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110B1 -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110B1
KR101230110B1 KR1020100134721A KR20100134721A KR101230110B1 KR 101230110 B1 KR101230110 B1 KR 101230110B1 KR 1020100134721 A KR1020100134721 A KR 1020100134721A KR 20100134721 A KR20100134721 A KR 20100134721A KR 101230110 B1 KR101230110 B1 KR 10123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titanium
ferritic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821A (ko
Inventor
김기수
김종철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1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005Manufacture of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7Treatment of slags covering the steel bath, e.g. for separating slag from the molten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8Making cast-iron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정련공정, 용강처리공정 및 주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련공정에서 용강을 탈탄 및 탈산하고, 그리고, 상기 탈탄 및 탈산된 용강에 알루미늄을 제공하여 산화알루미늄이 형성된다. 상기 정련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의 염기도는 1.7 내지 2.2로 제어된다.또한, 상기 용강처리공정에서, 상기 용강에 티타늄을 투입하고, 상기 티타늄이 투입된 용강을 3분 이상 교반하고, 그리고, 상기 교반된 용강에 칼슘이 투입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강 내에 주편의 등축정 씨드로 작용할 수 있는 TiO2-Al2O3-CaO의 함량이 증가되어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등축정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method of manufacturing Ti added ferritic stainless steel and Ti added ferritic stainless steel maf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축정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과 이에 따라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 있어서, 주편에 주상정 조직(dendrite)이 발달되어 주편의 등축정율이 40% 미만인 경우에, 주편을 압연하여 제조된 강판 내 조대한 밴드 조직이 잔존하여 강판의 표면에 표면결함들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표면결함들 중 한 예로 줄무늬 형상의 리징(ridging) 결함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발생되는 리징결함을 보여주는사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징결함은 압연방향에 평행하고 가느다란 요철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종래에는, 압연 공정과 같은 강판의 가공 공정에서의 공정조건을 조절하여 상기 리징결함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상기 주편 내에서 등축정 조직이 부족할 경우에,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리징 결함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주편 내에 등축정 조직이 충분히 확보된 경우에, 압연공정에서 소둔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주편 내에 등축정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 소둔공정이 필수로 요구되므로, 이에 따라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편의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할 수 있는 유효산화물의 생성을 최대화시켜 등축정율이 향상에 따른 표면품질이 개선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련공정, 용강처리공정 및 주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련공정에서, 용강을 탈탄 및 탈산하고, 그리고, 상기 탈탄 및 탈산된 용강에 알루미늄을 제공하여 상기 용강 내 산화알루미늄을 형성한다. 상기 정련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의 염기도는 1.7 내지 2.2로 제어된다.
또한, 상기 용강처리공정에서, 상기 용강에 티타늄을 투입하고, 상기 티타늄이 투입된 용강을 3분이상 교반하고, 그리고, 상기 교반된 용강에 칼슘을 투입한다.
이에 따라, 용강 내에 주편의 등축정 씨드로 작용하는 유효산화물인 TiO2-Al2O3-CaO의 함량이 증가되어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등축정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0wt% 내지 0.02 wt%, N: 0.00 wt% 내지 0.015 wt%, Si :0.3 wt% 내지 0.7wt%, Ti: 0.1 wt% 내지 0.3 wt%, S: 0.00 wt% 내지 0.01 wt%, 및 Cr: 9.0 wt% 내지 15 wt%,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제1 조성비 및 제2 조성비를 만족하여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하는 TiO2-Al2O3-CaO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조성비는 %(TiO2)+%(CaO)+%(Al2O3)+%(MgO)≥95%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조성비는 %(TiO2)/{%(CaO)+%(Al2O3)+%(MgO)}≤4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편의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하는 유효산화물 생성이 증대되어 주편 내의 등축정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편 내에 등축정 조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발생되는 표면 결함을 저감시켜 표면품질이 향상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발생되는 리징결함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종래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용강을 주조하여 형성한 주편의 조직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용강에 티타늄과 칼슘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와 용강에 티타늄 투입 후 칼슘을 제공한 경우에 유효산화물을 구성하는 산화물들의 조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내의 등축정율이 50% 미만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종래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불량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함께 제시된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다소 간략화 되거나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련로의 용강을 탈탄 및 탈산하고(S10), 용강에 Al을 제공하여 용강 내에 Al2O3을 형성한다(S20). 그 이후에, 정련로의 용강을 래들 측으로 제공하고(S30), 래들에 수용된 용강에 티타늄을 투입한다(S40). 그 이후에,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래들에 수용된 용강을 3분 내지 5분동안 교반하고(S50), 그 이후에, 상기 교반된 용강에 Ca를 투입한다(S6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비와 제2 조성비를 만족하여 용강 내에 주편의 등축정 씨드로 작용할 수 있는 TiO2-Al2O3-CaO(이하, 유효산화물로 칭함)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비는 %(TiO2)+%(CaO)+%(Al2O3)+%(MgO)=95%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조성비는 %(TiO2)/{%(CaO)+%(Al2O3)+%(MgO)}=4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강을 주조하여 제조되는 중간 제품인 주편, 및 상기 주편을 압연하여 형성되는 압연코일의 등축정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0wt% 내지 0.02 wt%, N: 0.00 wt% 내지 0.015 wt%, Si :0.3 wt% 내지 0.7wt%, Ti: 0.1 wt% 내지 0.3 wt%, S: 0.00 wt% 내지 0.01 wt%, 및 Cr: 9.0 wt% 내지 15 wt%,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을 도 3a 내지 도 3d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용강(5)에 대해 정련공정을 처리할 수 있는 정련로(10)가 준비되고, 상기 정련로(10)에 전기로에서 일차로 정련된 용강(5)과 상기 용강(5) 위에 슬래그(51)가 수용된다. 도 3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정련로(10)에 산소를 제공하여 상기 용강(5) 내의 탄소를 제거하는 탈탄공정이 진행되고, 상기 용강(5) 내에 산화된 유가 금속을 환원하기 위해 Si와 같은 원소를 상기 용강(5) 측으로 제공하여 상기 용강(5)에 대해 산소를 제거하는 탈산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용강(5)에 대해 상기 탈탄공정 및 상기 탈산공정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용강(5)에 알루미늄(15)을 제공하여 상기 용강(5) 내에 Al2O3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용강(5)이 응고될 때,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하는 TiO2-Al2O3-CaO(이하, 유효 산화물)을 형성하는 데 요구되는 Al2O3를 상기 용강(5) 내에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정련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최종 발생되는 슬래그(51)의 염기도는 (CaO)/(SiO2)의 중량비로 정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래그(51)의 염기도는 1.7 내지 2.2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래그(51)의 염기도가 1.7 내지 2.2 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유효산화물의 형성에 요구되는 상기 용강(5) 내의 Al2O3의 함량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래그(51)의 염기도가 1.7 내지 2.2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용강(5) 내에 Al2O3의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되어 Al2O3가 상기 용강(5) 내의 Mg와 반응하여 MgO-Al2O3와 같은 고융점의 스피넬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스피넬 산화물에 의해 주조 공정 시 노즐 막힘의 발생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압연 과정에서 선형성 결함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정련로(10)에 수용된 용강(5) 및 슬래그(51)를 출강구(1) 및 가스 투입구(2)를 갖는 래들(20) 측으로 제공한다. 상기 용강(5) 위에 부유된 상기 슬래그(51)을 스키밍(skimming)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그 이후에, 유효산화물을 형성하는 데 요구되는 TiO2를 상기 용강(5) 내에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용강(5) 측으로 티타늄(50)를 제공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용강(5) 내에 티타늄을 제공한 이후에, 용강(5)을 교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강(5)은 상기 래들(20)의 가스투입구(2)를 통해 제공되는 아르곤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60)를 이용하여 교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강(5)은 3분 내지 5분 동안 교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용강(5)을 교반한 이후에, 용강(5) 내에 유효산화물 형성에 요구되는 CaO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용강(5) 측으로 칼슘(70)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용강(5)에 티타늄을 제공한 후 상기 용강(5)을 3분 미만으로 교반하는 경우에, 상기 용강(5) 내에 상기 유효산화물을 형성하는 데 요구되는 TiO2 함량이 적어지고, 그 이후에, 상기 티타늄 보다 산화력이 강한 칼슘이 상기 용강(5) 측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대부분의 칼슘은 CaO로 산화될 수 있다. 그 결과, CaO는 Al2O3와 반응하여 상기 용강(5) 내에 상기 유효산화물 형성에 기여하지 못하는 CaO-Al2O3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용강(5) 내 상기 유효산화물 형성에 기여하는 CaO 함량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칼슘(70)의 투입량은 상기 용강(5)의 1톤당 0.2kg 내지 0.6kg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칼슘(70)은 용강(5) 1톤당 0.2kg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유효 산화물 형성에 요구되는 CaO 함량이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칼슘(70)이 용강(5) 1톤당 0.6kg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용강(5) 중에 칼슘이 잔류하여 이후 용강(5)을 주조하여 제조되는 강판의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주편의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하는 유효산화물, TiO2-Al2O3-CaO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TiO2, Al2O3, 및 CaO를 상기 용강(5) 내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용강을 주조하여 형성한 주편의 조직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예에 따른 주편의 조직은 등축정이 거의 발달되지 않아 등축정율이 거의 0%이나, 앞서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d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주편은 등축정이 매우 발달되어 등축정율이 거의 100%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용강에 티타늄과 칼슘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와 티타늄이 투입된 용강을 교반한 후에 칼슘을 투입한 경우에 용강 내 산화물 조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용강에 티타늄과 칼슘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에, 용강 내에 Al2O3의 조성이 지나치게 증가하고, 그 대신에, 용강 내에 CaO 및 TiO2의 조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강 내 TiO2, Al2O3, 및 CaO가 반응하여 형성되는 유효산화물의 함량이 작아질 수 있다.
반면에, 도 3c 및 도 3d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강에 티타늄이 투입된 용강을 교반한 후에 칼슘을 투입하는 경우에, 용강 내에 유효산화물을 형성하는 데 요구되는 CaO, TiO2 및 Al2O3이 본 발명의 비교예 보다 균등하게 용강 내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강 내에 상기 용강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할 수 있는 유효산화물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내의 등축정율이 50% 미만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예에 따른 주편 내의 등축정율 50% 미만율은 12.8%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주편 내의 등축정율 50% 미만율은 3.5%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주편을 압연하여 제조되는 코일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50%의 등축정율이 요구되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주편의 등축정율 50% 미만율은 종래보다 약 4배 정도 감소되어 코일의 결함 발생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종래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불량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예에 따른 열연코일의 불량율은 평균 3.4%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용강을 주조하여 형성된 주편을 가공하여 형성된 열연코일의 불량율은 1.3%로 종래보다 약 2.6배 가량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정련로 5: 용강
15: 알루미늄 50: 티타늄
20: 래들 60: 불활성가스
70: 칼슘

Claims (7)

  1. 정련공정, 용강처리공정 및 주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련공정은,
    용강을 탈탄 및 탈산하는 단계; 및
    상기 탈탄 및 탈산된 용강에 알루미늄을 제공하여 상기 용강 내 산화알루미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강처리공정은,
    상기 용강에 티타늄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티타늄이 투입된 용강을 3분 이상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된 용강에 칼슘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련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의 염기도는 1.7 내지 2.2로 제어되고,
    상기 용강처리공정에서 상기 용강에 칼슘을 투입한 후에 상기 용강 중에는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하는 TiO2-Al2O3-CaO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이 상기 용강에 투입되는 양은 상기 용강 1톤당 0.2kg 내지 0.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도는 CaO/SiO2의 중량비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게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처리공정에서 상기 티타늄이 투입된 용강은 3분 내지 5분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 측으로 불활성가스가 제공되어 상기 용강이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C: 0.00wt%초과 내지 0.02 wt%, N: 0.00 wt% 초과 내지 0.015 wt%, Si :0.3 wt% 내지 0.7wt%, Ti: 0.1 wt% 내지 0.3 wt%, S: 0.00 wt% 초과 내지 0.01 wt%, 및 Cr: 9.0 wt% 내지 15 wt%,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7. C: 0.00wt% 초과 내지 0.02 wt%, N: 0.00 wt% 초과 내지 0.015 wt%, Si :0.3 wt% 내지 0.7wt%, Ti: 0.1 wt% 내지 0.3 wt%, S: 0.00 wt% 초과 내지 0.01 wt%, 및 Cr: 9.0 wt% 내지 15 wt%,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제1 조성비 및 제2 조성비를 만족하여 등축정의 씨드로 작용하는 TiO2-Al2O3-CaO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비는 %(TiO2)+%(CaO)+%(Al2O3)+%(MgO)≥95%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조성비는 %(TiO2)/{%(CaO)+%(Al2O3)+%(MgO)}≤4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00134721A 2010-12-24 2010-12-24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23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721A KR101230110B1 (ko) 2010-12-24 2010-12-24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721A KR101230110B1 (ko) 2010-12-24 2010-12-24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821A KR20120072821A (ko) 2012-07-04
KR101230110B1 true KR101230110B1 (ko) 2013-02-05

Family

ID=4670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721A KR101230110B1 (ko) 2010-12-24 2010-12-24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1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292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0889686B1 (ko) 2002-12-30 2009-03-19 주식회사 포스코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090066797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포스코 티타늄 첨가된 고크롬 스테인리스강의 정련방법
KR20100058853A (ko) * 2008-11-25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86B1 (ko) 2002-12-30 2009-03-19 주식회사 포스코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050093292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090066797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포스코 티타늄 첨가된 고크롬 스테인리스강의 정련방법
KR20100058853A (ko) * 2008-11-25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등축정율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821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2675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カルシウム処理方法
EP2772554B1 (en) Method for smelting high-aluminum-low-silicon ultrapure ferritic stainless steel
JP5221379B2 (ja) 凝固組織が微細な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CN109881095B (zh) 一种b级抗酸管线钢板及冶炼工艺
CN111778452B (zh) 一种磁性能优良的无取向电工钢板及其冶炼方法
CN111041352B (zh) 一种切割金刚线用盘条炉外精炼生产方法
US11453936B2 (en)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ridging resistance
JP5381243B2 (ja) 溶鋼の精錬方法
JP2010280936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9459B1 (ko) 니오븀이 첨가된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230110B1 (ko)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늄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2017131933A (ja) 低炭素鋼薄肉鋳片の製造方法および低炭素鋼薄肉鋳片、並びに低炭素鋼薄鋼板の製造方法
JP4510787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JP2019526708A (ja) 合金鋼の製造方法
EP3674424B1 (en) Smelting method for ultra-low carbon 13cr stainless steel
JP2018015794A (ja) 低炭素鋼薄肉鋳片の製造方法および低炭素鋼薄肉鋳片、並びに低炭素鋼薄鋼板の製造方法
JPH09111329A (ja) 高清浄性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H08143996A (ja) 熱間加工性に優れた電気機器用ニッケル
JP4107801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KR20010009041A (ko) 심가공용 고청정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정련방법
TWI788143B (zh) 耐疲勞特性優異的析出硬化型麻田散鐵系不鏽鋼
JP5215327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JPH08269532A (ja) 無方向性電磁鋼板用鋼の溶製方法
KR101253816B1 (ko) Aod-lt 정련방법
KR20120066475A (ko)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