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677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677B1
KR101230677B1 KR1020077017935A KR20077017935A KR101230677B1 KR 101230677 B1 KR101230677 B1 KR 101230677B1 KR 1020077017935 A KR1020077017935 A KR 1020077017935A KR 20077017935 A KR20077017935 A KR 20077017935A KR 101230677 B1 KR101230677 B1 KR 10123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om side
handle
recess
si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751A (ko
Inventor
요시노리 네모토
마사키 미우라
노리아키 우시오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45Solid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경량화가 도모된 두께가 얇은 용기일지라도 허리부 경사면에 필요한 강도 및 복원성을 부여하여, 허리부 경사면의 찌그러짐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잡기 쉬운 용기로 만들기 위하여 몸통부(4)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허리 홈(61)과 손잡이 요(凹)부(63)를 가진 병 용기(1)에 있어서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을 포함하는 영역에 용기 내측에 철곡면 형상의 손가락 수납 요(凹)부(62)를 형성한다.
플라스틱제 병 용기, 허리부(waist section)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몸통부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허리부를 가진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이고, 복원성이 높은,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제 병 용기에 관한 것이다.
페트병 등의 플라스틱제 병 용기는 성형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또한 기계적 강도가 높고, 경량이라는 점 등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종 액체를 충전하는 용기로서 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각종 음료나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용 용기로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병 용기의 용량에 대하여는 시장의 요구에 맞추어서 많은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용량이 큰 것으로서는 2리터 정도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병 용기의 형상에 대하여는 종래부터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나 냉장고 수납성을 고려한 직사각형의 것이나 또는 정사각형의 것이 채택되고 있다.
또한 용량이 큰 병 용기에서는 몸통부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몸 통부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주로 둘레방향을 따라 조여진 형태의 허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허리부는 보강부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병 용기를 한 손으로 들 때에 손가락을 거는 손잡이부로서도 기능하므로 병 용기를 들기 용이함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는 자원절약화에 따른 용기의 경량화 경향으로부터 병 용기의 두께가 얇아지고, 병 용기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저하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경량화가 도모된 두께가 얇은 병 용기에서는 몸통부에 가로 비드 등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나 복원력을 부여하고, 병 용기의 찌그러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25006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어느 정도까지 경량화된 병 용기에서는 몸통부에 가로 비드 등을 형성하더라도 제조 중이나 운반 중에 있어서의 병 용기끼리의 충돌에 의하여 또는 용기를 손으로 잡았을 때, 또는 용기를 점포 앞에 진열하는 경우에 허리부에 찌그러짐이나 변형이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찌그러짐이나 변형은 많은 경우 허리 홈부의 경사면(호면(弧面)을 포함한다)에 발생하고 있으며, 몸통부에 형성되는 가로 비드의 위치를 변형하여도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4-250063호 공보에는 허리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한 용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손잡이부만으로는 손잡이부를 끼워넣고 잡는 엄지와, 검지, 또는 중지와의, 2개의 손가락에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용기를 최대한으로 경량화한 경우, 용기를 들어올려서 내용액을 따를 때에 용기 허리부가 변형, 좌굴(挫屈)을 일으켜, 취급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또한 2개의 손가락의 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부의 경사면이나 허리부의 경사면에 중지 또는 약지를 얹어서 힘을 넣은 경우, 경사면의 강성(剛性)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사면이 변형, 좌굴을 일으키고, 좌굴한 경우에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경량화가 도모된 두께가 얇은 용기에 있어서 특히 허리부 경사면이나 그 부근에 필요한 강도 및 복원성을 부여하며, 허리부 경사면 부근의 찌그러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기를 더욱 잡기 쉽게 할 수 있는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기는 입구부, 몸통부 및 바닥부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 홈 바닥면,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한 허리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 조의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 요부(凹部)를 상기 허리 홈 위에 형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허리 홈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측에 위치하며, 또한 용기 안쪽으로 향하여 철(凸)곡면 형상의 손가락 수납 요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한 본 발명의 용기에 의하면 용기를 잡았을 때에 잡은 손에 힘이 가해진 경우, 손잡이 요부를 잡은 엄지와, 검지, 또는 중지의 2개의 손가락 이외에 중지, 또는 약지 등 다른 한 개의 손가락을 손잡이 요부를 잡은 손가락으로 근접시키면서 손가락 수납 요부에 넣음으로써 다른 한 개의 손가락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용기 안쪽으로 향하여 철곡면의 손가락 수납 요부 형상에 의하여 손가락의 복부(腹部)를 감싸듯이 넣을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수납 요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능선의 골자로서의 효과에 의하여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바꿔 말하면 허리 홈의 홈 바닥면과, 허리 홈에 대하여 용기 바닥부측 방향의 몸통부를 접속하는 면이며, 예를 들면 허리 부의 경사면에 해당한다)의 강성과, 좌굴변형된 경우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수납 요부를 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면 양손으로 내용액을 따를 때에 손잡이 요부를 잡는 반대 손의 엄지를 효과적으로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잡이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각각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과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보강에 더하여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에 형성되어 있는 능선과 손가락 수납 요부의 능선이 접속되고,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이 보다 보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입구부, 몸통부 및 바닥부를 구비한 각형(角形)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한 조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 홈 바닥면,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한 허리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 조의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 요부를 상기 허리 홈 위에 형성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허리 홈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측에 위치하며, 또한 용기 안쪽으로 향하여 철곡면 형상의 손가락 수납 요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손잡이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각각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과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각형 용기의 경우 허리부의 허리 홈과 손잡이 요부가 최저 한 조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손가락 수납 요부를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한 군데 형성하면 용기를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손가락 수납성, 강성, 복원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이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2개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능선의 개수 증가에 따라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이루는 2개 이상의 면 중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에 접속하는 면을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위쪽 가장자리에 띠 형상을 따라 아치 형상의 면으로 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아치 형상 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30~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손가락 수납 요부의 위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2개의 능선이 근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보강하는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변형, 좌굴을 보다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손가락의 걸림상태가 좋아지며, 용기를 잡기가 보다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이루는 2개 이상의 면 중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접속하는 면의 종단면 형상을 용기 바깥쪽으로 향하는 철곡면 형상으로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손잡이 요부에 넣는 검지, 또는 중지가 위쪽 접속면을 누르는 힘에 대한 강성과 복원성이 높아지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변형, 좌굴을 더욱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접속하는 면을 안마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를 잡았을 때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해당 면 자체의 강성과 복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높이가 5㎜~30㎜이며,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폭 방향 중앙의 종단면 형상이 호(弧) 형상이 되는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가로폭이 2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수납 요부 곡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손가락 수납 요부에 수납할 손가락을 넣거나 잡기가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손잡이 요부 상하의 적어도 한쪽에 가로 비드를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손잡이 요부에 손가락을 넣어서 용기를 잡았을 경우에 손잡이 요부에 가하는 압압력(押壓力)의 전달을 이 상하에 형성한 가로 비드로 차단하여, 몸통부의 표면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입구부측, 또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바닥부측에서 다른 부위와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부위에, 둘레방향을 따라 단속적 또는 연속적인 단부(段部)를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허리 홈이나 손잡이 요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부의 입구부측이나 바닥부측이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에 있으며, 수축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운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도 몸통부의 입구부측이나 바닥부측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기 쉬운 부위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용기 안쪽에 볼록한 손가락 수납 요부에 의하여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허리부 경사면)에 필요한 강도 및 복원성이 부여되므로 경량화가 도모된 두께가 얇은 용기에 있어서도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잡는 힘을 손가락 수납 요부로 분산함으로써 경감하고, 또한 잡기 용이함과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강도,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실시형태의 개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실시형태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허리부의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병 용기 2 입구부
3 어깨부 4 몸통부
5 바닥부 6 허리부
61 허리 홈 61a 홈바닥면(溝底面)
61b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 61c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
62 손가락 수납 요(凹)부 63 손잡이 요(凹)부
63a 바닥면 63b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
63c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 63d 상측 접속면
63e 하측 접속면 71, 72 가로 비드
81a, 81b, 82 단부(段部)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플라스틱제 병 용기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 용기의 정면도, 도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 용기의 측면도, 도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 용기의 허리부의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는 병 용기(1)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프리폼을 2축 연신 브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플라스틱제 병 용기이며, 입구부(2), 어깨부(3), 몸통부(4) 및 바닥부(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높이방향이란 입구부(2)를 위로 하여 병 용기(1)를 수평면에 놓았을 때에 수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병 용기(1)의 몸통부(4)는 횡단면 형상을 거의 직사각형으로 하며, 그 짧은 변이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용량이 2000~3000㎖의 대형 용기라도 냉장고 수납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병 용기(1)를 한 손으로 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몸통부(4)는 횡단면 형상을 거의 정사각형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그 한 변을 110㎜ 이하로 하면 양호한 냉장고 수납성 및 취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몸통부(4)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조여진 허리부(6)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부(6)는 몸통부(4)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는 보강부 기능과, 병 용기(1)를 한 손으로 들 때에 손가락 걸이가 되어 취급성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 기능을 겸비하는 부위이며, 허리 홈(61)과, 손잡이 요부(6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허리 홈(61)이란 몸통부(4)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홈 형상의 것을 말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통부(4)에 한 바퀴 형성되어 있으나, 병 용기(1)가 각형의 것인 경우, 허리 홈(61)은 몸통부(4)의 적어도 한 조가 서로 대향하는 면의 높이방향의 거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긴 변인 용기 정면, 및 용기 뒷면의 각각에 위치하는 허리 홈(61)에는 손잡이용 패인 곳인 손잡이 요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 요부(63)는 용기 정면, 및 용기 뒷면의 각각에 위치하는 허리 홈(61)의 가로폭 중앙에 형성되며, 병 용기(1)를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들어가게 함으로써 병 용기(1)의 잡기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허리 홈(61)은 수직인 홈 바닥면(61a)과, 이 홈 바닥면(61a)에 대하여 용기 위쪽에 위치하여 몸통부(4)와 홈 바닥면(61a)을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61b)과, 홈 바닥면(61a)에 대하여 용기 아래쪽에 위치하여 몸통부(4)와 홈 바닥면(61a)을 접속하는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허리 홈(61)의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61b), 및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은 종단면이 곡면 형상이다.
그리고 손잡이 요부(63)는 수직인 손잡이 요부 바닥면(63a)과, 이 손잡이 요부 바닥면(63a)에 대하여 용기 위쪽에 위치하여 몸통부(4), 또는 허리 홈(61)의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61b)과, 손잡이 요부 바닥면(63a)을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63b)과, 손잡이 요부 바닥면(63a)에 대하여 용기 아래쪽에 위치하여 몸통부(4), 또는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과, 손잡이 요부 바닥면(63a)을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63b)을 가지고 있다.
손가락 수납 요부(62)는 병 용기(1)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따르는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의 강성과 복원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손가락 수납 요부(62)는 또한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손가락 수납 요부(62)는 도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에 위치하는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의 용기 바닥부측에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과,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을 동시에 도면 중 쇄선(鎖線)으로 나타내는 부분에서 깎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손가락 수납부(6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에 포함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손가락 수납 요부(62)는 용기 정면 쪽에만 형성하고, 용기 뒷면 쪽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요부(63)와 손가락 수납 요부(62)는 병 용기(1)를 잡았을 때에 손잡이 요부(63)에 넣는 검지, 또는 중지와, 손가락 수납 요부(62)에 넣는 중지, 또는 약지가 맞닿을 정도로 접근해 있으므로, 잡는 힘을 가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손가락 수납 요부(62)는 용기 안쪽에 볼록한 곡면으로 종단면의 높이(h)가 15㎜, R70의 호 형상으로 가로폭(w)은 35㎜이지만, 손가락 수납 요부의 높이(h)는 10㎜~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폭 방향 중앙의 종단면 형상은 R20~R120의 호 형상이 되는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가로폭(w)은 2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곡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손가락 수납 요부(62)에 수납하는 손가락을 넣기나 걸기가 편해진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아래 가장자리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용기 아래쪽으로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하 게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은 위쪽 접속면(63d), 아래쪽 접속면(63e)의 2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충분한 효과가 발휘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의 능선의 개수증가에 따라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을 보강할 수 있다.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을 위쪽 접속면(63d), 아래쪽 접속면(63e)의 2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손가락 수납 요부(62)에 직접 접속하는 아래쪽 접속면(63e)을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손잡이 수납 요부(62)의 위쪽 가장자리에 띠 형상을 따른 아치 형상의 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위쪽 가장자리를 따라 2개의 능선이 근접하여 형성되게 되어,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을 보강하는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의 변형, 좌굴을 보다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손가락이 걸리는 상태가 좋아지며, 병 용기(1)의 잡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아래쪽 접속면(63e)을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위쪽 가장자리에 띠 형상을 따라 아치 형상의 면으로 하는 경우, 그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아래쪽 접속면(63e)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θ)는 30~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래쪽 접속면(63e)의 폭((병 용기(1)의 표면에 나타나는 능선간의 길이)L)는 길이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하게 하여도 되지만,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으로 향함에 따라 폭이 가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아래쪽 접속면(63e)의 폭(L)의 구체적인 값은 병 용기(1)의 치수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예를 들면 2~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요부(63)의 바닥면(63a)에 직접 접속하는 위쪽 접속면(63d)의 종단면 형상을 용기 바깥쪽으로 향하는 볼록 곡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잡이 요부(63)에 넣는 검지, 또는 중지가 위쪽 접속면(63d)을 누르는 힘에 대하여 위쪽 접속면(63d) 자체의 강성과 복원성을 높일 수 있으며, 손잡이 요부(63)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3c)의 변형, 좌굴을 더욱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병 용기(1)를 잡았을 때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면서 위쪽 접속면(63d) 자체의 강성과 복원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쪽 접속면(63d)은 적어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용기 안쪽으로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하여, 위쪽 접속면(63d)의 전체 형상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 안마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요부(63)의 바닥면(6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평면원 형상의 돌기(90)를 미끄럼 방지로서 복수 형성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평면원 형상의 돌기는 방향을 불문하고 미끄럼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요부(63)의 상하에 가로 비드(71, 7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손잡이 요부(63)에 손가락을 넣어서 병 용기(1)를 잡았을 경우에 손잡이 요부(63)에 가해지는 압압력의 전파를 이들 상하에 형성한 가로 비드(71, 72)로 차단하여, 몸통부(4)의 표면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와 같은 각형 용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코너부 부근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능선(80)이 형성되도록 하여 세로 하중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므로 손잡이 요부(63)의 상하에 가로 비드(71, 72)를 형성할 때에는 세로 하중 강도가 손상되지 않도록 가로 비드(71, 72)가 상기 능선(80)과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가로 비드(71, 72)의 단부(端部)가 상기 능선(80)으로부터 지나치게 멀어져 버리면 손잡이 요부(63)에 가해지는 압압력의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손상되어 버린다.
가로 비드(71, 72)의 치수는 이들의 것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구체적으로는 가로 비드(71, 72)의 단부와 상기 능선(80)과의 간격(L1)이 4~8㎜로 되도록 가로 비드(71, 72)의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병 용기(1)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프리폼을 2축 연신 브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이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허리 홈(61)이나 손잡이 요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면 중앙부에 수지가 고이기 쉬우며, 몸통부(4)의 입구부(2)쪽이나 바닥부(5)쪽이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에 있다. 그러므로 몸통부(4)의 입구부(2) 쪽이나 바닥부(5) 쪽에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부위에 수축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우며, 병 용기(1)의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통부(4)의 입구부(2)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단부(81a, 81b)를, 몸통부(4)의 바닥부(5)쪽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단부(8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몸통부(4)의 입구부(2)쪽이나 바닥부(5)쪽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기 쉬운 부위의 수축을 방지하고 있으나, 도시하는 예에서 몸통부(4)의 입구부(2)의 단부(81a, 81b)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2 중 화살표(Y)로 표시하는 부위에 수축이 생기기 쉬우며, 또한 몸통부(4)의 바닥부(5)쪽의 단부(82)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1, 2 중 화살표(X)로 나타내는 부위에 수축이 생기기 쉽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형 용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환형(丸型)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형 용기의 경우 허리부(6)의 허리 홈(61)과 손잡이 요부(63)는 적어도 한 조가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손가락 수납 요부(62)를 허리 홈(61)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61c)을 포함하는 영역에 한 곳 형성하고 있으면 용기(1)를 잡을 수 있고, 손가락 수납 요부(62)의 손가락 수납성, 강성, 복원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허리 홈(61)은 몸통부(4)의 보다 많은 면에 형성하면 용기(1)의 강성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런 경우에도 손잡이 요부(63)는 최저 한 조가 대향하는 면에 형성하면 되고, 손가락 수납 요부(62)도 최저 한 곳에 형성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병 용기(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연신 브로우 성형 및 열결정화 가능한 수지라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젖산,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이들의 수지, 또는 다른 수지와의 브랜드물이 적합하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아크리로니트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수지에는 성형품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종류의 첨가제, 예를 들면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이형제, 활제, 핵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병 용기(1)를 구성하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에스테르 반복단위의 대부분, 일반적으로 70몰% 이상을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가 차지하는 것이며, 유리 전이점(Tg)이 50~90℃, 융점(Tm)이 200~275℃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내압성, 내열성, 내열압성 등의 점에서 특히 뛰어나지만,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이외에 이소프탈산이나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2염산기와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 단위의 소량을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병 용기(1)는 단층(1층)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외에 2층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층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병 용기(1)는 2층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층으로 이루어진 내층 및 외층의 사이에 봉입(封入)되는 중간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중간층을 배리어층이나 산소흡수층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리어층, 산소흡수층을 구비함으로써 병 용기(1) 내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산소 투과를 억제하고, 병 용기(1) 내의 내용물의 외부로부터의 산소에 의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산소흡수층으로서는 산소를 흡수하여 산소의 투과를 방지하는 것이라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산화가능 유기성분 및 천이금속 촉매의 조합, 또는 실질적으로 산화하지 않는 가스배리어성 수지, 산화가능 유기성분 및 천이금속 촉매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용기의 형상을 컵 형상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용기는 플라스틱 제품의 것에 한하지 않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나 종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횡단면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 거의 원형에 한하지 않고 거의 정사각형, 거의 육각형, 거의 팔각형의 짝수 변으로 되는 면수를 가진 각형 용기나 거의 타원형이 되는 환형(丸型) 용기라도 된다.
본 발명은 몸통부의 높이방향 거의 중앙에 허리 홈을 가진 용기에 적용되며, 특히 경량화가 도모된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제품의 병 용기에 적합하다.

Claims (13)

  1. 입구부, 몸통부 및 바닥부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높이방향 중앙에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 홈 바닥면,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한 허리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한 조의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 요(凹)부를 상기 허리 홈 상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각각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과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허리 홈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용기 안쪽으로 향하여 철곡면(凸曲面) 형상의 손가락 수납 요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이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2개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용기 바닥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입구부, 몸통부 및 바닥부를 구비한 각형(角形)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높이방향 중앙에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 홈 바닥면,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한 허리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한 조의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 요부를 상기 허리 홈 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각각 접속하는 용기 입구부측 접속면과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허리 홈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허리 홈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용기 안쪽으로 향하여 철곡면(凸曲面) 형상의 손가락 수납 요부가 적어도 한 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이 높이방향으로 이어지는 2개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가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의 용기 바닥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이루는 2개 이상의 면 중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에 접속하는 면을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위쪽 가장자리에 띠 형상을 따라 아치 형상의 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상 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30~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요부의 용기 바닥부측 접속면을 이루는 2개 이상의 면 중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접속하는 면의 종단면 형상을 용기 바깥쪽으로 향하는 철곡면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요부의 바닥면에 접속하는 면을 안마(鞍馬)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높이가 5㎜~30㎜로서,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폭 방향 중앙의 종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되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수납 요부의 가로 폭이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요부의 상하의 적어도 한 쪽에 가로 비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입구부측, 또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바닥부측에 있어서,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부위에 둘레방향을 따라 단속(斷續)적 또는 연속적인 단부(段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7017935A 2005-02-18 2006-02-14 용기 KR101230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2970 2005-02-18
JPJP-P-2005-00042970 2005-02-18
PCT/JP2006/302484 WO2006087998A1 (ja) 2005-02-18 2006-02-14 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751A KR20070103751A (ko) 2007-10-24
KR101230677B1 true KR101230677B1 (ko) 2013-02-07

Family

ID=3691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935A KR101230677B1 (ko) 2005-02-18 2006-02-14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2620B2 (ko)
KR (1) KR101230677B1 (ko)
CN (1) CN100554092C (ko)
MY (1) MY146846A (ko)
TW (1) TW200706459A (ko)
WO (1) WO2006087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9859B2 (ja) * 2005-06-30 2012-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JP4962942B2 (ja) * 2006-06-29 2012-06-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US20090101660A1 (en) * 2007-10-17 2009-04-23 The Coca Cola Company Plastic beverage container
JP5377239B2 (ja) * 2009-11-13 2013-12-25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ボトル型容器
US8668100B2 (en) 2010-06-30 2014-03-11 S.C. Johnson & Son, Inc. Bottles with top loading resistance
USD660714S1 (en) 2010-12-06 2012-05-29 S.C. Johnson & Son, Inc. Bottle
US8851311B2 (en) 2010-12-06 2014-10-07 S.C. Johnson & Son, Inc. Bottle with top loading resistance
US8662329B2 (en) 2010-12-06 2014-03-04 S.C. Johnson & Son, Inc. Bottle with top loading resistance with front and back ribs
US8556097B2 (en) * 2011-02-16 2013-10-15 Amcor Limited Container having vacuum panel with balanced vacuum and pressure response
JP2015504825A (ja) * 2012-01-27 2015-02-16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耐荷重及び耐真空容器
USD888564S1 (en) 2019-10-09 2020-06-30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ntainer
CN115092518A (zh) * 2022-07-04 2022-09-23 南阳理工学院 树脂塑料类的化工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563A (ko) * 2000-12-20 2002-11-29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합성수지제 용기
KR20040053379A (ko) * 2001-11-29 2004-06-2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핀치 그립식의 보틀형 용기
JP2004250063A (ja) * 2002-12-27 2004-09-09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
JP2004292039A (ja) * 2003-03-28 2004-10-21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806Y2 (ja) * 1989-07-10 1994-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JP3059975B2 (ja) 1996-03-01 2000-07-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JP2002145233A (ja) * 2000-11-14 2002-05-22 Toyo Seikan Kaisha Ltd 角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4148439B2 (ja) 2000-11-17 2008-09-10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ボトル
CA2368491C (en) * 2001-01-22 2008-03-18 Ocean Spray Cranberries, Inc. Container with integrated grip portions
JP3983646B2 (ja) * 2002-10-28 2007-09-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563A (ko) * 2000-12-20 2002-11-29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합성수지제 용기
KR20040053379A (ko) * 2001-11-29 2004-06-2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핀치 그립식의 보틀형 용기
JP2004250063A (ja) * 2002-12-27 2004-09-09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
JP2004292039A (ja) * 2003-03-28 2004-10-21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9588A1 (en) 2008-06-26
CN1840431A (zh) 2006-10-04
TW200706459A (en) 2007-02-16
TWI355356B (ko) 2012-01-01
CN100554092C (zh) 2009-10-28
MY146846A (en) 2012-09-28
US7712620B2 (en) 2010-05-11
WO2006087998A1 (ja) 2006-08-24
KR20070103751A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677B1 (ko) 용기
AU2002256553B2 (en)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CA2613714C (en) Synthetic resin bottle
JP5076906B2 (ja) 容器
JP4876604B2 (ja) 容器
US20090230084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enhanced crush resistance and pouring stability
JP6342112B2 (ja) 樹脂製容器
JP5024666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のくびれ部
JP4940646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JP5002957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JP4254268B2 (ja) 容器
US20090101660A1 (en) Plastic beverage container
JP4899303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4940647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JP4748359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TW201116461A (en) Bottle-type container
JP5618523B2 (ja) ボトル型容器
JP4296930B2 (ja) 容器
JP4599973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12171661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08201433A (ja) 合成樹脂製のグリップ付きブロー成形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