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292B1 -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292B1
KR101101292B1 KR1020100048120A KR20100048120A KR101101292B1 KR 101101292 B1 KR101101292 B1 KR 101101292B1 KR 1020100048120 A KR1020100048120 A KR 1020100048120A KR 20100048120 A KR20100048120 A KR 20100048120A KR 101101292 B1 KR101101292 B1 KR 10110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groove
case
walking aids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180A (ko
Inventor
이은영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filed Critical 이은영
Publication of KR2010012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5/00Tent, canopy, umbrella, or cane
    • Y10S135/91Illuminated cane or umbrel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에는 손잡이(1)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1) 하부에는 막대기(2)가 형성된 보행 보조용구에 있어서,
하단부에 중공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02)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중공부(201)를 형성하여 그 중공부(201)와 연통되는 투광부(203)를 외벽에 방사형으로 형성하며, 투광부(203)가 덮이도록 외부에 투광판(204)을 형성한 구성으로 된 막대기(2)와; 내부에 요입홈(301)을 형성하여 그 요입홈(301) 내벽에는 상기 수나사부(202)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02)를 형성하며, 요입홈(301) 내부에는 상단부에 전구(304)가 설치된 충전부(303)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원형의 돌출부(305)를 형성하여, 그 일측에는 저면에서 상기 요입홈 내부로 관통된 배선공(306)을 형성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가 내장되는 삽입홈(401)을 형성하여 그 삽입홈(401)의 바닥에는 상기 돌출부(305)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발전기(402)를 설치한 마감캡(4)으로 구성함으로써, 보행 보조용구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전기를 보행 보조용구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이도 조명 사용이 가능하여 야간 보행시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Development of assistive listening and self-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보행 보조용구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보행 보조용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전기를 조명 장치의 전원으로 공급 가능케 한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행 보조용구란 노인·신체장애인·등산가·여행자 등이 보행 과정에서의 신체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긴 막대기 형태로 된 것이 많은데 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지팡이나, 신체장애인 또는 신체 부상으로 인해 자유로운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이 사용하는 목발이나, 등산가·여행자 등이 사용하는 스틱 등이 모두 막대기 형태로 구성된 보행 보조용구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행 보조용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에서 지팡이를 주로 사용하는 노인층이나, 신체 장애 또는 신체 부상으로 인해 자유로운 보행이 어려워 목발을 사용하는 신체장애인이나 부상자들의 경우에는 신체적인 불편으로 인해 보행 보조용구를 사용하면서 보행하는 도중에 자전거나 오토바이, 차량 등이 갑작스럽게 접근할 경우에 이를 신속히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시야가 좁아지는 야간에는 지팡이를 사용하는 노인층이나 목발을 사용하는 신체장애인 또는 부상자들이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과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의 보행을 위해 스틱을 사용하는 등산가·여행자 등의 경우에는 보행이 주로 주간이 이루어지긴 하지만, 개인의 선택에 따라서 야간에 보행을 하는 경우도 많은데 야간 보행의 경우에는 주로 머리나 어깨 등에 걸쳐서 사용하는 랜턴(lantern)을 휴대하고 보행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랜턴을 켜고 야간에 보행을 하더라도 랜턴은 편리한 휴대를 위하여 그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랜턴의 조사범위가 좁아서 보행 과정에서 등산가·여행자의 주변을 완벽하게 밝히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등산가·여행자 등이 야간에 스틱을 사용하면서 보행을 할 경우에는 시선이 머무는 곳에 랜턴 불빛이 비치게 되는데 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스틱에는 불빛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야간 보행중에 스틱이 주변 지형의 돌이나 나무 등에 걸려서 보행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여 야간 사용시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 보조용구에 자가발전 장치를 구비하여 보행 보조용구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전기를 보행 보조용구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이도 조명 사용할 수 있는 보행 보조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는 손잡이(1)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1) 하부에는 막대기(2)가 형성된 보행 보조용구에 있어서,
하단부에 중공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02)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중공부(201)를 형성하여 그 중공부(201)와 연통되는 투광부(203)를 외벽에 방사형으로 형성하며, 투광부(203)가 덮이도록 외부에 투광판(204)을 형성한 구성으로 된 막대기(2)와;
내부에 요입홈(301)을 형성하여 그 요입홈(301) 내벽에는 상기 수나사부(202)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02)를 형성하며, 요입홈(301) 내부에는 상단부에 전구(304)가 설치된 충전부(303)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원형의 돌출부(305)를 형성하여, 그 일측에는 저면에서 상기 요입홈 내부로 관통된 배선공(306)을 형성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가 내장되는 삽입홈(401)을 형성하여 그 삽입홈(401)의 바닥에는 상기 돌출부(305)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발전기(402)를 설치한 마감캡(4)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본 발명은 보행 보조용구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전기를 보행 보조용구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없이도 조명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조명이 밝혀지기 때문에 보행 보조용구를 사용한 야간 보행시 점멸 회로 등의 구성을 통해서 보행 보조용구의 식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야간 보행시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지팡이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목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1)와 막대기(2)로 구성되는 보행 보조용구에 있어서, 막대기(2)의 하단부에 전기를 생산하여 조명을 밝힐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막대기(2)는 하단부에 중공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02)를 형성하여 상단부에 전구(304)가 설치된 충전부(303)를 내부에 설치한 케이스(3)의 암나사부(302)를 상기 수나사부(20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막대기(2)의 하단부에 케이스(3)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3)의 요입홈(301) 내부에 설치된 충전부(303)나 전구(304)의 작동 이상이나 고장 발생시에 막대기(2)의 하단부에서 케이스(3)를 쉽게 분리하여 충전부(303)나 전구(304)를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막대기(2)에 형성된 중공부(201)의 외벽에는 중공부(201)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투광부(203)를 방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막대기(2)에 나사 결합된 케이스(3)에 의해 중공부(201) 내부에 위치하는 전구(304)의 빛이 투광부(203)를 통해 외부로 비치게 하되,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 및 전구(30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과율과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의 투광판(204)이 투광부(203)에 덮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막대기(2)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케이스(3)는 하부에서 마감캡(4)을 끼워서 설치하게 되는데 마감캡(4)에는 삽입홈(401)이 형성되어 이 삽입홈(401) 내부에 케이스(3)가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마감캡(4)의 삽입홈(401) 바닥에는 상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발전기(402)를 내장하여 케이스(3)의 저면에 돌출된 돌출부(305)가 압전소자발전기(402)의 평면상에 밀착하도록 설치하고, 압전소자에서 생산된 전기는 케이스(3) 일측에 형성된 배선공(306)을 통해 연결된 전기배선을 이용하여 충전부(303)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서 충전부(303)에 전기를 충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충전부(303)에 충전된 전기는 충전부(303)의 상부에 설치된 전구(304)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구(304)가 켜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보행 보조용구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신체적인 불편으로 인하여 보행에 어려움을 겪거나, 장시간의 보행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이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용구를 사용할 때는 신체의 일부 하중을 보행 보조용구에 전달함으로써 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 부담을 줄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지팡이나, 등산가·여행자 등이 사용하는 스틱의 경우에는 주로 상단부에 형성된 손잡이(1)를 손에 잡고 하단부를 지면에 밀착시켜 팔과 손의 힘을 이용해 신체의 일부를 지팡이로 지탱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며, 신체장애인 또는 신체 부상으로 인해 자유로운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이 사용하는 목발의 경우에는 상단부를 겨드랑이 사이에 끼워서 상체를 목발의 상단부에 의지한 채 목발 중간에 형성된 손잡이(1)를 잡고, 목발의 하단부를 지면에 밀착시켜 신체 하중을 목발로 지탱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대부분의 보행 보조용구는 그 하단부가 지면에 닿아서 밀착됨과 동시에 신체의 하중 일부가 보행 보조용구를 통해 지면으로 전달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보행 보조용구를 이용해 보행하기 위하여 보행 보조용구의 하단부를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중을 가하면 사용자의 하중은 보행 보조용구를 구성하는 막대기(2)를 통해 케이스(3)로 전달된 후 케이스(3)의 저면에 돌출된 돌출부(305)를 통해 압전소자발전기(402)로 전해지면 압전소자발전기(402)에서 순간적으로 전기가 생산되고, 그 생산된 전기는 케이스(3) 내부의 충전부(303)로 전달된 후 충전부(303) 상부에 설치된 전구(304)의 전원으로 공급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 없이도 전구(304)를 밝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마감캡(4)은 내구성과 내마모성과 완충력이 우수하여 보행 보조용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우레탄이나 합성소무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감캡(4)의 저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마감캡(4)의 삽입홈(401) 바닥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발전기(402)는 필요한 전력량에 따라서 다수의 압전소자발전기(402)를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구(304)의 점등이나 점멸은 충전부(303) 내부에 필요한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선택이 가능함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손잡이 2: 막대기
201: 중공부 202: 수나사부
203: 투광부 204: 투광판
3: 케이스 301: 요입홈
302: 암나사부 303: 충전부
304: 전구 305: 돌출부
306: 배선공 4: 마감캡
401: 삽입홈 402: 압전소자발전기
A: 목발 B: 지팡이

Claims (1)

  1. 상부에는 손잡이(1)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1) 하부에는 막대기(2)가 형성된 보행 보조용구에 있어서,
    하단부에 중공부(201)를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02)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중공부(201)를 형성하여 그 중공부(201)와 연통되는 투광부(203)를 외벽에 방사형으로 형성하며, 투광부(203)가 덮이도록 외부에 투광판(204)을 형성한 구성으로 된 막대기(2)와;
    내부에 요입홈(301)을 형성하여 그 요입홈(301) 내벽에는 상기 수나사부(202)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02)를 형성하며, 요입홈(301) 내부에는 상단부에 전구(304)가 설치된 충전부(303)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원형의 돌출부(305)를 형성하여, 그 일측에는 저면에서 상기 요입홈 내부로 관통된 배선공(306)을 형성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가 내장되는 삽입홈(401)을 형성하여 그 삽입홈(401)의 바닥에는 상기 돌출부(305)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발전기(402)를 설치한 마감캡(4)으로 구성되는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KR1020100048120A 2009-05-29 2010-05-24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KR101101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8515 2009-05-29
KR1020090048515 2009-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80A KR20100129180A (ko) 2010-12-08
KR101101292B1 true KR101101292B1 (ko) 2012-01-04

Family

ID=4350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120A KR101101292B1 (ko) 2009-05-29 2010-05-24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67B1 (ko) 2011-08-17 2013-04-19 광주광역시 광산구 자가 발전식 발광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81B1 (ko) * 2015-03-05 2015-07-24 (주)진성전자 다목적 자가발전 스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308A (ja) * 1994-02-18 1995-08-29 Kensuke Obata 盲人用杖
JP2007160053A (ja) 2005-12-15 2007-06-28 Fuji Ekotekku:Kk 電源不要な閃光杖
JP2008534089A (ja) 2005-03-30 2008-08-28 レネ、ダーヒンデン 歩行用ステッキ兼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308A (ja) * 1994-02-18 1995-08-29 Kensuke Obata 盲人用杖
JP2008534089A (ja) 2005-03-30 2008-08-28 レネ、ダーヒンデン 歩行用ステッキ兼傘
JP2007160053A (ja) 2005-12-15 2007-06-28 Fuji Ekotekku:Kk 電源不要な閃光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67B1 (ko) 2011-08-17 2013-04-19 광주광역시 광산구 자가 발전식 발광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80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5513A1 (en) Lighted or sound tip for mobility devices and method of using
CN205658478U (zh) 多功能安全手杖
KR101101292B1 (ko) 보행 보조용구용 자가발전 조명 장치
US7059738B1 (en) Handle with light for walking member
JP2007000261A (ja) 発光機能付き歩行補助具
CN204191769U (zh) 冰雪防滑手杖
KR20170139222A (ko) 다용도 변환 지팡이
CN208030501U (zh) 一种不倒翁智能拐杖
CN107752254A (zh) 一种不倒翁拐杖
JP3115433U (ja) 照明機器付き補助具
KR20180009945A (ko) 기능성 지팡이
KR200433216Y1 (ko) 자가 발전 신발
KR20100068581A (ko) 자가발전 지팡이
CN210471227U (zh) 具有辅助行为能力的老年人拐杖
CN202269491U (zh) 一种照明拐杖
KR20140018031A (ko) 다기능 보행 보조 기구
KR20160105702A (ko) 자가발전 지팡이
CN203986463U (zh) 照明手杖
CN215501542U (zh) 一种便于患者夜间行走的照明鞋
JP3206545U (ja) 電気による光る杖
KR200418373Y1 (ko) 지팡이
SI24895A (sl) Bergla s protizdrsnim delom in integrirano lučko v ročaju
CN205337895U (zh) 一种带有呼救系统的拐杖
CN201051916Y (zh) 带伞的拐杖
CN201207979Y (zh) 一种多功能拐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