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025B1 - 자전거 - Google Patents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025B1
KR101231025B1 KR1020110125481A KR20110125481A KR101231025B1 KR 101231025 B1 KR101231025 B1 KR 101231025B1 KR 1020110125481 A KR1020110125481 A KR 1020110125481A KR 20110125481 A KR20110125481 A KR 20110125481A KR 101231025 B1 KR101231025 B1 KR 10123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hub cell
rear shaft
bearing
rear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동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동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동테크
Priority to KR102011012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8Arrangements of balancing mechanisms enabl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load to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러지지 않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양단이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되는 리어 샤프트; 리어 샤프트의 외주 상에 형성되며, 중앙 내주면이 구면을 이루는 리어 허브셀; 리어 허브셀의 구면과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리어 허브셀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리어 허브셀의 구면에 대한 리어 샤프트의 전방향(全方向) 기울기 변화로 각각이 지면에 밀착 가능한 한 쌍의 후륜; 및 리어 허브셀의 양단 내주와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에 설치되며, 리어 샤프트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는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 타는 경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등에도 측면으로 쓰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BICYCLE}
본 발명은 쓰러지지 않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으로 구성되며, 후륜과 크랭크축 사이에 체결되는 체인에 의해 페달의 회전력이 제공되어 전진하는 이동 수단이다. 최근 친환경 녹색성장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친환경 교통 수단으로 자전거가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자전거 도로를 비롯한 다양한 자전거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자전거 인구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자전거는 대부분이 전륜과 후륜의 2륜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 타는 경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등에는 측면으로 쓰러질 염려가 있다. 자전거가 측면으로 쓰러짐에 따라 부상 등 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전거의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 예컨대 고령자, 아동, 여성들은 자전거 사고의 부담으로 인해 자전거 타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 타는 경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등에도 측면으로 쓰러지지 않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보자나 조작 미숙자가 용이하게 탈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륜으로 구성되는 일반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좁은 공간에서도 제약 없이 탈 수 있으며, 기동성을 가질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양단이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되는 리어 샤프트; 리어 샤프트의 외주 상에 형성되며, 중앙 내주면이 구면을 이루는 리어 허브셀; 리어 허브셀의 구면과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리어 허브셀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리어 허브셀의 구면에 대한 리어 샤프트의 전방향(全方向) 기울기 변화로 각각이 지면에 밀착 가능한 한 쌍의 후륜; 및 리어 허브셀의 양단 내주와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에 설치되며, 리어 샤프트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은 외캡이 구면을 이루는 구면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의 외캡과 리어 허브셀의 중앙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볼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원 탄성체는 스프링 또는 탄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원 탄성체는 리어 허브셀의 양단 내주와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에서 적어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는, 리어 샤프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원 탄성체가 연결되는 보조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어 허브셀의 중앙 외주면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며, 스프로킷에는 체인이 체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는, 스프로킷의 양측에 형성되어 체인의 이탈을 차단하는 체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는, 페달의 크랭크축 또는 체인에 체결되어 보조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자전거는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 타는 경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등에도 측면으로 쓰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는 초보자나 조작 미숙자가 용이하게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는 2륜으로 구성되는 일반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좁은 공간에서도 제약 없이 탈 수 있으며, 기동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좌우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상하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가 굴곡이 심한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의 동작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가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의 동작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좌우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상하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두 개의 후륜(110a, 110b)이 인접하여 나란히 구비된다. 이에 따라, 2륜으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비하여 세 개의 지점에서 지면과 밀착하므로 안정적인 직립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외관상, 후륜(110a, 110b)이 서로 인접한다는 정도 외에는 종래의 세발자전거와 별반 차이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한 쌍의 후륜(110a, 110b)을 채용하되, 다음의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후륜의 허브 구조를 종래의 자전거와 달리함으로써,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 타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무게 중심이 기울어지거나 일방의 후륜이 지면에서 이탈되고 타방의 후륜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일없이 쓰러지지 않는 자전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좌우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상하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복원 탄성체의 구성적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 2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양단이 자전거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리어 샤프트(130, rear shaft)와,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 상에 형성되며, 중앙 내주면이 구면을 이루는 리어 허브셀(140, rear hub shell)과, 리어 허브셀(140)의 구면과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50)과, 리어 허브셀(140)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리어 허브셀(140)의 구면에 대한 리어 샤프트(130)의 전방향(全方向) 기울기 변화로 각각이 지면에 밀착 가능한 한 쌍의 후륜(110a, 110b)과, 리어 허브셀(140)의 양단 내주와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 사이에 설치되며, 리어 샤프트(130)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탄성체(16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 구조는 상기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자전거의 프레임(120)에 후륜(110a, 110b)을 고정함과 아울러, 지면의 굴곡이나 방향 전환 시에도 한 쌍의 후륜(110a, 110b) 모두 지면에 밀착 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무게 중심의 기울어짐이 자전거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현가장치를 이룬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150)은 외캡(151)이 구면을 이루는 구면 베어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베어링(150)은, 리어 허브셀(140)을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한편, 최외곽면이 리어 허브셀(140)의 중앙 내측 구면 형상에 대응하여 구면을 이룸으로써, 리어 샤프트(130)와의 상하 방향 또는 전후좌우 방향의 기울기 변화에 대해서 리어 허브셀(140)을 전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리어 허브셀(140)에 대한 지지 면적도 넓어지므로 슬라이딩 시 견고한 지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원 탄성체(160)는 리어 샤프트(130)와 리어 허브셀(140)이 서로 기울어진 경우, 다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반발력이 우수한 스프링을 리어 허브셀(140)의 양단 내주와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 방향, 즉 축의 중심 방향으로 적절히 배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복원 탄성체(160)는 스프링 대신에 복원력이 우수한 탄성 고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원 탄성체(160)는 리어 허브셀(140)의 양단 내주와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 사이에서 적어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탄성체(160)를 리어 허브셀(140)과 리어 샤프트(130)의 사이에 상측, 하측, 전측, 후측 각각에 장착하여 끝단 마다 최소한 4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방향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하전후 사이에 복원 탄성체(160)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 허브셀(140)의 중앙 외주면에는 스프로킷(170)이 형성되며, 스프로킷(170)에는 체인(180)이 체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이 제공된다. 즉, 일반적인 2륜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후륜 허브에 형성되는 스프로킷에 체인이 체결됨으로써, 페달의 회전력이 제공된다. 이때, 리어 허브셀(140)의 중앙 외주면에 스프로킷(170)이 형성됨으로써, 양 후륜(110a, 110b)에 회전력을 고루 분배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또한, 리어 허브셀(140)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영향도 끝단에 위치되는 것보다 적게 받아 체인(18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페달의 크랭크축과 스프로킷(170)은 서로 자전거의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기 곤란한 구조이므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체인(18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후 방향 중간에 보조 샤프트를 구비하고, 페달의 크랭크축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1 보조 스프로킷과 스프로킷(170)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 보조 스프로킷을 보조 샤프트에 나란히 설치하며 체인을 각각에 일직선으로 체결하는 추가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리어 허브셀(140)의 외주를 따라 스프로킷(170)의 양측에 형성되어 체인(180)의 이탈을 차단하는 체인 커버(181)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리어 허브셀(140)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영향으로 체인(180)이 스프로킷(17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가 굴곡이 심한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의 동작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굴곡이 심한 지면을 통과하게 되면, 자전거 차체가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자전거의 하중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작용하므로, 일반적인 자전거는 별도의 조작이 없으면 쓰러져 버린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도 4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80)에 체결된 스프로킷(170)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리어 허브셀(1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굴곡이 심한 지면을 통과하게 되면, 자전거 차체에는 하중에 의해 수직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양 후륜(110a, 110b)에는 하중에 의해 지면에 밀착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들에 의해 베어링(150)이 리어 허브셀(140)의 구면에 슬라이딩되어, 평행을 이루던 리어 샤프트(130)와 리어 허브셀(140)은 서로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이 기울기 변화는 지면의 굴곡된 방향에 따른다. 이에 따라, 리어 허브셀(140)의 양단에 체결되는 양 후륜(110a, 110b)은 모두 굴곡된 지면에 밀착하여 안정된 지지 구조를 이루고, 자전거의 차체는 기울기 변화된 리어 샤프트(130)에 의해 그대로 직립하여 하중의 방향과 일치하게 되므로, 자전거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지역을 통과하여 평지에 이동하게 되면, 복원 탄성체(160)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리어 샤프트(130)와 리어 허브셀(140)이 다시 서로 평행을 이루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가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의 동작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방향을 전환하면 하중의 중심이 전환되는 쪽으로 이동되어 전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별도의 조작이 없으면 그대로 쓰러져 버린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도 5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80)에 체결된 스프로킷(170)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리어 허브셀(1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자전거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자전거의 하중은 중력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힘과, 전환하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함께 작용한다. 중력 방향의 힘은 양 후륜(110a, 110b)을 지면에 밀착시키려는 힘으로 연결된다. 이 힘들에 의해 베어링(150)이 리어 허브셀(140)의 구면에 슬라이딩되어, 평행을 이루던 리어 샤프트(130)와 리어 허브셀(140)은 서로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이 기울기 변화는 자전거의 전환 방향에 따른다. 이에 따라, 리어 허브셀(140)의 양단에 체결되는 양 후륜(110a, 110b)은 모두 지면에 밀착하여 안정된 지지 구조를 이루고, 자전거의 차체는 기울기 변화된 리어 샤프트(130)에 의해 하중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게 되므로, 자전거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을 마치고 직진을 하게 되면, 복원 탄성체(160)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리어 샤프트(130)와 리어 허브셀(140)이 다시 서로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 타는 경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등에도 측면으로 쓰러지지 않으며, 초보자나 조작 미숙자가 용이하게 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3륜으로 구성되되 상술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 쌍의 후륜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2륜의 일반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좁은 공간에서도 제약 없이 탈 수 있으며, 기동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페달의 크랭크축 또는 체인에 체결되어 보조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전거는,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 예컨대 고령자, 아동,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사용자는 일반 사용자와 비교하여 체력이 부족한 편이므로, 장시간 사용이나 오르막길에서 자전거 운용에 곤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보조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사용할 수 있다.
(B)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후륜축에 프리휠로 구성되는 허브를 장착하는 것으로, 페달의 역회전 작동에 대해서는 헛바퀴를 돌게 되어 임의의 후진 동작을 못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자전거 승차 구조와 연계하여 후진 동작시 조향제어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후진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에 주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도 페달의 정회전 동작에 대해서만 전진을 하도록 프리휠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프리휠을 리어 허브셀의 외주에서 스프로킷과 함께 구성하거나, 상기의 보조 샤프트에 장착되는 보조 스프로킷과 함께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휠의 구조 자체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프리휠 구조로부터 간단하게 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C)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양 후륜(110a, 110b)의 간격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다.
(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좌우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베어링(150)의 외캡(151)과 리어 허브셀(140)의 중앙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볼(190)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150)의 외캡(151)과 리어 허브셀(140)의 중앙 내주면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켜, 리어 샤프트(130)의 원활한 기울기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50)의 외캡(151)과 리어 허브셀(140)의 손상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리어 샤프트(130)와 리어 허브셀(140)의 사이에는 이중의 베어링 구조를 이루게 된다.
(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후륜의 허브를 상하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리어 샤프트(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원 탄성체(160)가 연결되는 보조 베어링(200)을 더 포함한다. 즉, 복원 탄성체(160)는 고정되는 리어 샤프트(130)와, 회전하는 리어 허브셀(140) 사이에 위치하므로, 후륜 회전시 끝단이 마모될 우려가 있다. 예컨대, 복원 탄성체(160)의 일단이 리어 샤프트(130)에 고정되는 경우, 복원 탄성체(160) 타단과 리어 허브셀(140)의 내주면은 마찰에 의해 마모될 수 있다. 복원 탄성체(160)의 타단이 리어 허브셀(140)에 고정되는 경우, 복원 탄성체(160) 일단과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면은 마찰에 의해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원 탄성체(160)의 타단을 리어 허브셀(140)에 고정시키고, 복원 탄성체(160)의 일단을 보조 베어링(200)의 외주면에 연결한다. 보조 베어링(200)은 리어 샤프트(130) 상에 형성된다. 회전시에는 고정된 리어 샤프트(130)의 외주면 상에서 보조 베어링(200)과 이에 연결된 복원 탄성체(160) 및 리어 허브셀(14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 및 동작 특성에 의해, 회전시 보조 베어링(200)에 의해 마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10b : 후륜
120 : 자전거 프레임
130 : 리어 샤프트
140 : 리어 허브셀
150 : 베어링
151 : 외캡
160 : 복원 탄성체
170 : 스프로킷
180 : 체인
181 : 체인 커버
190 : 베어링볼
200 : 보조 베어링

Claims (9)

  1. 양단이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되는 리어 샤프트;
    상기 리어 샤프트의 외주 상에 형성되며, 중앙 내주면이 구면을 이루는 리어 허브셀;
    상기 리어 허브셀의 구면과 상기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리어 허브셀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 리어 허브셀의 구면에 대한 상기 리어 샤프트의 전방향(全方向) 기울기 변화로 각각이 지면에 밀착 가능한 한 쌍의 후륜; 및
    상기 리어 허브셀의 양단 내주와 상기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샤프트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탄성체;
    를 포함하는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외캡이 구면을 이루는 구면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외캡과 상기 리어 허브셀의 중앙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볼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탄성체는 스프링 또는 탄성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탄성체는 상기 리어 허브셀의 양단 내주와 상기 리어 샤프트의 외주 사이에서 적어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샤프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복원 탄성체가 연결되는 보조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허브셀의 중앙 외주면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로킷에는 체인이 체결되어 페달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인의 이탈을 차단하는 체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크랭크축 또는 상기 체인에 체결되어 보조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KR1020110125481A 2011-11-29 2011-11-29 자전거 KR10123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481A KR101231025B1 (ko) 2011-11-29 2011-11-29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481A KR101231025B1 (ko) 2011-11-29 2011-11-29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025B1 true KR101231025B1 (ko) 2013-02-07

Family

ID=4789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481A KR101231025B1 (ko) 2011-11-29 2011-11-29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0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852Y1 (ko) * 1989-02-17 1991-10-07 김종목 삼륜차의 균형 조정장치
CN201193068Y (zh) 2008-04-16 2009-02-11 甄茂军 三轮自行车
JP2010036743A (ja) 2008-08-06 2010-02-18 Eitaro Terakawa 三輪自転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852Y1 (ko) * 1989-02-17 1991-10-07 김종목 삼륜차의 균형 조정장치
CN201193068Y (zh) 2008-04-16 2009-02-11 甄茂军 三轮自行车
JP2010036743A (ja) 2008-08-06 2010-02-18 Eitaro Terakawa 三輪自転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7546B2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US7543834B2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or sport device
CA2847485C (en) Recumbent vehicle
CN203142913U (zh) 双体车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JP2010530290A (ja) ステップボード
KR101231025B1 (ko) 자전거
EP2237844B1 (fr) Organe de roulement
TWI549857B (zh) Couplings of tricycles
US20190300093A1 (en) Kick scooter
US20050236803A1 (en) Three wheeled vehicle
CN107776786A (zh) 个人移动车辆
WO2019008673A1 (ja) ロッカーボギー機構及び走行装置
CN109955998B (zh) 空心轮装置及代步工具
KR101403919B1 (ko) 틸트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CN103482002B (zh) 手驱动式燕尾形踏板车
KR101271472B1 (ko) 스키 자전거
KR200386729Y1 (ko) 외륜 자전거
JP2009161160A (ja) 車椅子車輪の構造
CN218343660U (zh) 一种加强型电动平衡车壳体结构
JP3239652U (ja) スクータ
JP2020032991A (ja) 電動式スケートボード
KR101005429B1 (ko) 캐스터 스케이팅 차륜
JP2014097756A (ja) 自転車
KR101128842B1 (ko) 무한궤도형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