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282B1 -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282B1
KR101230282B1 KR1020100005502A KR20100005502A KR101230282B1 KR 101230282 B1 KR101230282 B1 KR 101230282B1 KR 1020100005502 A KR1020100005502 A KR 1020100005502A KR 20100005502 A KR20100005502 A KR 20100005502A KR 101230282 B1 KR101230282 B1 KR 10123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hain
arc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623A (ko
Inventor
김춘섭
Original Assignee
김춘섭
담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섭, 담양군 filed Critical 김춘섭
Priority to KR102010000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2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8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열 공정과 가압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켜 호형의 죽편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평판으로 만들 수 있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king a Flat Board of a Bamboo}
본 발명은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시적인 가압과 가열에 의해 호형의 대나무 편(이하 "죽편")을 평판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공예품 및 실내 장식용 소재로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형상이 원통형이어서 그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대나무를 평판으로 제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993-000250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14278호를 들 수 있다.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993-0002501호는 호형의 죽편을 예열한 다음에 압축 교정 통로가 형성된 압축 교정 장치를 통과시켜 대나무 평판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14278호는 호형의 죽편을 그 내피부를 절삭하고 수증기로 예열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다음, 그 호형 죽편의 외피부와 내피부를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대나무 평판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들은 가열 공정과 가압 공정을 동시적인 아닌 별도로 진행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없고 따라서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공정과 가압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켜 호형의 죽편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평판으로 만들 수 있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a) 가열 수단, (b) 받침대, (c) 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그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부는 받침대의 상단부에 안착·결합하고 있으며, 각 프레임은 상판과 그 상판의 하면에서부터 프레임의 하단 상면까지 수직으로 결합·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 (d)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좌·우측 프레임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연결봉, (e) 상기 하우징의 밑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호형의 죽편이 통과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가열 수단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발열됨으로써 호형의 죽편을 평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받침판, (f) 상기 받침판과 함께 받침판을 통과하는 호형의 죽편을 가압하고 상기 가열 수단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발열됨으로써 호형의 죽편을 평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2개 이상의 가압봉, (g) 상기 지지대 사이에 그 좌·우측 외면이 밀착되어 있으며 그 내면은 가압봉에 밀착되어 있는 안내 부재, (h) 상기 각 가압봉 모두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체인 롤, (i) 상기 안내 부재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j) 상기 체인 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 및 (k) 상기 가열 수단의 온도 제어부, 상기 구동 수단의 속도 제어부 및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받침판에 호형의 죽편을 넣고 전원을 온(on) 시키면 구동 수단이 체인 롤을 작동시킴으로써 가압봉이 회전하고 가압봉이 회전하면서 호형의 죽편을 이동시킴과 함께 그 가압봉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받침판에 있는 호형의 죽편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호형의 죽편은 가열 수단에 의해 발열되는 가압봉과 받침판에 의해, 받침판을 이동하면서 열을 받고 가압되면서 평평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동시에 가압 공정과 가열 공정이 가능하므로 연속적으로 또 효율적으로 호형의 호형의 죽편을 평판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가압봉의 길이, 호형의 죽편의 넓이, 구동 수단의 구동력 등을 고려하여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로 구성되는 경우이다.
또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은 호형의 죽편의 길이, 가압봉의 직경, 체인롤에 의한 가압봉의 회전 속도 등을 고려하여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호형의 죽편의 길이가 짧고(짧거나) 가압봉의 직경이 크고(크거나) 가압봉의 회전 속도가 느린 경우 가압봉은 소수로 형성될 수 있고, 호형의 죽편의 길이가 길고(길거나) 가압봉의 직경이 작고(작거나) 가압봉의 회전 속도가 빠른 경우 가압봉은 상대적으로 다수개로 형성된다. 적절한 가압봉의 개수의 결정은 호형의 죽편의 길이, 가압봉의 직경, 체인롤에 의한 가압봉의 회전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속한다. 본 발명자의 경험에 의할 때 적절한 가압봉의 개수는 6 내지 15개이다.
또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그 좌·우측 외면이 밀착되어 있어 좌우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또 그 내면은 가압봉에 밀착되어 있는데, 가압봉이 매우 느린 속도로 회전하므로(통상 받침판 상에서 호형의 죽편의 이동 속도는 분(min)당 5~7cm임), 안내 부재의 내면과 가압봉 사이의 마찰력은 윤활유 등으로 상쇄될 수 있지만, 볼 베어링을 구비시켜 상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내 부재에 스프링이 연결되어 있어 가압봉은 안내 부재를 매개로 호형의 죽편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내 부재의 개수는 스프링의 개수와 일치하며, 안내 부재와 스프링의 개수는 가압봉의 개수의 2배로 구성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롤은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동 체인과, 그 구동체인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가압봉을 모두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 체인으로 구성되되, 그 연결 체인은 서로 인접한 가압봉을 두 개씩 연결하여 가압봉 모두가 연결 체인으로 연결되며 가압봉의 개수보다 1개가 적게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각 가압봉을 모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좌·우측 프레임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최대는 각 프레임의 지지대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 공정과 가열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켜 호형의 죽편을 평판으로 만들 수 있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연속적으로 호형의 죽편을 평판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평판 제조의 효율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좌측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우측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좌측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우측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는 크게 받침대(10), 하우징(20), 가압봉(30), 받침판(40), 체인 롤(50), 구동 수단(60), 가열 수단(70), 연결봉(80), 스프링(90) 및 컨트롤부(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대(10)는 그 내부에 구동 수단(60)이 구비되며, 그 상면에 하우징(20)이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좌·우측 프레임(21)으로 구성되며 그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부는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받침대(10)의 상단부에 안착·결합하고 있다. 각 프레임(21)은 상판(22)과 그 상판(22)의 하면에서부터 프레임(22)의 하단 상면까지 수직으로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결합·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지지대(23)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 프레임(21)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대(23)에는 각 연결봉(80)이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좌·우측 프레임(21)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연결봉(80)은 1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최대 각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대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6개가 구비되어 있다.
가압봉(30)은 체인 롤(50)에 의하여 회전하며 받침판(40)과 함께 호형의 죽편이 평평해지도록, 호형의 죽편을 가압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가열 수단(7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호형의 죽편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압봉(30)은 그 일 끝단(30')이 프레임(20) 외부로 돌출되어 체인 롤(50)의 체인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가압봉(30)은 10개가 구비되어 있다.
받침판(40)은 받침대(10)의 상면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호형의 죽편이 통과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함께 후술하는 바의 가열 수단(7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발열됨으로써 가압봉(30)과 함께 호형의 죽편을 가압·가열에 의해 평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받침판(40) 넓이는 호형의 죽편의 넓이보다 크게 구성되며 그 홈(40')의 깊이는 호형의 죽편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된다. 받침판(40)은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3개로 구성되어 있다. 호형의 죽편을 위치시키는 받침판(40)의 전단부(41)는 하우징(20) 밖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체인 롤(50)은 구동 수단(60)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동 체인(51)과, 구동 체인(51)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가압봉(30)을 모두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 체인(52)으로 구성된다. 구동 체인(51)이 구동 수단(60)으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맨 끝에 위치한 제1의 가압봉(30)에 전달하면, 제1의 가압봉(30)과 제2의 가압봉(30)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체인(52)이 회전하고, 동시에 제2의 가압봉(30)과 제3의 가압봉(30)을 연결하는 연결 체인(52), 제3의 가압봉(30)과 제4의 가압봉(30)을 연결하는 연결 체인(52) 등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연결 체인(52)은 서로 인접한 가압봉(30)을 두 개씩 연결하며, 어느 가압봉(30)의 양쪽에 가압봉(30)이 인접하여 있으면 그 가압봉(30)에는 두 개의 연결 체인(52)이 구비되어 인접한 양쪽의 가압봉(30)에 모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 체인(51)과 연결되는 가압봉(30)과, 구동 체인(51)의 반대쪽 맨 끝에 위치한 가압봉(30)을 제외하면 나머지 가압봉(30) 모두에는 두 개의 연결 체인(52)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연결 체인(52)의 개수는 가압봉(30)의 개수보다 1개 적은 개수가 된다.
체인 롤(50)은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구동 체인(51)과 다수개의 연결 체인(52)으로 인하여 구동 체인(51)이 회전하면 모든 연결 체인(52)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든 가압봉(30)이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열 수단(70)은 각 받침판(40)과 각 가압봉(30)에 연결된 열선(71)을 통하여 각 받침판(40)과 각 가압봉(30)을 발열시키며, 따라서 호형의 죽편이 받침판(40)을 통과할 때 받침판(40)과 가압봉(30)의 발열에 의하여 평평해지게 된다. 받침판(40)과 가압봉(30)은 발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프링(90)은 그 일단이 가압봉(30)의 각 안내 부재(31)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프레임(20)의 상판(21)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다.
각 안내 부재(31)는 좌·우측 프레임(22)의 지지대(23) 사이를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그 좌·우측 외면이 지지대(24) 사이에 밀착되어 있으며, 또한 그 내면은 가압봉(30)에 밀착되어 있다. 안내 부재(31)가 가압봉(30)에 밀착되어 있어 발생하는 마찰력은 안내 부재(31)와 가압봉(30) 사이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이나 윤활유 등에 의해 상쇄된다. 각 안내 부재(31)는 가압봉(3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면의 두께 방향의 단면은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가압봉(30)이 상·하로 움직이면 함께 움직인다.
스프링(90)은 각 가압봉(30)에 밀착되어 있는 각 안내 부재(31)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호형의 죽편의 두께에 따라 받침판(40)과 가압봉(30) 간격을 유동적이게 하고 또한 가압봉(30)이 호형의 죽편을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는 컨트롤부(1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컨트롤부(100)는 구동 수단의 속도 제어부, 가열 수단의 온도 제어부 및 전원의 온/오프 버튼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호형의 죽편을 대나무 평판으로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호형의 죽편을 받침판(40)에 올려놓고 전원을 온(on)시켜 가열 수단(70)과 구동 수단(60)을 작동시키고, 호형의 죽편은 받침판(40)을 통과하면서 가압봉(30)에 의해 가압되면서 받침판(40)을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호형의 죽편은 가열 수단(7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받침판(40)과 가압봉(30)에 의해 가압됨과 함께 동시에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호형의 죽편은 받침판(40)을 통과하면서 받침판(40)과 가압봉(30)의 가압·가열에 의해 점차 평평해지게 되며, 평평해진 죽편은 받침판(40)을 통과하여 받침판(40)의 후단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받침판(40)과 가압봉(30)의 발열 온도는 150~160℃의 정도가 적당하며, 죽편의 이동 속도는 분(min)당 5~7cm가 적당하다. 이러한 발열 온도와 죽편의 이동 속도는 컨트롤부(100)의 구동 수단의 속도 제어부 및 가열 수단의 온도 제어부를 설정·제어가 가능하다.
받침대 10, 하우징 20
가압봉 30, 받침판 40
체인 롤 50, 구동 수단 60
가열 수단 70, 연결봉 80
스프링 90 컨트롤부 100

Claims (4)

  1. (a) 가열 수단,
    (b) 받침대,
    (c) 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그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부는 받침대의 상단부에 안착·결합하고 있으며, 각 프레임은 상판과 그 상판의 하면에서부터 프레임의 하단 상면까지 수직으로 결합·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
    (d)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대에 연결됨으로써 좌·우측 프레임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연결봉,
    (e) 상기 하우징의 밑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호형의 죽편이 통과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가열 수단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발열됨으로써 호형의 죽편을 평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받침판,
    (f) 상기 받침판과 함께 받침판을 통과하는 호형의 죽편을 가압하고 상기 가열 수단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발열됨으로써 호형의 죽편을 평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2개 이상의 가압봉,
    (g) 상기 지지대 사이에 그 좌·우측 외면이 밀착되어 있으며 그 내면은 가압봉에 밀착되어 있는 안내 부재,
    (h) 상기 각 가압봉 모두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체인 롤,
    (i) 상기 안내 부재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j) 상기 체인 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 및
    (k) 상기 가열 수단의 온도 제어부, 상기 구동 수단의 속도 제어부 및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체인롤은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동 체인과, 그 구동체인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가압봉을 모두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 체인으로 구성되되, 그 연결 체인은 서로 인접한 가압봉을 두 개씩 연결하여 가압봉 모두가 연결 체인으로 연결되며 가압봉의 개수보다 1개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1개 내지 4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은 6 내지 15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4. 삭제
KR1020100005502A 2010-01-21 2010-01-21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KR10123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02A KR101230282B1 (ko) 2010-01-21 2010-01-21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02A KR101230282B1 (ko) 2010-01-21 2010-01-21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23A KR20110085623A (ko) 2011-07-27
KR101230282B1 true KR101230282B1 (ko) 2013-02-07

Family

ID=4492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502A KR101230282B1 (ko) 2010-01-21 2010-01-21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6198A (zh) * 2014-03-03 2014-05-14 浙江农林大学 带有竹青、竹簧的筒状竹材无应力展平装置及展平方法
CN105128113A (zh) * 2014-06-06 2015-12-09 刘少文 竹片自动穿针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245B1 (ko) * 2005-01-11 2007-04-13 담양군 대나무 평판 숯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808858B1 (ko) * 2007-01-03 2008-03-03 박충년 금속 롤을 이용한 대나무 평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0808859B1 (ko) * 2007-01-04 2008-03-03 박충년 체인 롤을 이용한 대나무 평판의 연속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245B1 (ko) * 2005-01-11 2007-04-13 담양군 대나무 평판 숯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808858B1 (ko) * 2007-01-03 2008-03-03 박충년 금속 롤을 이용한 대나무 평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0808859B1 (ko) * 2007-01-04 2008-03-03 박충년 체인 롤을 이용한 대나무 평판의 연속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6198A (zh) * 2014-03-03 2014-05-14 浙江农林大学 带有竹青、竹簧的筒状竹材无应力展平装置及展平方法
CN105128113A (zh) * 2014-06-06 2015-12-09 刘少文 竹片自动穿针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23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58970U (zh) 一种泡沫板加工用打孔装置
KR101230282B1 (ko) 대나무 평판의 제조 장치
CN106835653B (zh) 一种工业生产用电熨斗
CN106115335A (zh) 一种印刷品的展平装置
CN105332219A (zh) 一种设有整平装置的布料处理设备
CN110405072B (zh) 一种金属弹片冲压模具
KR100808858B1 (ko) 금속 롤을 이용한 대나무 평판의 연속 제조장치
KR101230408B1 (ko) 엠보 성형장치
CN201923841U (zh) 一种高效扪皮机
CN201333735Y (zh) 一种连续式复合地板压光压花装置
KR100808859B1 (ko) 체인 롤을 이용한 대나무 평판의 연속 제조장치
CN209904388U (zh) 一种不锈钢制品加工用压纹装置
CN204763723U (zh) 一种鞋面的滚压碾平装置
CN204519554U (zh) 一种鞋面滚压设备
CN203887979U (zh) 实木弯曲热压成型机
EP1975742A3 (en) 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0129487A (zh) 一种皮革生产用压花装置
CN210796941U (zh) 一种直立棉烘烤复形机
CN204763724U (zh) 一种应用于皮鞋制造的压平装置
CN209602822U (zh) 一种按压式布料熨烫装置
CN202862324U (zh) 一种曲木脚胚压制机
CN100469475C (zh) 卷制机
CN108405620A (zh) 一种基于双联辊热轧的铜坯料横轧装置
CN216651182U (zh) 一种茶叶生产用翻炒设备
CN104707810A (zh) 一种间歇发泡微孔片材整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