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966B1 - 승하선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승하선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966B1
KR101230966B1 KR1020100046589A KR20100046589A KR101230966B1 KR 101230966 B1 KR101230966 B1 KR 101230966B1 KR 1020100046589 A KR1020100046589 A KR 1020100046589A KR 20100046589 A KR20100046589 A KR 20100046589A KR 101230966 B1 KR101230966 B1 KR 10123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axis
spindle
embarka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996A (ko
Inventor
윤진섬
손연호
정용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9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9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adder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설치되며,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길게 연장하고, 상기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축선에 수직한 제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 플랫폼; 및 상기 상부 플랫폼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선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이용하는 승하선자를 상기 선박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하선 사다리 장치{Accomodation ladder apparatus}
본 발명은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승하선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부두에 접안시, 작업자나 선원 등의 승하선자가 선박에 승하선하기 위한 승하선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승하선 사다리는 배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사용중에는 선체 외판(side shell)보다 바깥으로 돌출되어 배의 상부데크(upper deck)와 부두 사이에서 연결되고, 이 승하선 사다리를 통하여 승하선자는 승선 및 하선을 하게 된다. 한편, 배가 운항중인 경우에는 승하선 사다리는 선체 외판 내측으로 들어가서 안전하게 보관된다.
그런데, 선박이 부두에 접안하는 경우, 이러한 승하선 사다리는 화물구역에 대부분 설치된다. 이러한 승하선 사다리의 설치 위치 때문에, 승하선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때에는, 선박으로 적재되거나 선박으로부터 하역되는 화물의 추락에 의해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 내에 별도의 이동식 안전구조물을 마련함으로써, 선박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추락물로부터 승하선자를 보호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배의 운항시에는 이를 철거해야하는 번잡함이 있고, 또 별도의 적재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적절하지 않다. 또한, 안전구조물의 설치 및 철거시, 안전 구조물이 선체 외판으로도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적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선박 상부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승하선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하선 사다리 장치는, 선박에 설치되며,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길게 연장하고, 상기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축선에 수직한 제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 플랫폼; 및 상기 상부 플랫폼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선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이용하는 승하선자를 상기 선박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기구는, 상기 플랫폼 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보호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플레이트의 제2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플랫폼의 제2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기구는, 상기 상부 플랫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편평한 형상의 보호 그물망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 의하면, 승하선 사다리를 이용하는 승하선자를 선박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기구를 위한 별도의 적재공간이 필요 없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사다리 장치로서, 승하선 사다리가 부두에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서, 승하선 사다리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서, 승하선 사다리가 선박의 선체 외판 내측으로 이동되어 보관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사다리 장치로서, 선박이 부두에 접안하여 승하선자가 승선 및 하선을 할 수 있도록, 승하선 사다리가 부두에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서, 승하선 사다리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에서, 선박의 출항을 위해 승하선 사다리가 선박의 사이드 셀 내측으로 이동되어 보관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박(1)이 부두(3)에 접안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선박(1)은 바다(4)를 사이에 두고 부두(3)와 떨어져 있다. 도시된 승하선 사다리 장치(100)는, 선박(1)이 부두(3)에 접안하였을 때, 작업자나 선원등의 승하선자가 선박(1)에 승선 및 하선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스핀들(110)과, 상부 플랫폼(130)과, 승하선 사다리(120)와, 보호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핀들(110)은 선박(1)의 상부데크(upper deck; 2)에 설치되는데, 선박(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 축선(X)을 중심축으로 하여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110)은, 제1 축선(X)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부데크(2)에 마련된 지지부재(112)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110)의 일측에는 스핀들(110)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미도시)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랫폼(130)은 선박(1)의 상부데크(2)와 승하선 사다리(120)를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플랫폼 플레이트(132)와, 턴테이블(13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랫폼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축선(X)에 대해 수직한 방향인 제2 축선(Y)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스핀들(1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134)은, 상기 플랫폼 플레이트(13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플랫폼 플레이트(132)의 타단부에, 상기 제1 축선(X) 및 상기 제2 축선(Y)에 대해 수직한 제3 축선(Z)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하선 사다리(120)는, 승하선자가 부두(3)로부터 상기 상부 플랫폼(130)으로 올라가거나, 상부 플랫폼(130)으로부터 부두(3)로 내려가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승하선 사다리(120)는, 힌지축(133)에 의해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랫폼(130)의 턴테이블(1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하선 사다리(1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선자가 승하선 사다리(120)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발판(126)이 마련되어 있으며, 승하선자가 승하선 사다리(12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레일(1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하선 사다리(120)의 하단부에는 하부 플랫폼(124)이 마련되어 있어, 승하선자가 용이하게 승하선 사다리(120)에 올라탈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승하선 사다리(120)의 양측은 로프(128)에 매달려있는데, 이 로프(128)는 호이스트 윈치(미도시)에 감겨 있다. 로프(128)가 호이스트 윈치에 감기면서, 승하선 사다리(120)는 상기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로프(128)가 호이스트 윈치로부터 풀리면서, 승하선 사다리(120)는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 보호기구는, 상기 승하선 사다리(120)를 이용하여 승하선자가 선박(1)을 오르내릴 때, 상기 선박(1)으로부터 떨어지는 추락물, 예컨대 화물구역 내에서 선박(1)으로 적재되거나 선박(1)으로부터 하역되는 화물로부터 승하선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보호기구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호 플레이트(1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호 플레이트(140)는, 상기 스핀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상부 플랫폼(13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141)와, 플레이트부(14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스핀들(110)에 고정되는 연결부재(142)로 이루어진다. 이 연결부재(142)는 상기 스핀들(11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스핀들(110)의 회전에 의해 보호 플레이트(140)는 제1 축선(X)을 중심으로 스핀들(110)과 함께 회전된다. 또한, 보호 플레이트(140)의 제2 축선(Y) 방향으로의 길이(d2)는 상기 상부 플랫폼의 제2 축선(Y) 방향으로의 길이(d1)보다 길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100)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선 사다리 장치(100)의 승하선 사다리(120)는 그 하부 플랫폼(124)이 부두(3)에 안착되어 위치하고 있다. 이때의 로프(128)는 호이스트 윈치로부터 충분히 풀려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바다(4)의 파도에 의해 선박(1)과 부두(3) 사이의 거리가 다소 변동할 수 있는데, 그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턴테이블(134)이 제3 축선(Z)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승하선 사다리(120)의 방향이 적절히 틀어짐으로써 선박(1)과 부두(3) 사이의 거리의 변동을 충분히 보상하게 한다.
한편, 이때의 보호 플레이트(140)는 선박(1)의 상부데크(2)에 평행하게 되어, 승하선자가 상기 승하선 사다리(120)를 이용하여 선박(1)을 오르내릴 때, 상기 선박(1)으로부터 떨어지는 추락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파도에 의해 선박(1)과 부두(3) 사이의 거리가 다소 멀어지게 되어, 선체 외판(5)과 승하선 사다리(120)의 거리가 다소 멀어지더라도, 상기 보호 플레이트(140)의 제2 축선(Y) 방향으로의 길이(d2)는 상기 상부 플랫폼(130)의 제2 축선(Y) 방향으로의 길이(d1)보다 충분하게 길기 때문에, 승하선자를 추락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후, 선박(1)이 출항을 시작하려 하면, 로프(128)가 호이스트 윈치(미도시)에 감기게 되며, 이에 따라 승하선 사다리(120)는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부두(3)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선 사다리(120)가 상기 스핀들(110)과 평행한 위치, 즉 선박(1)의 상부데크(2)까지 올라가게 된다.
다음으로, 외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스핀들(110)이 제1 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그 스핀들(110)에 고정된 상부 플랫폼(130) 및 보호 플레이트(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데크(2)에 수직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부 플랫폼(130)이 상부데크(2)에 수직한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면, 승하선 사다리 장치(100)는 선박(1)의 선체 외판(5)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선체 내측으로 들어가서 안전하게 보관된다.
선박(1)이 부두(3)에 접안하여 승하선 사다리(120)를 내리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승하선 사다리 장치(100)를 이용하면, 승하선자가 선박(1)을 오르내릴 때 선박(1)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하선 사다리(120)를 사용하기 위해 스핀들(110)을 회전시킬 때, 스핀들(110)의 회전과 동시에 보호 플레이트(140)도 함께 회전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하선 사다리(120)가 선체 외판(5) 내에 보관될 때에는 보호 플레이트(140)가 상부데크(2)에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선체 외판(5)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고 별도의 적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폭이 협소한 컨테이너선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구로서, 보호 플레이트(140)가 상부 플랫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141)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판 형상의 플레이트부(141)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플레이트(140)가 연결부재(142)에 연결고정되는 편평한 형상의 보호 그물망(141')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박 2: 상부데크(upper deck)
3: 부두 5: 선체 외판(side shell)
100: 승하선 사다리 장치 110: 스핀들
112: 지지부재 120: 승하선 사다리
122: 핸드레일 124: 하부 플랫폼
126: 발판 128: 로프
130: 상부 플랫폼 132: 플랫폼 플레이트
133: 힌지축 134: 턴테이블
140: 보호 플레이트 141: 플레이트부
141': 보호 그물망
142: 연결부재 X: 제1 축선
Y: 제2 축선 Z: 제3 축선
d1: 상부 플랫폼의 제2 축선방향으로의 길이
d2: 보호 플레이트의 제2 축선방향으로의 길이

Claims (5)

  1. 선박에 설치되며,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길게 연장하고, 상기 제1 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축선에 수직한 제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 플랫폼;
    상기 상부 플랫폼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선 사다리; 및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이용하는 승하선자를 상기 선박으로부터의 추락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기구는, 그 일단부가 상기 스핀들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내릴 때에는 상기 스핀들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승하선 사다리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선체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고,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스핀들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승하선 사다리와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선체 내측의 상부 데크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사다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구는, 상기 상부 플랫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의 보호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사다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플레이트의 제2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플랫폼의 제2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사다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구는, 상기 상부 플랫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편평한 형상의 보호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사다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 그물망의 제2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플랫폼의 제2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사다리 장치.
KR1020100046589A 2010-05-18 2010-05-18 승하선 사다리 장치 KR10123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589A KR101230966B1 (ko) 2010-05-18 2010-05-18 승하선 사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589A KR101230966B1 (ko) 2010-05-18 2010-05-18 승하선 사다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996A KR20110126996A (ko) 2011-11-24
KR101230966B1 true KR101230966B1 (ko) 2013-02-07

Family

ID=4539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589A KR101230966B1 (ko) 2010-05-18 2010-05-18 승하선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57A (ko) 2015-07-03 201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하선 사다리 장치
KR102076677B1 (ko) 2018-09-21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98B1 (ko) * 2012-08-09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의 브릿지 설치 시스템 및 설치 방법
KR101594903B1 (ko) 2014-07-08 2016-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하선 사다리의 안전네트 설치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05253257A (zh) * 2015-10-23 2016-01-20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船用斜梯门/盖
KR102416632B1 (ko) * 2015-11-30 2022-07-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회전식 현문 사다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4514B1 (ko) * 2015-12-21 2022-10-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하선용 사다리
CN107226174B (zh) * 2017-05-31 2019-03-2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码头双船系泊过梯
CN107933836B (zh) * 2017-10-09 2019-10-29 上海凌耀船舶工程有限公司 舷侧登乘平台装置及使用方法
CN111852316B (zh) * 2020-07-24 2022-03-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落地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05Y1 (ko) * 1998-05-18 2000-08-01 정해룡 선박용사다리의격납장치
JP2008241625A (ja) * 2007-03-28 2008-10-09 Jfe Systems Inc 地震防護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05Y1 (ko) * 1998-05-18 2000-08-01 정해룡 선박용사다리의격납장치
JP2008241625A (ja) * 2007-03-28 2008-10-09 Jfe Systems Inc 地震防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57A (ko) 2015-07-03 201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승하선 사다리 장치
KR102076677B1 (ko) 2018-09-21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996A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966B1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JP5590862B2 (ja) ダビット装置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KR20120132168A (ko) 선박용 현측 사다리
JP2015520712A (ja) クレーンと、ハッチカバーを支持し積み重ねるクレーンの本体に設置されたベースとを備える、港湾作業時に積み下ろし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KR101487296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JP4809120B2 (ja) 船体格納式ボート揚収装置
KR20130124743A (ko)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KR101497444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KR101716331B1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KR20130057642A (ko)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CN110382345B (zh) 船只转移系统
EP2714505A1 (en) A launch and retrieval system
KR101468554B1 (ko) 선박
KR101556910B1 (ko)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CN220786068U (zh) 一种用于海上平台的登乘装置
KR101594903B1 (ko) 승하선 사다리의 안전네트 설치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540379B1 (ko) 유지보수 구조를 구비한 헬리데크
JP4431448B2 (ja) 揚艇装置
JPS629479B2 (ko)
KR200470901Y1 (ko) 선박 승하선용 엘리베이터
NL2007729C2 (en) A vessel with a rigid wingsail installation.
JP2019100116A (ja) 乗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