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491B1 -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491B1
KR102494491B1 KR1020220099165A KR20220099165A KR102494491B1 KR 102494491 B1 KR102494491 B1 KR 102494491B1 KR 1020220099165 A KR1020220099165 A KR 1020220099165A KR 20220099165 A KR20220099165 A KR 20220099165A KR 102494491 B1 KR102494491 B1 KR 10249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utting
bracket
extraction device
samp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묵
주낙봉
Original Assignee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9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조사 현장에서 채취되어 시험실로 운반 보관된 시료관 내의 시료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시험실에서 현장과 가장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최대한 시료의 교란을 방지하고 사업별로 적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시료관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용성, 편리성 및 경제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다리(1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는 실린더(200)에 의해 인입출되며 선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부(210)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20)과 상기 바닥판(10)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그립 브라켓(30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20)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그립 조절부(30)와 상기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그립 브라켓(300) 중 끝단부에 구비되는 그립 브라켓(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채취된 시료를 추출할 시 가로로 커팅 가능하게 하는 커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40)는,
그립 브라켓(300)의 제2 체결부재(320)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401)과, 상기 상판(401)의 전단부에서 연장 절곡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403)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절곡부(402)와, 상기 상판(401)의 후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후면절곡부(404)와, 상기 후면절곡부(404)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후 하측으로 절곡되며 세로로 연장 절개된 가이드홈(406)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으로 구성된 커팅 브라켓(400);
상기 커팅 브라켓(4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413)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팅 브라켓(400)의 가이드홈(406)에 삽입되는 삽입구(412)와, 상기 몸체(411)이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커팅 강선(415)이 결속되는 결속부(414)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410);
을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반조사 현장에서 채취되어 시험실로 운반 보관된 시료관 내의 시료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시험실에서 현장과 가장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최대한 시료의 교란을 방지하고 사업별로 적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시료관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용성, 편리성 및 경제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시료 추출기 전면부에 커팅 강선이 포함된 커팅부를 설치하여 시료 추출과 동시에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과 정확성, 그리고 시료의 활용성을 높이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Extraction device that easily extracts the sample in the collected sample tube}
본 발명은 지반조사 현장에서 채취되어 시험실로 운반 보관된 시료관 내의 시료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시험실에서 현장과 가장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최대한 시료의 교란을 방지하고 사업별로 적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시료관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용성, 편리성 및 경제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시료 추출기 전면부에 커팅 강선이 포함된 커팅부를 설치하여 시료 추출과 동시에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과 정확성, 그리고 시료의 활용성을 높이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목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필요한 지반공학적 특성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지반조사는 크게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물리탐사와 시추기를 활용하여 직접 지반을 굴진하는 시추조사 그리고 시추조사에서 얻어진 시료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실내시험으로 대별될 수 있다.
주로 개략조사 단계에서 수행되는 물리탐사는 전자파나 전기를 활용하여 지반의 개략적인 현황이나 특성을 파악하는 기법으로서 탄성파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전자탐사, 자력탐사 등 많은 탐사법이 시행되고 있다.
상기의 개략적인 탐사에서 파악된 지반현황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고 정확한 지반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추기를 활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면서 시료를 채취하거나 시추공 내에서 현장시험을 실시하는 시추조사가 실시되어야 하며, 현장시험에서 얻어진 지반공학적 특성치와 비교 분석하여 좀 더 신뢰성 있는 지반특성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추조사에서 채취된 시료를 대상으로 실내시험이 실시되어야 한다.
시추조사 과정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교란시료(Disturbed Sample)와 비교란시료(Undisturbed Sample)를 채취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지반의 토성이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교란시료가 필요하고 지반의 강도 및 거동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교란시료가 필요하다.
교란시료는 시추조사 과정 중 표준관입시험의 SPT샘플러(Split-spoon Sampler)에 채취되는 시료와 시험굴조사(Test Pit)에서 채취되는 벌크샘플(Bulk Sample)이 대표적인 시료이고 비교란시료는 피스통샘플러(Piston Sampler)나 바이브로코아(Vibro Corer)를 활용하여 채취하게 된다.
이것 중 비교란 시료는 현장에서 채취시에도 현장조건과 똑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대한 교란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채취 되어야하며 운반시와 시험실 보관시에도 충격이나 변형 방지를 위한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 다행스럽게 상기 과정에서 교란을 최대한 방지하여 원지반 상태를 유지 하였다고 해도 보관시료를 추출기를 통하여 추출하는 과정에서 가장 교란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지반조사에서 요구되는 비교란 시료의 직경은 기준서마다 조금씩 상이하게 언급되어 있고 근래 해외 기업의 해상풍력 사업 진출과 관련하여 해외기준에 맞는 시료 직경을 요구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시료의 직경마다 추출기를 한대씩 보유하게 된다면 공간적으로나 금액적으로 많은 손해를 보게 될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료 추출시 시료의 교란을 최대한 방지하는 장치와 하나의 추출기에서 여러 규격의 시료관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지반의 지충상태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 조사시 샘플러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게 되는데 채취된 시료에 대한 실내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시료를 샘플러로부터 추출하여 시료를 직접 확인해 보는것이 지층의 개략적인 특성 파악과 실내시험 계획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샘플러로부터 시료 추출시 샘플러와의 마찰에 의하여 시료의 표면이 매끄럽게 변하여 정확한 특성파악이 어렵게 되므로 부득이하게 시료를 반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단면을 활용하여 특성을 파악하는게 일반적인 현황인데 이럴 경우 시료가 반으로 절단되어 실내시험을 실시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시료를 샘플러에서 추출 후 반단면으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작업이 사당히 어렵고 절단된 단면형태도 일정한 형태를 보이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실용등록 제20-0197086호 한국특허등록 제10-0949102호 한국특허등록 제10-1229966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0514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시험실에서 현장과 가장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최대한 시료의 교란을 방지하고 사업별로 적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시료관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용성, 편리성 및 경제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다양한 지름을 갖는 시료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시료관을 그립하는 브라켓 및 시료관으로 부터 시료를 가압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지름을 갖는 가압부를 하나의 추출장치에 호환 교체 구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지름의 시료관을 하나의 추출장치에서 시료를 추출 가능하도록 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 추출기 전면부에 커팅 강선이 포함된 커팅부를 설치하여 시료 추출과 동시에 절단면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절단면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수 있도록 커팅 강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과 정확성, 그리고 시료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다리(1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는 실린더(200)에 의해 인입출되며 선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부(210)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20)과 상기 바닥판(10)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그립 브라켓(30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20)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그립 조절부(30)와 상기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그립 브라켓(300) 중 끝단부에 구비되는 그립 브라켓(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채취된 시료를 추출할 시 가로로 커팅 가능하게 하는 커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40)는,
그립 브라켓(300)의 제2 체결부재(320)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401)과, 상기 상판(401)의 전단부에서 연장 절곡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403)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절곡부(402)와, 상기 상판(401)의 후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후면절곡부(404)와, 상기 후면절곡부(404)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후 하측으로 절곡되며 세로로 연장 절개된 가이드홈(406)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으로 구성된 커팅 브라켓(400);
상기 커팅 브라켓(4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413)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팅 브라켓(400)의 가이드홈(406)에 삽입되는 삽입구(412)와, 상기 몸체(411)이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커팅 강선(415)이 결속되는 결속부(414)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410);
을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시험실에서 현장과 가장 유사한 조건하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최대한 시료의 교란을 방지하고 사업별로 적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시료관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용성, 편리성 및 경제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지름을 갖는 시료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시료관을 그립하는 브라켓 및 시료관으로 부터 시료를 가압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지름을 갖는 가압부를 하나의 추출장치에 호환 교체 구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지름의 시료관을 하나의 추출장치에서 시료를 추출 가능하도록 하여 시료 추출의 편리성 및 간편성과 더불어 추출장치의 호환성으로 인한 경제성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시료 추출기 전면부에 커팅 강선이 포함된 커팅부를 설치하여 시료 추출과 동시에 절단면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절단면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수 있도록 커팅 강선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과 정확성, 그리고 시료의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에 커팅부가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에서 커팅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커팅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에 커팅부가 결합되어 상하 작동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를 이용해 시료를 절단하면서 채취하는 작업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커팅부가 제거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커팅부가 제거된 상태의 그립 브라켓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거치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거치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가압부에 체결되는 다양한 지름을 갖는 거치 가압부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에 커팅부가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에서 커팅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커팅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에 커팅부가 결합되어 상하 작동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를 이용해 시료를 절단하면서 채취하는 작업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커팅부가 제거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커팅부가 제거된 상태의 그립 브라켓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그립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거치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거치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에서 가압부에 체결되는 다양한 지름을 갖는 거치 가압부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지시부호 10은 바닥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다리(1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피스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구비된 실린더(200)에 의해 인입출되며 선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부(21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10) 선단 가까이 외주부 복수 위치 이상에는 삽입체결턱(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일측은 밀폐되어 있고 타측은 삽입구(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 양측에는 체결공(222)이 천공되어 있는 원통형의 거치 가압부(2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치 가압부(220)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관(T)의 지름이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210)와 상기 시료관(T)에 수용되어 있는 시료의 지름이 일치되어야 정확하게 시료관(T) 내에 수용된 시료를 추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시부호 30은 그립 조절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그립 조절부(30)는 전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그립 브라켓(30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20)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그립 브라켓(300)은,
직사각형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긴 일측면에 반원형상으로 제1 오목 절개부(311)를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 나사공(31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 양측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 절개홈부(31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절개홈부(313) 양측면에는 관통공(314)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제1 체결부재(310);
직사각형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긴 일측면에 반원형상으로 제2 오목 절개부(321)를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2 나사공(32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오목 절개부(321) 일측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2 절개홈부(323)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절개홈부(323) 양측면에는 관통공(324)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오목 절개부(321) 타측면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제2 절개삽입홈부(325)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체결부재(320);
상기 제1 절개홈부(313)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절개홈부(323) 중앙에 복수개의 핀(P)에 의해 각각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에 핀공(331)이 구비된 회동부재(330);
상기 제1 절개홈부(313)중 나머지 하나와 제2 절개삽입홈부(325)에 구비되는 것으로 너트 가압구(341)와 상기 너트 가압구(341)에 체결 가능하도록 일측에 나사부(3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342)와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끝단부에는 상기 바닥판(10)과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원통공(343)이 형성되어 회전부재(340); 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와 제2 오목 절개부(321) 내측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거치 브라켓(350)을 추가로 결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40은 커팅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팅부(40)는 전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 브라켓(400)에 커팅 강선(415) 양끝단이 결속되는 고정 브라켓(410)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커팅 크라켓(400)은,
그립 브라켓(300)의 제2 체결부재(320)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401)과, 상기 상판(401)의 전단부에서 연장 절곡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403)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절곡부(402)와, 상기 상판(401)의 후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후면절곡부(404)와, 상기 후면절곡부(404)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후 하측으로 절곡되며 세로로 연장 절개된 가이드홈(406)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410)은,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413)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팅 브라켓(300)의 가이드홈(406)에 삽입되는 삽입구(412)와, 상기 몸체(411)이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커팅 강선(415)이 결속되는 결속부(41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410)은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결과적으로 커팅 강선(415)의 양 끝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결속부(414)에 고정되어 지면서, 상기 고정 브라켓(410)을 커팅 브라켓(400)의 가이드판(405)에 체결부재(407)로 강하게 고정하면서 커팅 강선(415)을 양측에서 잡아 당기는 힘으로 인해 커팅 강선(415)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며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07)를 풀러서 고정 브라켓(410)을 상하 원하는 위치로 이동 시킨 후 제차 고정이 가능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 브라켓(10), 피스톤(20), 가압부(210)의 외주면에 변색이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UV코팅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UV 코팅제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EO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44~54 중량%, 2-프로펜산 1,6-헥세인다이일 17~27 중량%,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파논 4~14 중량%, 벤조페논 1~10 중량%, 방향족 경질 나프타 용매 0.1 ~ 4 중량%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서, 상기 그립 브라켓(10), 피스톤(20), 가압부(210)의 외주면에 물 40~87 중량%와 폴리(아크릴릭산-코-말레산) 나트륨염[POLY(ACRYLIC ACID -CO-MALEIC ACID)SODIUM SALT] 또는 폴리(4-스티렌술폰산-코-말레산) 나트륨염 [POLY(4-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중 어느 하나 5~10 중량%와 폴리우레탄 레진(POLYURETHANE RESIN) 5~30 중량%와 폴리바이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3~20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UV 코팅제 또는 코팅제의 기능 및 역할은 상기 그립 브라켓(10), 피스톤(20), 가압부(210)의 부식이나 변색, 변형으로 인해 시료 추출시 이물질이나 시료의 교란현상으로 인하여 정확한 시료 조사에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거치 가압부(220) 및 거치브라켓(350)의 외주면에도 상기 UV 코팅제 또는 코팅제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 커팅부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 일측에 실린더(200)에 의해 인입출되며 선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부(210)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20)이 고정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10)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그립 브라켓(30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20)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그립 조절부(30)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그립 브라켓(300)에 시료관(T)를 체결한 다음 유압 또는 공압 기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피스톤(20)을 인출하여 시료관(T) 내부에 수용된 시료를 가압부(210)가 가압하여 토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립 브라켓(300)을 살펴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재(310)와 제2 체결부재(3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 양측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 절개홈부(313)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오목 절개부(321) 일측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2 절개홈부(323)에 회동부재(330)를 삽입한 다음 상기 회동부재(330)의 핀공(331)과 관통공(314, 324)에 복수개의 핀(P)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310)과 제2 체결부재(320)의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330)에 의해 회동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8 및 도 10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료관(T)을 제1 오목 절개부(311)에 안착시킨 다음 제2 체결부재(320)의 제2 오목 절개부(321)를 회동부재(330)를 축으로 회동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와 제2 오목 절개부(321)를 일치토록 하여 진원의 시료관(T)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체결부재(310)과 제2 체결부재(320) 타측이 고정되어야 그립하고 있는 시료관(T)가 유동되지 아니하고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료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체결부재(320)에 구비된 제2 절개삽입홈부(325)에 회전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끝단에 일체로 구비된 원통공(343)이 상기 제1 체결부재(310)의 상기 제1 절개홈부(313)중 상기 회동부재(330)이 결합되는 부위의 타측에 있는 나머지 하나의 제1 절개홈부(313)에 상기 원통공(343)이 안착되면서 관통공(314)과 일치시킨 후 회동핀(344)에 의해 회동 결합한 후 상기 회전부재(340) 상부에는 나사부(3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342)에는 너트 가압구(341)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절개삽입홈부(325)에 삽입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 가압구(341)를 회전하여 가압 고정하면 상기 제1 체결부재(310)과 제2 체결부재(320)은 내부에 시료관(T)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결합가능한 것이다.
시료를 추출후 시료관(T)를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너트 가압구(341)를 풀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핀(344)를 축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 체결부재(320)이 회동부재(330)를 축으로 회동하여 용이하게 시료관(T)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시료관(T)의 지름이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 및 제2 오목 절개부(3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공(312) 및 제2 나사공(321)에 고정구(F)를 이용하여 상기 거치 브라켓(350)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시료 추출장치에서 본 발명의 핵심인 커팅부(40)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는 첨부한 도 1 및 2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립 조절부(30)의 가장 끝단부에 위치한 그립 브라켓(300)에 커팅부(40)를 결합하는 것으로,
우선 일반적인 시료 추출 작업을 할 시에는 그립 브라켓(300)에서 커팅부(40)를 분리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고, 시료의 절단면을 보고자 할 경우 그립 브라켓(300)에 커팅부(40)를 결합한 수 시료 추출을 진행하면서 자동적으로 시료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립 브라켓(300)에 커팅부(40)를 결합하는 것은, 그립 브라켓(300)의 제2 체결부재(320) 상면에 커팅부(40)의 커팅 브라켓(400)을 안착 시킨 후 체결부재(407)를 체결공(403)과 나사 결합하면서 조이는 방식으로 커팅 브라켓(400)을 제2 체결부재(32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립 브라켓(300)에 커팅 브라켓(400)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팅 브라켓(400)이 그립 브라켓(300)에 고정되면서 커팅 브라켓(40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410) 또한 그립 브라켓(300)에 고정된 결과가 되며, 이로 인해 고정 브라켓(410)에 결속되어 있는 커팅 강선(415) 또한 그립 브라켓(300) 후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팅부(40)가 그립 브라켓(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료관을 그립 브라켓(300)에 고정하고 시료를 추출하게 되면 시료관에서 추출되는 시료가 커팅부(40)의 커팅 강선(415)을 통해 가로로 절단되며 추출되어, 결과적으로 시료의 내부를 원하는 상태료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시료를 절단하는 데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절단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해 첨부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410)을 상하 이동시켜 원하는 곳으로 커팅 강선(415)을 위치시킨 후 고정 브라켓(410)을 고정시켜 시료를 추출하게 되면, 시료의 중간이 아닌 상하 끝부분 원하는 위치를 절단하여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닥판 20 : 피스톤
30 : 그립 조절부 40 : 커팅부
200 : 실린더 210 : 가압부
211 : 삽입체결턱 220 : 거치 가압부
221 : 삽입구 222 : 체결공
300 : 그립 브라켓 310 : 제1 체결부재
311 : 제1 오목 절개부 312 : 제1 나사공
313 : 제1 절개홈부 314 : 관통공
320 : 제2 체결부재 321 : 제2 오목절개부
322 : 제2 나사공 323 : 제2 절개홈부
324 : 관통공 325 : 제2 절개삽입홈부
330 : 회동부재 331 : 핀공
340 : 회전부재 341 : 너트 가압구
342 : 나사부 343 : 원통공
344 : 회동핀 350 : 거치 브라켓
400 : 커팅 브라켓 401 : 상판
402 : 전면절곡부 403 : 체결공
404 : 후면절곡부 405 : 가이드판
406 : 가이드홈 407 : 체결부재
410 : 고정브라켓 411 : 몸체
412 : 삽입구 413 : 결합공
414 : 결속부 415 : 커팅 강선
F : 고정구 P : 핀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다리(1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는 실린더(200)에 의해 인입출되며 선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부(210)가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20)과 상기 바닥판(10)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그립 브라켓(30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20)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그립 조절부(30)와 상기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그립 브라켓(300) 중 끝단부에 구비되는 그립 브라켓(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채취된 시료를 추출할 시 가로로 커팅 가능하게 하는 커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40)는,
    그립 브라켓(300)의 제2 체결부재(320)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401)과, 상기 상판(401)의 전단부에서 연장 절곡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403)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절곡부(402)와, 상기 상판(401)의 후단부에서 연장 절곡된 후면절곡부(404)와, 상기 후면절곡부(404)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후 하측으로 절곡되며 세로로 연장 절개된 가이드홈(406)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으로 구성된 커팅 브라켓(400);
    상기 커팅 브라켓(4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40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재(407)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413)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팅 브라켓(400)의 가이드홈(406)에 삽입되는 삽입구(412)와, 상기 몸체(411)이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커팅 강선(415)이 결속되는 결속부(414)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410);
    을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 선단 가까이 외주부 복수 위치 이상에는 삽입체결턱(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일측은 밀폐되어 있고 타측은 삽입구(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 양측에는 체결공(222)이 천공되어 있는 원통형의 거치 가압부(220)를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브라켓(300)은,
    직사각형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긴 일측면에 반원형상으로 제1 오목 절개부(311)를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 나사공(31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 양측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 절개홈부(31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절개홈부(313) 양측면에는 관통공(314)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제1 체결부재(310);
    직사각형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긴 일측면에 반원형상으로 제2 오목 절개부(321)를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2 나사공(32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오목 절개부(321) 일측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2 절개홈부(323)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절개홈부(323) 양측면에는 관통공(324)이 각각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오목 절개부(321) 타측면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제2 절개삽입홈부(325)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체결부재(320);
    상기 제1 절개홈부(313)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절개홈부(323) 중앙에 복수개의 핀(P)에 의해 각각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에 핀공(331)이 구비된 회동부재(330);
    상기 제1 절개홈부(313) 중 나머지 하나와 제2 절개삽입홈부(325)에 구비되는 것으로 너트 가압구(341)와 상기 너트 가압구(341)에 체결 가능하도록 일측에 나사부(3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342)와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끝단부에는 상기 바닥판(10)과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원통공(343)이 형성되어 회전부재(340);
    를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 절개부(311)와 제2 오목 절개부(321) 내측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거치 브라켓(350)을 추가로 결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브라켓(300), 피스톤(20), 가압부(210)의 외주면에 변색이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UV코팅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UV 코팅제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EO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44~54 중량%, 2-프로펜산 1,6-헥세인다이일 17~27 중량%,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파논 4~14 중량%, 벤조페논 1~10 중량%, 방향족 경질 나프타 용매 0.1 ~ 4 중량%를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브라켓(300), 피스톤(20), 가압부(210)의 외주면에 물 40~87 중량%와 폴리(아크릴릭산-코-말레산) 나트륨염[POLY(ACRYLIC ACID -CO-MALEIC ACID)SODIUM SALT] 또는 폴리(4-스티렌술폰산-코-말레산) 나트륨염 [POLY(4-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중 어느 하나 5~10 중량%와 폴리우레탄 레진(POLYURETHANE RESIN) 5~30 중량%와 폴리바이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3~20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KR1020220099165A 2022-08-09 2022-08-09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KR10249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165A KR102494491B1 (ko) 2022-08-09 2022-08-09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165A KR102494491B1 (ko) 2022-08-09 2022-08-09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491B1 true KR102494491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165A KR102494491B1 (ko) 2022-08-09 2022-08-09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49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086Y1 (ko) 2000-04-11 2000-09-15 주식회사우대기술단 피스톤 샘플러의 시료교란 방지장치
KR100515509B1 (ko) * 2002-12-09 2005-09-20 명철수 퇴적층 절단용 압출장치
KR100949102B1 (ko) 2009-08-03 2010-03-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식 고정 피스톤 샘플러
KR101229966B1 (ko) 2012-10-17 2013-02-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KR101341817B1 (ko) * 2013-07-03 2013-12-16 대한민국 시추코어용 시료파이프의 시료압출기
KR20150051475A (ko) 2013-11-04 2015-05-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용형 유압식 고정 피스톤 샘플러
KR20150092461A (ko) * 2014-02-05 2015-08-13 오수정 토양시료 샘플관 절단장치
JP5988543B2 (ja) * 2008-11-25 2016-09-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液の製造方法、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JP6014080B2 (ja) * 2013-06-10 2016-10-25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ジオサイエンス アンド ミネラル リソースズ コア試料均等切断装置
JP3220585U (ja) * 2017-12-30 2019-03-22 浙江大学Zhejiang University 任意直径の三軸試験用土試料の切削装置
KR102405021B1 (ko) * 2021-08-05 2022-06-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추코어용 시료파이프의 직립식 자동 시료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086Y1 (ko) 2000-04-11 2000-09-15 주식회사우대기술단 피스톤 샘플러의 시료교란 방지장치
KR100515509B1 (ko) * 2002-12-09 2005-09-20 명철수 퇴적층 절단용 압출장치
JP5988543B2 (ja) * 2008-11-25 2016-09-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液の製造方法、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949102B1 (ko) 2009-08-03 2010-03-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식 고정 피스톤 샘플러
KR101229966B1 (ko) 2012-10-17 2013-02-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코어 시료 추출 장치 및 코어 시료 추출 방법
JP6014080B2 (ja) * 2013-06-10 2016-10-25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ジオサイエンス アンド ミネラル リソースズ コア試料均等切断装置
KR101341817B1 (ko) * 2013-07-03 2013-12-16 대한민국 시추코어용 시료파이프의 시료압출기
KR20150051475A (ko) 2013-11-04 2015-05-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용형 유압식 고정 피스톤 샘플러
KR20150092461A (ko) * 2014-02-05 2015-08-13 오수정 토양시료 샘플관 절단장치
JP3220585U (ja) * 2017-12-30 2019-03-22 浙江大学Zhejiang University 任意直径の三軸試験用土試料の切削装置
KR102405021B1 (ko) * 2021-08-05 2022-06-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추코어용 시료파이프의 직립식 자동 시료압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20585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0018249A1 (de) Handprüfgerät und Handprüfverfahren zur Beschaffenheitsuntersuchung von Holz
KR102494491B1 (ko) 커팅부가 구비된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US4343179A (en) Utility pole hardness tester
DE102014015051B3 (de) Holzprüfwerkzeug und Verfahren zum Sichtprüfen eines Holzobjekts
RU2422588C2 (ru) Способ ударного зондирования грун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778824B (zh) 一种端部卡片式的软弱土取样钻具
CN212432592U (zh) 一种用于原位测试的便携式土壤取样装置
CN215726945U (zh) 一种便携的旋进式原状表层土壤采样器
DE2638261C2 (ko)
KR102494484B1 (ko) 채취된 시료관내의 시료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추출장치
Gao et al. Rapid assessment of wood density of standing tre with nondestructive methods—A review
KR101027930B1 (ko) 연약지반 전용 스플릿배럴 샘플러를 이용한 표준관입시험 방법
BR202012010547U2 (pt) Disposição aplicada em equipamento para investigação de solo
CN112033724A (zh) 一种折叠式土壤采样装置
CN111141544A (zh) 一种土壤污染治理修复用土壤样品采样装置
CN104048848A (zh) 一种取土器
CN104502145B (zh) 混凝土芯样取出器
JP2006322175A (ja) 土質試料用サンプラー
Giuriani et al. A penetration test to evaluate wood decay and its application to the Loggia monument
CN208870019U (zh) 一种建筑地基填土密实度现场检测装置
JP3183846U (ja) 試料採取用サンプラー
CN216811618U (zh) 一种钻探取芯装置
CN214584184U (zh) 环境试样采集装置
CN105464067A (zh) 一种用于定性探测土层组成及分布的钎探装置
JP3238450U (ja) 地盤用サンプ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