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283B1 - 안면 자가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면 자가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283B1
KR101231283B1 KR1020110066671A KR20110066671A KR101231283B1 KR 101231283 B1 KR101231283 B1 KR 101231283B1 KR 1020110066671 A KR1020110066671 A KR 1020110066671A KR 20110066671 A KR20110066671 A KR 20110066671A KR 101231283 B1 KR101231283 B1 KR 10123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unit
distance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388A (ko
Inventor
전영주
도준형
김근호
김상길
김종열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2005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부의 촬영 범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게 구성되며, 상기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촬영부; 촬영대상에서 상기 촬영부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되는 촬영 부위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촬영부를 통해 보이는 촬영될 영상을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영상 제어부;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부와 상기 촬영 부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제어부; 를 포함하여,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안면 자가촬영장치{Apparatus for self-photographing a face image}
본 발명은 안면 자가촬영장치로서, 사용자의 안면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으며, 안면과 영상의 거리를 서로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면 자가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의사의 진찰 방법인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 중 망진은, 육안으로 관찰하여 환자의 표정 ?자세 ?태도나, 피부 ?점막의 병변 유무 등을 조사하는 진단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망진은, 몸의 전체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어떤 병은 거의 망진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안면 부위를 관찰하여 진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망진을 위해 안면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촬영자 없이는 촬영을 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즉, 안면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촬영자가 꼭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u-헬스케어 시대를 대비해서 사용자 스스로 정확한 안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안면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으며, 안면과 영상의 거리를 서로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면 자가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측정된 안면과 촬영부의 거리를 기반으로 영상에 거리 표식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측정 부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부의 촬영 범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게 구성되며, 상기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촬영부; 촬영대상에서 상기 촬영부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되는 촬영 부위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촬영부를 통해 보이는 촬영될 영상을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영상 제어부;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부와 상기 촬영 부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제어부; 포함하고,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기하학적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촬영 부위가 촬영가능하도록 투명하고, 상기 촬영될 영상이 상기 촬영대상에 보여지도록 상기 촬영될 영상을 반사하는 하프미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촬영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구비하며,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촬영부와 상기 촬영 부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니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될 영상이 반사되어 상기 촬영 부위에 보여지도록 하는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방향과 상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방향이 수직을 이루고, 상기 촬영방향과 디스플레이방향이 교차된 위치에 상기 하프미러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안면이 상기 촬영 부위로서 상기 촬영부의 촬영범위 내의 설정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표식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표식은 인체의 안면형상이며, 상기 안면형상에서 동공의 중심과 좌우 귀의 상이저점이 일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평선 또는 상기 안면형 상에서 세로의 중심선인 가이드수직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자가촬영장치는 상기 촬영부위에 조명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고 나아가 하프미러에 반사되어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부의 촬영범위에 위치시켜 촬영 할 수 있음에 따라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측정된 안면과 촬영부의 거리를 기반으로 영상에 거리 표식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측정 부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 자가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면 자가촬영장치에서 제어부에 의해 모니터와 하프미러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표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거리 표식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표식자가 디스플레이된 안면 자가촬영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거리 표식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거리 표식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부의 촬영범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안면 자가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촬영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 및 촬영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연계되어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130)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안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40) 및 측정된 거리에 따라 촬영부(110)의 거리를 제어하는 거리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촬영부(110)는 사진과 같은 영상을 얻기 위해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웹캠(webcam)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촬영부(110)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망진을 위해 일정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0)는 촬영 대상에서 촬영부(110)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되는 촬영 부위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 제어부(130)는 촬영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전기적 연계는 USB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 제어부(130)는 촬영부(110)를 통해 보이는 촬영될 영상을 촬영부(11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하프미러(121)와, 상기 하프미러(121)에 영상이 비춰지도록 위치된 모니터(12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하프미러(121)는 모니터(122)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될 영상이 반사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하프미러(121)는 촬영부(110)에 상기 촬영 부위가 촬영 가능 하도록 투명하고, 상기 촬영될 영상이 촬영대상에 보여지도록 촬영될 영상을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프미러(121)는 촬영부(110)와 촬영대상 사이, 즉 촬영 부위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프미러(121)는 모니터(12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촬영될 영상이 반사되어 촬영 부위에 보여지도록 하는 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촬영부(110)의 촬영방향과 모니터(122)의 디스플레이방향이 수직을 이룬다. 이에 더하여, 상기 촬영방향과 디스플레이방향이 교차된 위치에 하프미러(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방향에 대한 하프미러(121)의 경사각은 약 4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모니터(122)는 LCD 모니터(122)가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안면 자가촬영장치에서 영상 제어부에 의해 모니터와 하프미러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표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제어부(130)는 안면(112)이 촬영 부위로서 촬영부(110)의 촬영범위 내의 설정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표식(310)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안면(112)을 촬영 시 안면(112)이 촬영부(110)의 제한된 촬영범위에 위치되면서 그 촬영범위 내에서도 정중앙에 위치해야, 망진을 할 때 정확한 진단이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표식(310)은 영상 제어부(130)에서 모니터(1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나아가 하프미러(121)에 반사되며, 사용자는 하프미러(121)에 반사된 가이드표식(310)을 인식함으로써 가이드표식(310)에 대응되도록 자신의 안면(112)을 위치하면서 촬영범위 내에서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가이드표식(310)은 인체의 안면형상이며, 상기 안면형상에서 동공의 중심과 좌우 귀의 상이저점이 일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평선(311) 또는 안면형상에서 세로의 중심선인 가이드수직선(3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촬영부위(111)에 조명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일체형 구성을 이루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40) 및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부(110)와 상기 촬영 부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측정부(140)는 거리 측정 센서(113),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기하학적 도형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거리 표식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거리 표식자가 디스플레이된 안면 자가촬영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거리 측정부(140)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나 적정 거리보다 멀리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영상 중앙에 붉은 색 정삼각형의 거리 표식자(410)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측정할 부위가 멀리 있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 부위를 촬영부와 가까운 쪽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조명부(210)는 상기 촬영 부위에 상기 조명을 가함으로써, 상기 촬영 부위의 선명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조명부(210)는 상기 촬영 부위에 엘이디램프 등과 조명을 구비하고, 후면에 확산 아크릴과 같은 후면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촬영 부위에 강한 빛을 조영함으로써, 상기 촬영 부위의 그림자를 제거하여 상기 촬영 부위를 더욱 뚜렷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거리 표식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거리 측정부(140)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보다 가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영상 중앙에 파란 색 역삼각형의 거리 표식자(610)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측정할 부위가 가까이 있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 부위를 촬영부와 먼 쪽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거리 표식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거리 측정부(140)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영상 중앙에 녹색 사각형의 거리 표식자(710)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측정할 부위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될 영상이 영상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122)에 디스플레이되고 나아가 하프미러(121)에 반사되어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112)을 촬영부(110)의 촬영범위에 위치시켜 촬영할 수 있음에 따라 망진을 위해 안면(112)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자가촬영장치는 거리 측정부(140)를 통하여 측정된 안면과 촬영부(110)의 거리를 기반으로 영상에 거리 표식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측정 부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촬영부 111: 촬영부위
112: 안면 113: 거리 측정 센서
120: 디스플레이부 121: 하프미러
122: 모니터 130: 영상 제어부
140: 거리 측정부 150: 거리 제어부
210: 조명부 310: 가이드표식
311: 가이드수평선 312: 가이드수직선
410, 610, 710: 거리 표식자

Claims (11)

  1. 삭제
  2. 촬영부;
    촬영대상에서 상기 촬영부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되는 촬영 부위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촬영부를 통해 보이는 촬영될 영상을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영상 제어부;
    상기 촬영 부위와 상기 영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부와 상기 촬영 부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제어부; 포함하여,
    망진을 위해 안면을 스스로 촬영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에 따라 상기 영상에 서로 다른 기하학적 도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안면 인식 거리에 따라 상기 영상에 상기 서로 다른 기하학적 도형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촬영 부위가 촬영가능하도록 투명하고, 상기 촬영될 영상이 상기 촬영대상에 보여지도록 상기 촬영될 영상을 반사하는 하프미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촬영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구비하며,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촬영부와 상기 촬영 부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니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될 영상이 반사되어 상기 촬영 부위가 보여지도록 하는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방향과 상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방향이 수직을 이루고,
    상기 촬영방향과 디스플레이방향이 교차된 위치에 상기 하프미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안면이 상기 촬영 부위로서 상기 촬영부의 촬영범위 내의 설정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표식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표식은 인체의 안면형상이며, 상기 안면형상에서 동공의 중심과 좌우 귀의 상이저점이 일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평선 또는 상기 안면형상에서 세로의 중심선인 가이드수직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상기 촬영 부위에 조명을 가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촬영 부위의 선명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자가촬영장치.
KR1020110066671A 2010-08-09 2011-07-06 안면 자가촬영장치 KR101231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51 2010-08-09
KR20100076451 2010-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388A KR20120058388A (ko) 2012-06-07
KR101231283B1 true KR101231283B1 (ko) 2013-02-07

Family

ID=4660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671A KR101231283B1 (ko) 2010-08-09 2011-07-06 안면 자가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431A (ko) 2016-06-17 2017-12-2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안면 망진 장치
WO2018076156A1 (zh) * 2016-10-25 2018-05-03 上海思恩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自己在他人眼里真实动态影像的自拍相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634A (ja) 2007-06-27 2009-01-15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および顔撮影方法
JP2009277195A (ja) 2008-04-18 2009-11-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100057983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인식 시스템의 다중 영상 획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634A (ja) 2007-06-27 2009-01-15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および顔撮影方法
JP2009277195A (ja) 2008-04-18 2009-11-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100057983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인식 시스템의 다중 영상 획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431A (ko) 2016-06-17 2017-12-2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안면 망진 장치
WO2018076156A1 (zh) * 2016-10-25 2018-05-03 上海思恩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自己在他人眼里真实动态影像的自拍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388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1021B2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FI125445B (fi) Katseenohjausjärjestely
EP3117770A1 (en) Medical imag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06821303B (zh) 一种自主式眼底摄影成像系统及方法
CN103429141B (zh) 用于确定优势眼的方法
CN105279490A (zh) 一种人机交互式虹膜图像自动采集装置
JP2000241118A5 (ko)
WO2016076059A1 (ja) 器官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024638A1 (zh) 一种手术导航装置
JP2016158911A5 (ko)
CA3041021A1 (en) Body part color measurement detection and method
KR101231283B1 (ko) 안면 자가촬영장치
KR102127267B1 (ko) 지방 흡입 부위의 밸런스 조정 장치
JP2009005845A (ja) 肌診断装置およびシワ測定方法
KR101189889B1 (ko) 얼굴 피부 촬영용 카메라장치
KR100971541B1 (ko) 설 영상 촬영 시스템
CN209059467U (zh) 一种手术导航装置
CN103690188B (zh) 头部正面拍摄装置及三维头部模型的自然头位校正方法
KR200457337Y1 (ko) 적외선 체열 진단 기기
JP2004160119A (ja) コウ合器調節システム
JP677436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筺体から着脱可能である先端部材
KR102363306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JP2002017677A (ja) 輻輳角測定装置
FI124965B (fi) Laite silmän kuvaukseen
KR101096084B1 (ko) 검안기의 안구위치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