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060B1 -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060B1
KR101234060B1 KR1020100132114A KR20100132114A KR101234060B1 KR 101234060 B1 KR101234060 B1 KR 101234060B1 KR 1020100132114 A KR1020100132114 A KR 1020100132114A KR 20100132114 A KR20100132114 A KR 20100132114A KR 101234060 B1 KR101234060 B1 KR 10123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tylpyridinium chloride
orange
kitchen detergent
orang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691A (ko
Inventor
김용호
동은수
Original Assignee
(주)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 filed Critical (주)영진
Priority to KR102010013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0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09Amines or imines with one to four nitrogen atoms;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1Alcohols; Phenols
    • C11D7/262Alcohols; Phenols fatty or with at least 8 carbon atoms in the alkyl or alkenyl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6Esters or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여 구강 청결제로 사용되는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염화세틸피리디늄 0.01 ~ 2중량%, 오렌지 추출물 0.1 ~ 10중량%, 지방알콜 0.1 ~ 15중량%,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 40중량%,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1 ~ 30중량% 및 나머지 중량%의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A kitchen cleaner having a cethyl pyrimidium chloride and orange extraction}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방 세제는 석유화학계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이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소디움라우릴에톡시레이티드설페이트(SLES) 등이다.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는 피부 자극 테스트의 기준으로 사용될 정도로 과다 혹은 다수 사용시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키며, 소디움라우릴에톡시레이티드설페이트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학적 조작을 통해 만들어졌으나, 그 과정에서 1,4 다이옥신에 영향을 받아 동물실험결과 암을 유발 가능성이 있는 성분으로 지목되었습니다.
그리고, 2001년 10월 소비자 환경단체에서 발표한 생활 속의 유해 물질이라는 제목의 환경 호르몬에 대한 유해성 여부를 조사한 연구집을 보면 석유화학계 계면활성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신체 신경기능 장애 및 면역력 저하로 인한 아토피, 천식, 비염을 유발한다라고 규정하였습니다.
또한, 종래의 주방세제는 방부제인 벤잘코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안정성이 떨어지며,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본 발명은 주방 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여 구강 청결제로 사용되는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은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염화세틸피리디늄 0.01 ~ 2중량%, 오렌지 추출물 1 ~ 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염화세틸피리디늄 0.01 ~ 2중량%, 오렌지 추출물 1 ~ 10중량%, 지방알콜 0.1 ~ 15중량%,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 40중량%,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1 ~ 30중량% 및 나머지 중량%는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강청결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 염화세틸피리디늄(cethyl pyrimidium chloride)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주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양이온성 암모늄염 항균제의 하나인 염화세틸피리디늄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염화세틸피리디늄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주방 세제에 사용되고 있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에 비해 항균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되어 잔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자연향으로 세척 후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염화세틸피리디늄이 함유되어 있어 사용한 수세미 또는 행주에 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냄새 즉,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염화세틸피리디늄, 오렌지 추출물, 지방알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로코사이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즉, 인체에 무해한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천연오렌지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킬 폴리글로코사이드 및 가용화제인 지방알콜과,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염화세틸피리디늄(cethyl pyrimidium chloride)은 양이온성 암모늄염 항균제의 하나로 현재 구강청결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구강내 악취를 제거하고, 악취의 원인이 되는 플라그를 억제하여 구강 청결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염화세틸피리디늄을 주방 세제에 사용시에는 주방세제 성분 자체의 세균번식을 억제하고, 수세미를 사용한 후 오랜 기간 방치하여도 세균이 번식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0.01 ~ 2중량% 함유된다.
그 함유량이 0.01중량%보다 적으면 항균작용이 기대되지 않고, 2중량%보다 많으면 자극이 강해져 안전성상 바람직하지가 않다.
한편, 염화세틸피리디늄을 함유하면 기존세제와 같이, 성분손상을 막기 위하여 첨가하는 공업용 방부제 즉, 벤잘코늄글로라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디-리모넨(D-Limonene)이며, 이러한 디-리모넨은 일반 가정에서 쉽게 접하는 오렌지 껍질에서 추출되는 물질로서, 감귤류의 껍질 및 과육의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지며, 약 94 내지 98%가 기름으로 되어 있다.
디-리모넨은 인체 및 환경에 거의 완벽하게 무해하며, 강력한 세정기능과 방향기능이 있고, 디-리모넨의 독성 안정성에 관한 문헌들이 나와 있다(예를 들면, Veterinery Clinics of North America; Small Auimal Parclice P 383 Vol. 20 No. 2 1990). 또한, 그 용도 또한 다양하여 살균기능, 세정기능, 타르 및 아스팔트 제거제, 휴대용 세정제 및 바닥 세정제뿐만 아니라 염화계 용제, 프레온, CFC 대체물질로 검토되고 있다(일본 농약학회지 제13권 제12호 소화 63년 5월, 유럽특허 0467660호, 일본특허 소 61-238940호 참조).
또한, 유성용 제형물질인 디-리모넨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세정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잔취제거 및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그 함유량은 0.1 ∼ 10중량%가 바람직하며, 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는 세정 효과와 방향효과가 미진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유화에 어려움이 있고, 제품 물성 중 점도력 저하 및 거품발생저해로 제품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상기 지방알콜은 오렌지 추출물인 디-리모넨이 기름으로 되어 있어, 제품 제조 시 정제수와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가용화제로 사용된다.
즉, 디-리모넨의 계면장력은 20dyne/cm(20℃)이고, 물의 경우는 72.25dyne/cm(20℃)임으로써, 물과 D-리모넨은 계면장력의 차이가 커 잘 융합하지 않는데 이를 지방알콜을 이용함으로써 쉽게 용합되도록 하며, 그 함량은 0.1 ~ 15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는 포도당을 환원시켜 얻어지는 d-솔비톨과 천연지방산을 반응시켜 제조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며, 5 ~ 4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이하 함유 시에는 D-리모넨 유화와 점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40중량%이상 함유 시에는 물에 용해되는 속도가 현저히 감소한다.
상기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Alkyl polyglycoside)는 옥수수와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로 미세한 거품과 부드러운 감촉으로 제공하고,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자극성이 매우 적다.
이러한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는 1 ~ 3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1중량%이하 함유 시에는 세정력 보조와 거품력 보조제로 역할이 미미하며, 30중량%이상 함유 시에는 점도 저하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와,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는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양이온성 암모늄염 항균제의 하나인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원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의 제조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렌지 추출물인 디-리모넨과, 지방알콜을 1차 혼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디-리모넨과, 지방알콜의 1차 혼합물에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및 정제수를 2차 혼합한다.
그런 후, 상기 2차 혼합물에 염화세틸피리디늄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를 만든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의 함량비는 염화세틸피리디늄 0.01 ~ 2중량%, 오렌지 추출물 0.1 ~ 10중량%, 지방알콜 0.1 ~ 15중량%,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 40중량%,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1 ~ 30중량% 및 나머지 중량%는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의 실시 예는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명
실시 예(중량%)
1 2 3 4
염화세틸피리디늄 0.01 0.5 1 2
오렌지추출물 0.1 3 7 10
지방알콜 0.1 3 9 15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5 15 30 40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1 10 20 30
정제수 93.79 68.5 33 3
계(%) 100 100 100 100
상기 실시 예 1 내지 4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을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을 100명의 성인 여성에게 골고루 분배하였고, 전분 10%,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 10%, 색소로 구성된 인공오염을 일반 접시(지름 28cm)에 오염액 1ml를 골고루 도포하여 3시간 자연 건조한 후, 각각 20장의 접시를 동일한 수세미를 이용하여 닦도록 한 다음 손 당김 정도를 관능테스트하였고, 또한 사용한 수세미를 그늘진 장소에서 12시간 보관 후 수세미의 냄새를 맡아 악취 발생 정도를 관능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구 분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손 당김 정도
악취 발생 정도
※손 당김 정도
◎ : 당김 없음
○ : 약간 당김
△ : 당김
X : 매우 당김
※악취 발생 정도
◎ : 악취 없음
○ : 미세한 악취
△ : 보통의 악취
X : 심한 악취
한편, 상기 실시 예 1로 제조된 주방 세제를 사용하여 접시를 닦았을 때 실시 예 2 내지 4의 주방 세제에 비해 세정력이 떨어져 접시를 닦는 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실시 예 4의 주방 세제를 사용한 경우 1명이 경미한 피부 자극을 느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은 실시 예 2 내지 3의 함량비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염화세틸피리디늄 0.01 ~ 2중량%, 오렌지 추출물 0.1 ~ 10중량%, 지방알콜 0.1 ~ 15중량%,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 40중량%,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1 ~ 30중량% 및 나머지 중량%의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KR1020100132114A 2010-12-22 2010-12-22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KR101234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14A KR101234060B1 (ko) 2010-12-22 2010-12-22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14A KR101234060B1 (ko) 2010-12-22 2010-12-22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691A KR20120070691A (ko) 2012-07-02
KR101234060B1 true KR101234060B1 (ko) 2013-02-15

Family

ID=4670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114A KR101234060B1 (ko) 2010-12-22 2010-12-22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3672A (zh) * 2019-06-18 2019-09-27 胡家和 一种天然洗涤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500A (ja) 2000-05-31 2001-12-14 Raku:Kk 濃縮型中性洗剤組成物
US20030216281A1 (en) 2002-05-17 2003-11-20 The Clorox Company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US7628868B2 (en) * 2007-11-01 2009-12-08 The Clorox Company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US20100234271A1 (en) 2008-08-26 2010-09-16 Scheuing David R Natural clea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500A (ja) 2000-05-31 2001-12-14 Raku:Kk 濃縮型中性洗剤組成物
US20030216281A1 (en) 2002-05-17 2003-11-20 The Clorox Company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US7628868B2 (en) * 2007-11-01 2009-12-08 The Clorox Company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US20100234271A1 (en) 2008-08-26 2010-09-16 Scheuing David R Natural clea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691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4860T2 (de) Hautreinigungsmittel zur entfernung von tinte
USRE36982E (en) Surfactants based aqueous compositions with D-limonene and hydrogen peroxide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6136778A (en) Environment safeguarding aqueous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s
US6316399B1 (en) Surfactants based aqueous compositions with D-limonene and hydrogen peroxide and methods using the same
EA022049B1 (ru) Жидкая антимикробная очища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тверд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WO2010062080A2 (ko) 친환경성 세제 조성물
JP2007161977A (ja) 洗浄剤組成物
JP2010248452A (ja) 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用具
JP2829887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234060B1 (ko)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EA024105B1 (ru) Жидкая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чищения твердой поверхности
CN108004047A (zh) 马桶清洁剂及其制备方法
US5489396A (en) Cleaning/decontaminating liquid compositions based on alkoxylated surfactant mixtures, particularly for emergency sets, and their use
KR102596768B1 (ko) 캡슐세제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세제
KR20010063666A (ko) 주방용 세제 조성물
JP2007314737A (ja) 酸性柑橘系オイルを含む洗浄剤組成物
KR102393636B1 (ko) 친환경 약산성 세정제
KR100236374B1 (ko) 분말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060030A (zh) 一种马桶清洁剂及其制备方法
KR20080089891A (ko) 다목적 세정제
US20100173011A1 (en) Disinfectant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0555039B1 (ko) 주방용 세제 조성물
JP7264735B2 (ja) 硬質表面用処理剤組成物
WO2010101534A2 (en) Najis cleansing clay liquid soap
KR20180124536A (ko) 거품형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