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306B1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306B1
KR102363306B1 KR1020200036913A KR20200036913A KR102363306B1 KR 102363306 B1 KR102363306 B1 KR 102363306B1 KR 1020200036913 A KR1020200036913 A KR 1020200036913A KR 20200036913 A KR20200036913 A KR 20200036913A KR 102363306 B1 KR102363306 B1 KR 10236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uthpiece
points
oral
si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330A (ko
Inventor
김양석
장희돈
박병훈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Priority to KR102020003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3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수의 근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발광부를 구현함으로써, 부비동 내에 정확한 빛의 조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SYSTEM FOR SINUS DIAGNOSI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D INCLUDE ORAL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의 조사비율을 달리하여 부비동에 조사하는 LED의 조사비율을 설정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미세 먼지 등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한 축농증(부비동염)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2016년 기준으로 이미 66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축농증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
축농증은 부비동에 축적된 비루(비루)의 점도에 따라 수양성 비루(점도 낮음), 점액성 비루(점도 중간), 화농성 비루(점도 높음)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 항생제 처방, 수술 등 여러 형태의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비루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간접적인 방법으로 환자에 대한 문진과 X-ray, CT 등의 광학 장비를 이용하여 부비동 내의 농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진단의 부재로 인한 부비동염에 대한 항생제 남용은 지속적인 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으며, 간접적인 진단을 위한 X-ray, CT 등의 장비의 활용도 축농증 환자의 30%가 9세 이하의 어린이인 것을 고려할 때 방사선 노출에 의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핀란드의 Mediq Suomi는 초음파의 반향을 이용한 부비동 내의 막힘을 진단하는 제품을 제안하였지만, 초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측정기의 위치에 따라 결과의 일관성이 부족하며, 체계적인 데이터 해석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여 X-ray, CT와 같은 광학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일관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여 정확하게 부비동염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측정 대상자 별로 얼굴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근적외선 조사 방식을 이용해서 정확한 부비동염을 측정하기는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측정 대상자 별로 최적의 부비동 내에 조사하는 근적외선의 위치 및 조사량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1653180호(2016.09.0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의 조사비율을 달리하여 부비동에 조사하는 LED의 조사비율을 설정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는,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LED가 각각 대칭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LED는, 3개 이상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와 인접한 제2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LED와 인접한 제3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LED와 상기 제3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밝기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밝기 지수가 가장 높은 경우의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밝기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1
여기서, U 및 V는 계수이다.
상기 측정 대상자 별로 선택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하면,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설정부, 그리고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수의 근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발광부를 구현하여도 부비동 내에 정확한 빛의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 골격 구조에 따라 최적의 광 조합 비율을 획득하여 부비동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2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S42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S43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 및 부비동 측정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은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 지수를 분석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구현되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LED를 이용하여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근적외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 지수를 분석한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측정 대상자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입에 문 상태로 부비동 측정장치(200)에 얼굴을 밀착시키면,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측정 대상자를 촬영하여 일반 사진과 근적외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LED 점등 여부에 따라 기준 사진과 근적외선 사진의 두 종류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나타낸 것처럼,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는 외측부(110), 내측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외측부(110)는 내부에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어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내측부(120)는 측정 대상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복수의 LED(140)가 포함되며, 도 2a와 같이 복수의 LED(140)는 내측부의 중심으로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부(120)는 측면으로 경사가 진 상태로 구현되므로, 측정 대상자가 용이하게 구강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LED(140)는 제1 LED(140a), 제2 LED(140b) 및 제3 LED(140c)를 포함하며,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내측부(120)를 입에 물게 될 경우, 제1 LED(140a)가 측정 대상자의 구강의 가장 안쪽부분에 위치되며, 제3 LED(140c)는 측정 대상자의 구강의 가장 바깥쪽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130)는 외측부(110)와 내측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측정 대상자의 입술이 닿는 부위에 해당한다. 지지부(130)는 곡선형으로 구현되어 구강 대상자가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c에서 나타낸 것처럼, 지지부(130)의 바깥 방향에는 우측 및 좌측에 각각 1개씩 인식마크(150a, 150b)가 부착된다.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근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좌우측의 인식마크(150a, 150b)의 평형성 여부를 통하여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정확하게 입에 물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서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좌측과 우측의 인식마크(150a, 150b)의 평형성을 측정하여 측정 대상자가 입에 물고 있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LED(140)의 개수는 3개(140a, 140b, 140c)로 이루어진 2개의 쌍 형태로 표현하였지만, LED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측정 대상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대칭되는 좌우측의 LED는 동일한 크기의 파장을 방출하고, 이웃하는 LED는 서로 다른 파장을 방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어부(210), 촬영부(220), 영역 설정부(230), 선택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21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220)는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즉, 제어부(210)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140a)와 인접한 제2 LED(140b)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제1 LED(140a)와 상기 제2 LED(140b)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 촬영부(22)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또한, 제어부(210)가 제2 LED(140b)와 인접한 제3 LED(140c)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LED(140b)와 상기 제3 LED(140c)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 촬영부(220)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설정부(230)는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및 제3 포인트를 설정한다.
선택부(240)는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고,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S250)는 측정 대상자 별로 선택된 LED의 광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의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한다(S410).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에 근적외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을 획득하기 위해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존재하는 복수의 LED를 소등시킨 상태에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LED(140a, 140b, 140c)의 조합 비율을 변경시키면서 촬영하여 최적의 LED 광의 조합 비율을 선택한다(S420).
이하에서는 S42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S4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고,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S421).
이때,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측정 대상자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에 얼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얼굴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 사진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한다(S422).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S422 단계에서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각각의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근적외선 사진으로 촬영된 얼굴에 대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의 근적외선 사진에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가상의 선을 설정한다.
제1 수직선(V1), 제2 수직선(V2), 제3 수직선(V3) 및 제4 수직선(V4)은 각각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얼굴 사진에 대하여 우측 눈의 바깥쪽지점(E1), 우측 눈의 안쪽지점(E2), 좌측 눈의 안쪽지점(E3), 좌측 눈의 바깥쪽지점(E4)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1 수평선(H1) 및 제2 수평선(H2)은 각각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의 입술 끝점(M1, M2)과 코 끝점(N1, N2)을 각각 지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또한, 제3 수평선(H3)은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의 눈동자의 중심점(T1, T2)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며, 제4 수평선(H4)은 제2 수평선(H2)과 제3 수평선(H3)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1, H2, H3, H4)이 설정되면, 각각의 교차되는 선에 의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이 생성된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1 분할 영역은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1, H2)이 교차되는 영역에 해당하고, 제2 분할 영역은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2, H4)이 교차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제3 분할 영역은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3, H4)이 교차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도 6과 같이 복수의 분할 영역이 설정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각각의 분할 영역의 특정 지점에 대하여 각각의 포인트를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는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며, 각각의 근적외선 사진에서 얼굴의 좌측 및 우측에 설정된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1 분할 영역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제1 포인트(LP1, RP1)를 설정하고, 제2 분할 영역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제2 포인트(LP2, RP2)를 설정하며, 제3 분할 영역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제3 포인트(LP3, RP3)를 설정한다.
또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140a)와 제2 LED(140b)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제1 LED(140a)와 제2 LED(140b)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S423).
예를 들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좌측 및 우측의 제1 LED(140a)와 제2 LED(140b)의 광 조합 비율을 100:0, 67:33, 50:50, 33:67, 0:100으로 달리하면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2 LED(140b)와 제3 LED(140c)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제2 LED(140b)와 제3 LED(140c)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S424).
예를 들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좌측 및 우측의 제2 LED(140b)의 제3 LED(140c)의 광 조합 비율을 67:33, 50:50, 33:67 및 0:100으로 달리하면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한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 및 우측의 3개의 LED에 대하여 광 조합 비율을 상기와 같이 변경하였으나,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LED의 개수에 따라 광 조합 비율은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조합 비율로 촬영된 각각의 사진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한다(S425).
도 8은 S42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23단계 및 S424단계의 예에서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한다.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1 LED(140a), 제2 LED(140b)의 제3 LED(140c)의 광 조합 비율을 100:0:0, 67:33:0, 50:50:0, 33:67:0, 0:100:0, 0:67:33, 0:50:50, 0:33:67 및 0:0:100과 같이 달리하며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각각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의 픽셀 값을 추출한다.
이때, 픽셀 값은 0 내지 255사이의 값으로 추출된다.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각 조합 비율에 대하여 밝기 지수를 연산한다(S426).
이때,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 조합 비율에 대하여 밝기 지수를 각각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2
여기서, U 및 V는 계수이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1 LED(140a) 내지 제3 LED(140c)의 조합 비율에 따른 밝기 지수를 연산하면 도 8과 같은 밝기 지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밝기 지수가 가장 높은 경우의 LED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고, 해당 측정 대상자 별로 LED의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한다(S427).
예를 들어,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각각의 조합 비율별로 밝기 지수를 획득한 후,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가장 큰 밝기 지수인 5.45의 값을 가지는 제1 LED(140c) 내지 제3 LED(140c)의 조합 비율인 0:67:33을 선택한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선택된 밝기 비율인 0:33:67을 해당 측정 대상자의 LED의 광 조사비율로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S420 단계를 통하여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복수의 LED에 대하여 최적의 LED 광의 조합 비율을 선택한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20단계에서 선택된 LED의 조합 비율을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적용하고,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환시켜가면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연속 촬영함으로써, 복수개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한다(S430).
만일, LED의 광 조합 비율이 기 저장되어 있는 측정 대상자의 경우,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21단계 내지 S427단계를 실행하지 않고 매칭된 LED의 광 조합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3개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카메라의 조리개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셔터의 스피드를 이용하여 노출시간을 변환시켜가면서 촬영하여 3개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한다(S440).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에서 측정 대상자의 좌측 눈동자의 중심점(T1)과 우측 눈동자의 중심점(T2)을 선정한다.
도 9는 도 4의 S4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에서의 양쪽 눈동자의 중심점(T1, T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C1)을 설정한다(S441).
그리고,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의 수평선(C2) 대비 가상의 선(C1)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S442).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도 13에서 나타낸 가상의 선(C1)과 기준 사진의 수평선(C2)을 대조하여 기준 사진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기준 사진의 수평선(C2)에 대비하여 가상의 선(C1)이 4°기울어져 있으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해당 기준 사진이 4°만큼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의 수평을 보정한다(S450).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30단계에서 측정된 기울어진 기울기(4°)만큼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회전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보정한다.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정확한 부비동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하기 위하여 3장의 근적외선 사진이 수평이 되도록 보정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보정된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및 제3 포인트를 설정한다(S460).
이때,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21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및 제3 포인트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한 평가 지수를 산출한다(S470).
여기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를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한 평가 지수(T_score)를 산출한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3
여기서,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는 아래의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연산된다.
먼저,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사진에서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까지의 픽셀 개수를 아래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거리 점수(D_score)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4
여기서, A는 거리 계수, t-dist는 사진의 중앙에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T1, T2)까지의 픽셀개수의 차이다.
이때, 거리 점수(D_score)의 최대 값은 4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t-dist가 40이고, A가 0.2라고 하면, 거리 점수(D_score)는 32로 연산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10단계에서 획득한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아래의 수학식 4에 적용하여 기울기 점수(A_score)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5
여기서, B는 기울기 계수, angle은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이다.
이때, 기울기 점수(A_score)의 최대 값은 2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가 4°이고, B의 값이 1.5라고 하면, 수학식 3에 의하여 기울기 점수(A_score)는 14로 연산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좌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 1cm씩 범위 안에 있는 픽셀값의 평균과 우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 1cm씩(총2cm) 범위 안에 있는 픽셀값의 평균값을 아래의 수학식 4에 적용하여 픽셀 점수(P_score)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6
여기서, C는 픽셀 계수, p_diff는 연산된 좌측 및 우측의 픽셀 좌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 1cm씩 범위 안에 있는 픽셀값의 평균과 우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 1cm씩(총2cm) 범위 안에 있는 픽셀값의 평균값의 차이값이다.
이때, 픽셀 점수(P_score)의 최대 값은 4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p_diff 값이 30이고, C의 값이 0.2라고 하면, 수학식 4에 의하여 픽셀 점수(P_score)는 34로 연산된다.
이때, 수학식 3 내지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및 픽셀 점수(P_score) 각각의 최대 값이 40, 20 및 40점이므로, 수학식 1에 의하여 평가 지수(T_score)의 최대 값은 100점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수학식 1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평가 지수가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80).
이때, 3장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평가 지수가 기준 값 보다 작은 것으로 연산된 근적외선 사진이 존재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해당되는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평가불가로 판단한다(S490).
반면에, 3장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평가 지수가 기준 값 이상으로 연산된 근적외선 사진이 존재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해당되는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한다(S500).
여기서, 기준 값은 부비동 측정 장치(200)에서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선택된 1장의 근적외선 사진을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한다(S510).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서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에서의 픽셀 값을 아래의 수학식 6에 적용하여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7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8
여기서, X, Y, Z는 픽셀 계수이고, F는 부비동 계수이다.
이때, 부비동 지수는 부비동 내부에 존재하는 농의 양을 의미한다.
S500 단계에서 측정 대상자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가 연산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연산된 부비동 지수를 표시한다(S520).
이때,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연산된 부비동 지수를 수치 형태로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부비동지수를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값에 따라 음영 영역 형태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1a은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 지수가 0인 경우에 따른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고, 도 10b는 측정 대상지의 부비동 지수가 좌측과 우측 각각 93점, 78점인 경우에 따른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즉, 도 11a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지수가 0인 경우, 부비동 내에 농이 없기 때문에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이 칠해지지 않은 채로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반면에, 도 11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지수가 좌측과 우측 각각 93점, 78점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부비동 지수에 따른 색을 달리하여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즉, 도 11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지수가 0점 이상 40점 미만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의 색을 녹색으로 나타내고, 부비동 지수가 40이상 70점 미만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의 색을 주황색으로 나타내며, 부비동 지수가 70점이상 100점 이하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의 색을 붉은색으로 나타낸다.
또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얼굴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해당하는 부비동 지수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에 따른 종합의견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수의 근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발광부를 구현하여도 부비동 내에 정확한 빛의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 골격 구조에 따라 최적의 광 조합 비율을 획득하여 부비동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 110: 외측부,
120: 내측부, 130: 지지부,
140a, 140b, 140c: LED, 200: 부비동 측정 장치,
210: 제어부, 220: 촬영부,
230: 영역 설정부, 240: 선택부,
250: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조합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는,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LED가 각각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3개 이상으로 나열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와 인접한 제2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LED와 인접한 제3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LED와 상기 제3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밝기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밝기 지수가 가장 높은 경우의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Figure 112020031814463-pat00009

    여기서, U 및 V는 계수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 별로 선택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9.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를 모두 발광시켜 상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복수의 LED 각각이 조사하는 광의 비율을 조절하면,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각각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얼굴에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을 설정하는 설정부, 그리고
    상기 촬영을 할 때마다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별로 각각의 픽셀 값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의 비율들을 이용하여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트(P1)는,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는,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LED가 각각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3개 이상으로 나열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1 LED와 인접한 제2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제2 LED와 인접한 제3 LED만을 턴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LED와 상기 제3 LED 사이의 광 조합 비율을 달리하면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포인트 사이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밝기 지수를 연산하고, 상기 밝기 지수가 가장 높은 경우의 LED의 광 조합 비율을 선택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지수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Figure 112020031814463-pat00010

    여기서, U 및 V는 계수이다.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자 별로 상기 LED의 광 조합 비율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KR1020200036913A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KR10236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13A KR102363306B1 (ko)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13A KR102363306B1 (ko)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30A KR20210120330A (ko) 2021-10-07
KR102363306B1 true KR102363306B1 (ko) 2022-02-16

Family

ID=7811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13A KR102363306B1 (ko)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3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1843A1 (en) 2013-02-02 2014-08-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KR101653180B1 (ko) 2008-07-30 2016-09-01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부비 개구 탐지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196B1 (ko) * 2018-11-19 2021-07-22 울산과학기술원 부비동 관찰을 위하여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하는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80B1 (ko) 2008-07-30 2016-09-01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부비 개구 탐지기 장치 및 방법
US20140221843A1 (en) 2013-02-02 2014-08-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30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8780A1 (en) Video Laryngoscope Systems
ES2901406T3 (es) Sistemas y métodos de iluminación de párpados para imagenología de las glándulas de Meibomio para análisis de las glándulas de Meibomio
US7845797B2 (en) Custom eyeglass manufacturing method
EP1241634A2 (en) Display device of operation limit angle and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US11051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undic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WO2016076059A1 (ja) 器官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223208A1 (en) Wide field fundus camera with auto-montage at a single alignment
CN106714651B (zh) 评价值计算装置以及电子内窥镜系统
CN112351723B (zh) 电子内窥镜系统与数据处理装置
JP2013252185A (ja) 内視鏡及び内視鏡装置
CN106773080A (zh) 立体显示装置及显示方法
KR102363306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KR20200089204A (ko) 인지 장애인을 위한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CN112930136B (zh) 电子内窥镜系统与数据处理装置
JP200630533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視鏡
JP3711053B2 (ja) 視線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と、視線測定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363308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CN112888356A (zh) 电子内窥镜系统与数据处理装置
CN206249347U (zh) 一种安装在虚拟现实眼镜内的虹膜识别装置
KR20210120334A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근적외선 사진의 동기화 방법
KR102363307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위치판단 방법
WO2022009285A1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US20130272571A1 (en) Human submental profile measurement
KR20210120335A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최적의 근적외선 사진 획득방법
KR102406999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상태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