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655B1 -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655B1
KR101232655B1 KR1020060060660A KR20060060660A KR101232655B1 KR 101232655 B1 KR101232655 B1 KR 101232655B1 KR 1020060060660 A KR1020060060660 A KR 1020060060660A KR 20060060660 A KR20060060660 A KR 20060060660A KR 101232655 B1 KR101232655 B1 KR 10123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ircuit board
imaging device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679A (ko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신야 스즈카
켄 엔도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925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47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232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4903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8Swing b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4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djusting position of image plane without moving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38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the image plan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의 뒤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와 함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상기 촬상 소자 뒤의 상기 가동 지지 부재의 전방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촬상 장치, 지지 부재, 보호 부재, 압축 코일 스프링, 조정 나사,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RRANGEMENT OF AN IMA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줌렌즈가 촬영 상태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줌렌즈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줌렌즈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 있을 때의 줌렌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줌렌즈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줌렌즈의 다른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상흔들림 보정 기구)의 전방 사시도;
도 8은 가동 플레이트와 고정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도 5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9는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본, 도 5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10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에 있어서 고정 홀더 부근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CCD 촬상 소자, CCD 유지 플레이트 및 관련 요소를 분해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가동 플레이트가 제거되어 있는 도 12에 도시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의 후방 사시도;
도 14는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 그리고 관련 인장 결합 스프링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 그리고 관련 인장 결합 스프링의 분해 상태와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16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Y-축 방향 이동 부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관련 인장 결합 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Y-축 방향 이동 부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관련 인장 결합 스프링의 분해 상태와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18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으로부터 고정 홀더를 제외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요소의 후방 사시도;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요소로부터 구동 모터, 포토 인터럽터 및 가압 스프링을 제외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요소의 후방 사시도;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요소로부터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와 Y-축 방향 이동 부재를 더 제외한 상태의 전방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요소의 후방 사시도;
도 24는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기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6은 도 1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고정 홀더가 제거된 상태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구성요소의 후방 사시도;
도 28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9는 도 10에 도시된 CCD 유닛 및 고정 커버의 분해 전방 사시도;
도 30은 CCD 유닛의 분해 후방 사시도;
도 31은 CCD 유지 플레이트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CCD 유닛의 분해 후방 사시도;
도 32는 조립된 상태의 CCD 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33은 CCD 촬상 소자에 대한 경사 각도 조정 전의 상태에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단면도;
도 34는 CCD 촬상 소자에 대한 경사 각도 조정 후의 상태에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단면도;
도 35는 도 33에 도시된 두개의 조정 나사 중 하나 부근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두개의 조정 나사 중 하나 부근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도 37은 CCD 유닛의 두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이 위치된 평면을 따라 취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단면도;
도 38은 가동 플레이트와 고정 커버가 설치된 상태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39는 고정 커버를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나타낸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40은 CCD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를 도시한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일부 종단면도;
도 41은 LCD 패널, 고정 커버, LCD 패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줌렌즈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 및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줌렌즈와 LCD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촬영 장치에 가해지는 손흔들림과 같은 떨림에 의해서 야기되는 촬상 소자에 초점이 맞춰진 화상의 상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촬상 소자(예를 들면, CCD 또는 CMOS 촬상 소자)를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구동시키는 촬상 장치(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동 촬상 소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촬상 소자와 화상처리회로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은 플렉시블 PWB(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렉시블 PWB가 고정 부재와 같은 인접한 부재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서 촬상 소자가 구동되는 동안 플렉시블 PWB의 이동에 저항을 야기하면, 촬상 소자를 위한 구동기구에 대한 부하가 증대하여 촬상 소자의 구동 정밀도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PWB를 위한 지지 구조에서 촬상 소자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서 플렉시블 PWB를 지지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상 장치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구동되는 가동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있고,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의 이동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가 콤팩트하더라도 촬상 소자가 높은 정밀도로 구동될 수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촬상 소자의 뒤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가동 지지 부재는 촬상 소자와 함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촬상 소자 뒤의 가동 지지 부재의 전방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가동 지지 부재는, 촬상 소자가 이동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가동 지지 부재의 전방 표면과 면접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는, 촬상 소자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가동 지지 부재 뒤에 위치된 후방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후방 보호 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보호 부재는, 촬상 소자가 이동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후방 보호 부재의 후방 표면에 고정되며, 가동 지지 부재는 후방 보호 부재에 고정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제외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 후방 보호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보호 부재는 촬상 장치의 보디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보디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는 촬상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후방 보호 부재 뒤에 위치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뻗어 있고,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별개로 구비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인쇄회로기판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후방 보호 부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는, 촬상 소자가 고정되는 촬상 소자 고정 부재; 촬상 소자 고정 부재를 유지하고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유지 부재; 및 유지 부재에 대한 촬상 소자 고정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경사 각도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지지 부재는 유지 부재에 고정된다.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유지 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나사 구멍; 촬상 소자 고정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대응하는 나사 구멍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복수의 조정 나사; 유지 부재와 촬상 소자 고정 부재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위치된 복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는, 촬상 소자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가동 지지 부재 뒤에 위치된 후방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정 나사가 후방 보호 부재의 후방으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접근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 구멍이 후방 보호 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촬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이다.
실시예에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벤딩 저항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촬상 소자 뒤에 위치된 벤딩 저항 부여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가 제공되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벤딩 저항 부여 수단은 촬상 소자와 함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벤딩 저항 부여 수단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놓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 고정 회로기판, 촬상 소자를 고정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가 제공되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는 촬상 소자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촬상 소자 뒤 에 위치되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가 고정되는 후방 보호 부재;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촬상 소자와 후방 보호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가동 지지 부재는 촬상 소자와 함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촬상 소자 뒤의 가동 지지 부재의 전방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동 지지 부재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후방 보호 부재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200)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 디지털 카메라(200)는 카메라 보디(202)의 정면에, 줌렌즈(줌렌즈 배럴)(201), 광학 뷰파인더(203) 및 플래시(204)를 갖추고 있고, 카메라 보디(202)의 윗면에는, 셔터 버튼(205)을 갖추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200)의 줌렌즈(201)는, 촬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보디(202)로부터 피사체측(도 2 및 도 3에서 보았을 때 왼쪽)을 향하여 전진하도록 구동된다. 촬영을 하지 않을 때에는, 디지털 카메라(200)가 도 2에 도시된 촬영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201)가 카메라 보디(202) 안에 수납(침동)되어 있는 도 3에 도시 된 침동 상태(fully-retracted state)로 이동한다. 도 2에 있어서, 촬영 광축(Z1)에 대해 줌렌즈(201)의 상반부 및 하반부는 각각 광각단과 망원단에서의 줌렌즈(201)의 촬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 (201)는 복수의 링 부재(중공 원통형 부재): 도 2 및 도 3에서 렌즈 배럴 축(ZO)으로 도시되어 있는 공통 축 둘레로 대체로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직진 안내 링(10), 캠 링(11), 제 3 가동 배럴(12), 제2 가동 배럴(13), 제1 직진 안내 링(14), 제1 가동 배럴(15), 헬리코이드 링(18) 및 고정 배럴(22)을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201)는 제1 렌즈 그룹(LG1), 셔터(S), 조리개(A), 제2 렌즈 그룹(LG2), 제 3 렌즈 그룹(LG3), 로 패스 필터(25) 및 촬상 소자의 기능을 하는 CCD 촬상 소자(60)을 포함하고 있는 촬영 광학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렌즈 그룹(LG1)으로부터 CCD 촬상 소자(60)까지의 광학 요소는, 줌렌즈(201)가 촬영 상태에 있을 때에는 촬영 광축(공통 광축)(Z1) 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 촬영 광축(Z1)은, 렌즈 배럴 축(ZO)과 평행이고 또한 이 렌즈 배럴 축(ZO)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줌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이 촬영 광축(Z1)을 따라서 소정의 이동 방식으로 이동하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 3 렌즈 그룹(LG3)이 촬영 광축(Z1)을 따라서 이동한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광축 방향"이란 용어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피사체측"이란 용어와 "이미지측"이란 용어는 각각 디지털 카메라(200)의 전방과 후방을 의미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촬영 광축(Z1)과 수직인 평면에서 디지털 카메라(200)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을 각각 Y-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정 의한다.
고정 배럴(22)는 카메라 보디(202) 안에 위치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 배럴(22)의 후방부에 고정 홀더(23)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 홀더(23)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통하여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CCD 촬상 소자(60)와 로 패스 필터(25)가 지지되어 있다. 고정 홀더(23)의 뒤에는 화상 및 다양한 촬영 정보를 표시하는 LCD 패널(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이 설치되어 있다.
줌렌즈(201)의 고정 배럴(22)에는 제 3 렌즈 그룹(LG3)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3 렌즈 프레임(51)이 구비되어 있다. 줌렌즈(201)는 고정 홀더(23)와 고정 배럴(22) 사이에 한 쌍의 안내 축(52, 53)을 구비하고 있고, 이 한 쌍의 안내 축은 제 3 렌즈 프레임(51)을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시키지 않고서 광축 방향으로 제 3 렌즈 프레임(51)을 안내하기 위해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51)은 제 3 렌즈 프레임 가압 스프링(인장 코일 스프링)(55)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200)는 이송 스크루로서 기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 구동 축을 가진 포커싱 모터(16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회전 구동 축은 AF 너트(54) 상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다. AF 너트(54)가 포커싱 모터(160)의 회전 구동 축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 3 렌즈 프레임(51)은 AF 너트(54)에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역으로 AF 너트(54)가 전방에 이동되면, 제 3 렌즈 프레임(51)은 제 3 렌즈 프레임 가압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의하여 AF 너트(54)에 추종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3 렌즈 프레임(51)은 광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200)는 고정 배럴(22) 상에 줌 모터(15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줌 모터는 고정 배럴(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줌 모터(150)의 구동력은 감속 기어 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줌 기어(28)(도 5 참고)에 전달된다. 줌 기어(28)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줌 기어 축(2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줌 기어(28)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각각 고정 배럴(22)과 고정 홀더(2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배럴(22)의 안쪽에는 헬리코이드 링(18)이 지지되어 있다. 헬리코이드 링(18)은 줌 기어(28)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줌렌즈(201) 수납 상태에서의 위치와 도 2에서 줌렌즈(201)의 상반부로 도시된 광각단에서 줌렌즈(201)가 촬영 상태로 되기 직전의 줌렌즈(201)의 상태의 위치 사이의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헬리코이드 링(18)과 고정 배럴(22) 사이에 형성된)헬리코이드 구조를 통하여 헬리코이드 링(18)이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이동한다. 도 2에 도시된 줌렌즈(201)의 촬영 상태(광각단과 망원단 사이)에서는, 헬리코이드 링(18)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한다. 제1 가동 배럴(15)은,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헬리코이드 링(18)에 결합되어 있다.
제1 가동 배럴(15)과 헬리코이드 링(18)의 안쪽에는 제1 직진 안내 링(14)이 지지되어 있다. 제1 직진 안내 링(14)은 고정 배럴(22) 상에 형성된 직진 안내 홈 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고, 제1 가동 배럴(15) 및 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해서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제1 가동 배럴(15) 및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 가동 배럴(15) 및 헬리코이드 링(18)과 맞물려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진 안내 링(14)에는 제1 직진 안내 링(14)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3 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14a)(도 5에는 2 개만 도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관통 슬롯(14a)은 둘레방향의 슬롯부 및 이 둘레방향의 슬롯부의 한 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있는 경사진 리드 슬롯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경사진 리드 슬롯부는 광축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 둘레방향의 슬롯부는 렌즈 배럴 축(ZO)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다. 캠 링(1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3 개 한 세트의 돌출부(11a)(도 6에는 2 개만 도시되어 있음)가 3 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14a)에 각각 맞물려 있다. 3 개 한 세트의 돌출부(11a)는 또한, 제1 가동 배럴(1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은 3 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15a)에 맞물려 있어서 캠 링(11)은 제1 가동 배럴(15)과 함께 회전한다. 3 개 한 세트의 돌출부(11a)가 3 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14a)의 리드 슬롯부에 각각 맞물릴 때에는, 캠 링(11)이 3 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14a)에 의해 안내되어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된다. 한편, 3 개 한 세트의 돌출부(11a)가 3 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14a)의 둘레방향의 슬롯부에 각각 맞물릴 때에는, 캠 링(11)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한 다. 헬리코이드 링(18)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줌렌즈(201) 수납 상태에서의 위치와 도 2에서 줌렌즈(201)의 상반부로 도시된 광각단에서 줌렌즈(201)가 촬영 상태로 들어가기 직전의 줌렌즈(201)의 상태의 위치 사이의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캠 링(11)이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이동하고, 도 2에 도시된 줌렌즈(201)의 촬영 상태(광각단과 망원단 사이)에서는 캠 링(11)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한다.
제1 직진 안내 링(14)은 촬영 광축(Z1)과 평행하도록 제1 직진 안내 링(1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직진 안내 홈에 의하여 제2 직진 안내 링(10)과 제2 가동 배럴(13)을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한다. 제2 직진 안내 링(10)은 제2 렌즈 그룹(LG2)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을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하고, 제2 가동 배럴(13)은 제1 렌즈 그룹(LG1)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제 3 가동 배럴(12)을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한다. 제2 직진 안내 링(10)과 제2 가동 배럴(13)은 각각 캠 링(11)에 대하여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가능한 동시에 캠 링(11)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캠 링(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캠 링(11)의 내주면에는 제2 렌즈 그룹(LG2)을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내측 캠 홈(11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내측 캠 홈(11b)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캠 종동자(8a)가 구비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은 제2 직진 안내 링(10)을 통하여 회전하지는 않으면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기 때문에, 캠 링(11)이 회전하면 복수의 내측 캠 홈(11b)의 형상에 따라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201)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의 안쪽에 제2 렌즈 그룹(LG2)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2 렌즈 프레임(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렌즈 프레임(6)은 피벗 축(3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피벗 축(33)은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제2 렌즈 프레임(6)은 제2 렌즈 그룹(LG2)이 촬영 광축(Z1) 상에 위치되어 있는 촬영 위치(도 2 참고)와, 제2 렌즈 그룹(LG2)의 광축이 촬영 광축(Z1)으로부터 퇴피되어 촬영 광축(Z1)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는 반경방향 퇴피 위치(도 3 참고) 사이에서 피벗 축(33)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제2 렌즈 프레임(6)은 토션 스프링(39)에 의하여 제2 렌즈 프레임(6)의 상기 촬영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고정 홀더(23)에는 위치 제어 캠 바(제2 렌즈 프레임 이동 장치)(23a)(도 5 참고)가 구비되어 있고, 이 위치 제어 캠 바(23a)는 제2 렌즈 프레임(6)과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 홀더(2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이 고정 홀더(23)에 접근하는 후퇴 방향으로 후퇴할 때에 토션 스프링(3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 렌즈 프레임(6)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회동시키도록 제2 렌즈 프레임(6)과 가압 접촉하게 된다.
제2 직진 안내 링(10)에 의하여 회전하지는 않으면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2 가동 배럴(13)은 제 3 가동 배럴(12)을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한다. 제 3 가동 배럴(12)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3 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31)(도 6 참고)을 가지고 있고, 캠 링(11)의 외주면에는 상기 3 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31)가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3 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11c)(제1 렌즈 그룹(LG1)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홈; 도 6에는 2 개만 도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201)는 제 3 가동 배럴(12)의 안쪽에 제1 렌즈 그룹 조정 링(2)을 통하여 제 3 가동 배럴(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1 렌즈 프레임(1)을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201)는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의 사이에 셔터(S)와 조리개(A)를 포함하고 있는 셔터 유닛(1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셔터 유닛(100)은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의 안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줌렌즈(201)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줌렌즈(201)가 수납 상태에 있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줌렌즈(201)가 카메라 보디(202)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줌렌즈(201)의 수납 상태에서 카메라 보디(202)의 외측면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101)(도 25 참고)를 ON 상태로 하면, 카메라 보디(202) 내에 설치된 제어 회로(102)(도 25 참고)의 제어에 의해 줌 모터(150)가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줌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줌 기어(28)가 회전한다. 줌 기어(28)가 회전하면 헬리코이드 링(18)과 제1 가동 배럴(15)은 상기의 헬리코이드 구조로 인해 렌즈 배럴 축(Z0) 둘레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직진 안내 링(14)은 제1 가동 배럴(15) 및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 가동 배럴(1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캠 링(11)은, 제1 직진 안내 링(14)의 전방 이동량 과, 제1 직진 안내 링(14)과 캠 링(11) 사이의 리딩 구조에 의한, 다시 말해, 3 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14a)의 경사진 리드 슬롯부와 캠 링(11)의 3 개 한 세트의 돌출부(11a) 각각의 맞물림에 의한, 캠 링(11)의 전방 이동량의 합에 해당하는 이동량만큼 광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18)과 캠 링(11)이 각각의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면, 헬리코이드 링(18)과 고정 배럴(22) 사이의 회전/전진 기구(상기의 헬리코이드 구조)와, 캠 링(11)과 제1 직진 안내 링(14) 사이의 회전/전진 기구(상기의 헬리코이드 구조)의 기능이 해제되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18)과 캠 링(11)은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렌즈 배럴 축(ZO) 둘레로 회전만 하게 된다.
캠 링(11)이 회전하면, 캠 링(11)의 안쪽에 위치되어서 제2 직진 안내 링(10)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은 3 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8a)와 3 개 한 세트의 내측 캠 홈(11b) 각각의 맞물림에 의해 캠 링(11)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된다. 줌렌즈(201)가 수납 상태에 있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제2 렌즈 프레임(6)이, 고정 홀더(2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 제어 캠 바(23a)의 작용에 의하여 촬영 광축(Z1)으로부터 벗어난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이 수납 위치로부터 줌동작 범위의 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제2 렌즈 프레임(6)은 위치 제어 캠 바(23a)로부터 맞물림해제되어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부터 토션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제2 렌즈 그룹(LG2)의 광축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는 도 2에 도시 된 촬영 위치로 피벗 축(33) 둘레로 회전한다. 그 후, 줌렌즈(201)가 카메라 보디(201) 속으로 수납될 때까지는 제2 렌즈 프레임(6)은 촬영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캠 링(11)이 회전하면, 캠 링(11)의 둘레에 위치되어서 제2 가동 배럴(13)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 3 가동 배럴(12)은 3 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31)와 캠 링(11)의 3 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11c) 각각의 맞물림에 의해 캠 링(11)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렌즈 그룹(LG1)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될 때 화상면(촬상면/CCD 촬상 소자(60)의 수광면)에 대한 제1 렌즈 그룹(LG1)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22)에 대한 캠 링(11)의 전방 이동량과 캠 링(11)에 대한 제 3 가동 배럴(12)의 이동량의 합산치로 결정되고, 제2 렌즈 그룹(LG2)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될 때 화상면에 대한 제2 렌즈 그룹(LG2)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22)에 대한 캠 링(11)의 전방 이동량과 캠 링(11)에 대한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의 이동량의 합산치로 결정된다. 줌동작은,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이 서로의 공기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촬영 광축(Z1) 위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 줌렌즈(201)가 도 3에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전진하도록 구동되면, 먼저 줌렌즈(201)는 줌렌즈(201)가 광각단에 위치되어 있는 도 2의 촬영 광축(Z1) 상부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줌 모터(150)가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줌렌즈(201)는 줌렌즈(201)가 망원단에 위치되어 있는 도 2의 촬영 광축(Z1) 하부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렌즈(201)가 광각단에 있을 때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 (LG2) 사이의 간격이 줌렌즈(201)가 망원단에 있을 때보다 더 크다. 줌렌즈(201)가 도 2에서 촬영 광축(Z1) 하부에 도시된 망원단에 있을 때에는,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줌렌즈(201)가 광각단에 있을 때의 간격보다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줌동작을 위한 이와 같은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 사이의 공기 간격의 변화는 캠 링(11)의 (제2 렌즈 그룹(LG2)이동용)복수의 내측 캠 홈(11b)와 (제2 렌즈 그룹(LG2)이동용) 3 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11c)의 궤적에 의해 이루어진다. 망원단과 광각단의 사이의 줌동작 범위에서는, 캠 링(11), 제1 가동 배럴(15) 및 헬리코이드 링(18)은 각각의 축방향의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만 하고 광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줌렌즈(201)가 광각단과 망원단 사이의 촬영 가능 상태에 있을 때, 포커싱 동작은 디지털 카메라(200)의 거리 측정 수단에 의하여 얻은 피사체 거리 정보에 따라 AF 모터(160)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 3 렌즈 그룹(LG3)(제 3 렌즈 프레임(51))을 촬영 광축(Z1)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메인 스위치(101)를 OFF 상태로 하면, 줌 모터(150)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므로, 줌렌즈(201)는 상기한 전진 동작과 반대로 작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201)는 카메라 보디(202) 속으로 완전히 수납된다. 이러한 줌렌즈(201)의 수납 이동의 도중에는, 제2 렌즈 프레임(6)이 제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8)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위치 제어 캠 바(23a)에 의하여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피벗 축(33) 둘레로 회전한다. 줌렌즈(201)가 카메라 보디 (202) 속으로 완전히 수납되면, 제2 렌즈 그룹(LG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LG3), 로 패스 필터(25) 및 CCD 촬상 소자(60)가 수납되어 있는 공간의 반경방향 바깥쪽 공간으로 수납된다. 즉, 제2 렌즈 그룹(LG2)은 제 3 렌즈 그룹(LG3), 로 패스 필터(25) 및 CCD 촬상 소자(60)가 위치되어 있는 광축 방향에서의 축방향 범위와 거의 동일한 축방향 범위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렌즈 그룹(LG2)을 퇴피시키는 디지털 카메라(200)의 상기 퇴피 구조로 인해 줌렌즈(201)가 완전히 수납될 때 줌렌즈(201)의 길이가 짧아지고, 그 결과 광축 방향, 즉 도 3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에서의 카메라 보디(202)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200)는 상흔들림 보정장치(광학 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상흔들림 보정장치는 디지털 카메라(200)에 가해진 진동(손 흔들림)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CCD 촬상 소자(60)를 촬영 광축(Z1)과 수직인 평면 내에서 이동시켜서 CCD 촬상 소자(60)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의 상흔들림을 보정한다. 그 제어는 제어 회로(102)(도 25 참고)에 의하여 행해진다. 도 7 내지 도 9는 CCD 촬상 소자(60)을 포함하는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전체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23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다양한 부분의 사시도 또는 분해 사시도이다.
고정 홀더(23)에는 Y-축 방향(디지털 카메라(200)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Y-축 방향 안내 로드(73, 79)가 설치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한 쌍의 Y-축 방향 안내 로드(73, 79)가 맞물리는 안내 구멍(71a)과 안 내 홈(71b)(도 16 참고)을 구비하고 있어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한 쌍의 Y-축 방향 안내 로드(73, 79)에 의해 자유롭게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X-축 방향 안내 로드(72, 74)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고정되어서 Y-축 방향에 수직인 X-축 방향(디지털 카메라(200)의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는 한 쌍의 X-축 방향 안내 로드(72, 74)가 맞물리는 안내 구멍(21a)과 안내 홈(21b)(도 12 및 도 13 참고)을 구비하고 있어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는 한 쌍의 X-축 방향 안내 로드(72, 74)에 의해 자유롭게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CCD 촬상 소자(60)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을 통하여 촬영 광축(Z1)과 수직인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2 개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 홀더(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 범위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내주면에 의해 제한되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범위는 고정 홀더(23)의 내주면에 의하여 제한된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형성된 스프링 후크(21v)와 고정 홀더(23)에 형성된 스프링 후크(23vx)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을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은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줌렌즈(20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으로(줌렌즈(201)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을 가압하고 있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형성된 스프링 후크(71v)와 고정 홀더(23)에 형성된 스프링 후크(23vy)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을 구비하고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은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한 측부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Y-축 방향 이동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상단부 및 하단부 부근에는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80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하단부에는 이동 규제 러그(80a)로부터 아래쪽을 뻗어 있는 안내 핀(80c)이 구비되어 있다. 이동 규제 러그(80b)에는 한 쌍의 안내 구멍(80d)이 형성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한 쌍의 안내 구멍(80d) 근처에 너트 맞닿음부(80e)와 직진 홈(80f)(도 16 참고)를 구비하고 있고,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80b)의 사이의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수직방향의 직선부에 스프링 후크(80g)(도 17 참고)를 구비하고 있다. 직진 홈(80f)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80b)와 각각 대향하고 있는 이동 규제 러그(71c)와 이동 규제 러그(71d)를 가지고 있다. 이동 규제 러그(71c)에는 안내 핀(80c)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안내 구멍(71e)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 규제 러그(71d)에는 한 쌍의 안내 구멍(80d)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위쪽으로 뻗어 있 는 한 쌍의 안내 핀(71f)이 구비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이동 규제 러그(71c)와 이동 규제 러그(71d)의 사이의 수직방향의 직선부에 스프링 후크(71g)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구멍(71e)과 안내 핀(80c)의 맞물림과, 한 쌍의 안내 핀(71f)과 한 쌍의 안내 구멍(80d)의 맞물림에 의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Y-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스프링 후크(71g)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스프링 후크(80g)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 결합 스프링(81y)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인장 결합 스프링(81y)은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71c)를 서로 접촉시키고, 또한 이동 규제 러그(80b)와 이동 규제 러그(71d)를 서로 접촉시키도록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을 반대 방향으로, 즉,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 쌍의 X-축 방향 안내 로드(72, 74)와는 상이한 다른 한 쌍의 X-축 방향 안내 로드(77, 78)이 고정 홀더(23)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자유롭게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X-축 방향 안내 로드(77, 78)를 통하여 고정 홀더(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X-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X-축 방향의 양 단부 근처에는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X-축 방향 안내 로드(77)가 삽입되는 한 쌍의 안내 구멍(75c)이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5b)에 각각 형성되어서, X-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X-축 방향 안내 로드(78)가 삽입되는 안내 구멍(75d)은 이동 규제 러그(75a)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동 규제 러그(75b)에는, 안내 구멍(75d)에 대응하는 안내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동 규제 러그(75a)에는 안내 구멍(75c)과 안내 구멍(75d)의 사이에 한 쌍의 안내 구멍(75e)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 규제 러그(75b)는, Y-축 방향으로 대응하는 안내 안내 구멍(75c)(도 15 참고) 위에, 이동 규제 러그(7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안내 핀(75f)을 구비하고 있다.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는 또한, 이동 규제 러그(75a)의 바닥부에 연동 돌기(75g)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5b)의 사이의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수평방향 직선부분에 스프링 후크(75h)가 설치되어 있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 위에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를 가지고 있다.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 (76)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이동 규제 러그(76a)와 이동 규제 러그(76b)를 보유하고 있다. 이동 규제 러그(76a)에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한 쌍의 안내 구멍(75e)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안내 핀(76c)이 설치되어 있고, 이동 규제 러그(76b)에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안내 핀(75f)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안내 구멍(76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또한, 이동 규제 러그(76a)에 인접한 위치에 너트 맞닿음부(76e)와 직진 홈(76f)(도 15 참고)을 가지고 있고, 이동 규제 러그(76a)와 이동 규제 러그(76b)의 사이의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수평방향 직선부분에 스프링 후크(76g)가 설치되어 있다. 직진 홈(76f)은 X-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한 쌍의 안내 핀(76c)과 한 쌍의 안내 구멍(75e)의 맞물림과 안내 핀(75f)과 안내 구멍 (76d)의 맞물림에 의하여, X-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스프링 후크(75h)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스프링 후크(76g)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 결합 스프링(81x)을 구비하고 있다. 이 인장 결합 스프링(81x)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6a)를 서로 맞닿게 하고, 이동 규제 러그(75b)와 이동 규제 러그(76b)를 서로 맞닿게 한다.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연동 돌기(75g)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장착된 전달 롤러(21c)(도 12, 도 13 및 도 24 참고)에 맞닿고 있어서, 이 연동 돌기(75g)와 전달 롤러(21c)의 맞물림에 의하여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로부터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로 X-축 방향의 이동력이 전달된다. 전달 롤러(21c)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회전 핀축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과 함께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전달 롤러(21c)가 연동 돌기(75g)의 접촉면 상에서 구름운동한다. 연동 돌기(75g)의 접촉면은 Y-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평면이기 때문에, 전달 롤러(21c)를 연동 돌기(75g)의 접촉면 상에서 구름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Y-축 방향으로 어떠한 구동력을 가하지 않고도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CCD 촬상 소자(6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원인 X-축 구동 모터(170x)와, CCD 촬상 소자(6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원인 Y-축 구동 모터(170y)를 구비하고 있다. X-축 구동 모터(170x)와 Y-축 구동 모터(170y)는 고정 홀더(2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모터 브래킷(23bx)과 모터 브래킷(23by)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X-축 구동 모터(170x)와 Y-축 구동 모터(170y)는 모두 스테핑 모터이다. X-축 구동 모터(170x)의 구동축(회전축)은 이송 스크루(171x)로서 기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Y-축 구동 모터(170y)의 구동축(회전축)은 이송 스크루(171y)로서 기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스크루(171x)는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고, 이송 스크루(171y)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된다.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는,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직진 홈(76f)에 의하여 X-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고, 너트 맞닿음부(76e)에 맞닿아 있다.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는,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직진 홈(80f)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고, 너트 맞닿음부(80e)에 맞닿아 있다.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는 이송 스크루 (171x)의 양 단부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 (85y)는 이송 스크루(171y)의 양 단부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X-축 구동 모터(170x)의 사이에 너트 부재 가압 스프링(89x)이 배치되어 있고,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Y-축 구동 모터(170y)의 사이에 너트 부재 가압 스프링(89y)이 배치되어 있다. 너트 부재 가압 스프링(89x, 89y)은 모두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압축 상태에서는 대응하는 이송 스크루(171x, 171y)에 느슨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너트 부재 가압 스프링(89x)은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X-축 구동 모터(170x) 측면 쪽으로 X-축 구동 모터(170x)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경우에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X-축 구동 모터(170x)와 다시 나사결합되게 하는 방향으로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를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너트 부재 가압 스프링(89y)은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Y-축 구동 모터(170y) 측면 쪽으로 Y-축 구동 모터(170y)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경우에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Y-축 구동 모터(170y)와 다시 나사결합되게 하는 방향으로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를 가압한다.
도 24는 디지털 카메라(200)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X-축 방향 안내 로드(78)와 한 쌍의 안내 핀(76c)의 위치 관계 등은 예시의 목적상 도 7 내지 도 23에 도시된 내용과는 상이하다. 이 모식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CCD 촬상 소자(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이동 규제 러그(75a)가 이동 규제 러그(76a)에 맞닿고 이동 규제 러그(75b)가 이동 규제 러그(76b)에 맞닿은 상태에서, 인장 결합 스프링(81x)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는, 연동 돌기(75g)와 맞닿아 있는 전달 롤러(21c)를 통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은, 도 24에서 보았을 때 왼쪽, 즉, 이동 규제 러그(75a, 75b)를 이동 규제 러그(76a, 76b)로부터 각각 맞물림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작용되고 있지만, 인장 결합 스프링(81x)의 가압력(스프링력)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6a), 그리고 이동 규제 러그(75b)와 이동 규제 러그(76b)가 각각 탄성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체로서 도 24의 왼쪽으로 가압된다. 너트 맞닿음부(76e)와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의 맞물림에 의해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왼쪽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의 위치가 X-축 방향에 있어서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 각각의 기준 위치가 된다. 도 2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스크루(171x)의 단부는 너트 맞닿음부(76e)와 간섭하지 않도록 너트 맞닿음부(76e)에 형성된 관통 구멍(도 14 및 도 15 참고)을 통하여 뻗어 있다.
X-축 구동 모터(170x)의 구동축(이송 스크루(171x))을 회전 구동시키면, 이송 스크루(171x)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X-축 방 향으로 직진 이동되고, 그 결과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 사이의 X-축 방향의 상대 위치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동일한 방향으로 너트 맞닿음부(76e)를 가압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를 도 24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시킨다.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가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연동 돌기(75g)가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 롤러(21c)를 가압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도 24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역으로,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를 도 24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가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에 추종하여 도 24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이 때,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에 의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추종하여 도 24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 이동된다. 연동 돌기(75g)와 전달 롤러(21c)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에 의하여 언제나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CCD 촬상 소자(6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이동 규제 러그(71c) 가 이동 규제 러그(80a)에 맞닿고 이동 규제 러그(71d)가 이동 규제 러그(80b)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인장 결합 스프링(81y)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도 24에서 보았을 때 아래쪽, 즉, 이동 규제 러그(71c, 71d)를 이동 규제 러그(80a, 80b)로부터 각각 맞물림해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인장 결합 스프링(81y)의 가압력(스프링력)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이동 규제 러그(71c)와 이동 규제 러그(80a), 그리고 이동 규제 러그(71d)와 이동 규제 러그(80b)가 각각 탄성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체로서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너트 맞닿음부(80e)와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의 맞물림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이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의 위치가 Y-축 방향에 있어서 Y-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기준 위치로 된다. 도 2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스크루(171y)의 단부는 너트 맞닿음부(80e)와 간섭하지 않도록 너트 맞닿음부(80e)에 형성된 관통 구멍(도 16 및 도 17 참고)을 통하여 뻗어 있다.
Y-축 구동 모터(170y)의 구동축(이송 스크루(171y))을 회전 구동시키면, 이송 스크루(171y)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Y-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되고, 그 결과 Y-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사이의 Y-축 방향의 상대 위치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도 24에서 보았을 때 위쪽으로 이동되면, 이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동일한 방향으로 너트 맞닿음부(80e)를 가압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Y-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도 24에서 보았을 때 위쪽으로 일체로 이동시킨다. 역으로,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를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에 의하여, Y-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위에 지지되어 있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도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때, 전달 롤러(21c)와 맞닿아 있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달 롤러(21c)와 연동 돌기(75g)의 접촉면 사이의 접촉 지점이 변화한다. 이 때, 전달 롤러(21c)가 연동 돌기(75g)의 접촉면 상에서 구름운동하기 때문에,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Y-축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가하지 않고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구조에 따르면, X-축 구동 모터(170x)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을 X-축 방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Y-축 구동 모터(170y)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한시키는 것에 의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함께 Y-축 방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는, 이동 규제 러그(75a)의 부근에 작고 얇은 판 형상의 위치 검출 러그(75i)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는, 이동 규제 러그(71c)의 부근에 작고 얇은 판 형상의 위치 검출 러그(71h)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제1 포토 인터럽터(103)와 제2 포토 인터럽터(10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포토 인터럽터(103)는 광 빔이 위치 검출 러그(75i)에 의해 차단될 때 서로 마주 대하고 있는 이미터 요소와 리시버 요소 사이를 통과하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위치 검출 러그(75i)의 존재를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제2 포토 인터럽터(104)는 광 빔이 위치 검출 러그(71h)에 의해 차단될 때 서로 마주 대하고 있는 이미터 요소와 리시버 요소 사이를 통과하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위치 검출 러그(71h)의 존재를 검출한다. 위치 검출 러그(75i)의 존재를 제1 포토 인터럽터(103)로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X-축 방향에서의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즉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초기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위치 검출 러그(71h)의 존재를 제2 포토 인터럽터(104)로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Y-축 방향에서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초기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5에 블록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200)는 서로 직교하는 2 개의 축(X-축 및 Y-축) 주위에서 각속도를 검출하는 X-축 방향 자이로 센서(각속도 센서)(105)와 Y-축 방향 자이로 센서(각속도 센서)(106)를 구비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200)에 가해진 카메라 흔들림(진동)의 크기 및 방향은 이들 2 개의 자이로센서(105, 106)에 의하여 검출된다. 계속하여, 제어 회로(102)는 2 개의 자이로센서(105, 106)에 의하여 검출된 2 개의 축방향에서의 카메라 흔들림의 각속도를 시간 적분함으로써 이동 각도를 결정한다. 계속하여, 제어 회로(102)는 이 이동 각도로부터 초점면(CCD 촬상 소자(60)의 촬상면) 상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상의 이동량을 연산한다. 제어 회로(102)는 또한 카메라 흔들림을 상쇄시키기 위해 각각의 축방향에 대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 및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구동량 및 구동 방향(X-축 구동 모터(170x), Y-축 구동 모터(170y)에 대한 구동 펄스)를 연산한다. 그리고, CCD 촬상 소자(60)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의 상흔들림을 상쇄시키는 연산치에 따라서, X-축 구동 모터(170x)와 Y-축 구동 모터(170y)를 작동시키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107)(도 25 참고)의 ON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200)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107)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흔들림 보정 기능이 정지되고 통상적인 촬영 동작이 수행된다.
부가적으로,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10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 있어서 제1 트래킹 모드 또는 제2 트래킹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1 트래킹 모드에서는 X-축 구동 모터(170x)와 Y-축 구동 모터(170y)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흔들림 보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트래킹 모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200)에 설치된 측광 스위치(108)나 릴리스 스위치(109)(도 25 참고)가 ON 상태로 전환될 때에만 X-축 구동 모터(170x)와 Y-축 구동 모터(170y)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흔들림 보정 기능이 활성화된다. 셔터 버튼(205)을 절반만 누르는 것에 의해 측광 스위치(108)가 ON 상태로 되고, 셔터 버튼(205)을 전부 누르는 것에 의해 릴리스 스위치(109) ON 상태로 된다.
디지털 카메라(200)의 상기의 상흔들림 보정장치는 X-축 구동 모터(170x)와 Y-축 구동 모터(170y)의 각각으로부터 CCD 촬상 소자(60)(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로의 구동력 전달 기구에 가해지는 부하나 충격을 흡수하여 이송 스크루(171x, 171y)와 다른 관련 요소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 방지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손상 방지 구조는 2 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CCD 촬상 소자(6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인장 결합 스프링(81x)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로 구성된 제1 구성요소와, CCD 촬상 소자(6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인장 결합 스프링(81y)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로 구성된 제2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CCD 촬상 소자(6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X-축 구동 모터(170x)에 의하여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이동될 때,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맞닿아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이 기계적인 한계에 이르거나 다른 원인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이 방해되면, 통상 상태에서는 일체로 이동하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가, 인장 결합 스프링(81x)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6a)(그리고 이동 규제 러그(75b)와 이동 규제 러그(76b))를 서로 결합해제시키도록 X-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함께,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이동이 방해되는 경우에,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단독으로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대하여 X-축 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이동 불능이 되어도,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는 이송 스크루(171x)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한 구동력 전달 기구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이송 스크루(171x) 사이의 나사부 파손을 방지하고 구동력 전달 기구의 다른 관련 부분의 손상을 방지한다. X-축 구동 모터(170x)에 의하여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왼쪽으로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이동될 때에는,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가 너트 맞닿음부(76e)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나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에는 X-축 구동 모터(170x)의 구동력이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이 방해되어도, 구동력 전달 기구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 는다.
CCD 촬상 소자(6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와 마찬가지로, CCD 촬상 소자(6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Y-축 구동 모터(170y)에 의하여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위쪽으로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이동될 때,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고정 홀더(23)에 맞닿아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이 기계적인 한계에 이르거나 다른 원인으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또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이 방해되면, 통상 상태에서는 일체로 이동하는 Y-축 방향 이동 부재(80)과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인장 결합 스프링(81y)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 규제 러그(71c)와 이동 규제 러그(80a)(그리고 이동 규제 러그(71d)와 이동 규제 러그(80b))를 서로 결합해제시키도록 Y-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이 방해되는 경우에, Y-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단독으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대하여 Y-축 방향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이동 불능이 되어도,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는 이송 스크루(171y)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한 구동력 전달 기구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y) 사이의 나사부 파손을 방지하고 구동력 전달 기구의 다른 관련 부분의 손상을 방지한다. Y-축 구동 모터(170y)에 의하여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이동될 때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너트 맞닿음부(80e)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Y-축 방향 이동 부재(80)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는 Y-축 구동 모터(170y)의 구동력이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이 방해되어도, 구동력 전달 기구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 범위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내주면에 의하여 한정되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범위는 고정 홀더(23)의 내주면에 의하여 한정된다. 즉, X-축 방향으로의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의 기계적인 한계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내주면에 의하여 한정되고, Y-축 방향으로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의 기계적인 한계는 고정 홀더(23)의 내주면에 의하여 한정된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좌우의 이동단에 도달할 때에는 이송 스크루(171x)로부터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로의 X-축 구동 모터(170x)의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되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상하의 이동단에 도달할 때에는 이송 스크루(171y)로부터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로의 Y-축 구동 모터(170y)의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관련 부품의 제조 공차를 고려하면, 반드시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관계가 이루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기계적인 이동의 한계에 도달한 상태에서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이송 스크루(171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y))가 충분한 축 방향의 길이로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200)의 상흔들림 보정장치가 상기의 손상 방지 구조와 같은 손상 방지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으면, X-축 구동 모터(170x)(또는 Y-축 구동 모터(170y))의 계속된 회전에 의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이송 스크루(171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y))의 각각에 부하가 가해짐으로 인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이송 스크루(171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y))의 나사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흔들림 보정 기구를,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용이하게 이동의 기계적인 한계에 이르지 않도록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에 대해 이송 스크루(171x)(또는 이송 스크루(171y))상에서의 충분한 이동 범위를 부여한 다음, 이송 스크루(171x)(또는 이송 스크루(171y))의 양단부에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가 도달할 때에 이송 스크루(171x)(또는 이송 스크루(171y))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범위를 필요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전체 상흔들림 보정장치의 크기가 과도하게 대형화될 수 있다. 또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이동 범위의 중간 지점(즉, 이동 범위의 양단부가 아닌 지점)에서 뜻하지 않게 이동 불량상태에 빠진 경우에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나 Y-축 방 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범위에 관계없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x)(또는 이송 스크루(171y)) 사이의 나사결합부분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장치에 따르면, 중간 부재(즉,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에 의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 사이의 X-축 방향의 이동량의 차이가 흡수되고, 중간 부재(즉,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에 의해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사이의 Y-축 방향의 이동량의 차이가 흡수되기 때문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범위를 필요이상으로 크게 한 필요가 없다. 또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이동 범위의 중간 지점(즉, 이동 범위의 양단부가 아닌 지점)에서 뜻하지 않게 이동 불량상태에 빠진 경우에도, 상기한 중간 부재(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 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에 의해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 사이의 X-축 방향의 이동량의 차이(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사이의 Y-축 방향의 이동량의 차이)가 흡수되기 때문에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또는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x)(또는 이송 스크루(171y)) 사이의 나사결합부분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장치에서는,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 사이의 최대 상대 이동량은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각각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 어떠한 위치 관계에 있더라도,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 사이의 이동량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와 Y-축 방향 이동 부재(80) 사이의 최대 상대 이동량은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각각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 어떠한 위치 관계에 있더라도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사이의 이동량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이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구동력 전달 기구에 대하여 부하가 걸리는 원인은 아니다. 상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요소인 CCD 촬상 소자(60)는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200)가 바닥에 떨어져서 디지털 카메라(200)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X-축 구동 모터(170x)나 Y-축 구동 모터(170y)에 의해 구동력이 부여되지 않더라도 (CCD 촬상 소자(60)을 유지하는)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나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유지하는)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이동시키는 힘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장치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부하나 순간적인 충격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축 구동 모터(170x)의 구동력 이외의 외력에 의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왼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전달 롤러(21c)를 통하여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가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를 가압하는 상기 방향은, 이동 규제 러그(75a, 75b)를 이동 규제 러그(76a, 76b)로부터 각각 결합해제시키는 방향이기 때문에,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인장 결합 스프링(81x)의 가압력에 대항하면서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에 대하여 왼쪽으로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를 기계적으로 가압하지 않으며,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에는 인장 결합 스프링(81x)의 탄성적인 인장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로부터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X-축 구동 모터(170x)의 구동력 이외의 외력에 의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전달 롤러(21c)가 연동 돌기(75g)로부터 결합해제되는 방향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이동하기 때문에, 제1 X-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2 X-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어느 쪽도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이동력을 받지 않는다. 즉, X-축 구동 모터(170x)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외력 등에 의하여 X-축 방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이송 스크루(171x) 사이의 나사결합부분에는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Y-축 구동 모터(170y)의 구동력 이외의 외력에 의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방향은, 이동 규제 러그(80a, 80b)를 이동 규제 러그(71c, 71d)로부터 각각 결합해제시키는 방향이기 때문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인장 결합 스프링(81y)의 가압력에 대항하면서 Y-축 방향 이동 부재(8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 이동 부재(80)를 기계적으로 가압하지 않으며, Y-축 방향 이동 부재(80)에는 인장 결합 스프링(81y)에 의한 탄성적인 인장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Y-축 방향 이동 부재(80)로부터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Y-축 구동 모터(170y)의 구동력 이외의 외력에 의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도 24에 도시된 도면에서 위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71c) 사이의 맞물림과 이동 규제 러그(80b)와 이동 규제 러그(71d)의 맞물림에 의하여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이 위쪽으로 가압된다. 이 때,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상기 이동 방향은 너트 맞닿음부(80e)가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로부터 결합해제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에는 Y-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이동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Y-축 구동 모터(170y)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외력 등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y)의 나사결합부분에는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장치에 따르면, 아래의 2 경우: 즉, X-축 구동 모터(170x)나 Y-축 구동 모터(170y)에 의해 구동될 때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 및/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이동 동작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외력 등에 의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 및/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예기치않게 이동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우발적인 이동을 흡수하여 상흔들림 보정 광학 요소를 위한 구동 기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흔들림 보정장치는 X-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x)와 이송 스크루(171x) 사이와 Y-축 방향 피구동 너트 부재(85y)와 이송 스크루(171y) 사이의 2 개의 나사결합부분 중의 어느 쪽에도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 개의 나사결합부분의 손상 방지 효과가 높다. 이송 스크루(171x, 171y)의 리드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고정밀도에 구동시킬 수 있지만, 이송 스크루의 리드 각도를 작게 하면 이송 스크루 기구의 강도가 약해진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2 개의 나사결합부분의 어느 쪽에도 큰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이송 스크루의 리드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제1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에 있어서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붙이고 있다. 제2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한 단부가 고정 홀 더(23)에 후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후크로 연결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과 동일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형성된 스프링 후크(21v)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형성된 스프링 후크(71w)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제2 실시예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에서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CCD 촬상 소자(60), 로 패스 필터(25) 및 다른 관련 구성요소들은 유닛으로 되어 있고, 상흔들림 보정시에 이 유닛(CCD 유닛)이 구동된다. 도 29 내지 41을 참조하여 이 CCD 유닛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 패스 필터(25)와 CCD 촬상 소자(60)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CCD 유지 플레이트(61) 사이에 유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로 패스 필터(25)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전방 개구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고 CCD 촬상 소자(60)의 촬상면은 로 패스 필터(25)와 CCD 촬상 소자(60) 사이에 유지된 환형상 시일 부재(26)로 로 패스 필터(25)의 뒤에 위치되어 있다. 환형상 시일 부재(26)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CCD 촬상 소자(60)는 CCD 기판(62)과 함께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전방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CCD 기판(62)은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배면으로 뻗어 있고 화상신호 송신에 적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하, 플렉시블 PWB 라 한다)(90)의 한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플렉시블 PWB(90)의 다른 단부는 제어회로(102)가 장착되는 고정회로기판(도 29에 도시된)에 연결되어 있다. CCD 기판(62)과 플렉시블 PWB(9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CCD 유지 플레이트(61)는 전방 평탄부(61a)와 3개의 지지 러그(61b)를 구비하고 있다. 3개의 지지 러그(61b)는 CCD 촬상 소자(60) 및 CCD 기판(62)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개의 지지 러그(61b)중 2개는 전방 평탄부의 양쪽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고 나머지 지지 러그(61b)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는 3개의 지지 러그(61b)가 각각 끼워맞춰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3개의 오목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지지 러그(61b)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원형 관통 구멍(61c)(경사 각도 조정 기구의 요소)이 구비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3개의 오목부(21d) 안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관통 구멍(61c)과 마주하도록 3개의 너트(63)(경사 각도 조정 기구의 요소)가 고정된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는 3개의 너트(63)에 인접한 위치에 3개의 스프링 수납구멍(21e)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스프링 수납구멍(21e)에는 압축코일 스프링(64)(경사 각도 조정 기구의 요소)이 수납된다. 전방 평탄부(61a)의 양측의 2개의 지지 러그(61b)에는 2개의 관통 구멍(61c)의 아래쪽에 2개의 위치결정 구멍(61d)이 구비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2개의 오목부(21d)에는 각각 2개의 위치결정 구멍(61d)과 결합 가능한 2개의 위치결정 돌출부(21f)가 구비되어 있다.
3개의 너트(63)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다른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너트(63)에는 중공 원통부(원통형 축부)(63a)가 구비되어 있고 원통부(63a)의 한 단부에는 플랜지부(63b)가 구비되어 있다. 3개의 너트(63)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전방에 형성된 3개의 큰 직경 구멍(21g)에 3개의 플랜지부(63b)를 결합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너트(63)의 중공 원통부(63a)는 큰 직경 구멍(21g)의 저부를 관통하여 광축방향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너트(63)의 중공 원통부(63a)의 외경은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관통 구멍(61c)의 내경(개구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너트(63)에는 중공 원통부(63a)의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 구멍(63c)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3개의 암나사 구멍(63c)에 중공 원통부(63a)의 단부(광축방향 후방)로부터 3개의 CCD 조정 나사(경사 각도 조정 기구의 요소)(65)가 각각 나사결합된다. 각각의 CCD 조정 나사(65)는 암나사 구멍(63c)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진 축부(나사축부)(65a)와, 축부(65a)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65b)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 원통부(63a)와 달리, 머리부(65b)의 외경은 관통 구멍(61c)의 내경(개구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CCD 유닛 조립시, 3개의 스프링 수납구멍(21e)에 각각 압축코일 스프링(64)을 삽입한 상태에서 3개의 지지 러그(61b)를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오목부(21d)에 진입시키기 위하여 CCD 유지 플레이트(61)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를 서로 근접시킨다. 그 결과, 2개의 위치결정 돌출부(21f)는 2개의 위치결정 구멍(61d)에 각각 결합되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CCD 촬상 소자(60)의 상대위치가 결정된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너트(63)의 중공 원통부(63a)의 외경이 대응하는 관통 구멍(61c)의 내경(개구 직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CCD 유지 플레이트(61)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가 어느 정도 서로 접근하면 3개의 너트 (63)의 중공 원통부(63a) 단부를 3개의 원형 관통 구멍(63c)에 들어가게 한다.
계속해서, 3개의 CCD 조정 나사(65)의 축부(65a)는 3개의 너트(63)의 암나사 구멍(63c)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CCD 유지 플레이트(61)가 서로 접근하면, 3개의 오목부(21d)에 삽입된 압축코일 스프링(64)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3개의 지지 러그(61b) 사이에서 압축된다. 압축된 3개의 지지 러그(61b)의 탄성력 때문에, CCD 유지 플레이트(61)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광축방향 후방)으로 가압된다(도 37 참조). 그러나, 3개의 CCD 조정 나사(65)의 머리부(65b)의 후방 표면이 CCD 유지 플레이트(6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광축방향에서의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위치가 한정된다. 따라서, CCD 촬상 소자(60)와 로 패스 필터(25)를 유지한 상태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CCD 유지 플레이트(61)가 결합된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CCD 유지 플레이트(61)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CCD 유닛에서는, CCD 촬상 소자(60)의 촬상면의 중심에 대하여 상이한 3 위치에 CCD 조정 나사(65)가 분산되어 배열되므로, 각각의 CCD 조정 나사(65)의 체결량을 조정함으로써 촬영 광축(Z1)에 대한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각도(경사 각도/설정 각도), 즉 촬영 광축(Z1)에 대한 CCD 촬상 소자(60)의 촬상면의 각도(경사 각도/설정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CCD 조정 나사(65)의 체결량을 증가시키면 광축방향에서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위치를 한정하는 머리부(65b)의 위치가 광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머리부(65b)의 전방 이동은 CCD 조정 나사(65)와 접촉하는 지지 러그(61b)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반대로 만약 CCD 조정 나사(65)의 체결량을 감소시키면 머리부(65b)는 광축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머리부(65b)의 후방 이동은 CCD 조정 나사(65)와 접촉하는 지지 러그(61b)를 압축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촬영 광축(Z1)에 대한 CCD 촬상 소자(60)의 경사 각도는 3개의 CCD 조정 나사(65)의 체결량 사이의 밸런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33과 도 34는 3개의 CCD 조정 나사(65)중 전방 평탄부(61a)의 양측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있는 2개의 CCD 조정 나사(65)의 조정 전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단면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상태에서, 2개의 CCD 조정 나사(좌우 CCD 조정 나사)(65)의 체결량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두개의 너트(63)의 암나사 구멍(63c)에 대하여 최대 체결위치(체결 종단위치)까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5는 도 33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우 CCD 조정 나사(65)의 하나(도 34에서 보았을 때 CCD 조정 나사(65))와 그 주변 구성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3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 러그(61b)가 CCD 조정 나사(65)의 머리부(65b)의 배면에 맞닿아 있지만, 중공 원통부(63a)의 단부와 머리부(65b)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CCD 조정 나사(65)를 더욱 체결하는 것에 의해 머리부(65b)와 지지 러그(61b)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공간이 존재한다.
도 34는 도면중 좌측 CCD 조정 나사(65)가 최대 체결위치까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좌측 CCD 조정 나사(65) 및 인접한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3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CCD 조정 나사(65)와 접촉하고 있는 지지 러그 (61b)는 압축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3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어져 있고, 이에 의해 CCD 유지 플레이트(61)와 CCD 촬상 소자(60)를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대하여(광축 방향에 대하여) 틸팅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는 CCD 촬상 소자(60)의 틸팅에 의해서 틸팅되지 않지만, 로 패스 필터(25)와 CCD 촬상 소자(60)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탄성 시일 부재(26)는 CCD 촬상 소자(60)의 틸팅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도 34 참조).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너트(63)의 중공 원통부(63a)가 3개의 원형 관통 구멍(61c)에 각각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CCD 조정 나사(65)는 머리부(65b)가 너트(63)의 중공 원통부(63a)의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체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지지 러그(61b)는 CCD 조정 나사(65)의 머리부(65b)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오목부(21d)의 저면 사이에 부착되도록 유지되어 있지 않지만, 오목부(21d)의 저면과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지지 러그(61b)가 CCD 조정 나사(65)의 머리부(65b)와 오목부(21d)의 저면 사이에 부착되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CCD 조정 나사(65)의 체결량이 변화될 때 CCD 조정 나사(65)가 최대 체결상태로 체결되어 있더라도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틸팅이 방지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너트(63)(너트의 암나사 구멍(63c))에 대한 각각의 CCD 조정 나사(65)의 축부(65a)의 축선방향 이동 범위의 전체가 촬영 광축(Z1)에 대한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각도 조정(경사 각도 조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CCD 유닛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유지부재)와 CCD 유지 플레이트 (61)(촬상 소자 고정 부재)를 결합시킨 후(도 31 및 도 32 참조)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배면에 가동 플레이트(플렉시블 PWB(90)/벤딩 저항 수단을 지지하는 가동 지지부재)(91)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완성된다. 가동 플레이트(91)는 CCD 촬상 소자(60)가 구동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즉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X-축 및 Y-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는 평판 부재이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는 한 쌍의 결합 구멍(21h), 나사 구멍(21i) 및 위치결정 돌출부(21k)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 플레이트(91)에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의 한 쌍의 결합 구멍(21h), 나사 구멍(21i) 및 위치결정 돌출부(21k)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빠짐방지 러그(91a), 관통 구멍(91b), 위치결정 구멍(91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빠짐방지 러그(91a)의 단부를 한 쌍의 결합 구멍(21h)에 결합하고 위치결정 돌출부(21k)를 위치결정 구멍(91c)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 나사(92)를 가동 플레이트 나사 구멍(21i)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가동 플레이트(91)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고정된다(도 32 참조).
CCD 유닛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CCD 촬상 소자(6)를 구동하기 위한 전술한 구동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상흔들림 보정 유닛(IS)를 구성한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은 그 배면을 덮어 보호하는 고정 커버(후방 보호 커버)(9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커버(93)는 CCD 촬상 소자(60)가 구동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즉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X-축 및 Y-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는 평판 부재이며, 따라서 고정 커버(93) 는 가동 플레이트(9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커버(93)는 고정 커버(93)의 외연부 부근에 분산되어 배열된 4개의 관통 구멍(93a)을 구비하고 있고, 4개의 관통 구멍(93a) 주위에는 4개의 링형상 맞닿음면(93b)이 구비되어 있다. 4개의 링형상 맞닿음면(93b)은 공통 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고정 커버(93)에는 3개의 접근 구멍(관통 구멍)(93c)과 2개의 위치결정 구멍(관통 구멍)(93d)이 구비되어 있다.
도 8 및 9는 가동 플레이트(91)와 고정 커버(93)를 벗겨낸 상태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IS)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홀더(23)의 배면에는 고정 커버(93)의 4개의 관통 구멍(93a)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나사 구멍(23c)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또한 4개의 나사 구멍(23c)의 주위에는 고정 커버(93)의 4개의 맞닿음면(93b)이 접촉하는 4개의 맞닿음면(23d)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 홀더(23)는 2개의 위치결정 구멍(93d)에 결합되는 2개의 위치결정 돌출부(23e)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커버(93)를 고정 홀더(23)에 장착할 때, 2개의 위치결정 돌출부(23e)는각각 2개의 위치결정 구멍(93d)과 결합된다. 그 결과, 고정 커버(93)의 4개의 맞닿음면(93b)이 고정 홀더923)의 대응하는 4개의 맞닿음면(23d)과 각각 접촉하게 되므로, 4개의 관통 구멍(93a)과 4개의 나사 구멍(23c)이 정렬된다. 그 후에,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커버(93)의 관통 구멍(93a)을 통하여 고정 홀더(23)의 나사 구멍(23c)에 나사결합되는 4개의 고정 나사(94)를 사용하여 고정 커버(93)는 고정 홀더(23)에 고정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91)와 고정 커버(93)가 장착된 상태에서, 3개의 CCD 조정 나사(65)의 머리부(65b)가 3개의 접근 구멍(93c)을 통하여 노출되며,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91) 또는 고정 커버(93)를 분리하지 않고 전술한 CCD 촬상 소자(60)의 각도 조정을 위한 조정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제어회로(102)는 카메라 보디(202)에 구비된 고정 회로기판(102a)에 장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회로기판(102a)과 CCD 기판(62)은 플렉시블 PWB(9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 3, 12 및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PWB(90)에는 고정 CCD-연결부(90a), U형상의 폴딩부(90v1), 제1 수직 평탄부(90b), 벤딩부(90v2), 제1 수평 평탄부(90c), U형상의 폴딩부(90v3), 제2 수평 평탄부(90d), 벤딩부(90v4), 제2 수직 평탄부(90e), 측방향 연장부(90f) 및 커넥터부(90g)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CCD-연결부(90a)는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배면측에서 CCD 기판(6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CCD-연결부(90a)의 바닥 단부는 U형상의 폴딩부(90v1)를 형성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되접혀 있다. 제1 수직 평탄부(90b)는 U형상의 폴딩부(90v1)로부터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수직 평탄부(90b)의 상단부는 벤딩부(90v2)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각으로 전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제1 수평 평탄부(90c)는 줌 모터(150)의 위에서 벤딩부(90v2)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뻗어 있다. 제1 수평 평탄부(90c)의 전방 단부는 U형상의 폴딩부(90v3)를 형성하기 위하여 180도 후방으로 되접혀 있다. 제2 수평 평탄부(90d)는 U형상의 폴딩부(90v3)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다. 제2 수평 평탄부(90d)의 후방 단부는 벤딩부(90v4)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각으로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제2 수직 평탄부(90e)는 벤딩부(90v4)로부터 Y-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측방향 연장부(90f)는 제2 수직 평탄부(90e)의 하단부로부터 X-축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뻗어 있다. 커넥터부(90g)는 제어회로(102)가 장착되는 고정 회로기판(102a)에 부착되도록 측방향 연장부(90f)의 한 단부(도 38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직 평탄부(90b)와 제2 수직 평탄부(90e)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이며, 제1 수직 평탄부(90b)와 제2 수직 평탄부(90e)의 각각의 길이방향은 Y-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또, 제1 수평 평탄부(90c)와 제2 수평 평탄부(90d)는 서로 대략 평행이며, 제1 수평 평탄부(90c)와 제2 수평 평탄부(90d)의 각각의 길이방향은 촬영 광축(Z1)과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도 8, 9, 19, 21 및 23에서는 전방 평탄부(61a)의 배면측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플렉시블 PWB(90)과 CCD 기판(62)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 유지 플레이트(61)와 가동 플레이트(91) 사이에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 플레이트(91)는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전방 평탄부(61a)로부터 광축방향으로 이격되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에 고정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고정 커버(93)와 고정 커버(93)의 배후에 위치되어 있는 LCD 패널(20)의 사이에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U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렉시블 PWB(90)의 U형상의 폴딩부(90v1)가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1)내에 위치하므로,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1)의 전후에 고정 CCD-연결부(90a)와 제1 수직 평탄부(90b)가 위치된다. 고정 CCD-연결부(90a)는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배면측에 고정된다. 한편, 제1 수직 평탄부(90a)는 가동 플레 이트(91)의 전방 표면에 맞닿음(면접촉) 하고, 가동 플레이트(91)에 의해서 안내되어 U형상의 폴딩부(90v1)로부터 벤딩부(90v2)로 뻗어 있다. 제1 수평 평탄부(90c)와 제2 수평 평탄부(90d)를 경유하여 제1 수직 평탄부(90b)의 후방으로 뻗어 있는 제2 수직 평탄부(90e)와 측방향 연장부(90f)는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2)에 뻗어 있으며 고정 커버(93)의 배면에 의해서 지지된다. 각각의 제2 수직 평탄부(90e)와 측방 연장부(90f)는 부분적으로 양면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 커버(93)의 배면에 고정된다.
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에서는, 플렉시블 PWB(90)의 일단부(CCD 기판(62))를 지지하는 CCD 유지 플레이트(61)와 고정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고정 커버(93) 사이의 광축방향의 위치에 가동 플레이트(91)가 배열되어 있다. 도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직 평탄부(90e), 측방향 연장부(90f) 및 커넥터부(90g)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PWB(90)의 일부(고정 부분)는 고정 커버(93)의 광축방향 후면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가동 플레이트(91)가 고정 커버(93)의 전방 표면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90)의 다른 부분(가동 부분)을 덮도록 위치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PWB(90)의 다른 부분과 고정 커버(93)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91)는 플렉시블 PWB(90)(고정 커버(93) 후면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술한 고정 영역 이외)이 고정 커버(93) 및 고정 홀더(23)와 같은 인접한 고정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PWB(90)가 가동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변형 할 때 인접한 고정 부재와 접촉하면, 인접한 부재와 플렉시블 PWB(9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며 마찰은 가동 부재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야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플레이트(91)을 구비한 상흔들림 보정 유닛(IS) 제공하여 플렉시블 PWB(90)의 가동 부분이 인접한 고정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마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플렉시블 PWB(90)의 제1 수직 평탄부(90b)의 일부는 가동 플레이트(91)의 전방 표면과 면접촉한다. 가동 플레이트(91)는 CCD 촬상 소자(60)와 일체로 X-축 및 Y-축 방향으로 구동되는 가동 부재이기 때문에, CCD 촬상 소자(60)가 상흔들림 보정하도록 구동될 때 이러한 면접촉의 영역에서는 제1 수직 평탄부(90b)와 가동 플레이트(91) 사이에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91)는 인접한 고정 부재와 플렉시블 PWB(90)의 가동 부분의 접촉을 방지하는 보호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플렉시블 PWB(90)에 대하여 벤딩 저항을 부여하는 가동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PWB(90)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더욱 낮은 부하 상태에서 높은 정밀도로 CCD 촬상 소자(60)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CCD 촬상 소자(60)의 각도 조정을 위한 경사 각도 조정작업에서, CCD 유지 플레이트(61)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가동 플레이트(91)에 대하여 틸팅된다.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유지각도가 변화하면, CCD 유지 플레이트(61)에 고정되는 일부를 통하여 플렉시블 PWB(90)을 뒤틀리게 하는 힘이 작용한다. 플렉시블 PWB(90) 자체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PWB(90)는 탄성변형하여 이러한 뒤틀림 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시블 PWB(90)의 탄 성변형 부분이 인접한 고정 부재와에 접촉하는 경우, 상흔들림 보정 작동시에 CCD 촬상 소자(60)의 이동에 플렉시블 PWB(90)이 동반될 때 CCD 촬상 소자(60)의 이동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PWB의 배열설치 구조에서는 CCD 촬상 소자(60)의 각도가 촬영 광축(Z1)에 대하여 조정될 때,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 유지 플레이트(61)와 가동 플레이트(91) 사이의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1)에 위치되는 U형상의 폴딩부(90v1)가 탄성변형하도록 뒤틀리는데, 폴딩부(90v1)에 연속되는 제1 수직 평탄부(90b)가 가동 플레이트(91)의 전방 표면과 면접촉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제1 수직 평탄부(90b)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90) 부분의 뒤틀림은 제한된다. 바꾸어 말하면, 촬영 광축(Z1)에 대한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각도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가동 플레이트(91) 사이의 공간(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1))에서 조정되는 한편, CCD 촬상 소자(60)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90)은 CCD 유지 플레이트(61)과 마주하는 가동 플레이트(91)의 표면에 의해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CCD 촬상 소자(60)에 대해 이루어진 경사 각도 조정에 의해 발생하는 플렉시블 PWB의 뒤틀림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1)와 가동 플레이트(91)에 유지되는 CCD 유닛(폴딩부(90v1))에서 흡수되어, CCD 유닛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나온 플렉시블 PWB(90) 부분에는 CCD 촬상 소자(60)의 이동에 대한 부하의 증가를 야기하는 어떠한 변형도 남아 있지 않다. 즉, 촬영 광축(Z1)에 대한 CCD 촬상 소자(60)의 각도 조정을 실행하여도 CCD 유닛의 구동 정밀도에 대하여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고정 커버(93)는 LCD 패널(20)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20a)을 가동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에 대하여 보호한다. 플렉시블 PWB(20a)는 플렉시블 PWB(9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20)의 하부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20a)는 위쪽으로 구부러져 고정 커버(93)와 LCD 패널(20) 사이의 플렉시블 PWB 삽입공간(S2)에 위치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PWB(20a)는 고정 커버(93)의 배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뻗어 배열되므로, 플렉시블 PWB(20a)의 측방향으로 뻗은 단부가 제어회로(102)에 접속되어 있다(이러한 연결 부분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흔들림 보정시에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구동될 때 플렉시블 PWB(20a)이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가동부분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2 및 4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플렉시블 PWB(190)(플렉시블 PWB(90)과 상응)의 배열설치 구조는 앞의 실시예와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앞의 실시예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구성과 유사한 구성요소 및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하고, 제2 실시예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 구조에서도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PWB(190)에는 고정 CCD-연결부(190a), U형상의 폴딩부(190v1), 제1 수직 평탄부(190b), 벤딩부(190v2), 제1 수평 평탄부(190c), U형상의 폴딩부(190v3) 및 제2 수평 평탄부(190d)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CCD-연결부(190a)는 CCD 유지 플레이트(61)의 배면측에서 CCD 기판(6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CCD-연결부(190a)의 바닥 단부는 U형상의 폴딩부(190v1)를 형성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되접혀 있다. 제1 수직 평탄부(190b)는 U형상의 폴딩부(190v1)로부터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수직 평탄부(190b)의 상단부는 벤딩부(190v2)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각으로 전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제1 수평 평탄부(190c)는 줌 모터(150)의 위에서 벤딩부(190v2)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뻗어 있다. 제1 수평 평탄부(190c)의 전방 단부는 U형상의 폴딩부(190v3)를 형성하기 위하여 180도 후방으로 되접혀 있다. 비록 고정 CCD-연결부(190a)로부터 제2 수평 평탄부(190d)로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190)의 부분이 고정 CCD-연결부(90a)로부터 제2 수평 평탄부(90d)로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90)의 부분과 동일하지만, 제2 수평 평탄부(190d)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190)의 나머지 부분은 제2 수평 평탄부(90d)로 뻗어 있는 플렉시블 PWB(90)의 부분과 상이하다. 또한 플렉시블 PWB(190)에는 벤딩부(190v4), 최상부 지지부(190e), 측방향 연장부(190f) 및 커넥터부(190g)가 구비되어 있다. 줌 모터(150) 위의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에는 고정 지지 플레이트(193)가 구비되어 있고, 제2 수평 평탄부(190d)의 후방 단부는 벤딩부(190v4)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지 플레이트(193)의 최상부 표면을 따라 뻗도록 지지 플레이트(193)의 후방 단부 둘레에 180 도로 다시 접혀진다. 최상부 지지부(190e)는 벤딩부(90v4)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193)의 최상부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연장부(190f)는 최상부 지지부(190e)로부터 X-축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뻗어 있다. 커넥터부(190g)는 제어회로(102)가 장착되는 고정 회로기판(102b)에 부착되도록 측방향 연장부(190f) 의 한 단부(도 43에서 보았을 때 좌측 단부)에 형성된다. 최상부 지지부(190e)의 적어도 일부와 측방향 연장부(190f)의 적어도 일부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지지 플레이트(193)에 고정된다.
플렉시블 PWB(190)은,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의 후방에 위치된 고정 커버(93)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에 고정되지 않고 지지 플레이트(193)의 측면으로 뻗어 있다는 관점에서 플렉시블 PWB(90)와 상이하다. 그러나, 지지 플레이트(193)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플렉시블 PWB(190)의 가동 부분이 고정 홀더(23)와 같은 인접한 고정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부재로서의 역할을 가동 플레이트(91)가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에 대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91)을 구비한 상흔들림 보정 유닛(IS)을 제공함으로써 플렉시블 PWB(190)의 가동 부분이 인접한 고정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플렉시블 PWB와 인접한 고정 부재 사이에 유해한 마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상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시예의 플렉시블 PWB(90, 190)는 제1 수평 평탄부(90c, 190c), U형상의 폴딩부(90v3) 및 제2 수평 평탄부(90d, 190d)로 이루어지는 전방 확장부를 포함하고 있고, CCD 촬상 소자(60)가 구동될 때 상기 전방 확장부가 플렉시블 PWB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플렉시블 PWB 배열설치 구조에서 이러한 전방 확장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 PWB(90, 190)와 별개로 구비된 가동 플레이트(91)가 플렉시블 PWB(90, 190)을 지지하고 있지만, 가동 플레이트(91) 대신에 플렉시블 PWB의 대응하는 부분을 보강하여 경도(벤딩 저항)를 높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자명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속한다.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열설치 구조는 콤팩트하고, 촬상 소자가 구동될 때 플렉시블 PWB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정밀도로 안정하게 촬상 소자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60);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90); 및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의 뒤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지지 부재(9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와 함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상기 촬상 소자 뒤의 상기 가동 지지 부재의 전방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가 이동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가동 지지 부재의 상기 전방 표면과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가동 지지 부재 뒤에 위치된 후방 보호 부재(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가 상기 후방 보호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가 이동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구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일부는 상기 후방 보호 부재의 후방 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후방 보호 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일부를 제외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후방 보호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호 부재는 상기 촬상 장치의 보디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보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방 보호 부재 뒤에 위치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로부터 뻗어 있고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별개로 구비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후방 보호 부재 사이의 공간(S2)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가 고정되는 촬상 소자 고정 부재(61);
    상기 촬상 소자 고정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기 평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유지 부재(21); 및
    상기 유지 부재에 대한 상기 촬상 소자 고정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경사 각도 조정 기구(63, 64, 6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유지 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나사 구멍(63c);
    상기 촬상 소자 고정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61c)을 통과하여 대응하는 상기 나사 구멍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복수의 조정 나사(65); 및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촬상 소자 고정 부재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위치된 복수의 압축 코일 스프링(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가동 지지 부재 뒤에 위치된 후방 보호 부재(9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나사가 상기 후방 보호 부재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접근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 구멍(93c)이 상기 후방 보호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12.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60);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뻗어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90);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벤딩 저항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 뒤에 위치된 벤딩 저항 부여 수단(9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상기 벤딩 저항 부여 수단은 상기 촬상 소자와 함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저항 부여 수단은,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놓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14.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촬상 소자(60), 고정 회로기판(102a),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90)을 포함하고 있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 뒤에 위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가 고정되는 후방 보호 부재(93); 및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후방 보호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 지지 부재(9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촬상 소자가 이동될 때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와 함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는 상기 촬상 소자 뒤의 상기 가동 지지 부재의 전방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 부재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기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후방 보호 부재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기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체.
KR1020060060660A 2005-06-30 2006-06-30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 KR101232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2554 2005-06-30
JP2005192554A JP4684771B2 (ja) 2005-06-30 2005-06-30 像振れ補正装置
JP2005306323 2005-10-20
JPJP-P-2005-00306323 2005-10-20
JPJP-P-2006-00023217 2006-01-31
JP2006023217A JP4684903B2 (ja) 2005-10-20 2006-01-31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679A KR20070003679A (ko) 2007-01-05
KR101232655B1 true KR101232655B1 (ko) 2013-02-13

Family

ID=3688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660A KR101232655B1 (ko) 2005-06-30 2006-06-30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3390B2 (ko)
KR (1) KR101232655B1 (ko)
DE (1) DE102006030217A1 (ko)
GB (1) GB2428156B (ko)
TW (1) TWI395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8036B2 (ja) * 2005-11-02 2011-04-13 Hoya株式会社 撮像素子のfpcに対する取り付け構造
US7692689B2 (en) * 2006-08-23 2010-04-06 Konica Minolta Opto, Inc. Imaging-element unit and imaging device
EP2074815B1 (en) * 2007-01-05 2013-05-08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4707687B2 (ja) * 2007-01-05 2011-06-22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755697B2 (en) * 2007-03-28 2010-07-13 Logitech Europe S.A.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JP5380849B2 (ja) * 2008-02-07 2014-01-08 船井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0277075A (ja) * 2009-04-30 2010-12-09 Hoya Corp 像振れ補正装置のフレキシブル基板配設構造
JP2010266678A (ja) * 2009-05-14 2010-11-25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2010271492A (ja) * 2009-05-20 2010-12-02 Olympus Imaging Corp バリア装置
JP2011053330A (ja) * 2009-08-31 2011-03-17 Canon Inc 電子機器
JP5730678B2 (ja) * 2011-06-13 2015-06-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848871B1 (ko) * 2011-08-03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GB2500671B8 (en) * 2012-03-29 2014-07-09 Ev Offshore Ltd Camera assembly
JP2014045304A (ja) * 2012-08-27 2014-03-13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6178164B2 (ja) 2013-08-23 2017-08-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液晶表示装置
KR20180093962A (ko) * 2015-12-01 2018-08-22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촬상 모듈 및 이의 전기적 지지체
TWI766450B (zh) * 2020-05-13 2022-06-01 大陸商廣州立景創新科技有限公司 影像擷取模組及其組裝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14A (ja) * 1993-07-12 1995-01-31 Nikon Corp 振れ防止装置
JP2003131109A (ja) 2001-10-26 2003-05-08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548A (en) * 1985-12-14 1987-12-08 Canon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for camera
US5172276A (en) * 1989-08-29 1992-12-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stabilizing image in optical system
US5416558A (en) * 1991-10-16 1995-05-16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shake preventing apparatus
JPH0646314A (ja) 1992-01-14 1994-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次元駆動装置
US5557357A (en) * 1993-12-14 1996-09-17 Nikon Corporation Camera having anti-vibration function with improved connection and placement of anti-vibration components
US5680251A (en) * 1994-01-21 1997-10-21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having a vibration compensation lens unit with moveable lens support member
JPH07294989A (ja) 1994-04-27 1995-11-10 Nikon Corp 防振装置
JPH07319000A (ja) * 1994-05-27 1995-12-0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H08136961A (ja) * 1994-11-08 1996-05-31 Minolta Co Ltd 手ぶれ補正装置
JPH0922039A (ja) 1995-07-10 1997-01-21 Nikon Corp ブレ補正装置
JPH0980550A (ja) * 1995-09-13 1997-03-28 Nikon Corp 像ブレ補正装置
JPH10339897A (ja) 1997-06-06 1998-12-22 Canon Inc レンズ駆動装置、防振装置及びカメラ
JPH114371A (ja) * 1997-06-12 1999-01-06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887081B2 (ja) * 1997-10-01 2007-02-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11352537A (ja) * 1998-06-08 1999-12-24 Asahi Optical Co Ltd 防振処理機能を備えた光学機器
JP2001264838A (ja) * 2000-03-15 2001-09-26 Canon Inc 像振れ補正装置
JP2001285696A (ja) 2000-03-30 2001-10-12 Canon Inc 固体撮像素子パッケージの保持機構
JP2003110928A (ja) 2001-10-01 2003-04-11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3551174B2 (ja) 2001-10-01 2004-08-04 ミノルタ株式会社 電気機械変換素子を用いた移動ステージ
US7436435B2 (en) * 2001-10-01 2008-10-14 Minolta Co., Ltd. Image taking device having image-blur compensator
JP3771909B2 (ja) * 2002-02-21 2006-05-1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沈胴式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の沈胴方法
JP3956787B2 (ja) 2002-07-10 2007-08-08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US7079762B2 (en) * 2002-08-27 2006-07-18 Pentax Corporation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 rotatable ring
US6978088B2 (en) * 2002-08-27 2005-12-20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lens
JP4225860B2 (ja) 2003-07-29 2009-02-18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20050052570A1 (en) * 2003-08-21 2005-03-10 Pentax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5250284A (ja) 2004-03-05 2005-09-15 Pentax Corp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2006157834A (ja) 2004-12-01 2006-06-15 Pentax Corp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14A (ja) * 1993-07-12 1995-01-31 Nikon Corp 振れ防止装置
JP2003131109A (ja) 2001-10-26 2003-05-08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13390B2 (en) 2009-11-03
TW200718182A (en) 2007-05-01
GB0613127D0 (en) 2006-08-09
GB2428156A (en) 2007-01-17
US20070002546A1 (en) 2007-01-04
KR20070003679A (ko) 2007-01-05
GB2428156B (en) 2010-07-21
TWI395467B (zh) 2013-05-01
DE102006030217A1 (de)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655B1 (ko)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
KR101188235B1 (ko) 촬상 장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배열설치 구조
KR101249867B1 (ko) 상흔들림 보정장치
KR101086843B1 (ko) 상흔들림 보정장치
US7773117B2 (en) Image stabilizer
JP4648210B2 (ja) 像振れ補正装置
KR101179623B1 (ko) 상흔들림 보정장치
US7546028B2 (e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image pickup device
US7536091B2 (en) Image stabilizer
KR101249866B1 (ko) 상흔들림 보정장치
US20060115256A1 (en) Imaging devic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US20060115258A1 (en) Imaging devic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JP4684903B2 (ja) 撮像装置
JP4571902B2 (ja) 撮像装置のフレキシブル基板配設構造
JP4772520B2 (ja) 像振れ補正装置
GB2454342A (en) Optical image stabilizer
JP2012083495A (ja) 手ぶれ補正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