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585B1 - 전통가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통가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585B1
KR101231585B1 KR1020120055377A KR20120055377A KR101231585B1 KR 101231585 B1 KR101231585 B1 KR 101231585B1 KR 1020120055377 A KR1020120055377 A KR 1020120055377A KR 20120055377 A KR20120055377 A KR 20120055377A KR 101231585 B1 KR101231585 B1 KR 10123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mother
parts
processing
pea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김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철 filed Critical 김명철
Priority to KR102012005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가구 제작시 각 단일부품의 외부표면 및 결합부위에 옻칠을 도포함으로써 각 단일부품의 수분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특히 결합부위의 수분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뒤틀림 및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원목을 절단하는 제1단계; 절단된 원목에 결합부 및 수용부를 가공하는 제2단계; 결합부 및 수용부에 요철면을 가공하는 제3단계; 요철면이 가공된 단일부품에 토칠을 하는 제4단계; 토칠된 각 단일부품에 1차 옻칠하는 제5단계; 1차 옻칠 된 단일부품들을 1차 건조하는 제6단계; 1차 건조된 상기 단일부품들을 열 건조하는 제7단계; 백골(白骨)몸체를 완성하는 제8단계; 백골몸체에 자개문양을 가공하는 제9단계; 자개문양이 가공된 백골몸체에 2차 옻칠하는 제10단계; 2차 옻칠 된 백골몸체에 자개를 접착하는 제11단계; 자개가 접착된 백골몸체에 2차 옻칠하는 제12단계; 2차 옻칠 된 백골몸체를 2차 건조하는 제13단계; 및 2차 건조된 상기 백골몸체를 열 건조하는 제14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Description

전통가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raditional furniture }
본 발명은 전통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가구 제작시 각 단일부품의 외부표면 및 결합부위에 옻칠을 도포함으로써 각 단일부품의 수분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특히 결합부위의 수분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뒤틀림 및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사람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옷장, 이불장, 문갑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다양한 물품을 수납 또는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가구들은 통상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되므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에 의해 가구의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어 가구의 형태를 제작한 후에는 그 표면을 일정한 도료로 도장 처리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와 함께, 근래에는 전통가구가 고급가구로 인식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전통가구가 완벽한 것보다는 성근 맛에 있고, 장식적인 것보다는 순수함에,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적인 멋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런 한국적 미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으며, 정리가 잘된 선과 면분할, 극히 단순하고 소박한 자연적인 아름다움, 그리고 재질에서 오는 건강한 미를 갖고있어 전통양식 문양의 아름다움과 함께 그 품격 높은 중후함으로 인해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가구가 이와 같이 고급가구로 인식될 수 있는 또 다른 측면으로는 대부분의 주요 공정이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제조 생산이 까다롭고 수량이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엄격한 품질관리로 우수한 내구성과 색상을 유지하는 목재를 사용하여 은은하면서도 고중량을 유지하고 있다는 차원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전통가구에는 전통가구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외부로 빠지면서 전통가구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벌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옻칠이 도포 되는데, 옻칠은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어온 전통적인 도료기법으로, 주성분은 우루시올 고분자와 다당류이고, 내산성, 내염기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하며, 특히 방부력이 뛰어나 처음에는 청동기와 철기가 녹슬지 않게 하거나 목재의 부패 방지용으로 요긴하게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그 피막의 미려함과 강한 접착력, 방부성(防腐性)과 내열성(耐熱性) 등과 같은 옻칠 특유의 우수성에 의해 전통가구에는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안료를 섞은 색칠(色漆)은, 깊고 차분한 광택을 자랑하여 단순한 채색 이상의 아름다움을 보여, 일찍부터 동양 공예만의 값진 도료로 발전 되어왔다.
그러나, 상기의 옻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통가구 제작이 완료된 이후 외부로 노출된 가구의 표면에 도포되기 때문에, 전통가구의 장기간 사용시 전통가구의 각 결합부위(결합부(10), 수용부(20))가 뒤틀리거나 또는 틈이 발생되어 가구의 형상을 변형시켜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다.
이는, 전통가구 자체가 현대적 가구와는 달리 원목자체를 가공하여 만든 각 단일부품의 이음부 결합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결국 이음결합된 결합부위의 옻칠이 이루어질 수 없어 결합부위로의 수분침투에 의해 뒤틀림 내지는 틈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통가구 제작시 각 단일부품의 외부표면 및 결합부위에 옻칠을 도포함으로써 각 단일부품의 수분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특히 결합부위의 수분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뒤틀림 및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가구 제조방법은, 원목을 단일부품의 각 크기별로 절단하는 제1단계; 절단된 상기 원목을 개별 단일부품 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이 상호 이음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단일부품들의 어느 일측에 결합부 및 수용부를 가공하는 제2단계;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표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을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요철면이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들의 표면에 토칠을 하는 제4단계; 토칠된 상기 각 단일부품의 전체 표면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1차 옻칠하는 제5단계; 1차 옻칠 된 상기 단일부품들을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는 제6단계; 1차 건조된 상기 단일부품들을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7단계; 냉각된 상기 단일부품들을 조립하여 백골(白骨)몸체를 완성하는 제8단계; 조립된 상기 백골몸체의 외부표면에 음각의 자개문양을 가공하는 제9단계; 상기 자개문양이 가공된 상기 백골몸체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2차 옻칠하는 제10단계; 2차 옻칠 된 상기 백골몸체의 상기 자개문양에 자개를 접착하는 제11단계; 상기 자개가 접착된 상기 백골몸체에 옻1 : 희석제1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3차 옻칠하는 제12단계; 3차 옻칠 된 상기 백골몸체를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2차 건조하는 제13단계; 및 2차 건조된 상기 백골몸체를 상기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1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요철면이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요철면이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폭방향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면은 산과 골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4단계는, 토칠된 상기 단일부품의 표면을 표면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8단계는, 완성된 상기 백골(白骨)몸체의 치수보정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전통가구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통가구 제작시 각 단일부품의 외부표면 및 결합부위에 옻칠을 도포함으로써 각 단일부품의 수분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특히 결합부위의 수분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뒤틀림 및 틈의 발생이 방지되어 전통가구가 본연의 형상을 유지토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부침투의 차단으로 인해 접착된 자개가 들뜨는 것이 방지되고,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됨에 따라 자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통가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가구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가구의 단일부품이 1실시예의 요철면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리와 수용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요부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가구의 단일부품이 2실시예의 요철면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에 앞서, 전통가구는 안방가구(장,농,반닫이,경대), 사랑방가구(문갑,책장,탁자,연상,고비,문방소품), 부엌가구(반상(盤床),찬장,뒤주) 등으로 분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방법의 설명이 쉽게 이해가능토록 부엌가구로 분류되는 자개문양이 형성된 반상(盤床)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가구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가구의 단일부품이 1실시예의 요철면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리와 수용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요부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통가구 제조방법은, 원목을 단일부품(130)의 각 크기별로 절단하는 제1단계; 절단된 상기 원목을 개별 단일부품(130) 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130)이 상호 이음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단일부품(130)들의 어느 일측에 결합부(113) 및 수용부(123)를 가공하는 제2단계; 상기 결합부(113) 및 상기 수용부(123)의 표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115,125)을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요철면(115,125)이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의 표면에 토칠을 하는 제4단계; 토칠된 상기 각 단일부품(130)의 전체 표면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1차 옻칠하는 제5단계; 1차 옻칠 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는 제6단계; 1차 건조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7단계; 냉각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조립하여 백골(白骨)몸체(140)를 완성하는 제8단계; 조립된 상기 백골몸체(140)의 외부표면에 음각의 자개문양(117,127)을 가공하는 제9단계; 상기 자개문양(117,127)이 가공된 상기 백골몸체(140)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2차 옻칠하는 제10단계; 2차 옻칠 된 상기 백골몸체(140)의 상기 자개문양(117,127)에 자개(150)를 접착하는 제11단계; 자개(150)가 접착된 상기 백골몸체(140)에 옻1 : 희석제1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3차 옻칠하는 제12단계; 3차 옻칠 된 상기 백골몸체(140)를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2차 건조하는 제13단계; 및 2차 건조된 상기 백골몸체(140)를 상기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14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먼저, 원목을 단일부품(130)의 각 크기별로 절단하는 제1단계에서는, 선별된 원목을 전통가구를 구성하는 단일부품(130)의 대략적인 형상에 맞추어 각 크기별로 절단한다. 이때, 본 실시예로 설명되는 전통가구는 반상(100)(盤床)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의 반상(100)은 상판(120)과 다리(110)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 단일부품(130)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은 물론이다.
이후, 절단된 원목을 개별 단일부품(130) 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단일부품(130)이 상호 이음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단일부품(130)들의 어느 일측에 결합부(113) 및 수용부(123)을 가공하는 제2단계에서는, 절단된 단일부품(130)들을 성형가공기(미도시)를 통해 각각 상판(120)과 다리(110)형상을 갖도록 가공을 함으로써 각 단일부품(130)의 형상을 완성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각 단일부품(130)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다리(110)의 어느 일측 즉 상판(120)의 저부면으로 결합되는 단부에는 다리(110)로부터 돌출형성된 결합부(113)를 가공하고, 상판(120)의 어느 일측 즉 다리(110)가 결합되는 상판(120)의 저부면에는 저부면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다리(110)의 결합부(113)가 끼워지는 수용부(123)를 함께 가공한다.
이 경우, 수용부(123)는 결합부(11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리(110)의 개수에 맞게 가공되는 것은 물론이며, 상판(120)의 저부면 내측으로 가공된다.
다음으로 결합부(113) 및 수용부(123)의 표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115,125)을 가공하는 제3단계에서는, 가공이 완료된 단일부품(130)인 다리(110)의 결합부(113) 및 상판(120)의 수용부(123) 표면에 미세 성형가공기(미 도시)를 이용하여 요철면(115,125)을 가공한다.
이때, 결합부(113) 및 수용부(123)의 표면에 가공되는 요철면(115,125)의 형상은 산과 골로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게 되는 다리(110)가 상판(120)에 결합 될 때 결합부(113)와 수용부(123)의 산과 골에 의해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부(113)와 수용부(123)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3단계에서는 요철면(115,125)이 결합부(113) 및 수용부(123)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리(110)가 상판(120)의 저부면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23)에 결합 됨에 따라 결합부(113)의 돌출된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도록 하고, 더불어 수용부(123)도 결합부(113)와 대응되게 상판(120)의 함몰된 깊이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도록 하여 결국 결합부(113)와 수용부(123)의 상호결합의 용이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요철면(115,125)이 형성된 단일부품(130)의 거친표면을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곱게 다듬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면(115,125)이 곡선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고 산과 골로 이루어진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이후, 요철면(115,125)이 가공된 단일부품(130)들의 표면에 토칠을 하는 제4단계는, 단일부품(130)인 다리(110)와 상판(120) 표면의 눈메를 메꾸는 단계이다.
토칠은 분말상태의 황토와 생옻을 혼합하여 단일부품(130)의 표면에 고르게 발라주는 것으로서, 표면에 형성된 눈메(결)의 틈을 채워 단일부품(130)의 표면을 평탄화하고 황토의 색체가 표면에 약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4단계에서 토칠된 단일부품(130)의 표면을 표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단일부품(130)이 토칠에 의해 표면이 약간의 거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문질러 곱게 다듬어 주기 위함이다. 이때, 샌드페이퍼의 입방은 120~32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토칠된 각 단일부품(130)인 다리(110) 및 상판(120)의 전체 표면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1차 옻칠하는 제5단계에서는, 결합부(113)와 수용부(123)에 요철면(115,125)이 가공된 복수개의 다리(110) 및 상판(120)의 전체 표면에 1차 옻칠을 도포한다.
옻칠은 옻나무의 수액을 칠하는 것으로서 방수, 방습 및 화학적 반응에 탁월한 보존효과를 갖는다. 특히 옻은 방수.방습에 탁월한데, 이는 옻칠한 목재의 내부로 스며들면서 목재표면에 비닐처럼 막을 형성하여 코팅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더불어, 환경호르몬이나 화학 호르몬이 없다는 점이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옻은 고순도, 고광택 및 고투명도를 갖는 옻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옻 나무에서 추출한 생옻을 교반기(미 도시)에 넣고 모터를 가동하여 회전시키면 생옻의 덩어리 입자가 고르게 하고, 이후 동일한 교반기에서 가열과 함께 생옻을 교반시키면서 생옻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옻을 입자가 고운천(미 도시) 등으로 감싼 뒤, 원심분리통(미 도시)에 삽입한 상태로 고속회전시키면서 가열하고, 원심분리통의 걸름망을 통하여 옻의 고운 입자만을 걸러내어 옻을 얻는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얻어진 옻을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시켜 다리(110) 및 상판(120)에 1차 옻칠하는 것은, 희석제의 비중을 높이고 옻의 비중을 낮춰 옻의 농도를 묽게 함으로써 다리(110) 및 상판(120)의 표면에 옻칠이 이루어질 때 옻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옻칠이 골고루 도포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 5와 같이 결합부(113)와 수용부(123)의 표면이 옻칠에 의해 방수.방습 되는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수분침투가 차단되어 제작이 완료된 전통가구의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113)와 수용부(123)가 결합된 결합부(113)위의 뒤틀림이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통가구의 본연의 형상이 항상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옻과 희석되는 희석제는 테레빈유, 미네랄스피르트유 및 소나무의 송진을 가공하여 채취된 송진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희석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1차 옻칠 된 단일부품(130)들을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는 제6단계는, 1차 옻칠이 완료된 단일부품(130)들의 표면에 옻칠에 의한 도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먼저, 밀폐된 실내에서 1차 옻칠이 완료된 단일부품(130)인 복수개의 다리(110)와 상판(120)들이 서로 닿지 않고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거치시킨다. 이후, 실내의 습도를 20%~40% 사이로 유지시키고 온도를 20도~25도 사이로 유지시켜 2시간 동안 건조시키면 다리(110)와 상판(120)의 표면에 도막이 형성된다.
이때 습도가 20% 이하이고 온도가 20도 이하이면 락카제(효소:옻액의 주요성분)에 의한 우루시올(옻액의 주요성분)의 산화반응에 의해 건조속도가 느려져 도막형성이 지연된다.
반면, 습도가 40% 이상이고 온도가 25도 이상이면 락카제에 의한 우루시올의 산화반응이 너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경화속도가 굉장히 빨라지기 때문에 단일부품(130)의 내부로 옻칠의 침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락카제의 효소로서의 역할이 상실되어 도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1차 건조는 20%~40%의 습도와 20도~25도 사이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의 건조과정을 거치는 것이 가장이상적이며, 이때 형성된 도막에 의해 단일부품(130)이 보호된다.
다음으로 1차 건조된 단일부품(130)들을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7단계는, 1차 건조된 단일부품(130)에 형성된 도막이 완전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단일부품(130)의 표면이 도막에 의해 강성을 갖도록 하여 외부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온의 열에 의해 경화된 옻칠 도막은 내수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내약품성, 투과도 및 내충격성을 갖기 때문에 단일부품(130)인 다리(110) 및 상판(120)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열챔버 내의 온도가 50도 이하이면 도막의 완전경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반면 온도가 65도 이상이면 단일부품(130) 내부로 옻칠이 스며들지 않아 후일 가구의 변형을 초래함과 더불어 옻 성분에 포함된 기름이 소실되면서 탄화가 일어나 단일부품(130)의 표면이 변질 되기 때문이다.
또한, 2시간 이상 고온에서 오랫동안 열 건조되면 경화된 도막에 미세한 균열이 형성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후, 열 건조를 거친 단일부품(130)들을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한다.
다음으로 냉각된 단일부품(130)들을 조립하여 백골(白骨)몸체(140)를 완성하는 제8단계는, 복수개의 다리(110)와 상판(120)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백골몸체(14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도 3참조).
이때, 제8단계에서 완성된 상기 백골(白骨)몸체(140)의 치수보정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완성된 백골몸체(140)의 수직 및 수평 치수를 보정함으로써 백골몸체(140)의 균형을 잡아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조립된 백골몸체(140)의 외부표면에 음각의 자개문양(117,127)을 가공하는 제9단계는, 단일부품(130)인 다리(110) 또는 상판(120)에 특정된 형상을 갖는 자개(15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음각의 자개문양(117,127)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먼저 다리(110) 또는 상판(120)을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특정된 틀에 고정시키고, 성형머신(미 도시)을 이용하여 자개문양(117,127)을 가공하고자 하는 면에 설정된 자개문양(117,127)을 음각으로 가공하여 자개문양(117,127)을 얻는다. 이때, 자개문양(117,127)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사전에 확보된 상태임은 물론이다.
이후, 자개문양(117,127)이 가공된 백골몸체(140)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2차 옻칠하는 제10단계는, 자개문양(117,127)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 음각의 내면 및 백골몸체(140) 전체의 표면에 옻칠을 하여 후술하는 과정에 의해 음각의 자개문양(117,127)에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로 인해, 자개문양(117,127)에 자개(150) 접착시 자개(150)와 자개문양(117,127) 사이를 통해 혹시 모를 수분이 침투되더라도 단일부품(13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분의 침투가 방지됨으로써 전통가구의 장기간 사용에도 자개(150)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10단계는 앞서 서술된 제5단계와 동일한 조건의 공정을 따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2차 옻칠 된 백골몸체(140)의 자개문양(117,127)에 자개(150)를 접착하는 제11단계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개(15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먼저, 접착제를 준비하는데 이때 접착제는 아교 또는 찹쌀풀이 이용된다. 이후, 준비된 접착제를 백골몸체(140)에 형성된 자개문양(117,127)에 바르고 선택된 자개(150)를 접착시켜 소정의 시간을 거쳐 건조함으로써 백골몸체(140)에 자개(150)를 접착한다.
다음으로, 자개(150)가 접착된 상기 백골몸체(140)에 옻1 : 희석제1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3차 옻칠하는 제12단계는, 자개(150)를 포함하는 3차 옻칠을 함으로써 접착된 자개(15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옻1 : 희석제1의 비율로 희석되어 옻칠 되는 것은, 희석제의 비중과 옻의 비중이 같도록 하여 옻의 농도를 진하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이 한층더 두텁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3차 옻칠 된 백골몸체(140)를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2차 건조하는 제13단계는, 3차 옻칠이 완료된 백골몸체(140)의 표면에 옻칠에 의한 도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제13단계는 앞서 서술된 제6단계와 동일한 조건의 공정을 따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2차 건조된 상기 백골몸체(140)를 상기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14단계는, 2차 건조된 백골몸체(140)에 형성된 도막이 완전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앞서 서술된 2차 옻칠에 의해 백골몸체(140)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이 완전경화를 이루도록 하여 내수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내약품성, 투과도 및 내충격성이 한층더 강화되도록 함으로써 백골몸체(140) 및 자개(150)가 외부요인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열챔버 내의 온도가 50도 이하이면 도막의 완전경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반면 온도가 65도 이상이면 1차 옻칠에 의해 형성된 도막에 2차 옻칠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이 제대로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2시간 이상 고온에서 오랫동안 열 건조되면 경화된 도막에 미세한 균열이 형성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더불어, 열 건조를 거친 단일부품(130)들을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전통가구인 반상(100)제작을 완료한다.
그리고, 반상(100)에는 옻칠, 건조 및 열건조 공정이 수회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제작되는 전통가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수회 반복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후, 반상(100)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표면을 광택처리 하는 표면광택 단계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는, 옻칠 된 반상(100)의 표면을 광택제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투과도를 높여 원목 본연의 문양을 살리면서 접착된 자개(150)의 형상이 부각되도록 하여 심플함과 고급스러움이 추구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가구의 단일부품이 2실시예의 요철면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제3단계에서 요철면(165,175)이 결합부(160) 및 수용부(170)의 폭방향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다리(110)가 상판(120)의 저부면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를 위해 도 6과 같이 수용부(170)가 상판(120)의 저부면 일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함은 물론이다.
이때, 결합부(160)에 가공되는 요철면(165)은 다리(110)가 상판(120)의 저부면 일측으로부터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70)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60)의 폭방향으로 가공되도록 하고, 더불어 수용부(170)에 가공되는 요철면(175)은 결합부(160)에 가공된 요철면(165) 형상과 대응되게 상판(120)의 저부면 일측으로부터 내측의 폭방향으로 가공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113) 및 수용부(123)의 표면에 가공되는 요철면(165,175)의 형상은 산과 골로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리(110)가 상판(120)에 결합될 때 결합부(160)와 수용부(170)의 산과 골에 의해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부(160)와 수용부(170)의 결합력이 향상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면(165,175)이 곡선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고 산과 골로 이루어진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요철면(165,175)을 가공하기 전 다리(110) 및 상판(120)의 가공은 앞서 서술된 제2단계를 통해 가공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통가구 제조방법은, 전통가구 제작시 각 단일부품의 외부표면 및 결합부위에 옻칠을 도포함으로써 각 단일부품의 수분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특히 결합부위의 수분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뒤틀림 및 틈의 발생이 방지되어 전통가구가 본연의 형상을 유지토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부침투의 차단으로 인해 접착된 자개가 들뜨는 것이 방지되고,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됨에 따라 자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결합부 및 수용부의 형상 및 위치, 결합부 및 수용부에 가공된 요철면의 방향, 옻과 희석제의 비율, 온도와 습도의 비율, 옻칠 및 건조의 횟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반상 110 : 다리
113,160 : 결합부 115,125,165,175 : 요철면
117,127 : 자개문양 120 : 상판
123,170 : 수용부 130 : 단일부품
140 : 백골몸체 150 : 자개

Claims (6)

  1. 원목을 단일부품(130)의 각 크기별로 절단하는 제1단계;
    절단된 상기 원목을 개별 단일부품(130) 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130)이 상호 이음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단일부품(130)들의 어느 일측에 결합부(113,160) 및 수용부(123,170)를 가공하는 제2단계;
    상기 결합부(113,160) 및 상기 수용부(123,170)의 표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115,125,165,175)을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요철면(115,125,165,175)이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의 표면에 토칠을 하는 제4단계;
    토칠된 상기 각 단일부품(130)의 전체 표면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1차 옻칠하는 제5단계;
    1차 옻칠 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는 제6단계;
    1차 건조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7단계;
    냉각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조립하여 백골(白骨)몸체(140)를 완성하는 제8단계;
    조립된 상기 백골몸체(140)의 외부표면에 음각의 자개문양(117,127)을 가공하는 제9단계;
    상기 자개문양(117,127)이 가공된 상기 백골몸체(140)에 옻1 : 희석제4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2차 옻칠하는 제10단계;
    2차 옻칠 된 상기 백골몸체(140)의 상기 자개문양(117,127)에 자개(150)를 접착하는 제11단계;
    상기 자개(150)가 접착된 상기 백골몸체(140)에 옻1 : 희석제1의 비율로 희석된 옻으로 3차 옻칠하는 제12단계;
    3차 옻칠 된 상기 백골몸체(140)를 20%~40%의 습도와 20도~25도의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2차 건조하는 제13단계; 및
    2차 건조된 상기 백골몸체(140)를 상기 열챔버 내에서 50도~65도 사이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열 건조하고, 실온에서 냉각하는 제1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요철면(115,125)이 상기 결합부(113) 및 상기 수용부(123)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요철면(165,175)이 상기 결합부(160) 및 상기 수용부(170)의 폭방향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115,125,165,175)은 산과 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토칠된 상기 단일부품(130)의 표면을 표면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는,
    완성된 상기 백골(白骨)몸체(140)의 치수보정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가구 제조방법.
KR1020120055377A 2012-05-24 2012-05-24 전통가구 제조방법 KR10123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377A KR101231585B1 (ko) 2012-05-24 2012-05-24 전통가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377A KR101231585B1 (ko) 2012-05-24 2012-05-24 전통가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585B1 true KR101231585B1 (ko) 2013-02-15

Family

ID=4789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377A KR101231585B1 (ko) 2012-05-24 2012-05-24 전통가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61B1 (ko) * 2021-06-07 2021-09-07 이동건 가구 제조방법
KR102337363B1 (ko) 2021-07-02 2021-12-08 이덕화 현대적 감각과 전통미가 공존하는 업사이클링 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93B1 (ko) 2002-03-12 2005-03-25 이석구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93B1 (ko) 2002-03-12 2005-03-25 이석구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61B1 (ko) * 2021-06-07 2021-09-07 이동건 가구 제조방법
KR102337363B1 (ko) 2021-07-02 2021-12-08 이덕화 현대적 감각과 전통미가 공존하는 업사이클링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US10603812B2 (en) Process of making compreg multi-colored laminated wood and utility, ornamental, decorative products thereof
CN106239679A (zh) 一种仿古实木踢脚线的制作方法
KR101231585B1 (ko) 전통가구 제조방법
KR101725741B1 (ko) 도자기의 파손부 접합 방법
KR20110040551A (ko)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CN105236824B (zh) 仿米洞石硅藻土壁材的施工方法
CN104263176B (zh) 纳米外墙装饰涂料
CN108582386A (zh) 一种复合地板的制备方法
KR101171644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CN202039535U (zh) 复合地板片
CN207633696U (zh) 一种实木复合仿古地板
CN106192605A (zh) 一种纸胎漆器及其手工制备方法
KR102028402B1 (ko) 커피원두 찌꺼기 분말을 이용한 자개의 옻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옻칠자개 제품의 제조방법
CN106696578A (zh) 具有立体图案装饰板
KR101274973B1 (ko) 결착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나전용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658466T3 (es) Procedimiento para recubrir un artículo
KR101949502B1 (ko)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CN104278540B (zh) 一种超薄仿聚氨酯革的生产方法
CN109835003A (zh) 一种环保装饰石材的制作工艺
KR20240049734A (ko) 건칠 가방 제조 방법
JP3223924U (ja) 木製のまな板
KR101980874B1 (ko) 오동나무의 옻칠방법과 이를 이용한 생활용품
KR20240022738A (ko) 건칠 방식을 이용한 레이스 공예품의 제조방법
CN105708296B (zh) 圣诞树杆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