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966B1 -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966B1
KR101229966B1 KR1020120115303A KR20120115303A KR101229966B1 KR 101229966 B1 KR101229966 B1 KR 101229966B1 KR 1020120115303 A KR1020120115303 A KR 1020120115303A KR 20120115303 A KR20120115303 A KR 20120115303A KR 101229966 B1 KR101229966 B1 KR 10122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re sample
core drill
drill
movab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호
김구영
김태희
김정찬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1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코어 드릴 고정용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상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코어 드릴 고정용 가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가동 블록의 연장선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수단;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그 상측에 상기 코어 드릴이 위치하게 되는 홀; 및 상기 홀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가압 수단;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방법은 코어 시료 추출 장치에 코어 드릴을 장착하는 단계; 고정 블록과 가동 블록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 드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코어 드릴의 직하방에 위치한 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코어 드릴 내부의 코어 시료를 가압하는 단계; 상기 코어 시료의 가압에 의해 상기 코어 드릴로부터 상기 코어 시료가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드릴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드릴 내에 끼여있는 코어 시료를 파손하지 않고 부드럽게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CORE SAMPLE EXTRACTOR AND METHOD OF EXTRACTING CORE SAMPLE}
본 발명은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가 코어 드릴에 끼여 있을 때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어 드릴은 대개 목재, 건축물이나 콘크리트 등의 일부분에 구멍을 내거나 이들의 일부를 샘플로서 채취할 때 사용하고, 또한 지반 굴착 등을 위한 사전 조사 또는 본격적인 굴착 등을 위해서 암석(암반)이나 토양 시료 등을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시료나 암석 시료와 같은 견고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코어 드릴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코어 드릴(80)의 구조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코어 드릴(80)은 크게 세 부분, 즉 팁부(10), 몸체부(20), 및 생크부(30)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의 직경 및 높이는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동일하며, 몸체부(20)는 원하는 직경의 코어 시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몸체부(20)의 길이 역시 표준화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0)의 직경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팁부(10)의 직경 역시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크부(30)에는 렌치 결합부(32)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렌치 결합부(32)는 코어 드릴(80)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코어 드릴(80)을 회전시킬 때 코어 드릴(80)을 파지하는 역할 및 시료 채취가 종료된 후 구동 장치(미도시)로부터 코어 드릴(80)을 분리할 때 렌치(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는 부분이다.
코어 드릴(80)의 구성에 대해서 조금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팁부(10)는 코어 드릴 비트라고도 불리며, 코어 드릴 구동 장치의 회전력에 의해서 팁부(10)가 피채취 대상물 내로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피채취 대상물의 일부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되어 채취된 시료는 몸체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몸체부(20)를 채우게 되며, 시료의 채취는 시료가 몸체부(20)의 하단, 바람직하게는 생크부(30)와 만나는 지점까지 진행하게 되면 종료된다.
여기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채취된 코어 시료(50)는 팁부(10)에서 생크부(30) 직전까지 높이(h) 만큼의 길이로 코어 드릴(80) 내를 채우고 있다.
이때, 시료는 채취되면서 몸체부(20)의 코어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채우면서 채취되기 때문에, 시료 채취를 종료하고 나서, 채취한 시료를 추출하려고 할 때 시료가 코어 드릴(80) 내의 코어벽에 끼여 있어서 시료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채취된 코어 시료(50)가 코어 드릴(80)의 몸체부(20) 내의 코어벽에 끼여 있기 때문에, 생크부(30)의 가운데 중공 부분을 통해서 코어 시료(50)를 단순히 밀어내는 방법으로는 시료 추출이 매우 어렵거나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드릴(80)을 뒤집고,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통해서, 코어 시료(50)의 일단부에 추출봉(37)을 대고, 망치(38)와 같은 외부 타격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봉(37)을 때려서 코어 시료(50)를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때, 코어 시료(50)의 타격 지점에는 코어 시료(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35)을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코어 시료(50)를 때려서 빼내는 경우, 코어 시료(50) 자체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았고, 코어 드릴(80)의 팁부(10)가 불필요하게 충격을 받아서 팁부(10)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5468호(2006.10.18. 공고)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 시료(50)를 추출할 때 코어 시료(50)를 파손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추출하고, 동시에 코어 드릴(80)의 팁부(10)나 기타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코어 드릴 고정용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상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코어 드릴 고정용 가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가동 블록의 연장선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수단;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그 상측에 상기 코어 드릴이 위치하게 되는 홀; 및 상기 홀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일정한 거리는, 상기 코어 드릴을 이루는 생크부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블록의 이동은, 상기 가동 수단의 좌우 이동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코어 드릴을 이루는 생크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수단은,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수단은, 전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블록은, 클램프 수단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방법은, 코어 시료 추출 장치에 코어 드릴을 장착하는 단계; 고정 블록과 가동 블록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 드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코어 드릴의 직하방에 위치한 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코어 드릴 내부의 코어 시료를 가압하는 단계; 상기 코어 시료의 가압에 의해 상기 코어 드릴로부터 상기 코어 시료가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드릴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코어 드릴을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 드릴을 이루는 생크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 드릴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블록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수단은, 유압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수단은, 전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시료 추출시 코어 시료가 파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추출되며, 동시에 코어 드릴의 파손도 방지된다.
도 1은 코어 드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코어 드릴 내에 코어 시료가 채취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코어 드릴 내, 즉 코어벽에 끼여있는 코어 시료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코어 드릴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코어 드릴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도 6의 (a)는 코어 드릴의 렌치 결합부만 고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b)는 코어 드릴의 렌치 결합부와 생크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방법을 나타낸 개략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는 장치 상판(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록(110), 가동 블록(120), 가동 블록 안내봉(130),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 상기 고정부(140)의 일부를 구성하는 레버(150), 및 하우징(102) 내에 설치되는 유압 가압 수단(200)과 상기 유압 가압 수단(200)에서 연장되는 코어 시료 가압봉(21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블록(110)은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의 일측에 맞물리면서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블록(110)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가동 블록(120)이 설치되며,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이격 거리는 코어 드릴(80)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장치 상판(100)에는 코어 시료 추출 홀(1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 시료 추출 홀(115)의 직경은,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의 직경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화되어 일정하기 때문에, 표준 코어 드릴(8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코어 드릴(80)이 하방으로 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시료 추출 홀(115)을 통해서, 후술하는 코어 시료 가압봉(210, 도 5 참조)이 직하방에서 상방으로 올라오면서, 코어 드릴(80) 내에 끼여있는 코어 시료(50)를 코어 시료(8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동 블록(120)은 상기 고정 블록(110)의 개념에 상대되는 블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블록(11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며,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의 타측에 맞물리면서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동 블록(120)은 고정 블록(110)과는 달리, 도면에서 보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 블록(120)의 외측에는 가동 블록(120) 안내부(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가동 블록(120)의 좌우 방향 이동을 확실하게 고정·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 채취가 끝나면,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에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가 아래로 가도록 코어 드릴(80)을 위치시키고, 생크부(30)의 일측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를 고정 블록(110)에 맞물린 다음에, 가동 블록(120)을 움직여서 생크부(30)의 타측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와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가동 블록(120)의 렌치 결합부(32)와의 맞물림은 가동 블록 안내봉(13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달성된다.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에 형성된 레버(150)를 좌측으로 밀면 가동 블록 안내봉(1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코어 드릴(80)에서 코어 시료(50)를 분리한 이후에는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에 형성된 레버(150)를 우측으로 밀어서 가동 블록(120)을 다시 오른쪽으로 이동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에 형성된 레버(150)의 좌우로의 이동은 고정부(140)에 형성한 다수의 링크(142, 144 및 146, 도 5 참조)에 의해서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다르게는,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가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클램프(clamp) 방식에 의해서 코어 드릴(8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는 바이스 클램프 등에서 사용하는 나사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2) 내의 저면에는 코어 시료 추출 홀(115)의 직하방 위치에 유압 가압 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채택한 예시적인 수단으로서의 유압 가압 수단(200)은 주로 자동차나 중량의 물건을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유압 잭(hydraulic jack)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 가압 수단(200)의 상측에는 코어 시료 가압봉(210)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시료 가압봉(21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가압 수단(200)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블록(110)과 상기 가동 블록(12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한 코어 시료 추출 홀(115)의 중심부, 즉 코어 드릴(80)의 중심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어 시료 가압봉(210)의 상측에는 코어 시료(50)를 가압할 때 코어 시료 가압봉(210)가 코어 시료(50)를 직접 가압하여 코어 시료(5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어댑터(22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225)의 외측에는 코어 시료 가압봉(210)의 상방 이동을 안전하게 안내하기 위한 어댑터 가이드(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유압 가압 수단(200)의 상방으로의 작동은 유압 가압 수단(200)에 형성한 유압 가압 수단 구동부(240)에 가압 레버(미도시)를 끼워서 상하로 이동하여 달성된다.
유압 가압 수단(200)에 걸려있는 압력의 해제는, 유압 가압 수단(200)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 해제 밸브(미도시)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유압 가압 수단(200)에 걸려있는 압력이 해제되면, 최대 상승 위치에 위치한 코어 시료 가압봉(210)이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적절한 갯수의 상판 고정봉(104, 104, 104, 10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 고정봉(104)은, 도 4에서는 네 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그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도 있다.
상기 상판 고정봉(104)은 유압 가압 수단(200)의 작동에 따라서 코어 시료 가압봉(21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코어 시료(50)를 가압할 때, 장치 상판(100)이 위로 밀려 올라가서 휘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코어 드릴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장치의 대부분은 도 4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코어 드릴(80)이 장치 상판(100)에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의 레버(150)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코어 드릴(80)을 고정하고 있지는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레버(150)를 좌측으로 밀면, 가동 블록 안내봉(130)이 이에 동조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이동에 따라서 가동 블록(120)이 코어 드릴(80)의 타단에 맞물리면서 코어 드릴(80)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150)의 조작시에 발생할 수도 있는 위험을 고려하여 손잡이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부(1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은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 상측을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크부(30)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와 맞물리는 구성(도 6의 (a))이나 렌치 결합부(32)와 생크부(30) 상단을 동시에 고정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가압 수단(200)의 상부에 위치한 코어 시료 가압봉(210)의 상단에는 어댑터(2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225)는 코어 시료 가압봉(210)의 상하 운동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凹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225)의 직경은 코어 드릴(80)의 몸체부(20)의 직경에 적합하게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2)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캐스터(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이 여의치 않은 경우를 상정하여 유압 잭으로서의 유압 가압 수단(200)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유압 가압 수단 구동부(240)에 가압 레버(미도시)를 끼워서 상하로 작동시키는 방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서, 실험실 내에서 코어 시료 추출 작업을 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전력 공급에 문제가 없다면, 유압 가압 수단(200)의 대체 구성으로서 전력으로 동작하는 유압식이나 공압식 액추에이터 수단(미도시)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동작 스위치(미도시)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미도시)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압 가압 수단(200)의 또 다른 대체 구성으로서는 배터리 전원에 의한 액추에이터 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 및 레버(150)의 구성 역시 전력 공급에 의해서 작동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 및 레버(150)의 구성을 대체하는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가동 블록(120)을 이동시켜서 코어 드릴(80)과 맞물려서 코어 드릴(80)을 고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보다는 출력이 약한 액추에이터 수단이면 적당하다.
이 경우에도, 별도의 동작 스위치(미도시)를 형성하여 두고 가동 블록(120)을 좌/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경우, 안전을 위해서 고정 블록(110) 및/또는 가동 블록(120)에 코어 드릴(80)이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미도시)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 드릴(80)의 고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에 따르면,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일 방법으로는,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112, 122)와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가 맞물려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따르면,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112, 122) 및 코어 드릴(80) 상단에 각각 형성된 다른 돌출부(114, 124)와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에 형성된 렌치 결합부(32) 및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 상단과 맞물려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방법은 이중에서 어떤 방법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며,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에 형성된 돌출부(114, 124)와 생크부(30) 상단만 맞물리도록 하여 코어 드릴(8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코어 시료의 추출 방법에 대해서, 도 7 및 도 1 내지 도 6의 코어 시료 추출 장치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코어 시료 추출 방법은 코어 드릴 장착 단계(ST100), 코어 드릴 고정 단계(ST200), 코어 시료 가압 단계(ST300), 코어 시료 분리 단계(ST400), 및 코어 시료 추출 단계(ST5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코어 드릴 장착 단계(ST100)는 코어 시료 채취가 종료된 코어 드릴(80)을 코어 시료 추출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로, 상기 코어 드릴(80)의 생크부(30)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고정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에 올려두는 단계이다.
이때, 코어 드릴(80)의 렌치 결합부(112, 122) 중의 하나가 고정 블록(110)에 형성한 돌출부(112)에 살짝 맞물려서 장착되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서, 한손으로는 코어 드릴(80)을 지지하여 코어 드릴(8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드릴 고정 단계(ST200)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에 장착된 코어 드릴(80)을 고정하는 단계로, 가동 블록(12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코어 드릴(80)의 렌치 결합부(112, 122) 중의 남은 하나가 가동 블록(120)에 형성한 돌출부(122)에 맞물리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코어 드릴의 고정은 가동 블록(120) 고정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15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가동 블록 안내봉(1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이동의 결과, 가동 블록(120)에 형성한 돌출부(122)가 코어 드릴(80)의 렌치 결합부(112, 122) 중의 남은 하나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코어 드릴(80)의 고정은 상기 레버(150)를 좌측 방향의 회전 한계까지 밀면 달성된다.
다음으로, 코어 시료 가압 단계(ST300)는, 고정된 코어 드릴(80)의 직하방에 고정 설치된 유압 가압 수단(20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유압 가압 수단 구동부(240)에 가압 레버(미도시)를 끼워서 상하로 다수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코어 시료 가압 단계(ST300)에서는, 유압 가압 수단(200)의 상측에 연장 설치된 코어 시료 가압봉(210)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코어 드릴(80) 내의 코어벽에 끼여있는 코어 시료(50)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다음으로, 코어 시료 분리 단계(ST400)는 상기 코어 시료 가압 단계(ST300)에서 코어 시료 가압봉(210)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코어 드릴(80) 내의 코어벽에 끼여있는 코어 시료(50)가 코어 드릴(80)의 코어벽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이다.
본 코어 시료 분리 단계(ST400)에서는 가압 레버(미도시)의 상하 운동을 조심스럽게 조작하여 코어 드릴(80) 내의 코어벽에 끼여있는 코어 시료(50)에 급작스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코어 시료 추출 단계(ST500)는 상기 코어 시료 분리 단계(ST400)에서 코어 드릴(80) 내의 코어벽으로부터 분리된 코어 시료(50)가 계속 상방으로 이동하여 코어 드릴(80)의 팁부(10) 위로 돌출한 코어 시료(50)를 잡아내어 단순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코어 시료 추출 단계(ST500)에서는 상기 코어 드릴 고정 단계(ST200)에서 고정된 코어 드릴(80)을 분리하여 코어 시료(50)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코어 드릴 장착 단계(ST100), 코어 드릴 고정 단계(ST200), 코어 시료 가압 단계(ST300), 코어 시료 분리 단계(ST400), 및 코어 시료 추출 단계(ST500)를 거치면, 부드럽게 코어 시료(5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0 : 팁부 20 : 몸체부
30 : 생크부 32 : 렌치 결합부
50 : 코어 시료 80 : 코어 드릴
100 : 상판 102 : 하우징
110 : 고정 블록 112, 122 : 돌출부
114, 124 : 돌출부 120 : 가동 블록
130 : 가동 블록 안내봉 140 : 가동 블록 고정부
150 : 레버 200 : 유압 가압 수단
210 : 코어 시료 가압봉
ST100 : 코어 드릴 장착 단계
ST200 : 코어 드릴 고정 단계
ST300 : 코어 시료 가압 단계
ST400 : 코어 시료 분리 단계
ST500 : 코어 시료 추출 단계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코어 드릴 고정용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상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코어 드릴 고정용 가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과 가동 블록의 연장선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수단;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그 상측에 상기 코어 드릴이 위치하게 되는 홀; 및
    상기 홀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일정한 거리는, 상기 코어 드릴을 이루는 생크부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이동은,
    상기 가동 수단의 좌우 이동에 의해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코어 드릴을 이루는 생크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전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은,
    클램프 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장치.
  8. 코어 드릴을 이루는 생크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코어 드릴을 코어 시료 추출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
    고정 블록과 가동 블록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 드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코어 드릴의 직하방에 위치한 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코어 드릴 내부의 코어 시료를 가압하는 단계;
    상기 코어 시료의 가압에 의해 상기 코어 드릴로부터 상기 코어 시료가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드릴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시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드릴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블록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유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전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시료 추출 방법.
KR1020120115303A 2012-10-17 2012-10-17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KR10122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303A KR101229966B1 (ko) 2012-10-17 2012-10-17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303A KR101229966B1 (ko) 2012-10-17 2012-10-17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966B1 true KR101229966B1 (ko) 2013-02-05

Family

ID=4789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303A KR101229966B1 (ko) 2012-10-17 2012-10-17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9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2655A (zh) * 2020-11-30 2021-03-16 中国地质大学(北京) 页岩取芯装置
KR102494484B1 (ko) 2022-06-23 2023-02-06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KR102494491B1 (ko) 2022-08-09 2023-02-06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CN117268841A (zh) * 2023-11-22 2023-12-22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道路检测混凝土强度检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649A (ja) 2003-05-23 2004-12-09 Mamoru Fujii 混合処理土の性能評価方法
JP2005227083A (ja) 2004-02-12 2005-08-25 Chuo Kaihatsu Kk コア試料加工システム及びコア試料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649A (ja) 2003-05-23 2004-12-09 Mamoru Fujii 混合処理土の性能評価方法
JP2005227083A (ja) 2004-02-12 2005-08-25 Chuo Kaihatsu Kk コア試料加工システム及びコア試料加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2655A (zh) * 2020-11-30 2021-03-16 中国地质大学(北京) 页岩取芯装置
KR102494484B1 (ko) 2022-06-23 2023-02-06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KR102494491B1 (ko) 2022-08-09 2023-02-06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CN117268841A (zh) * 2023-11-22 2023-12-22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道路检测混凝土强度检测设备
CN117268841B (zh) * 2023-11-22 2024-03-01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道路检测混凝土强度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966B1 (ko)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GB1444014A (en) Soil sampling method and apparatus
JP6388306B2 (ja) 遠隔操作無人探査機用コアリング装置
CN104956028B (zh) 用于钻柱部件操纵装置的夹持器、用于操纵控制夹持器的方法、钻柱部件装置和凿岩钻机
CN102304975A (zh) 梁底植筋成孔装置
CN215811729U (zh) 一种岩土工程勘察用便捷取样设备
JP2017134034A (ja) コンクリートコアの採取装置
CN102773512A (zh) 一种数控零件钻孔设备
JP2009229163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耐荷重試験方法及び装置
CN217211574U (zh) 煤矿地质勘查用深层取样装置
US20090288882A1 (en) Hydraulic head clamp assembly for mobile drill rig
JP5579900B1 (ja) 自走用アダプタ及び杭施工方法
CN114136697B (zh) 一种采煤沉陷矸石充填区取土装置及方法
JP2009275389A (ja) 簡易載荷試験方法
CN201340259Y (zh) 电缆线芯导出装置
KR101840396B1 (ko) 케이싱 인발을 위한 자동 클램핑 장치
KR101405272B1 (ko) 지반 조사용 관입 동적 콘 자동 인발장치
CN113916694A (zh) 智能触探系统
JPH081058B2 (ja) 地盤貫入抵抗測定装置
CN202280063U (zh) 岩体中残留杆件拔除技术及装置
CN111585235B (zh) 一种电缆维保工具
JP5069611B2 (ja) 地下水位計測装置および検査ケーブルの挿入方法
CN219754477U (zh) 一种手持式液压钻凿机用水平支架
KR200475458Y1 (ko) 기초파일 박음장치
CN213022379U (zh) 一种建筑工程质量检测用夹片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