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308B1 -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308B1
KR102363308B1 KR1020200036916A KR20200036916A KR102363308B1 KR 102363308 B1 KR102363308 B1 KR 102363308B1 KR 1020200036916 A KR1020200036916 A KR 1020200036916A KR 20200036916 A KR20200036916 A KR 20200036916A KR 102363308 B1 KR102363308 B1 KR 10236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us
score
infrared
point
horizont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333A (ko
Inventor
김양석
장희돈
박병훈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Priority to KR102020003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308B1/ko
Priority to PCT/KR2020/004269 priority patent/WO2021193997A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LED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화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상기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제1 포인트에서의 픽셀 값이 일정범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의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SYSTEM FOR SINUS DIAGNOSIS AND METHOD FOR PERFORM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의 상태를 진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미세 먼지 등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한 축농증(부비동염)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2016년 기준으로 이미 66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축농증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
축농증은 부비동에 축적된 비루(비루)의 점도에 따라 수양성 비루(점도 낮음), 점액성 비루(점도 중간), 화농성 비루(점도 높음)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 항생제 처방, 수술 등 여러 형태의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비루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간접적인 방법으로 환자에 대한 문진과 X-ray, CT 등의 광학 장비를 이용하여 부비동내의 농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진단의 부재로 인한 부비동염에 대한 항생제 남용은 지속적인 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으며, 간접적인 진단을 위한 X-ray, CT 등의 장비의 활용도 축농증 환자의 30%가 9세 이하의 어린이인 것을 고려할 때 방사선 노출에 의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핀란드의 Mediq Suomi는 초음파의 반향을 이용한 부비동 내의 막힘을 진단하는 제품을 제안하였지만, 초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측정기의 위치에 따라 결과의 일관성이 부족하며, 체계적인 데이터 해석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X-ray, CT와 같은 광학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일관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여 정확하게 부비동염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1653180호(2016.09.0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의 상태를 진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LED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화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상기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제1 포인트(P1)에서의 픽셀 값이 일정범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의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사진에서의 양쪽 눈동자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준 사진의 수평선 대비 상기 가상의 선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의 합산하여 평가 지수(T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T_score = D_score + A_score + P_score
상기 거리 점수(D_score)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D_score = 40 - A * t-dist
여기서, A는 거리 계수, t-dist는 상기 근적외선 사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까지의 픽셀개수의 차이다.
상기 기울기 점수(A_score)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A_score = 20 - B * angle
여기서, B는 기울기 계수, angle은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이다.
상기 픽셀 점수(P_score)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P_score = 40 - C * p_diff
여기서, C는 픽셀 계수, p_diff는 연산된 상기 좌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의 평균과 우측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의 평균의 차이값이다.
상기 산출된 평가 지수가 기준 값보다 작으면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평가불가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에서의 픽셀 값을 아래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1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2
여기서, X, Y, Z 및 F는 계수이다.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수치 형태로 표시하거나 상기 부비동지수를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값에 따라 음영 영역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비동 진단을 위한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하고,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LED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화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부,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상기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평가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제1 포인트(P1)에서의 픽셀 값이 일정범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는 선택부, 그리고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의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X-ray 및 CT와 같은 광학 장비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 동안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자나 측정 대상자에게 부담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 대상자마다 가진 신체적 특성과 자세를 분석하여 반영하기 때문에 부비동 염 진단의 오차율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S43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 및 부비동 측정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은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 지수를 분석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는 마우스피스 형태로 구현되며, 측정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LED를 이용하여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근적외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 지수를 분석한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측정 대상자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입에 문 상태로 부비동 측정장치(200)에 얼굴을 밀착시키면,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측정 대상자를 촬영하여 일반 사진과 근적외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LED 점등 여부에 따라 기준 사진과 근적외선 사진의 두 종류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나타낸 것처럼,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는 외측부(110), 내측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외측부(110)는 내부에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어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내측부(120)는 측정 대상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복수의 LED(140)가 포함되며, 도 2a와 같이 복수의 LED(140)는 내측부의 중심으로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부(120)는 측면으로 경사가 진 상태로 구현되므로, 측정 대상자가 용이하게 구강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LED(140)는 제1 LED(140a), 제2 LED(140b) 및 제3 LED(140c)를 포함하며,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내측부(120)를 입에 물게 될 경우, 제1 LED(140a)가 측정 대상자의 구강의 가장 안쪽부분에 위치되며, 제3 LED(140c)는 측정 대상자의 구강의 가장 바깥쪽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130)는 외측부(110)와 내측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측정 대상자의 입술이 닿는 부위에 해당한다. 지지부(130)는 곡선형으로 구현되어 구강 대상자가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c에서 나타낸 것처럼, 지지부(130)의 바깥 방향에는 우측 및 좌측에 각각 1개씩 인식마크(150a, 150b)가 부착된다.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근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좌우측의 인식마크(150a, 150b)의 평형성 여부를 통하여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정확하게 입에 물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서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좌측과 우측의 인식마크(150a, 150b)의 평형성을 측정하여 측정 대상자가 입에 물고 있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LED(140)의 개수는 3개(140a, 140b, 140c)로 이루어진 2개의 쌍 형태로 표현하였지만, LED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측정 대상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대칭되는 좌우측의 LED는 동일한 크기의 파장을 방출하고, 이웃하는 LED는 서로 다른 파장을 방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측정장치(200)는 촬영부(210), 기울기 측정부(220), 보정부(230), 설정부(240), 산출부(250), 선택부(260), 연산부(270), 판단부(280) 및 표시부(290)를 포함한다.
먼저, 촬영부(210)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촬영부(210)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암실에서 정확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다.
이때, 촬영부(210)는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입에 문 상태에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한다.
즉, 기준 사진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의 LED를 소등한 상태에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촬영부(210)는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LED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화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기울기 측정부(220)는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기울기 측정부(220)는 기준 사진에서의 양쪽 눈동자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기준 사진의 수평선 대비 설정된 가상의 선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보정부(230)는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한다.
즉, 보정부(230)는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 측정부(220)로부터 측정된 기울기 값만큼 회전시켜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한다.
다음으로, 설정부(240)는 보정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부(250)는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부(250)는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의 합산한 값으로 평가 지수(T_score)를 연산한다.
다음으로, 선택부(260)는 평가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제1 포인트(P1)에서의 픽셀 값이 일정범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연산부(270)는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의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한다.
다음으로, 판단부(280)는 산출된 평가 지수가 기준 값보다 작으면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평가불가로 판단한다.
그리고, 표시부(290)는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표시하며, 부비동지수를 수치 형태로 표시하거나 부비동지수를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값에 따라 음영 영역 형태로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부비동 진단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한다(S41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측정 대상자의 얼굴에 근적외선을 조사한 상태에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을 획득하기 위해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존재하는 복수의 LED를 소등시킨 상태에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얼굴의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기준 사진에서 우측 눈의 바깥쪽지점(E1), 우측 눈의 안쪽지점(E2), 좌측 눈의 안쪽지점(E3), 좌측 눈의 바깥쪽지점(E4)을 선택한다.
또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코의 우측 끝점(N1), 코의 좌측 끝점(N2), 입술의 우측 끝점(M1), 입술의 좌측 끝점(M2)도 선택한다.
다음으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100)에 부착된 LED가 발광되는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환시켜가면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연속 촬영함으로써, 복수개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한다(S420).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3개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카메라의 조리개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셔터의 스피드를 이용하여 노출시간을 변환시켜 3개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한다(S430).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에서 측정 대상자의 좌측 눈동자의 중심점(T1)과 우측 눈동자의 중심점(T2)을 선정한다.
도 6은 도 4의 S43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에서의 양쪽 눈동자의 중심점(T1, T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C1)을 설정한다(S431).
그리고,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기준 사진의 수평선(C2) 대비 가상의 선(C1)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S432).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도 7에서 나타낸 가상의 선(C1)과 기준 사진의 수평선(C2)을 대조하여 기준 사진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기준 사진의 수평선(C2)에 대비하여 가상의 선(C1)이 4°기울어져 있으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해당 기준 사진이 4°만큼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의 수평을 보정한다(S440).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30단계에서 측정된 기울어진 기울기(4°)만큼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회전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보정한다.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정확한 부비동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하기 위하여 3장의 근적외선 사진이 수평이 되도록 보정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보정된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의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및 제3 포인트를 설정한다(S450).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S450 단계에서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및 제3 포인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각각의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보정된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1 분할 영역 내지 제3 분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의 근적외선 사진에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가상의 선을 설정한다.
제1 수직선(V1), 제2 수직선(V2), 제3 수직선(V3) 및 제4 수직선(V4)은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3장의 사진에 대하여 우측 눈의 바깥쪽지점(E1), 우측 눈의 안쪽지점(E2), 좌측 눈의 안쪽지점(E3), 좌측 눈의 바깥쪽지점(E4)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1 수평선(H1) 및 제2 수평선(H2)은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의 입술 끝점(M1, M2)과 코 끝점(N1, N2)을 각각 지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또한, 제3 수평선(H3)은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의 눈동자의 중심점(T1, T2)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며, 제4 수평선(H4)은 제2 수평선(H2)과 제3 수평선(H3)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1, H2, H3, H4)을 설정하면, 각각의 교차되는 선에 의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이 생성된다.
즉,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1 분할 영역은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1, H2)이 교차되는 영역에 존재하고, 제2 분할 영역은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2, H4)이 교차되는 영역에 존재하며, 제3 분할 영역은 복수의 가상의 수직선(V1, V2, V3, V4)과 복수의 가상의 수평선(H3, H4)이 교차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도 8과 같이, 복수의 분할 영역이 설정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 각각의 포인트를 설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는 3장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며, 각각의 근적외선 사진에서 얼굴의 좌측 및 우측에 설정된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제1 분할 영역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제1 포인트(LP1, RP1)를 설정하고, 제2 분할 영역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제2 포인트(LP2, RP2)를 설정하며, 제3 분할 영역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제3 포인트(LP3, RP3)를 설정한다.
또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정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한 평가 지수를 산출한다(S460).
여기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를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한 평가 지수(T_score)를 산출한다.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3
여기서,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는 아래의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연산된다.
먼저,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근적외선 사진에서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까지의 픽셀 개수를 아래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거리 점수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4
여기서, A는 거리 계수, t-dist는 사진의 중앙에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T1, T2)까지의 픽셀개수의 차이다.
이때, 거리 점수(D_score)의 최대 값은 4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t-dist가 40이고, A가 0.2라고 하면, 거리 점수(D_score)는 32로 연산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S410단계에서 획득한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아래의 수학식 3에 적용하여 기울기 점수(A_score)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5
여기서, B는 기울기 계수, angle은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이다.
이때, 기울기 점수(A_score)의 최대 값은 2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가 4°이고, B의 값이 1.5라고 하면, 수학식 3에 의하여 기울기 점수(A_score)는 14로 연산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아래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픽셀 점수(P_score)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6
여기서, C는 픽셀 계수, p_diff는 좌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 1cm씩 범위 안에 있는 픽셀값의 평균과 우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 1cm씩(총2cm) 범위 안에 있는 픽셀값의 평균값의 차이값이다.
이때, 픽셀 점수(P_score)의 최대 값은 40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p_diff 값이 30이고, C의 값이 0.2라고 하면, 수학식 4에 의하여 픽셀 점수(P_score)는 34로 연산된다.
이때, 수학식 2 내지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및 픽셀 점수(P_score) 각각의 최대 값이 40, 20 및 40점이므로, 수학식 1에 의하여 평가 지수(T_score)의 최대 값은 100점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수학식 1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평가 지수가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
이때, 3장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평가 지수가 기준 값 보다 작은 것으로 연산된 근적외선 사진이 존재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해당되는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평가불가로 판단한다(S480).
반면에, 3장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평가 지수가 기준 값 이상으로 연산된 근적외선 사진이 존재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해당되는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한다(S490).
여기서, 기준 값은 부비동 측정 장치(200)에서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그러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선택된 1장의 근적외선 사진을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한다(S500).
즉,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서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에서의 픽셀 값을 아래의 수학식 5에 적용하여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한다.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7
Figure 112020031814700-pat00008
여기서, X, Y, Z는 픽셀 계수이고, F는 부비동 계수이다.
이때, 부비동 지수는 부비동 내부에 존재하는 농의 양을 의미한다.
S500 단계에서 측정 대상자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가 연산되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연산된 부비동 지수를 표시한다(S510).
이때,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연산된 부비동 지수를 수치 형태로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부비동지수를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값에 따라 음영 영역 형태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0a은 측정 대상자의 부비동 지수가 0인 경우에 따른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고, 도 10b는 측정 대상지의 부비동 지수가 좌측과 우측 각각 93점, 78점인 경우에 따른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즉, 도 10a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지수가 0인 경우, 부비동 내에 농이 없기 때문에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이 칠해지지 않은 채로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반면에, 도 10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지수가 좌측과 우측 각각 93점, 78점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부비동 지수에 따른 색을 달리하여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즉, 도 10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비동 지수가 0점 이상 40점 미만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의 색을 녹색으로 나타내고, 부비동 지수가 40이상 70점 미만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의 색을 주황색으로 나타내며, 부비동 지수가 70점이상 100점 이하이면,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음영의 색을 붉은색으로 나타낸다.
또한,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얼굴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해당하는 부비동 지수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부비동 측정 장치(200)는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에 따른 종합의견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X-ray 및 CT와 같은 광학 장비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 동안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자나 측정 대상자에게 부담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 대상자마다 가진 신체적 특성과 자세를 분석하여 반영하기 때문에 부비동 염 진단의 오차율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 110: 외측부,
120: 내측부, 130: 지지부,
140a, 140b, 140c: LED, 150a, 150b: 인식마크,
200: 부비동 측정 장치, 210: 촬영부,
220: 기울기 측정부, 230: 보정부,
240: 설정부, 250: 산출부,
260: 선택부. 270: 연산부,
280: 판단부, 290: 표시부

Claims (20)

  1.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LED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화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상기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제1 포인트(P1)에서의 픽셀 값이 일정범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의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사진에서의 양쪽 눈동자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준 사진의 수평선 대비 상기 가상의 선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의 합산하여 평가 지수(T_score)를 산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T_score = D_score + A_score + P_score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점수(D_score)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D_score = 40 - A * t-dist
    여기서, A는 거리 계수, t-dist는 상기 근적외선 사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까지의 픽셀개수의 차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점수(A_score)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A_score = 20 - B * angle
    여기서, B는 기울기 계수, angle은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이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점수(P_score)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P_score = 40 - C * p_diff
    여기서, C는 픽셀 계수, p_diff는 연산된 상기 좌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의 평균과 우측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의 평균의 차이값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평가 지수가 기준 값보다 작으면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평가불가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에서의 픽셀 값을 아래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Figure 112021093116513-pat00009

    Figure 112021093116513-pat00010

    여기서, X, Y, Z 및 F는 계수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수치 형태로 표시하거나 상기 부비동지수를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값에 따라 음영 영역 형태로 표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11. 부비동 진단을 위한 부비동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가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문 상태에서, 부비동 측정 장치에 포함된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상기 측정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기준 사진을 획득하고, 상기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LED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변화시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기준 사진에 촬영된 측정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부,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상기 측정된 기울기의 크기만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을 수평으로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보정된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한쌍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자세에 대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평가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복수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제1 포인트(P1)에서의 픽셀 값이 일정범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사진 중에서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근적외선 사진을 선택하는 선택부, 그리고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의 부비동 지수를 각각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측정부는,
    상기 기준 사진에서의 양쪽 눈동자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사진의 수평선 대비 상기 가상의 선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포인트(P1)는,
    상기 근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서 우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좌측 눈의 안쪽지점 및 바깥쪽지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3 및 제4 수직선, 및 입술 끝점과 코 끝점 각각을 지나는 가상의 제1 및 제2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포인트(P2)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2 수평선과 눈동자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제3 수평선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포인트(P3)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선, 상기 제3 수평선, 및 상기 제4 수평선이 교차되는 영역 내에 가장 큰 픽셀 값을 가지는 지점을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거리 점수(D_score), 기울기 점수(A_score), 픽셀 점수(P_score)를 합산하여 평가 지수(T_score)를 산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T_score = D_score + A_score + P_score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거리 점수(D_score)를 산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D_score = 40 - A * t-dist
    여기서, A는 거리 계수, t-dist는 사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각각의 눈동자의 중심까지의 픽셀개수의 차이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기울기 점수(A_score)를 산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A_score = 20 - B * angle
    여기서, B는 기울기 계수, angle은 상기 기준 사진의 기울기 각도이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 점수(P_score)를 산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P_score = 40 - C * p_diff
    여기서, C는 픽셀 계수, p_diff는 연산된 상기 좌측의 제1 포인트(P1)과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의 평균과 우측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존재하는 픽셀값들의 평균의 차이값이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평가 지수가 기준 값보다 작으면 재촬영을 요청하거나 평가불가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및 제3 포인트(P3)에서의 픽셀 값을 아래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근적외선 사진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부비동 지수를 연산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Figure 112020031814700-pat00011

    Figure 112020031814700-pat00012

    여기서, X, Y, Z 및 F는 계수이다.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산된 부비동지수를 수치 형태로 표시하거나 상기 부비동지수를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값에 따라 음영 영역 형태로 표시하는 부비동 진단 시스템.
KR1020200036916A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KR10236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16A KR102363308B1 (ko)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PCT/KR2020/004269 WO2021193997A1 (ko) 2020-03-26 2020-03-27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부비동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16A KR102363308B1 (ko)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33A KR20210120333A (ko) 2021-10-07
KR102363308B1 true KR102363308B1 (ko) 2022-02-16

Family

ID=7789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16A KR102363308B1 (ko) 2020-03-26 2020-03-26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3308B1 (ko)
WO (1) WO202119399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1843A1 (en) 2013-02-02 2014-08-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KR101653180B1 (ko) 2008-07-30 2016-09-01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부비 개구 탐지기 장치 및 방법
JP2017192767A (ja) 2017-06-21 2017-10-26 株式会社 資生堂 画像解析方法、画像解析装置、及び画像解析プログラム
KR101900786B1 (ko) 2017-06-23 2018-11-02 울산과학기술원 근적외선을 이용한 상악동 내의 유체 움직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54B1 (ko) *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KR101499649B1 (ko) * 2013-08-20 2015-03-06 조현재 구강촬영용 트레이, 구강촬영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촬영장치 및 구강촬영 시스템
KR101942641B1 (ko) * 2017-03-07 2019-01-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 형상의 구강스캐너
KR102281196B1 (ko) * 2018-11-19 2021-07-22 울산과학기술원 부비동 관찰을 위하여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하는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80B1 (ko) 2008-07-30 2016-09-01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부비 개구 탐지기 장치 및 방법
US20140221843A1 (en) 2013-02-02 2014-08-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JP2017192767A (ja) 2017-06-21 2017-10-26 株式会社 資生堂 画像解析方法、画像解析装置、及び画像解析プログラム
KR101900786B1 (ko) 2017-06-23 2018-11-02 울산과학기술원 근적외선을 이용한 상악동 내의 유체 움직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3997A1 (ko) 2021-09-30
KR20210120333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986B2 (en) Tracked toothbrush and toothbrush tracking system
US9323075B2 (en) System for the measurement of the interpupillary distance using a device equipped with a screen and a camera
JP66014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654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interpupillary distance
Al-Anezi et al. A new method for automatic tracking of facial landmarks in 3D motion captured images (4D)
US2016016614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cular measurements using a consumer sensor
US20140285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Eye Conditions
TWI694809B (zh) 檢測眼球運動的方法、其程式、該程式的記憶媒體以及檢測眼球運動的裝置
JP6232287B2 (ja) 累進焦点眼鏡用レンズを選択する方法
US20230068727A1 (en) Intraoral scanner real time and post scan visualizations
BR112019006165B1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determinar uma representação de uma borda de lente de óculos
JP7030317B2 (ja) 瞳孔検出装置及び瞳孔検出方法
JP2005185431A (ja) 視線検出方法および視線検出装置
US119153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posing and visualizing dental treatments
CN113260335B (zh) 用于测量牙周袋深度的系统
JP5111845B2 (ja) 眼底画像処理装置、眼底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363308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진단 방법
JP704634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711053B2 (ja) 視線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と、視線測定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363306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led 제어 방법
KR100865275B1 (ko) 설진 영상의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US9020192B2 (en) Human submental profile measurement
KR102363307B1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강 조사용 마우스피스의 위치판단 방법
US20220125297A1 (en) Device calibration via a projective transform matrix
US11869203B2 (en) Dental image registra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