
도22의 예의 경우, 예를 들면 매달기 부재(75)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지만, 그것의 천정으로부터의 길이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해당 길이 조정에 의해, 예를 들면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의자(71)에 앉은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의, 해당 양쪽 귀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dsw 만큼 떨어진 위치에,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23의 예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도20이나 도21의 예와 같은 거리를 갖고 대향해서 부착된 스피커 지지구(76)가, 스탠드식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이다.
또한, 도24의 예는, 도23의 예와 마찬가지로, 스피커 지지구가 스탠드식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이지만, 이 도24의 예의 경우에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각각이, 독립된 스탠드 형식의 스피커 지지구 771 및 772의 각각에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23의 예의 경우에는, 스피커 지지구(76)을, 리스너(4)에 대하여,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면,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전술한 도20 및 도21의 예와 같은 방법으로, 정확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도24의 예의 경우에는, 스피커 지지구 771 및 772은, 완전히, 분 리 독립된 것이므로, 스탠드 형식의 스피커 지지구 771 및 772의 각각을, 리스너(4)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한다.
도25의 예는,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도20이나 도21의 예와 같은 거리를 갖고 대향해서 부착된 스피커 지지구(78)가, 벽(79)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었을 경우이다.
이 도25의 예의 경우에는, 도23의 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거리는, 스피커 지지구(78)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리스너(4)는, 자신의 머리부을, 이들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중앙에 두도록 하면 좋다.
도26의 예는, 의자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스피커 지지부를 장착하는 예의 다른 예이다. 이 도26의 예에 있어서는, 의자(71)의 배판 부분(81)의 배면측에, 철판(82)을 매립해 둔다.
한편,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가, 도20이나 도21의 예와 같은 거리를 갖고 대향해서 부착된 스피커 지지구(83)에는, 마그넷부(84)가, 예를 들면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스피커 지지구(83)는, 마그넷부(84)을, 의자(71)의 배판 부분(81)의 철판(82)에 자기흡인력에 의해 흡착시킴으로써, 의자(71)의 배판 부분(81)에 고정하도록 한다.
이 도26의 예에 있어서도, 리스너(4)는, 의자(81)에 앉아, 자신의 머리부를 2개의 스피커 11SW1 및 11SW2의 중앙에 두도록 하면 좋다.
이상은, 한사람의 리스너(4)에 대한 서브우퍼의 배치예이지만, 복수인이 동 시에 악곡의 청취를 즐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도27∼도30은, 그러한 복수인이 동시에 악곡을 즐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스피커 11SW1, 11SW2에 대응하는 스피커의, 해당 복수의 리스너에 대한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7 및 도28은, 두사람의 리스너 4A 및 4B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를, 각각의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한 음향재생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예는, 도26의 예의 응용예이다.
도27의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스피커 지지구(85)에는, 리스너 4A 용의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2A가 부착되는 동시에, 리스너 4B용의 2개의 스피커 11SW1B, 11SW2B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피커 지지구(85)에는, 도 28a에 나타내는 긴 의자(87)의 배판 부분에, 도26의 예와 마찬가지로 매립된 철판(도시 생략)에 대하여, 자기흡인력에 의해 흡착되는 마그넷부(86)(도27 참조)가, 예를 들면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2A의 리스너 4A 에 대한 배치 관계 및 2개의 스피커 11SW1B, 11SW2B의 리스너 4B에 대한 배치 관계는, 전술의 예와 같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만, 스피커 11SW2A 및 스피커 11SW2B의 진동판은, 이 예에서는, 도2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 11SW1A 및 스피커 11SW1B의 진동판과는 대향하고 있지 않고, 리스너 4A 및 리스너 4B의 후방에서 소리를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스피커 11SW2A 및 스피커 11SW2B은, 그들 진동판으로부터의 음파의 방사 방향이, 다른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1B의 진동판으로부터의 음파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피커 11SW2A 및 스피커 11SW2B의 위치는, 그것의 진동판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 해당 진동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선을 상정했을 때, 그 선의 위치가 리스너의 귀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고, 또한, 리스너의 귀와 해당선 사이의 거리가 상기 거리 dsw가 되게 된다.
따라서, 두사람의 리스너 4A, 4B가, 긴 의자(87)에 앉은 상태에서는, 도 28a와 같이 되어, 리스너 4A에 대하여는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2A에 의해 재생음이 제공되고, 리스너 4B에 대하여는 2개의 스피커 11SW1B, 11SW2B에 의해 재생음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리스너 4A의 좌우의 귀에 대하여는,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2A의 진동판(스피커 유닛의 전방면측)로부터의 음파가 같은 위상으로 도달하도록, 음성신호가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2A에 대하여 입력된다. 같은 방법으로, 리스너 4B의 좌우의 귀에 대하여, 2개의 스피커 11SW1B, 11SW2B의 진동판(스피커 유닛의 전방면측)로부터의 음파가 같은 위상으로 도달하도록, 음성신호가 2개의 스피커 11SW1A, 11SW2A에 대하여 입력된다(도28b 참조). 도28에 있어서, 「+」, 「-」의 표시는, 음파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어, 「+」와, 「-」에서는 음파가 역상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28b에서는, 리스너 4A와 리스너 4B 사이에서도, 2개의 스피커로부 터 제공되는 음파가 같은 위상이 되는 것 같이 나타내었지만, 도 2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스너 4A와 리스너 4B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리스너 4A와, 리스너 4B 사이에서는, 2개의 스피커로부터 제공되는 음파가 역상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 4A 용이 되는 2개의 스피커 11SW1A와 11SW2A는, 그것들의 진동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하여, 리스너 4A의 머리부를 끼우도록 배치하고, 또한 리스너 4B 용이 되는 2개의 스피커 11SW1B과 11SW2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것들의 진동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하여, 리스너 4A의 머리부를 끼우도록 배치해도 물론 된다.
이 도29의 예의 경우에는, 리스너 4A와 리스너 4B 사이에 설치되는 리스너 4A 용의 스피커 11SW2A와, 리스너 4B용의 스피커 11SW2B에 대해서, 진동판과는 반대측의 스피커 유닛의 후방에서 나오는 음파는 서로 상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29의 예에서는, 리스너 4A와 리스너 4B에서는, 도29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 4A 용의 2개의 스피커 11SW1A와 11SW2A로부터의 음파와, 리스너 4B용의 2개의 스피커 11SW1B과 11SW2B로부터의 음파가 역상이 되도록, 각각의 스피커용의 음성신호가, 각각의 리스너용의 스피커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도28∼도29에 나타낸 복수인의 리스너의 경우의 음향재생 시스템에 있어서는, 마그넷을 사용하여, 스피커 지지구를 의자에 장착하도록 구성했지만, 예를 들면 도22의 예와 같이 천정으로부터 매어다는 타입, 도23이나 도24의 예와 같은 스탠드를 사용해서 유지하는 타입, 벽에 스피커 지지구를 고정하는 타입 등, 그 밖의 여러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20∼도29의 예에서는, 모두 서브우퍼라고 하는 스피커의 장착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각각의 예의 스피커 지지구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 와 마찬가지로, 리어 스피커 등도 부착해도 좋다.
[기타의 실시예 또는 변형예]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배치하는 스피커 11SW1, 11SW2은, 리스너(4)의 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리스너(4)에 도달하는 저역의 소리로서는 고효율이 된다. 그러나, 이 스피커의 배치 위치는,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머리부를 중심으로 한, 예를 들면 반경이 (dsw+리스너(4)의 머리부의 반경)의 구면상의 위치이면, 어느쪽의 위치라도 된다. 다만, 이 스피커의 배치 위치로서는, 리스너(4)의 안면보다도 리스너 정면측의 공간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도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스너(4)의 안면보다도 후방측의 구간 내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리스너(4)의 양쪽 귀의 근방에 배치한 스피커 11SW1 및 11SW2은, 항상, 서브우퍼로 하도록 했지만, 반드시 서브우퍼용의 스피커가 아니어도 되며, 서브우퍼는, 별개로 형성해도 된다.
이때, 스피커 11SW1, 11SW2 등의 스피커 유닛을, 그것의 진동판의 전후 에서 나오는 소리가 가산가능하도록 부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파이프에 부착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비교적 큰 다수의 구멍이 뚫린 판에, 저역재생용의 스피커 유닛을 부착하고, 그들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진동판의 전후에서 나오는 소리가 가산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5.1채널의 멀티채널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5.1채널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채널의 음성신호를 재생하도록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의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된 스피커 유닛에서 음향재생하도록 하므로, 대음량으로 재생해도, 이웃집 등에의 저역의 소리의 전파를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스피커 유닛은, 가상 음원 처리한 음성신호를 공급하도록 하므로, 예를 들면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프론트 채널의 음성이나 리어 채널의 음성을, 가상적으로, 이 스피커 유닛으로 재생 할 수 있어, 적은 스피커로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을 음향재생할 수 있다.

Claims (18)

  1. 한 쌍의 스피커 유닛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의 각각의 진동판의 전후에서 나오는 소리가 혼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을, 배플판에 부착하지 않고,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가 다른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입력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음성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성신호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음성신호 출력수단은,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저역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성신호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음성신호 출력수단은,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저역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성신호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 및 후 방 채널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음성신호 출력수단은,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저역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이 의해, 상기 스피커 유닛이, 리스너가 앉는 의자에 부착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은, 적어도, 리스너의 좌우의 귀에 대향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은,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리스너의 안면보다도 후방의 공간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용 스피커가 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시스템.
  12.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의 각각의 진동판의 전후에서 나오는 소리가 혼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을, 배플판에 부착하지 않고, 리스너의 귀의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가 다른 스피커 장치로부 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입력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성신호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저역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성신호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저역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성신호는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 중에서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 및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으로 음향재생했을 때에, 리스너의 후방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음성이 방출되는 것과 같이 청취하도록, 상기 후방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상 음원 처리하여, 상기 한 쌍의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멀티채널 서라운드 음성의 저역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 방법.
KR1020070008722A 2006-02-01 2007-01-29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 KR101234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4302 2006-02-01
JP2006024302A JP4935091B2 (ja) 2005-05-13 2006-02-01 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301A KR20070079301A (ko) 2007-08-06
KR101234087B1 true KR101234087B1 (ko) 2013-02-19

Family

ID=3790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722A KR101234087B1 (ko) 2006-02-01 2007-01-29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816890A1 (ko)
KR (1) KR101234087B1 (ko)
CN (1) CN101014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3563B1 (es) * 2008-01-17 2010-04-27 Ivan Portas Arrondo Procedimiento de conversion de formato sonoro 5.1. a binaural hibrido.
CN103002384B (zh) * 2011-09-08 2015-03-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四扬声器虚拟环绕声的信号处理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5947A (en) 1962-02-23 1963-12-31 Warren R Wood High fidelity sound reproducer
US3824343A (en) 1972-11-29 1974-07-16 J Dahlquist Multiple driver dynamic loud speaker
US3870834A (en) 1973-06-11 1975-03-11 Yeaple Corp Personal stereophonic speaker system
KR900005838A (ko) * 1988-09-21 1990-04-14 오오가 노리오 음성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127B1 (en) * 2000-03-21 2008-09-09 Bose Corporation Headrest surround channel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6990210B2 (en) * 2001-11-28 2006-01-24 C-Media Electronics, Inc. System for headphone-like rear channel speak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US7367886B2 (en) * 2003-01-16 2008-05-06 Wms Gaming Inc. Gaming system with surround sound
FR2859863A1 (fr) * 2003-09-15 2005-03-18 Pierre Piccaluga Transducteur a differentiel de masse active avant arrie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5947A (en) 1962-02-23 1963-12-31 Warren R Wood High fidelity sound reproducer
US3824343A (en) 1972-11-29 1974-07-16 J Dahlquist Multiple driver dynamic loud speaker
US3870834A (en) 1973-06-11 1975-03-11 Yeaple Corp Personal stereophonic speaker system
KR900005838A (ko) * 1988-09-21 1990-04-14 오오가 노리오 음성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6890A1 (en) 2007-08-08
CN101014210A (zh) 2007-08-08
KR20070079301A (ko) 2007-08-06
CN101014210B (zh)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5091B2 (ja) 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4841495B2 (ja) 音響再生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装置
US8553890B2 (en) Sound reproduction method and sound reproduction system
JP4359779B2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JP4946305B2 (ja) 音響再生システム、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JP4722878B2 (ja) ノイズ低減装置および音響再生装置
JP2004193811A (ja) 投影スクリーン付きアレースピーカ装置
KR101161453B1 (ko) 음향 재생 방법 및 음향 재생 시스템
JP2008113118A (ja) 音響再生システムおよび音響再生方法
KR101234087B1 (ko) 음향 재생 시스템 및 음향 재생 방법
JPH03169200A (ja) テレビ受信機
JP2005027019A (ja) スピーカ付きシート
JP5281695B2 (ja) 音響変換装置
JP2002291100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方法、及びパッケージメディア
JP2008066962A (ja) 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H0662486A (ja) 音響再生装置
KR101758056B1 (ko) 스테레오 정위감 제공 일체형 스피커
JPS63318900A (ja) サラウンド・ヘッドホン
KR200274633Y1 (ko) 진동을 겸한 다 채널 헤드폰
KR100590229B1 (ko) 5.1채널 서라운드 스피커 시스템
JP2010034764A (ja) 音響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