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670B1 - 의자겸용 목발 - Google Patents

의자겸용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670B1
KR101233670B1 KR1020110015894A KR20110015894A KR101233670B1 KR 101233670 B1 KR101233670 B1 KR 101233670B1 KR 1020110015894 A KR1020110015894 A KR 1020110015894A KR 20110015894 A KR20110015894 A KR 20110015894A KR 101233670 B1 KR101233670 B1 KR 10123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rutches
support
ground
cr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672A (ko
Inventor
김원진
이현대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6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61H2003/0283Shock absorbers therefor using elasto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겸용 목발에 관한 것으로, H형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부에 장착된 어깨 받침부로 구성된 상부와; Y 형상으로 상기 상부와 회동 연결되고, 지면과 접촉되는 접지막대 및 상기 상부와 연결되는 가지부로 구성된 하부를 포함하되, 양쪽의 상기 상부와 하부가 수직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의 접지부가 서로 상대의 상기 지지대 측면에 설치된 거치대에 거치되어 하나의 의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목발 및 의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낮은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쉽게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는 의자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기능까지 갖는 목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겸용 목발{A CRUTCH WITH A CHAIR}
본 발명은 목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로 변형 가능한 의자겸용 목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목발은 알루미늄 또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성인용, 청소년용 등으로 구분되나 그 구조가 충격을 전혀 흡수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자들이 목발을 짚고 보행을 하다 보면 그 충격이 겨드랑이에 직접 전달되어 겨드랑이가 아프고 또 피로감을 많이 느껴, 목발을 오랫동안 짚을 수가 없어 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나 많은 활동을 원하는 신체 불구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목발을 사용하여 걷다 보면 어깨 받침부와 접촉되는 어깨부터 피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신으로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목발 사용자는 의자나 벤치에서 피로를 풀기 위하여 휴식을 위해야 하는데, 거리에는 의자나 벤치가 그리 넉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육체적으로 힘이 들어도 마땅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 없어서 불편함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목발에는 조명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하므로, 특히 야간에 목발의 사용자가 장애물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차량 등이 목발의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특히 택시 등과 같은 모든 소형차량, 버스, 비행기 등을 이용할 때 목발의 길이가 길어 휴대하기가 무척 힘들다. 또는 목발을 짚고 도로를 횡단할 때 환자들의 동작이 불편하여 신속한 행동을 취하지 못하는 관계로 빠른 속도로 도로를 횡단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야간에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목발 및 의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낮은 목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는 쉽게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는 의자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기능까지 갖는 목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H형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부에 장착된 어깨 받침부로 구성된 상부와; Y 형상으로 상기 상부와 회동 연결되고, 지면과 접촉되는 접지막대 및 상기 상부와 연결되는 가지부로 구성된 하부를 포함하되, 양쪽의 상기 상부와 하부가 수직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의 접지부가 서로 상대의 상기 지지대 측면에 설치된 거치대에 거치되어 하나의 의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고무 재질의 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수납용 포켓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막대는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지부는 상기 접지막대의 양 측면에 접촉 연결되어 상기 상부의 지지대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 측면에 경보등 또는 야광체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경보등은 LED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지막대는 지면과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막대의 지면과 닿는 부분은 고무 재질의 패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지막대와 2단 구조로서, 길이를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목발 및 의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낮은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쉽게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는 의자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기능까지 갖는 목발을 제공한다.
더하여, 목발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의자로 변형되는 경우 받침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이 의자로 사용하기 위한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 2개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에 경보등이 설치된 의자겸용 목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발은 H형 지지대(110) 및 상기 지지대(110) 상부에 장착된 어깨 받침부로 구성된 상부(100)와; Y 형상으로 상기 상부(100)와 회동 연결되는 가지부(210)와, 지면과 접촉되는 접지막대(230)로 구성된 하부(200)를 포함하되, 양쪽의 상기 상부(100)와 하부(200)가 수직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200)의 접지부가 서로 상대의 상기 지지대(110) 측면에 설치된 거치대(300)에 거치되어 하나의 의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부(100)는 어깨를 받치고 손잡이(145)가 형성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H형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 최상부(100)에 어깨를 받치는 받침부로 구성된다. 재질은 나무 재질인 것도 가능하지만, 알루미늄과 같은 가볍고 튼튼한 금속재질로 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지지대(110)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45)와, 지갑, 휴대폰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작은 포켓(1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목발을 항상 잡고 있어야 하므로, 바지 주머니 등에 지갑, 휴대폰 등을 수납하는 경우, 상기 목발을 착요한 상태에서 꺼내기 힘들고, 다시 보관하기도 힘들다. 그러므로, 목발을 어깨에 받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200)는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100)의 지지대(110)와 회동 연결되는 가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Y 형상의 하부(200)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접촉부는 스프링(240)과 같은 탄성체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목발을 짚고 보행을 하는 경우 매번 지면과의 접촉시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더하여, 직접적을 상기 하부(200) 끝단의 접촉부는 고무 재질의 패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100)와 하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서로 수직으로 회동시키고, 양쪽의 목발을 서로 거치대(300)에 거치시키게 되면, 2개의 다리를 갖는 의자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다리가 불편하거나 하반신이 불편한 경우에 사용하기 때문에, 하반신에 피로가 빨리 쌓이므로, 중간 중간에 휴식을 취할 의자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즉, 본 발명은 2개의 목발을 각각 90도 꺽어 서로 거치시킴으로써 하나의 의자를 형성할 수 있는 의자겸용 목발을 제안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유용하게 목발 및 의자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이 의자로 사용하기 위한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은 상부(100)와 하부(200)가 90도로 회동되어 접히고, 상부(100)의 어깨 받침부가 지면에 접촉하게되고, 하부(200)의 접지부가 상대 목발에 걸치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목발의 상부(100)가 의자의 다리 역할을 하고, 하부(200)가 의자의 받침부 역학을 수행하게 된다. 보통 목발 사용자는 2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나의 목발를 90도로 접어 고정시키고, 서로 걸쳐 의지시키게 되면, 2개의 다리를 갖는 의자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 2개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각 목발의 상부(100)가 다리의 역할을 수행하고 각 상부(100)가 착석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서로 걸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은 상부(100) 및 하부(200)가 회동 연결되어, 90도로 꺽어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각 목발의 상부(100)를 지면에 접촉시키고, 수직으로 접힌 하부(200)를 서로 거치대(300)에 거치시켜 2개의 다리를 갖는 의자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목발을 90도로 접어 고정시키고, 이를 서로 거치대(300)에 걸치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의자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평소에는 목발로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특정의 위치에서 의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각 목발을 접어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발명이다.
목발 사용자마다 다르겠지만, 조금만 걸어도 어깨 지지부와 접촉되는 어깨부터 피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신으로 피로감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목발 사용자는 의자나 벤치에서 피로를 풀기 위하여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상기 의자나 벤치가 그리 넉넉하게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육체적으로 힘이 들어도 마땅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매우 불편함을 느낀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용이하게 목발을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여 필요한 경우에 의자로 변형하여 사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낮은 단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의자겸용 발목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자의 다리는 목발의 상부(100)가 역할을 수행하고, 받침부는 하부(200)가 서로 거치대(300)에 걸쳐 나란히 연결하여 형성하는 구조로서, 사용자는 쉽게 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부(100)의 측면에 거치대(300)를 두어 다른 목발의 하부(200)가 걸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의자의 다리 역할을 하는 상부(100)는 어깨 받침부가 넓고 H 형상의 지지대(110)가 지지하는 구조로 튼튼한 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200)가 나란히 거치되어 있는 의자 착석부에 방석 등 쿠션을 덮게 되면 착석감을 높일 수 있고, 이러한 쿠션을 상기 상부(100)의 포켓(140) 어느 하나에 수납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100)에 경보등(120)이 설치된 의자겸용 목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상부(100)는 어깨 받침부와 H 형상의 지지대(11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와 지지대(110)가 결합되는 측면에 경고등 또는 형광체를 형성함으로써, 밤길에 목발 사용자가 있음을 경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고등은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설치 구성이 용이하고, 단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전력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형광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형광체는 야광으로서 야간에 빛을 발하여 외부에서 인지 가능하고, 전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형광체로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제조 단가가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보등(120)은 3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점멸이 가능한 것이 바람지하다. 이는 3색으로 하면 멀리서도 보다 인식률이 높아지고, 점멸 기능을 부여 함으로써, 경고의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하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하부(200)는 막대 형상의 접지막대(230)와 상기 접지막대(230) 측면에 결합되어 상부(100)로 연장되는 가지부(210)로 구성되어 Y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하부(200)는 중앙 하부(200)에 위치하고 지면에 접촉되는 접지막대(230) 및 상기 접지막대(230)의 양 측면에 접촉 연결되어 상기 상부(100)의 지지대(110)와 연결되는 가지부(210)로 구성된다.
접지막대(230)에는 탄성 스프링(240)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목발을 짚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하게 된다. 또한, 접지막대(230)의 최하단부로서,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고무재질의 패드(250)가 장착되어 충격의 흡수뿐만 아니라,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까지 수행하게 된다.
더하여, 접지막대(23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목발의 경우 사용자의 키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목발의 하부(200)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의자로 변형되는 경우 착석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길이를 길게 한 경우, 의자 착석부의 길이가 늘어나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상부, 110: 지지대, 120: 경보등, 130: 어깨 받침부,
140: 포켓, 145: 손잡이,
200: 하부, 210: 가지부, 230: 접지막대, 240: 스프링,
250: 패드
300: 거치대

Claims (9)

  1. H형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부에 장착된 어깨 받침부로 구성된 상부와;
    Y 형상으로 상기 상부와 회동 연결되고, 지면과 접촉되는 접지막대 및 상기 상부와 연결되는 가지부로 구성된 하부를 포함하되,
    양쪽의 상기 상부와 하부가 수직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의 접지부가 서로 상대의 상기 지지대 측면에 설치된 거치대에 거치되어 하나의 의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고무 재질의 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수납용 포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막대는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지부는 상기 접지막대의 양 측면에 접촉 연결되어 상기 상부의 지지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측면에 경보등 또는 야광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등은 LED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막대는 지면과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막대의 지면과 닿는 부분은 고무 재질의 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9. 삭제
KR1020110015894A 2011-02-23 2011-02-23 의자겸용 목발 KR10123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894A KR101233670B1 (ko) 2011-02-23 2011-02-23 의자겸용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894A KR101233670B1 (ko) 2011-02-23 2011-02-23 의자겸용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672A KR20120096672A (ko) 2012-08-31
KR101233670B1 true KR101233670B1 (ko) 2013-02-15

Family

ID=4688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894A KR101233670B1 (ko) 2011-02-23 2011-02-23 의자겸용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1291A (zh) * 2014-01-14 2015-07-15 永朔实业有限公司 具有锁定结构的收折椅
KR102218837B1 (ko) * 2020-11-06 2021-02-22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접이식 이동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7968A (zh) * 2018-09-12 2018-11-27 浙江安迪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可躺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74U (ko) * 1998-09-08 2000-04-06 홍재석 목발
JP2002113058A (ja) 2000-10-06 2002-04-16 Tokuji Komatsu 座台付き松葉杖
KR200377027Y1 (ko) 2004-11-23 2005-03-11 박천형 접이식 의자가 구비된 목발
JP2007000261A (ja) 2005-06-22 2007-01-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光機能付き歩行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74U (ko) * 1998-09-08 2000-04-06 홍재석 목발
JP2002113058A (ja) 2000-10-06 2002-04-16 Tokuji Komatsu 座台付き松葉杖
KR200377027Y1 (ko) 2004-11-23 2005-03-11 박천형 접이식 의자가 구비된 목발
JP2007000261A (ja) 2005-06-22 2007-01-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光機能付き歩行補助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1291A (zh) * 2014-01-14 2015-07-15 永朔实业有限公司 具有锁定结构的收折椅
CN104771291B (zh) * 2014-01-14 2017-03-29 永朔实业有限公司 具有锁定结构的收折椅
KR102218837B1 (ko) * 2020-11-06 2021-02-22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접이식 이동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672A (ko)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54296U (zh) 多功能伤残人康复车
ATE432862T1 (de) Zusätzlicher kindersportwagensitz
KR101233670B1 (ko) 의자겸용 목발
US20090050187A1 (en) Walker with underarm supports
JP2008183228A (ja) 歩行車
KR20160001525U (ko) 다기능 지팡이
KR200388953Y1 (ko) 의자가 장착된 보행기
CN206641478U (zh) 一种智能手杖
KR101961561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US10327976B1 (en) Portable walking aid device with wheels
CN111214366A (zh) 一种医用利于晚间行走的可折叠拐杖
CN103655125A (zh) 多功能避震型柺杖
KR20170000480A (ko) 지지대와 받침대가 구비된 캐리어
KR101882008B1 (ko) 기능성 지팡이
CN210250483U (zh) 一种防滑减震的可照明的多功能铝合金拐杖
CN216796749U (zh) 多功能拐杖
CN209965432U (zh) 一种可多方向折叠的智能拐杖
CN204106504U (zh) 用于行走辅助装置上的人身支撑装置及其行走辅助装置
CN216602197U (zh) 一种保护腰颈的叠放式腿部锻炼椅
CN101637342A (zh) 时尚方便椅
JP3141285U (ja) ストレッチ用座布団
CN206485303U (zh) 柔性安全装置及用于运输工具的安全系统
CN202698001U (zh) 减震防滑拐杖
CN201941633U (zh) 一种汽车座套靠背
TW201601707A (zh) 多功能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