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008B1 - 기능성 지팡이 - Google Patents

기능성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008B1
KR101882008B1 KR1020160091921A KR20160091921A KR101882008B1 KR 101882008 B1 KR101882008 B1 KR 101882008B1 KR 1020160091921 A KR1020160091921 A KR 1020160091921A KR 20160091921 A KR20160091921 A KR 20160091921A KR 101882008 B1 KR101882008 B1 KR 10188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und
cushioning
light projection
ref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945A (ko
Inventor
김영창
기해림
Original Assignee
(주)해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올 filed Critical (주)해올
Priority to KR1020160091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0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며, 복수의 광 투사홀이 축방향 및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광 투사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외부로 광 투사하는 복수의 제1 램프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종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하면서 지면에 대해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소정각도 굴절시키는 굴절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둘레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광 투사홀을 따라 광 투사함으로써 지팡이 사용자의 주위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야간에도 지면을 향해 광 투사하여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교체없이 지속적으로 램프를 발광할 수 있어 지팡이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지압침을 이용하여 손에 반복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증가시켜 도보 중에도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지팡이{Multi-functional stick}
본 발명은 기능성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노약자, 지체가 부자유한 사람, 또는 새벽 조기 등산이나 장시간에 걸친 장거리 산행이나 도보 운동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노약자, 지체가 부자유한 사람, 또는 새벽 조기 등산이나 장시간에 걸친 장거리 산행, 그 외의 산책이나 도보 운동 등을 행할 때 주로 사용되는 일종의 보행 보조 기구다.
지팡이 이용자는 지팡이를 한 손으로 잡고 있기 때문에, 도보 시 제약이 따른다. 특히, 어두운 시간대에 행해지는 야외 활동에서는 지팡이 이외에도 별도의 조명 기구를 휴대해야 한다.
이 경우, 한 손으로는 지팡이를 사용하여 보행을 주체하여야 하고, 다른 한 손에는 전등을 들고 노면을 비추어야 함으로써, 양손에 모두 물건을 쥐고 걸음을 걸어야 함에 따라, 자칫 보행 자세가 흐트러져 몸의 균형을 잃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노약자나 지체 부자유자 등의 경우에는 별도 조명 기구의 휴대가 힘들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팡이에 손전등이 구비되어도 손전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항상 배터리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과 배터리를 구매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3509호, 2002년04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에도 지면을 향해 광 투사하여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교체없이 지속적으로 램프를 발광할 수 있는 기능성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며, 복수의 광 투사홀이 축방향 및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광 투사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외부로 광 투사하는 복수의 제1 램프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종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하면서 지면에 대해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소정각도 굴절시키는 굴절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굴절 연결부는 자라바와 같은 주름형상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일단이 제1 프레임에 수용되는 쿠션 주름부; 및 쿠션 주름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요철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손잡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따라 돌출 길이가 조정되는 지압부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지팡이는 프레임의 둘레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광 투사홀을 따라 광 투사함으로써 지팡이 사용자의 주위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야간에도 지면을 향해 광 투사하여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교체없이 지속적으로 램프를 발광할 수 있어 지팡이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지압침을 이용하여 손에 반복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증가시켜 도보 중에도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의 A - A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 굴절 연결부 및 압전소자의 B - B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 굴절 연결부 및 압전소자의 B - 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 굴절 연결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의 지압부의 C - C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의 A - A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는 제1 프레임(100), 손잡이부(200), 제2 프레임(300), 및 굴절 연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프레임(100)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광 투사홀(110)이 축방향 및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광 투사홀(110)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외부로 광 투사하는 제1 램프(120)를 구비한다. 광 투사홀(110)은 바람직하게는 60도 내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프레임(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광을 투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램프(120)는 LED로 구비된다.
한편, 광 투사홀(110)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투사홀(110)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램프(120)에서 발광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테이퍼 외주면에는 확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확산판(1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지지부(130)가 배치된다. 제1 램프(120)는 지지부(130)에 고정되고, 제1 램프(120)는 광 투사홀(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램프(120)는 제1 프레임(100)의 둘레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광 투사홀(110)을 따라 광 투사함으로써 지팡이 사용자의 주위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지팡이 사용자는 외부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도 사람이 있음을 인지시킴으로써 차량이나 사람들이 미리 피해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제2 램프(1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램프(141)는 지면을 향하여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 램프 안내부(14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램프(120)는 전방을 향하도록 광 투사하고, 제2 램프(130)는 지면을 향하여 광 투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지팡이 사용자의 주위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램프(141)의 하부에는 배터리(150)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5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이차전지와 같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배터리 커버가 구비되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차전지와 같은 충전용 배터리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압전소자(500)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은 강도가 높으면서 가벼운 카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제1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된다. 손잡이부(200)는 대략적인 형상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손잡이부(200)에는 전술한 제1 램프(120) 및 제2 램프(141)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조정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200)의 일단은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관통홀(210)을 따라 돌출 길이가 조정되는 지압부(220)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압부(220)는 후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손잡이부(200)의 타단에는 만보기(2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만보기(230)는 사용자가 도보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적정 산책량을 알려줄 수 있다.
제2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100)의 하방향으로 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서, 제1 프레임(10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2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100)에 연결될 때에 축방향을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300)의 외주면에는 광 반사시트(310)가 부착될 수 있다. 광 반사시트(310)는 차량 또는 주위 사람에게 지팡이 사용자의 존재를 인지시켜 줌으로써 차량 또는 사람이 미리 피해갈 수 있도록 안내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300)은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을 통하여 반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 굴절 연결부 및 압전소자의 B - B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 굴절 연결부 및 압전소자의 B - 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 굴절 연결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절 연결부(400) 및 압전소자(500)를 설명한다.
굴절 연결부(400)는 지면에 접촉하면서 지면에 대해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300)을 소정각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쿠션 주름부(410) 및 미끄럼 방지부(420)를 구비한다.
쿠션 주름부(410)는 자라바와 같은 주름형상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쿠션층을 형성한다. 쿠션 주름부(410)는 중앙에서 상하 양방향을 향하여 외주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쿠션 주름부(410)의 양단부 내주 직경(d1)은 쿠션 주름부(410)의 중앙부 내주 직경(d2)보다 내주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쿠션 주름부(410)는 중앙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원활한 회동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쿠션 주름부(410)의 양측 단부는 쿠션 주름부(410)의 중앙부보다 벌어지는 크기, 즉, 벌어지는 변형량이 크다. 이로 인해서 쿠션 주름부(410)의 양측 단부는 반속적인 반복 접힘하중으로 인해서 중앙부보다 피로응력이 더 누적되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서 쿠션 주름부(410)의 양측 단부의 두께(t1)는 중앙부(t2)보다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 주름부(410)의 양측 단부의 두께(t1)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면 복적인 접힘하중에 대해서 저항강도를 증가시켜 쿠션 주름부(410)의 양측 단부 찢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00)의 종단과 맞닿는 쿠션 주름부(410)의 상측면은 제2 프레임(300)의 일정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412)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412)이 형성되는 상측면의 두께(t3)는 제2 프레임(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압하중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 주름부(410)의 양측 단부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쿠션 주름부(410)의 상측, 즉 제1 프레임(100)의 종단에 접촉하여 삽입되는 영역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부(4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11)까지의 외주 직경은 제1 프레임(100)의 종단의 내주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되고, 돌출부(411)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쿠션 주름부(410)의 돌출부(411)는 제1 프레임(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1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변형 실시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주름부(410)의 상측은 나사산(411b)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100)의 종단 내주면은 나사산(411b)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견고한 체결강도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부(420)는 쿠션 주름부(4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쿠션 주름부(410)의 주름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42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요철(422)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요철(422)에는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교체시기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교체시기 표시부는 요철부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교체시기부의 색상이 노출될 때에 육안으로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정한 시기에 굴절 연결부(400)를 교체할 수 있다.
굴절 연결부(400)는 지면과의 접지력을 증가시키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손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손목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300)의 종단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굴절 연결부(4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소자(500)는 제2 프레임(300)과 굴절 연결부(400) 사이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압전소자(500)가 적층 배열된다. 압전소자(500) 사이에는 실리콘(510)이 배치되어 압전소자(50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로 적층 배열된 압전 소자(500)는 지팡이가 지면에 한번 닿을 때에 복수로 배열된 압전소자를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킴으로써 단시간에 충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1 프레임(10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제1 램프(120) 및 제2 프레임(141)에 충분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지팡이의 지압부의 C - C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부(220)는 손잡이(200)의 내주면에 매립되어 손잡이(20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으로서, 지지구(221), 수직이동부(222) 및 지압침(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구(2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200)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수직 이동부(222)가 결합된다. 수직 이동부(222)는 돌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실린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된 지압침(223)이 관통홀(210)을 따라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손에 전달되는 지압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압침(223)은 수직 이동부(222)를 통하여 상하운동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반복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증가시켜 도보 중에도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지압침(223)의 내부에는 온도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코일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에 보온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제1 프레임 110 : 광 투사홀
120 : 제1 램프 200 : 손잡입부
210 : 관통홀 220 : 지압부
300 : 제2 프레임 400 : 굴절연결부
410 : 쿠션 주름부 420 : 미끄럼 방지부
500 : 압전소자 510 : 실리콘

Claims (3)

  1.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내측에 지지부가 배치되며, 복수의 광 투사홀이 축방향 및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상기 복수의 광 투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광 투사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램프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지면에 대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소정각도 굴절시키는 굴절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절 연결부는,
    자라바와 같은 주름형상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에 수용되는 쿠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 주름부는,
    반복접힘 하중에 대한 피로응력에 대한 저항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쿠션 주름부 중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쿠션 주름부의 두께보다 상기 쿠션 주름부 중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쿠션 주름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 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굴절 연결부 사이에는,
    압전소자가 구비되어, 상기 굴절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통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주름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요철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따라 돌출 길이가 조정되는 지압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지팡이.
KR1020160091921A 2016-07-20 2016-07-20 기능성 지팡이 KR10188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21A KR101882008B1 (ko) 2016-07-20 2016-07-20 기능성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21A KR101882008B1 (ko) 2016-07-20 2016-07-20 기능성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45A KR20180009945A (ko) 2018-01-30
KR101882008B1 true KR101882008B1 (ko) 2018-07-26

Family

ID=6107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21A KR101882008B1 (ko) 2016-07-20 2016-07-20 기능성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0111A (zh) * 2019-07-19 2019-11-08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盲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7686A (ja) * 2007-09-04 2010-12-09 フレクシーフット リミテッド 歩行補助具
JP2011239992A (ja) 2010-05-19 2011-12-01 Denki Tekko Kk 照明付ステッキ
KR101467831B1 (ko) * 2014-01-27 2014-12-03 전영수 다기능 지팡이
KR101595288B1 (ko) * 2015-01-16 2016-02-18 권영성 기능성 노인용 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09Y1 (ko) 2002-01-19 2002-04-25 노재현 후레쉬가 부설된 등산용 지팡이
KR20150067584A (ko) * 2013-12-10 2015-06-18 (주)해올 기능성 안전 지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7686A (ja) * 2007-09-04 2010-12-09 フレクシーフット リミテッド 歩行補助具
JP2011239992A (ja) 2010-05-19 2011-12-01 Denki Tekko Kk 照明付ステッキ
KR101467831B1 (ko) * 2014-01-27 2014-12-03 전영수 다기능 지팡이
KR101595288B1 (ko) * 2015-01-16 2016-02-18 권영성 기능성 노인용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45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479B2 (en) Adjustable lighted walking aid
US8714173B2 (en) Walking aid with support
US20060117450A1 (en) Headcover and goggle
KR101763214B1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US8496343B2 (en) Walking stick structure with an LED light inside the stick body
US20150224016A1 (en) Massage devices
KR101882008B1 (ko) 기능성 지팡이
WO2006104295A1 (en) Rectification apparatus for feet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members
US20160255926A1 (en) Walking stick
KR101467831B1 (ko) 다기능 지팡이
KR20130006764U (ko) 시각장애인용 길이조절 안전지팡이
US11300278B2 (en) Band type head lan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39222A (ko) 다용도 변환 지팡이
KR20160001525U (ko) 다기능 지팡이
US8326432B2 (en) Foot drop device storage pole
KR20160003137U (ko)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US10258119B2 (en) Cane with LED lights
KR101233670B1 (ko) 의자겸용 목발
KR101101292B1 (ko)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US20210315753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444189Y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CN106264996A (zh) 一种新型腋下拐
KR102050759B1 (ko) 올인원 등산스틱
JP3179840U (ja) ウォーキング用ポール
KR101198247B1 (ko) 충격 흡수용 목발 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